下하
當與大便不通門參看.
대변불통문을 참조해서 보아야 한다.
秋宜下가을에는 하법을 써야 함
仲景大法, 秋宜下.
중경의 대법에, 가을에는 하법을 써야 한다고 했다.
下無太晩설사는 너무 늦으면 안 됨
非待久之晩, 乃當日巳後, 爲陰之分也. 下之謂當巳前, 爲陽之分也. 故曰, 下無太晩, 下不厭晩, 是謂善守. 《東垣》
오래 기다린다의 만이 아니라 당일 사시 이후가 음분이 된다. 하법은 사시 이전에 해야 하는 것이니 양분이 된다. 그러므로 하법은 너무 늦어도 안 되지만 저녁을 피해서도 안 된다고 한 것이니 이것이 잘 지키는 것이라 한다.동원
凡下積聚癲狂, 須五鼓或平朝, 空心服湯. 傷寒潮熱, 不納飮食者, 巳時以後尤好. 故曰, 下無太晩, 下不厭晩, 雜病皆同. 《入門》
적취나 전광에 하법을 쓰려면 반드시 오경이나 아침에 빈속에 탕을 먹어야 한다. 상한에 조열이 있고 음식을 먹지 못하면 사시 이후가 더욱 좋다. 그러므로 하법은 너무 늦어도 안 되지만 저녁을 피해서도 안 된다고 한 것이니 잡병에도 다 같다.입문
宜下證설사를 시켜야 하는 증상
凡轉下, 須體認明白在陽明胃經, 則不拘日數而下之. 過時失下, 則氣血不通, 四肢便厥. 不識者, 疑爲陰厥, 復進熱藥, 禍如反掌. 《得效》
하법을 쓸 때, 몸이 양명위경에 있는 것을 명확히 알면 날 수에 관계없이 반드시 하법을 써야 한다. 시간이 지나 하법 쓸 때흫 놓치면 기혈이 통하지 않아 사지가 싸늘해진다. 이를 아지 못하는 이들이 음궐이 아닌가 해서 다시 뜨거운 약을 주니 재앙이 손바닥 뒤집는 것 같다.득효
凡用下藥, 若不渴者, 知不在有形也. 則不當下. 若渴者, 則知纏有形也. 纏有形是爲在裏, 在裏則當下, 三承氣湯擇用之. 《東垣》
설사약을 쓸 때 갈증이 나지 않으면 굳어진 것이 없다는 것을 알 것이니 하법을 써서는 안 된다. 갈증이 있으면 얽혀서 굳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얽혀 굳어진 것이 있으면 이는 속에 있는 것이고 속에 있으면 설사를 시켜야 한다. 세 가지 승기탕 중에 골라서 쓴다.동원
促下法설사 촉진법
凡服利藥, 久不利, 則進熱粥一椀. 若利過不止, 進冷粥一椀. 盖藥熱則行, 冷則止故也. 《仲景》
설사약을 먹고도 오랫동안 설사를 하지 않으면 뜨거운 죽 한 사발을 먹인다. 먄약 지나치게 설사를 하며 멎지 않으면 찬 죽을 한 사발 먹인다. 약이 뜨거우면 운행되고 차가우면 멈추기 때문이다.중경
如服藥不得通, 用蜜導法方見大便. 凡下藥, 用湯勝丸. 盖水能淨萬物故也. 《入門》
약을 먹어도 통하지 않으면 밀도법처방은대편에있다을 쓴다. 설사약은 탕약이 환약보다 낫다. 물이 만물을 씻어내기 때문이다.입문
下多亡陰설사를 많이 하면 망음이 됨
大下傷血. 《得效》
심하게 설사하면 혈을 상한다.득효
下者, 本所以助陰也. 若陰受陽邪, 熱結有形, 須當除去已敗壞者, 以致新陰. 若陽邪旣去, 而復下之, 反亡陰也. 經曰, 重陰必陽. 故陰氣自亡, 下多亡陰, 此之謂也. 《東垣》
하법은 원래 음을 돕는 것이다. 음이 양사를 받아 열이 몰려 형체가 생기면 이미 썩은 것을 반드시 제거하고 음을 새롭게 해야 한다. 양사가 제거된 뒤에도 다시 하법을 쓰면 도리어 망음이 된다. 경에, 음이 거듭되면 반드시 양이 된다고 했다. 그러므로 음기는 저절로 사라지니 설사를 많이 하면 망음이 된다는 것은 이것을 이른 것이다.동원
下法宜愼하법은 신중해야 함
大凡攻擊之藥, 有病則病受之, 病邪輕而藥力重, 則胃氣受傷. 夫胃氣者, 淸純冲和之氣也. 惟與穀肉菜果相宜, 藥石皆是偏勝之氣, 雖參ㆍ芪性亦偏, 況攻擊之藥乎. 《東垣》
공격하는 약은 병이 있으면 약을 받아들이지만, 병사는 가벼운데 약이 중하면 위기가 손상을 받는다. 위기는 맑고 순수하고 부드러운 기운으로 오직 곡식 고기 채소 과일만이 적합하다. 약석은 모두 기가 치우쳐 있다. 비록 인삼 황기 같은 것도 성질이 치우쳐 있으니 하물며 공격하는 약이야!동원
大下後難禁심한 설사 후 멎지 않는 것
凡誤用大黃ㆍ芒硝, 令人下利不禁, 理中湯方見傷寒, 加(炒)糯米ㆍ烏梅ㆍ東壁土救之. 《入門》
대황 망초를 잘못 써서 설사가 멎지 않으면 이중탕처방은상한에있다에 찹쌀볶은것 오매 동벽토를 넣어 치료한다.입문
下藥설사약
宜用全眞丸ㆍ神芎導水丸ㆍ導水丸ㆍ舟車丸ㆍ舟車神祐丸ㆍ三花神祐丸ㆍ大聖濬川散ㆍ搜風丸ㆍ四生丸ㆍ解毒丸ㆍ木香順氣丸ㆍ三黃解毒丸ㆍ開結枳實丸ㆍ通膈丸ㆍ宣毒丸ㆍ禹功散ㆍ靈寶丹方見大便ㆍ大承氣湯ㆍ小承氣湯ㆍ調胃承氣湯ㆍ三一順氣湯ㆍ六一順氣湯. 五方幷見寒門
전진환 해독환 목향순기환 삼황해독환 개결지실환 통격환 선독환 우공산 영보단처방은대변에있다 대승기탕 소승기탕 조위승기탕 삼일순기탕 육일순기탕다섯처방은한문에있다을 써야 한다.
全眞丸전진환
治三焦壅滯, 大小便不通, 浮腫脹滿. 黑牽牛子(炒四兩生四兩, 同硏取頭末) 四兩, 大黃(泔浸三日, 逐日換泔, 取出切焙爲末) 二兩. 右皂角 二兩(去皮弦子), 水一大椀浸一宿, 入蘿葍 一兩(切片), 同熬至半椀. 去滓, 再熬至二盞, 和丸梧子大. 每服二三十丸, 米飮下, 不時以利爲度. 一名保安丸. 《鉤玄》
삼초가 막혀서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과 부종 창만을 치료한다. 흑견우자볶은것4냥과생것4냥을함께간뒤체로쳐서처음나온가루 4냥, 대황쌀뜨물에3일간담그되날마다갈아주고꺼내어썰어서불에쬐어말린후가루낸것 2냥, 조각겉껍질과시울을벗기고씨를제거한것 2냥을 물 큰 사발로 1사발에 하룻밤 담갔다가 무썬것 1냥을 넣고 함께 반 사발이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다시 2잔이 될 때까지 달이고 반죽해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20-30알씩 미음으로 아무때나 설사할 때까지 먹는다. 보안환이라고 한다.구현
一方, 黑牽(牛半生半炒, 取頭末)ㆍ大黃ㆍ枳殼ㆍ檳榔 各五錢. 水丸梧子大, 亦名全眞丸. 《丹心》
다른 처방. 흑견반은생것이고반은볶은뒤가루내어체러쳐서처음나온가루 대황 지각 빈랑 각 5돈을 물에 반죽해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은 것도 전진환이라고 한다.단심
導水丸도수환
治一切濕熱鬱滯, 能宣通氣血. 黑丑(頭末)ㆍ滑石 各四兩, 大黃ㆍ黃芩 各二兩. 右末, 水丸小豆大. 溫水下十丸至十五丸, 以利爲度. 一名藏用丸, 一名顯仁丸. 《宣明》
일체의 습열로 울체된 것을 치료하여 기혈을 통하게 한다.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온가루 활석 각 4냥, 대황 황금 각 2냥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해서 팥알크기로 환을 지어 따뜻한 물로 10-15알을 설사할 때까지 먹는다. 장용환 현인환이라고도 한다.선명
加入法, 濕熱腰痛或久雨, 加甘遂, 遍身走注腫痛, 加白芥子. 熱毒腫痛, 久旱, 加朴硝, 氣血滯, 腸胃秘澁, 加郁李仁, 腰腿沈重, 加商陸. 《入門》
더하는 법. 습열요통이나 장마에는 감수를 넣고, 온몸에 돌아다니며 붓고 아프면 백개자를 넣고, 열독으로 붓거나 아프거나 오랜 가뭄에는 박초를 넣고, 기혈이 막혀서 장위가 잘 통하지 않으면 욱리인을 넣고, 허리와 넓적다리가 아프면 상륙을 넣는다.입문
神芎導水丸신궁도수환
治勞瘵, 停濕, 二陽病, 熱鬱. 黑丑(頭末)ㆍ滑石 各四兩, 大黃 二兩, 黃芩 一兩, 黃連ㆍ川芎ㆍ薄荷 各半兩. 劑法服法, 同導水丸. 《綱目》
노채 습이 머물러 있는 것 이양병 열울을 치료한다.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운가루 활석 각 4냥, 황금 1냥 황련 천궁 박하 각 0.5냥으로 만드는 법과 복용법을 도수환과 같다.강목
舟車丸주거환
治濕熱盛, 疏導二便. 黑丑(頭末) 四兩, 大黃 二兩, 甘遂ㆍ大戟ㆍ芫花ㆍ靑皮ㆍ陳皮 各一兩, 木香 五錢. 右末, 水丸梧子大, 每五六十丸, 白湯下, 以快利爲度. 《綱目》
습열이 성한 것을 치료해서 대소변을 소통시킨다.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믐나온가루 4냥, 대황 2냥 감수 대극 원화 청피 진피 각 1냥, 목향 5돈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해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50-60알씩 끓인 물로 시원하게 설사할 때까지 먹는다.강목
舟車神祐丸주거신우환
主一切水濕盛病. 黑丑(頭末) 四兩, 大黃 二兩, 甘遂ㆍ大戟ㆍ芫花(幷醋炒) 各一兩, 靑皮ㆍ陳皮ㆍ木香ㆍ檳榔 各半兩, 輕粉 一錢. 右末水丸. 服如上法. 《綱目》
수습이 성해서 생긴 모든 병을 치료한다.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온가루 4냥 대황 2냥 감수 대극 원화함께식초에축여볶음 각 1냥, 청피 진피 목향 빈랑 각 0.5냥, 경분 1돈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해서 환을 짓는다. 복용법은 위와 같다.강목
三花神祐丸삼화신우환
治一切水濕腫滿. 黑丑(頭末) 二兩, 大黃 一兩, 芫花ㆍ甘遂ㆍ大戟 各五錢, 輕粉 一錢. 右末, 水丸小豆大. 初服五丸, 每服加五丸, 以溫水下. 《宣明》
수습으로 붓고 더부룩한 것을 다 치료한다.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온가루 2냥 대황 1냥 원화 감수 대극 각 5돈 경분 1돈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해서 팥크기로 환을 지어 처음에는 5알 먹고 매번 5알씩 더해서 따뜻한 물로 먹는다.선명
大聖濬川散대성준천산
治一切水濕. 又下諸積之聖藥. 黑丑(頭末)ㆍ大黃(煨)ㆍ郁李仁 各一兩, 芒硝 三錢半, 木香 三錢, 甘遂 半錢. 右末, 水丸梧子大. 每服十丸至十五丸. 《綱目》
모든 수습을 치료한다. 또, 모든 적을 설사시키는 성약이다.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온가루 대황잿불에묻어구운것 욱리인 각 1냥, 망초 3.5돈 목향 3온 감수 0.5돈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해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10-15씩 먹는다.강목
搜風丸수풍환
治風熱大小便結滯. 黑丑(頭末) 四兩, 滑石ㆍ大黃ㆍ黃芩ㆍ蛤粉ㆍ天南星 各二兩, 乾薑ㆍ白礬(生)ㆍ半夏ㆍ寒水石 各一兩, 人參ㆍ茯苓ㆍ薄荷 各五錢, 藿香 二錢. 右末, 水丸小豆大. 每十丸至二十丸, 薑湯下. 《河間》
풍열로 대소변이 뭉치고 막힌 것을 치료한다. 흑축가루내어체로처서처음나온가루 4냥, 활석 대황 황금 합분 천남성 각 2냥, 건강 백반생것 반하 한수석 각 1냥, 복령 박하 각 5돈, 곽향 2돈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해서 팥크기로 환을 지어 10-20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하간
四生丸사생환
治一切積熱及痰熱. 黑丑(頭末)ㆍ大黃ㆍ皂角 各二兩, 朴硝 五錢. 右末, 水丸梧子大. 白湯下三十丸. 《宣明》
모든 적열과 담열을 치료한다.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온것 대황 조각 각 2냥, 박초 5돈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해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30알씩 먹는다.선명
解毒丸해독환
治一切熱毒, 癰腫, 瘡瘍, 咬牙, 驚悸. 大黃ㆍ黃芩ㆍ黃連ㆍ梔子ㆍ滑石ㆍ黑丑(頭末) 各五錢. 右末, 水丸梧子大. 溫水下三四十丸. 《宣明》
모든 열독 옹종 창상과 이를 갈거나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 황금 황련 치자 활석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온것 각 5돈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해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따뜻한 물로 30-40알씩 먹는다.선명
木香順氣丸목향순기환
治濕熱, 通利二便. 大黃 三兩, 黑丑(頭末, 生一兩, 熟一兩)ㆍ靑皮ㆍ檳榔 各一兩, 木香 五錢. 右爲末每藥末 四兩, 加神麴 一兩三錢, 蜜丸梧子大. 溫水下四五十丸. 《拔粹》
습열을 치료해서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대황 3냥 흑축생것1냥익힌것1냥을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온것 청피 빈랑 각 1냥, 목향 5돈을 가루내어 약가루 4냥마다 신국 1.3냥을 넣고 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따뜻한 물로 40-50알씩 먹는다.발수
三黃解毒丸삼황해독단
黑丑(頭末) 四兩, 滑石 三兩, 大黃ㆍ黃芩ㆍ黃連ㆍ梔子 各二兩, 劑法服法, 同解毒丸. 《回春》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온것 4냥 황석 3냥 대황 황금 황련 치자 각 2냥으로 만드는 법과 먹는 법은 해독환과 같다.회춘
開結枳實丸개결지실환
宣導凝結, 消化痰飮, 升降滯氣, 通行三焦, 滋榮心肺, 灌漑肝腎, 補助脾胃, 轉行百脉. 黑丑(頭末) 二兩, 皂角ㆍ旋覆花 各一兩, 枳實ㆍ白朮ㆍ半夏ㆍ南星(炮)ㆍ(苦)葶藶(炒)ㆍ白礬(焙)ㆍ大黃ㆍ靑皮ㆍ木香 各五錢. 右末, 薑汁糊和丸梧子大. 薑湯下三四十丸. 《十三方》
뭉친 것을 이끌어내고 담음을 없애며 체기를 조절하고 삼초를 토하게 하며 심폐의 기를 기르고 간신을 적셔주며 비위를 돕고 모든 맥을 통하게 한다.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온것 2냥 조각 선복화 각 1냥, 지실 백출 반하 남성습지에싸서구운것 정력자쓴것을볶음 백반불에쪼이말린것 대황 청피 목향 각 5돈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넣고 쑨 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생강탕으로 30-40알씩 먹는다.십삼방
通膈丸통격환
下濕熱, 通利二便. 黑丑(頭末)ㆍ大黃ㆍ木通 各等分. 右爲末, 水丸黍米大. 每服三五十丸. 《雲岐》
습열을 내려서 대소변을 통하게 한다.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온것 대황 목통 같은 양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해서 기장쌀크기로 환은 지어 30-50알씩 먹는다.운기
宣毒丸선독환
治同上. 黑丑(頭末) 四兩, 大黃(煨) 二兩, 靑皮ㆍ陳皮ㆍ蒼朮ㆍ當歸 各一兩. 右爲末, 煮蘿葍硏和丸梧子大. 溫水下五十丸. 《綱目》
앞과 같은 것을 치료한다.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온것 4냥 대황잿불에묻어구운것 2냥 청피 진피 창출 당귀 각 1냥을 가루내어 무를 갈아서 삶은 물을 넣고 쑨 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따뜻한 물로 50알씩 먹는다.강목
禹功散우공산
治寒疝. 黑丑(頭末) 一錢, 茴香 二錢半, 加木香 一錢. 右末, 每二錢, 薑湯調下. 《醫鑑》
한산을 치료한다. 흑축가루내어체로쳐서처음나온것 1돈 회향 2.5돈에, 목향 1돈을 더해 가루내어 2돈씩 생강탕에 타서 먹는다.의감
單方단방
凡十四種.
모두 14가지다.
大麻仁대마인 삼씨앗
治腸胃結熱, 通利大小便. 擣取汁, 煮作粥服之. 《本草》
장위에 뭉친 것을 치료하고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찧어서 즙을 내어 죽을 쑤어 먹는다.본초
脂麻油지마유 참깨기름
潤腸胃, 通利大小腸, 下熱結. 空心, 飮一二合, 大府卽通. 《本草》
장위를 윤택하고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울이 뭉친 것을 내려보낸다. 한두 홉을 빈속에 마시면 대장이 통하게 된다.본초
桃花萼도화악 복숭아 꽃받침
破積聚, 利大小便. 花落時, 取萼, 和麪, 作燒餠食之. 《本草》
적취를 깨뜨리고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꽃이 질 때 꽃받침을 따서 밀가루와 섞어 소병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千金子천금자
一名續隨子. 利大小腸. 爲末, 飮調一二錢, 或作丸服. 《本草》
속수자라고도 한다.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가루내어 미음에 1-2돈을 타서 마시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大黃대황
通利水穀, 蕩滌腸胃. 剉取五錢, 水煎服, 或作丸服之亦可. 《本草》
수곡을 통하게 하고 장위를 씻어낸다. 5돈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黑牽牛子흑견우자 검은 나팔꽃 씨앗
黑者主水, 白者主氣. 取頭末, 二錢卽下利, 作丸服亦良. 《本草》
검은 것은 물을 주관하고, 흰 것은 기를 주관한다. 가루내어 체로 쳐서 처음 나온 가루 2돈이면 설사가 나온다.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檳榔빈랑
宣利藏府壅滯氣. 細硏爲末, 每二錢, 蜜水調下. 《本草》
장부의 체기를 잘 통하게 한다. 곱게 가루내어 2돈씩 꿀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甘遂감수
破積聚, 利水穀道. 爲末, 調飮服. 或作丸服. 《本草》
적취를 깨뜨리고 수곡의 길을 잘 통하게 한다.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大戟대극
破癥結, 利大小腸. 或剉三錢, 水煎服. 或作丸, 作散服. 《本草》
뭉친 것을 깨뜨리고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한다. 3돈씩 썰어서 물에 달여 먹거나 환을 지어 먹거나 가루내서 먹기도 한다.본초
芫花원화 팥꽃나무의 꽃봉오리
利五藏, 通水道. 水煎服. 或末服丸服幷佳. 《本草》
오장을 잘 통하게 하고 소변을 통하게 한다.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모두 좋다.본초
郁李仁욱리인 이스라지 씨앗
通泄五藏, 治關格不通. 爲末, 飮調二錢服. 或丸服亦佳. 《本草》
오장을 잘 통하게 하여 씻어내고 관격으로 잘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2돈씩 미음에 타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芒硝망초
破積聚, 利大小便. 溫湯和服一二錢. 或入丸散服. 《本草》
적취를 깨뜨리고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따뜻한 물에 한두 돈을 타서 먹거나 환이나 가루에 넣어 먹기도 한다.본초
巴豆파두
去胃中寒積, 利水穀道. 去皮油爲末, 入丸散用之. 《本草》
위 속의 한적을 없애고 수곡이 다니는 길을 잘 통하게 한다. 껍질을 벗기고 기를 뺀 뒤 가루내어 환이나 가루에 넣어서 쓴다.본초
商陸상륙 자리공 뿌리
通利大小腸, 瀉十水腫. 取白色者. 末服或丸服良. 《本草》
대소장을 잘 통하게 하고 10가지 수종을 빼낸다. 흰 것을 쓰는데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본초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雜病篇卷之一雜病篇卷之一-吐토 (2) | 2025.06.29 |
---|---|
雜病篇卷之一雜病篇卷之一-用藥용약 (1) | 2025.06.27 |
雜病篇卷之一雜病篇卷之一-診脉진맥 (0) | 2025.06.26 |
雜病篇卷之一雜病篇卷之一- 辨證 (1) | 2025.06.14 |
雜病篇卷之一잡병편권지1- 審病심병 (0) |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