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內經>曰 心在志爲喜 <>曰 心實則笑,笑則喜,暴喜傷陽,喜怒傷氣,又曰喜怒不節 寒暑過度 生乃不固 <>曰 喜則氣緩 盖喜則氣和志達 榮衛通利 故氣緩矣(內經)

<내경>, 지에 심이 있는 것이 희다. 또 왈, 심이 실하면 웃는데 웃음은 곧 희다. 지나치게 기뻐하면 장을 상하고 기쁨과 성냄은 기를 상하게 한다. 또 왈, 기쁨과 성냄은 절제하지 않거나 더위와 추위가 지나치면 생명이 곧 위태롭다. 또 왈, 기뻐하면 기가 완화되는데 대체로 기뻐하면 기가 고르게 되고 지가 활달해지며 영위가 잘 돌기 때문에 기가 완화된다.(내경)

<皇甫謐>曰 喜發於心 成於肺 故過節 則二臟俱傷(皇甫謐) 靈樞曰 喜樂者 神蕩散而不藏,喜樂無極 則傷魄 魄爲肺神也(靈樞)

<황보밀>, 기쁨은 심에서 생겨 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나치면 두 장기가 다 상하게 된다.(황보밀) 영추에 왈, 지나치게 기뻐하는 것은 신이 흩어지고 말아 갈무리가 되지 않으며 기뻐 즐거워함이 끝이 없으며 백을 상하게 되는데 백은 폐의 신이다.(영추)

 

<內經>曰 肝在志爲怒, 暴怒傷陰, 又曰 大怒則形氣絶而血菀於上 使人薄厥 菀鬱也薄厥謂氣絶也 <>曰 血幷於上 氣幷於下 心煩惋善怒 又曰 怒則氣上 又曰 怒則氣逆 甚則嘔血 及飱泄矣

註云 怒則陽氣逆上而肝木乘脾 故嘔血 及飱泄 又曰 膽爲怒肝膽之病實則爲怒 陰出之陽則怒(內經).

<내경>, 간에는 지가 있어서 성을 내는 것이다. 몹시 성내면 음을 상한다. 또 왈, 크게 성내면 형기가 끊어져서 피가 상초에 몰려 사람을 기절하게 한다. (원은 더부룩한 것이고 박궐은 기절을 이른다) 또 왈, 혈이 상초에서 몰리고 기가 하초에서 몰리면 귀찮은 생각이 들어 성을 잘 낸다. 또 왈, 성내면 기가 올라간다. 또 왈, 성을 내면 기가 치밀고 심하면 피를 토하며 삭지 않은 설사를 한다. 주에 운, 성내면 양기가 거꾸로 치밀어 오르고 간목이 비를 억누르기 때문에 피를 토하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하게 된다. 또 왈, 담이 성을 내는데(간담의 병이 실하면 성내게 된다) 음이 나가서 양이 되면 성을 내게 된다.(내경)

七情傷人 惟怒爲甚 盖怒則肝木便克脾土 脾傷 則四臟俱傷矣(綱目)

칠정이 사람을 상하게 하는데 유난히 성내는 것이 심하다. 대체로 성을 내면 간목이 곧 비토를 이겨내고 비가 상하면 네 장이 함께 상한다.(강목)

 

肺在志爲憂 憂則氣沈(內經)

폐에 지가 있어서 근심을 하게 된다. 근심을 하면 기가 가라앉는다.(내경)

愁憂不解 則傷意 意爲脾神也 憂愁者 氣閉塞而不行 盖憂則隔塞否閉 氣脈斷絶 而上下不通也 氣固於內則大小便道 偏不得通泄也(靈樞)

근심걱정이 풀리지 않으면 의가 상하고 의는 비신이다. 근심걱정은 기가 막혀서 잘 돌지 못하게 한다. 대개 근심하면 기가 가슴에서 막혀서 닫히고 기맥이 단절되어 위아래가 통하지 못한다. 기가 속에서 단단히 막히면 대소변이 나가는 길이 막혀서 잘 나갈 수가 없다.(영추)

 

脾在志爲思 思則氣結 註云 繫心不散 故氣逆停留而結也(內經)

비에는 지가 있어서 생각을 하게 되며 생각을 하게 되면 기가 맺힌다. 주에 운, 마음에 맺힌 것이 흩어지지 않아서 기가 거꾸로 머물러서 맺히게 된다.(내경)

思發於脾成於心 過節則二臟俱傷(皇甫謐)

생각은 비에서 시작하여 심에서 이루어지므로 절도에 절제를 넘어서면 이 두 장기가 모두 상한다.(황보일)

因志而存變謂之思 因思而遠慕謂之慮 怵惕思慮則傷神 神傷則恐懼流淫而不止(靈樞).

지로 인하여 변화되는 것을 일러 생각이라 하고 생각으로 인하여 뒷일을 걱정하는 것을 염려라 한다. 두려워하고 슬퍼하며 생각하고 염려하면 신을 상하는데 신이 상하면 두려워하고 무서워해서 정액이 절로 나오고 그치지를 않는다.(영추)

 

肺在志爲悲 心虛則悲 悲則憂 精氣幷於肺則悲 肝虛而肺氣幷之則爲悲 悲則氣消(內經)

폐에는 지가 있어서 슬픔이 생긴다. 심이 허하면 슬퍼지고 슬퍼지면 근심이 생기고 정기가 폐에서 아우르면 슬퍼진다. 간이 허해서 폐기가 아우르면 슬픔이 되고 슬퍼지면 기가 없어진다.(내경)

肺主殺 故其志爲悲(內經)

폐는 죽이는 것을 주관하기 때문에 그 지가 슬픔이 된다.(내경)

悲哀動中 則傷魂 悲哀動中者 竭絶而失生(靈樞)

슬픔으로 마음이 동하면 혼을 상하고, 슬픔으로 마음이 동하면 기절하여 생명을 잃게 된다.(영추)

 

詳見驚悸類

자세한 것은 경폐류를 보라.

 

腎在志爲恐 <>曰 胃爲恐(內經)註曰 胃熱則腎氣微弱 故爲恐

신이 지에 있어서 무서움이 생긴다. 또 왈, 위에서도 무서움이 생긴다.(내경) 위에 열이 있으면 신기가 미약하므로 무서움이 생긴다.

精氣幷於腎則恐 由心虛而腎氣幷之 故爲恐(內經)

정기가 신과 아우르면 무서워한다. 심허로 말미암아 신기가 아우르므로 무서움이 생긴다.(내경)

○ 『靈樞曰 足少陰之脈病善恐 恐懼而不解則傷精 恐懼者 神蕩散而不收 恐則氣下 註曰上焦固禁下焦氣還 故氣不行矣

영추 왈, 족소음맥이 병들면 자주 무서워한다. 무서움과 두려움이 풀리지 않으면 정을 상한다. 무섭고과 두려우면 신이 흩어져 버려서 거두어들이지 못한다. 무서우면 기가 내려간다. 주에 왈, 상초가 몹시 막히고 하초에서 기가 돌아가기 때문에 기가 돌지 못한다.

<子和>曰 肝藏血 血不足則恐 盖肝膽實則怒而勇敢 虛則善恐而不敢也

<자화>, 간은 혈을 갈무리하는데 혈이 부족하면 무서워한다. 대개 간담이 실하면 성내고 용감하며 허하면 자주 무서워하고 용감하지 못하다.

<綱目>曰 恐與驚相似 然驚者 爲自不知也 恐者 爲自知也 盖驚者 聞響乃驚 恐者 自知如人將捕之狀 及不能獨自坐臥 必須人爲伴侶 方不恐懼 或夜必用燈照 無燈燭亦恐懼者 是也(綱目)

<강목>, 무서워하는 것과 놀라는 것은 비슷한데 그러나 놀라는 것은 스스로 알지 못하는 것이고 무서워하는 것은 스스로 아는 것이다. 대개 놀라는 것은 소리를 듣고 놀라며 무서워하는 것은 스스로 알아서 남이 잡으러 올 것 같아서 혼자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수가 없게 된다. 반드시 사람이 곁에 있어야 바야흐로 무서워하지 않게 되거나 밤에는 반드시 불을 켜 놓아야 하고 등불만 없어도 무서워하는 것이 이것이다.(강목)

 

驚悸

<內經>曰 血幷於陰 氣幷於陽 故爲驚狂

<내경>, 혈은 음과 아우르고 기는 양과 아우르기 때문에 놀라고 미치게 된다.

<內經註>曰 悸者 心跳動也.

<내경주>, 계란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이다.

<綱目>曰 驚者 心卒動而不寧 悸者 心跳動而怕驚也

<강목>, 놀람은 가슴이 갑자기 놀라서 편안하지 않은 것이고 계는 가슴이 두근거리고 무서워 놀라는 것이다.

<三因>曰 事有所大驚而成者 名曰心驚膽懾 病在心膽經 其脈大動 宜朱砂安神丸 鎭心丹 加味溫膽湯

<삼인>, 몹시 놀라는 일이 있어서 생기는 것을 심경담섭이라고 한다. 병이 심담경에 있어서 그 맥이 크게 뛰는 데는 응당 주사안신환 진심단 가미온담탕을 쓴다.

<仲景>曰 心悸者 火懼水也 惟腎欺心 故爲悸 傷寒飮水多 必心下悸

<중경>, 심계란 화가 수를 두려워하는 것이다. 오직 신이 심을 기만하기 때문에 두근거리게 된다. 상한병에 물을 많이 마시면 반드시 명치 밑이 두근거린다.

<丹溪>曰 驚悸者 有時而作 血虛者 宜朱砂安神丸 有痰者 加味定志丸 大槪屬血虛與痰 瘦人多是血虛 肥人多是痰飮 時覺心跳者 亦是血虛

<단계>, 경계증은 대때로 발작하는데 혈이 허한 이는 응당 주사안신환을 쓰고, 담이 있는 이는 가미정지환을 쓴다. 대개 혈허증과 담에 속하며 마른 사람은 흔히 혈허가 많고 살찐 사람은 담음이 많다. 때때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느끼는 이도 혈허증이다.

<仲景>曰 食少飮多 水停心下 甚者則悸 微者短氣

<중경>, 적게 먹고 물을 많이 마셔서 물이 명치 밑에 머물러 있는 것이, 심하면 두근거리고 약하면 숨이 가쁘다.

<三因>曰 五飮停蓄 閉於中脘 最使人驚悸屬飮家

<삼인>, 5음이 쌓여서 중완을 막으면 사람을 가장 놀라게 하는 것으로 음가에 속한다.

<入門>曰 驚悸因思慮過度 及大驚恐而作 甚則心跳欲厥 宜淸心補血湯 辰砂妙香散 氣血俱虛 宜養心湯 時作時止者 痰因火動 二陳湯方見痰飮 加枳實 麥門冬 竹茹 黃蓮 梔子 人蔘 白朮 當歸 烏梅 生薑8g 大棗4g 水煎 入竹瀝3匙 朱砂末1g 調服

<입문>, 경계는 사려가 과도하거나 크게 놀라서 생긴다. 심하면 가슴이 뛰어서 넘어지려고 한다. 응당 청심보혈탕 진사묘향산을 쓴다. 기혈이 다 허하면 응당 양심탕을 쓰고, 때때로 발작했다 멎었다 하면 담으로 인해 화가 동하는 것이므로 이진탕(처방은 담음을 보라)에 지실 맥문동 죽여 황련 치자 인삼 백출 당귀 오매 생강 8g 대추 4g을 물에 끓여서 참대기름 세 숟가락과 주사 가루 1g을 타서 먹는다.

驚悸 當補血安神 宜靜神丹 寧志元 養血安神湯 朱砂膏 交感丹 加味四七湯(諸方)

경계증에는 당연히 혈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켜야 하므로 응당 정신단 영지원 양혈안신탕 주사고 교감단 가미사칠탕을 쓴다.(제방)

 

朱砂安神丸

東垣曰 熱淫所勝 以黃連之苦寒 去心煩除濕熱 爲君 以甘草生地黃之甘寒 瀉火補氣滋生陰血 爲臣 當歸補血不足 朱砂納浮溜之火 而安神明也 黃蓮24g 朱砂20g 甘草 生乾地黃酒洗各14g 當歸酒洗10g 上爲末 湯浸蒸餠和丸黍米大 津唾嚥下2~30(東垣)

 

주사안신환 동원 왈, 열음이 심한 데, 황련의 몹시 찬 성질로써 가슴이 답답한 것을 없애고 습열을 제거하기 위해서 주약으로 쓰고, 감초와 생지황의 달고 찬 성질로 화를 사하고 기를 보하는 보조약으로 쓴다. 당귀는 혈부족을 보하고 주사는 떠도는 화를 진정시켜 신명을 편안하게 한다. 황련24g 주사20g 감초 생건지황(술로 씻는다) 14g 당귀(술로 씻는다)10g가루내어 탕에 담근 찐 떡과 반죽하여 좁쌀 크기로 환을 지어 침으로 20-30알을 삼킨다.(동원)

鎭心丹

治心虛驚悸 辰砂(用黃松節酒浸) 龍齒(用遠志苗同醋煮) 只取砂齒等分爲末 猪心血和 丸芡實大 每一丸 以麥門冬 綠豆 燈心 白蜜 水煎豆熟爲度去滓 臨臥調嚥下(三因)

진심단 심이 허해서 생기는 경계증을 치료한다. 진사(황송절을 술에 담갔다가 쓴다) 용치(원지싹과 식초를 함께 넣어 달인다) 위의 약들을 취해서 사치(?)등분해서 가루내어 돼지 심장의 피와 섞어서 연밥크기로 환을 지어 매일 한 알씩 맥문동 녹두 등심 백밀과 함께 물로 끓여서 콩이 익을 때까지 해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잠자리에 들기 전에 침과 섞어서 삼킨다.(삼인)

加味溫膽湯

治心膽虛怯 觸事易驚 涎與氣博變生諸證 香附子10g 橘紅9g 半夏 竹茹 枳實3g 人蔘 白茯苓 柴胡 麥門冬 桔梗2.5g 甘草2g 剉作一貼 生薑8g 大棗10g 水煎服(經驗方) 入門 名參胡溫膽湯

가미온담탕심과 담이 허약해서 일에 부딪칠 때마다 쉽게 놀라며 침과 기가 널리 변해서 생기는 여러 증상을 치료한다. 향부자10g 귤홍9g 반하 죽여 지실3g 인삼 백복령 시호 맥문동 길경2.5g 감초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8g 대조10g를 물에 끓여 먹는다.(경험방) 입문에는 이름을 삼호온담탕이라 했다.

加味定志丸

治痰迷心膈驚悸怔忡 白茯苓120g 遠志 石菖蒲80g 人蔘40g 琥珀 鬱金20g 爲末 蜜丸梧子大 朱砂爲衣 米飮下30(丹溪)

가미정지환담이 심격을 막아서 경계증과 정충증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백복령120g 원지 석창포80g 인삼40g 호박 울금20g가루내어 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주사로 옷을 입혀 미음으로 30알을 먹는다.(단계)

淸心補血湯

治勞心思慮 損傷精神 頭眩目昏 心虛氣短 驚悸煩熱 人蔘 當歸 白芍藥 白茯神 酸棗仁麥門冬4g 川芎 生地黃 陳皮 梔子甘草灸各2g 五味子15水煎服 醫鑑 名補血湯, 必用方 名當歸飮

청심보혈탕노심초사와 깊은 사려로 정신을 손상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아찔하며, 심이 허하여 숨결이 밭고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當歸 백작약 백복신 산조인맥문동4g 천궁 생지황 진피 치자감초구각2g 오미자15을 물로 끓여 먹는다. 의감에는 이름을 보혈탕이라 했고, 필용방에는 당귀음이라 했다.

辰砂妙香散

治心氣不足 驚悸怔忡 恍惚恐怖 悲憂慘戚 喜怒不常 虛煩少睡 山藥 白茯苓 白茯神 黃芪 遠志薑製各40g 人蔘 桔梗 甘草20g 朱砂12g 木香10g 麝香4g 爲細末 每8g 溫酒調下 不飮酒人 以蓮子肉煎湯調下(得效)

辰砂妙香散심기부족으로 생기는 경계증과 정충증, 어떨떨해하며 무서워하고 슬퍼하며 근심하고 기뻐하고 성내는 것이 평상시와 다르며 쓸데없이 고민하며 잠을 못 자는 것을 치료한다. 산약 백복령 백복신 황기 원지강제각40g 인삼 길경 감초20g 주사12g 목향10g 사향4g을 곱게 가루내어 매번 8g씩 따뜻한 술에 타서 먹는다.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은 연자육탕에 타서 먹는다.(득효)

養心湯

治憂愁思慮傷心 或勤政勞心 以致心身不足 驚悸少睡 白茯苓 白茯神 當歸 生地黃4g 黃芪蜜灸 遠志薑汁炒 川芎 栢子仁 酸棗仁炒各3g 半夏 人蔘 甘草 辣桂2g 五味子13剉作一貼 生薑6g 水煎服(醫鑑) 停水怔忡 加 檳榔 赤茯苓

양심탕금심걱정과 지나친 생각으로 상심하거나 일에 지쳐서 심신이 부족한 지경에 이르러 놀라 두근거려 잠을 못 자는 증상을 치료한다. 백복령 백복신 당귀 생지황4g 황기밀구 원지강즙초 천궁 백자인 산조인초각3g 반하 인삼 감초 랄계2g 오미자13를 썰어서 한 첩을 만들고 生薑 6g과 물로 끓여 먹는다.(의감) 물이 고이는 정충증에는 빈랑과 적복령을 더해서 쓴다.

靜神丹

治憂愁思慮傷心 令人惕然心跳動 驚悸不安 當歸身酒洗 生乾地黃酒洗 遠志薑製 白茯神20g 石菖蒲 黃蓮10g 辰砂8g 牛黃4g 金箔15爲末 猪心血和 丸黍米大 金箔爲衣 燈心煎湯下50丸 卽 正傳祖傳經驗秘方也

정신단근심걱정으로 마음이 상해서 무서워하고 가슴이 할랑거리며 경계증으로 불안한 것을 치료한다. 당귀신주세 생건지황주세 원지강제 백복신20g 석창포 황련10g 진사8g 우황4g 금박15를 가루내어 돼지 심장피와 섞어서 좁쌀크기로 환을 지어 금박을 입혀 등심전탕으로 50알을 먹는다. 곧 정전조전의 경험비방이다.

寧志元

治心血虛 多驚 人蔘 白茯苓 白茯神 栢子仁 琥珀 當歸 酸棗仁 遠志酒浸半日取肉 各20g 乳香 朱砂 石菖蒲10g 爲末 蜜丸梧子大 大棗湯下30(直指).

영지원심혈이 허하여 자주 놀라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白茯苓 백복신 백자인 호박 당귀 산조인 원지(술에 반나절 담갔다가 살만 쓴다) 20g 유향 주사 석창포10g을 가루내어 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대추탕으로 30알을 먹는다.(직지)

養血安神湯

治驚悸 生地黃 白茯神4g 白朮 酸棗仁炒各3g 當歸身 白芍藥 陳皮 栢子仁 黃蓮酒炒各2g 甘草1.5g 爲剉 水煎服(回春)

양혈안신탕경계를 치료한다. 생지황 백복신4g 백출 산조인초각3g 당귀신 백작약 진피 백자인 황련주초각2g 감초1.5g를 썰어서 물로 끓여 먹는다.(회춘)

朱砂膏

治驚熱至甚 昏迷不省 甘草30g 寒水石石膏煆各20g 朱砂 鵬砂 焰硝10g 龍腦一字 金箔 銀箔5

爲末 每8g 麥門冬湯調下(得效)

주사고놀라 열이 아주 심해서 까무라치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감초30g 한수석석고하각20g 주사 붕사 염초10g 용뇌일자 금박 은박5을 가루내어 매번 8g씩 맥문동탕에 타서 먹는다.(득효)

加味四七湯

治心氣鬱滯 豁痰散驚 半夏8g 赤茯苓 厚朴 白茯神6g 紫蘇葉4g 遠志薑製3g 甘草灸各2g 生薑12g 大棗6g 石菖蒲半寸 同煎服(得效)

가미사칠탕심기가 울체된 것을 치료한다. 담을 삭이고 놀람증을 없앤다. 반하8g 적복령 후박 백복신6g 자소엽4g 원지강제3g 감초구각2g 생강12g 대조6g 석창포반촌을 함께 끓여 먹는다.(득효)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