脈法

<仲景>曰 脈浮而汗出如珠者 衛氣衰也. <>曰 寸口脈 微而澁 微者 衛氣衰 澁者 榮氣不足. <脈經>曰 寸口脈 瞥瞥如羹上肌者 陽氣微縈 縈如蜘蛛絲者 陰氣衰也. <>曰 代者 氣衰 細者 氣少 浮而絶者 氣欲絶. <>曰 趺陽脈 浮而澁 澁則衛氣虛 虛則短氣. <脈訣>曰 下手脈沈 便知是氣沈極則伏濇弱難治 其或沈滑 氣兼痰飮. <>曰 沈弦細動 皆氣痛證 心痛在寸 腹痛在關 下部在尺脈象顯然 <仲景>曰 趺陽脈 微而緊 緊則爲寒 微則爲虛 微緊相搏則爲短氣.

<중경>, 맥이 뜨면서 구슬 같은 땀이 흐르는 것은 위기가 쇠한 것이다. <>, 촌구맥은 미할 때와 삽할 때가 있는데, 삽한 것은 위기가 쇠한 것이고, 삽한 것은 영기가 부족한 것이다. <맥경>, 촌구맥이 벌벌 떨어서 고기국 위의 고기 같은 것은 양기가 작게 얽힌 것이고 얽힌 것이 거미줄 같은 것은 음기가 쇠한 것이다. <>, 대맥은 기가 쇠한 것이며, 세맥은 기가 적은 것이고 뜨면서 끊어지는 것은 기가 끊어지려는 것이다. <>, 부양맥이 부한 것과 삽한 것이 있는데, 삽하면 위기가 허하고 허하면 숨결이 가쁘다. <맥결>, 하수맥이 침하면 곧 이는 기가 침한 것을 알아야 하고 심하면 복색이 약해져서 치료하기가 어렵다. 그 맥이 침활하면 기가 담음을 겸한 것이다. <>, 침현하여 가늘게 움직이면 모두 기가 아픈 증상이며 심통은 마디에 나타나고 복통은 관맥 부위에 나타난다. 아랫도리는 척맥에 나타나고 맥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부양맥은 미와 긴이 있는데 긴하면 한증이고 미하면 허증이며 미맥과 긴맥이 서로 어울리면 숨이 차게 된다.

 

氣爲諸病

<丹溪>曰 周流乎一身 以爲生者 氣也 苟內無所傷 外無所感 何氣病之有哉. 今者 冷氣 滯氣 逆氣 上氣 皆是肺受火邪 氣得炎上之化 有升無降 熏蒸淸道 甚而轉成劇病. <局方>例用辛香燥熱之劑 是以火制火也.

<단계>, 온 몸을 돌아 흘러, 살게 하는 것이 기다. 진실로 안으로 상한 것이 없고 밖으로 느끼는 바가 없으면 어찌 기병이 있겠는가? 오늘날의 냉기 체기 역기 상기라는 것들은 모두 이 폐가 화사를 받아서 기가 타오르면서 바뀌어 얻은 것들이다. 올라가기만 하고 내려오지 않거나 요도가 훈증되어 심하면 병이 심하게 되는 수가 있다. 국방에는 보통 맵고 향기롭고 조열한 약을 쓰는데 이는 불로써 불을 끄자는 것이다라 했다.

<張子和>曰 諸病 皆生於氣 諸痛 皆因於氣.

<장자화>, 모든 병은 다 기에서 생기고 모든 통증은 다 기로 말미암아서다.

<回春>曰 風傷氣者 爲疼痛 寒傷氣者 爲戰慄 暑傷氣者 爲熱悶 濕傷氣者 爲腫滿 燥傷氣者 爲閉結

<회춘>, 풍이 기를 상하면 통증이 되고, 한사가 기를 상하면 전율이 되고, 더위가 기를 상하면 열이 나고 답답하고, 습이 기를 상하면 종만이 되고 조한 것이 기를 상하면 폐결이 된다.

<序例>曰 人生氣中如魚在水 水濁則魚瘦 氣昏則人病 邪氣之傷人 最爲深重 經絡旣受 此氣傳入藏府隨 其虛實冷熱結以成病 病又相生 故流變遂廣矣.

<서례>, 사람이 기 안에서 사는 것은 물고기가 물에서 사는 것과 같아서 물이 탁하면 물고기가 여위고 기가 흐리면 사람이 병든다. 사기가 사람을 상하는 것이 가장 심중한 것이다. 경락이 이미 사기를 받으면 이 기가 장부의 골수에 들어가는데 그 허실과 냉열이 맺혀 병이 된다. 병 또한 상생하므로 흐름이 변하고 마침내는 넓어진다.

 

氣逸則滯

<臞仙>曰 人之勞倦 有生於無端 不必持重執輕仡仡終日 惟是閑人多生此病. 盖閑樂之人 不多運動氣力 飽食坐臥 經絡不通 血脈凝滯 使然也 是以貴人貌樂而心勞, 賤人心閑而貌苦 貴人嗜慾不時 或昧於忌犯 飮食珎羞 便乃寢臥 故常須用力但不至疲極 所責榮衛流通 血脈調暢 譬如流水不汚 戶樞不蠹也.

<구선>, 사람에게 나른해지는 병이 까닭 없이 생기는데 꼭 무겁거나 가벼운 것을 가지고 종일 바쁜 사람뿐 아니라, 이는 한가한 사람에게 더 많이 생긴다. 대개 한가하고 편안한 사람은 운동을 많이 하지 않고 배불리 먹고 앉아 있거나 누워 있기 때문에 경락이 불통하고 혈맥이 응체해서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귀인의 모습은 즐거운 듯 하나 마음이 괴롭고, 천인은 마음은 한가하나 모습은 고통스러워 보인다. 귀인은 때도 없이 성생활을 하거나 꺼려야 할 것을 지키지 않는다. 진수성찬을 먹고 곧바로 잠자리에 들기 때문에 늘 피로가 극에 이르지 않을 정도로 힘을 쓰고 영위가 물 흐르듯이 유통하고 혈맥이 잘 조화되게 해야 한다. 흐르는 물이 썩지 않으며 문지방이 좀을 먹지 않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入門>曰 逸則氣滯 亦令氣結輕者 行動卽愈 重者橘皮一物湯

<입문>, 안일하면 기가 막히는데 기가 막혀 몰린 것이 가벼우면 움직이면 낫지만 무거우면 귤피일물탕을 써야 한다.

橘皮一物湯橘皮洗淨一兩 新汲水煎服

귤피일물탕깨끗이 씻은 귤피 한 냥중을 깨끗한 물에 달여 먹는다.

 

七氣

七氣者 喜, 或以爲 寒愁 皆通也(直指).

7기란 기뻐하는 것, 성내는 것, 걱정하는 것, 생각하는 것, 슬퍼하는 것, 놀라는 것, 무서워하는 것인데, 추워하는 것, 열이 나는 것, 원망하는 것, 성내는 것, 기뻐하는 것, 근심하는 것, 걱정하는 것이라고도 하며 모두 통한다.(직지)

<直指>曰 人有七情 病生七氣. 氣結則生痰 痰盛則氣愈結 故調氣必先豁痰 如七氣湯 以半夏主治 而官桂佐之 盖良法也.

<직지>, 사람에게는 7정이 있고 병은 7기에서 생긴다. 기가 맺히면 담이 생기고 담이 성하면 기가 더욱 맺힌다. 그러므로 기를 조절하려면 반드시 먼저 담을 삭혀야 한다. 칠기탕처럼 반하를 주약으로 하고 관계를 보조약으로 하면 좋은 치료법이다.

<>曰 七氣相干 痰涎凝結 如絮如膜 甚如梅核 窒碍於咽喉之間 咯不出嚥不下 或中滿艱食 或上氣喘急 曰氣隔 曰氣滯 曰氣秘 曰氣中 以至五積六聚 疝癖 癥瘕 心腹塊痛 發則欲絶 殆無往而不至矣 宜服七氣湯 四七湯 分心氣飮 香橘湯.

<>, 7기가 서로 간섭을 해서 담연이 뭉쳐서 솜 같기도 하고 막 같기도 하며 심하면 매화씨 같기도 하다. 이것이 목구멍을 막아서 토하려 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넘어가지 않으며 혹 속이 가득차서 음식을 먹기 어렵거나 기가 올라와서 숨이 차게 된다. 이런 증상을 기격 기체 기비 기중이라 한다. 심하면 오적 육취 산증 벽증 징가가 되어 명치와 배에 덩어리가 생겨 아프다. 발작하면 숨이 끊어지는 것 같고 가지 않는 곳이 없고 이르지 않는 곳이 없어 위태롭다.

七氣湯治七情鬱結 心腹絞痛 半夏製12g 人蔘 肉桂 甘草灸各七分右剉 生薑三片 水煎服(局方)

칠기탕7기가 울결되어 명치와 배가 비트는 듯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법제한 반하 12g 덖은 인삼 육계 감초 각 2.8g 생강 6g을 물에 끓여 먹는다.(국방)

四七湯治七氣凝結 狀如破絮 或如梅核 窒碍咽喉 咯不出嚥不下 或胸膈痞滿 痰涎壅盛

半夏製8g 赤茯苓7g 厚朴製5g 蘇葉4g 右剉 生薑七片 大棗6g 煎服(局方).

사칠탕7기가 엉켜서 생김새가 마치 솜 같거나 매화씨 같은 것이 목구멍에 막혀 있으면서 토해도 나오지 않고 삼기려 해도 내려가지 않으며 가슴이 더부룩하고 그득하며 가래가 성한 것을 치료한다. 반하제8g 적복령7g 후박제5g 소엽4g 생강12g 대조6g을 달여 먹는다.(국방)

分心氣飮治七情痞滯 通利大小便淸而疎快 蘇葉6g 甘草灸5g 半夏製 枳殼 靑皮 陳皮 大腹皮 桑白皮 各4g 唐木香 赤茯苓 檳榔 蓬朮 麥門冬 桔梗各3g 桂皮 香附子 藿香 各2g 燈心6g 右剉 生薑三片 大棗二枚 登心十莖 水煎服(直指)

분심기음7정이 몰리고 막힌 것을 치료한다. 대소변을 통리시켜서 맑게 하여 시원하게 나가게 한다. 소엽6g 감초구5g 반하제 지각 청피 진피 대복피 상백피 각4g 당목향 적복령 빈랑 봉출 맥문동 길경 각3g 계피 향부곽향각2g 등심6g 생강6g 대조4g 등심십경을 끓여 먹는다.(직지)

香橘湯治七情所傷 中脘腹脇脹滿 香附子米炒 半夏製 陳皮各6g 甘草灸2g 生薑12g 大棗6g 水煎服(直指).

향귤탕7정에 상해서 중완이나 옆구리가 불러오고 그득한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미초 반하제 진피 각6g 감초구2g를 썰어서 생강 다섯 조각과 대추 두 알을 넣고 끓여 먹는다.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