癲癇

<黃帝>問曰 人生而有病 巓疾者 病名曰何 安所得之 岐伯對曰 病名爲胎病 此得之在母腹中時 其母 有所大驚 氣上而不下 精氣幷居 故令子發爲巓疾也(內經) <>曰 厥成 爲巓疾 <>曰 邪搏陽 則爲癲疾

<황제>문왈, 사람이 태어나면서 전질이라는 병이 드는데 병명은 무엇이고 어찌해서 생기는가? 기백이 대왈, 병명은 태병인데 이는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 그 어머니가 크게 놀란 일이 있어서 기가 치밀어서 내려가지 못하고 정기가 함께 있었던 까닭에 자식이 전질이 발병하는 것이다.(내경) 또 왈, 궐증이 전질이 되기도 한다. 또 왈, 사기가 양과 충돌하면 전질이 되기도 한다.

風眩之病 起於心氣不足 胸上蓄熱實 痰熱相感而動風 風心相亂 則悶瞀 故謂之風眩(資生)

풍현은 심기가 부족하여 가슴에 열이 쌓여 실해져서 생긴다. 담과 열이 서로 감응하여 풍을 동하게 하고 풍과 심이 서로 혼란하게 하면 답답하고 어찔해진다. 그러므로 풍현이라고 한다.(자생)

痰在膈間 則眩微不仆 痰溢膈上 則眩甚 仆倒於地 而不知人 名曰癲癎 大人曰小兒曰 其實一也 <>曰 仆倒不省 皆由邪氣逆上陽分而亂於頭中也. 癲癎者 痰邪逆上也 痰邪逆上 則頭中氣亂 頭中氣亂 則脈道閉塞 孔竅不通 故耳不聞聲 目不識人 而昏眩倒仆也 以其病在頭巓 故曰巓疾(綱目)

담이 횡경막에 있으면 약간 어지러워도 넘어지지는 않는다. 담이 횡격막 위로 넘치면 어지럼증이 심하여 땅에 넘어지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한다. 이를 전간이라고 한다. 어른일 때는 전이라 하고 아이일 때는 간이라고 하나 실은 한 가지다. 또 왈, 넘어져서 살피지 못하는 것은 다 사기가 거꾸로 양분으로 치밀어서 머릿속에서 혼란을 일으킨 것이다. 전간은 담과 사기가 거꾸로 치밀어 오른 것이다. 담과 사기가 거꾸로 치밀어 오르면 머릿속의 기가 혼란해진다. 머릿속에서 기가 혼란해지면 맥의 길이 막혀서 구멍들이 통하지 못하기 때문에 귀는 소리를 들을 수 없고 눈은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어지러워서 넘어진다. 그 병이 머리꼭대기에 있기 때문에 전질이라고 한다.(강목)

癎有五 肝曰 雞癎 心曰 馬癎 脾曰 牛癎 肺曰 羊癎 腎曰 猪癎 以病狀偶類 故爲名 其實 痰火與驚 三者而已(入門)

간에는 다섯 가지가 있는데, 간에서 생기면 계간, 심에서 생기면 마간, 폐에서 생기면 양간, 신에서 생기면 저간이라 한다. 병의 증상으로 분류해서 이름을 붙인 것이나, 실제로는 담과 화, 경 셋뿐이다.(입문)

大率 多因痰結於心胸間 宜開痰鎭心 神若不守舍 狂言妄作 經年不愈 如心經蓄熱 當淸心除熱 如痰迷心竅 當去痰寧心 宜大吐 大下而愈(正傳)

대체로 담이 가슴에 뭉쳐서 생기는 것이 많다. 마땅히 담을 삭이고 마음을 진정시켜야 한다. 정신이 만약 제자리를 지키지 못해서 미친 소리를 하고 허튼 짓을 하면 해를 넘겨도 낫지 않는다. 만약 심경에 열이 쌓였으면 응당 마음을 시원하게 하고 열을 제거해야 한다. 만약 담이 심규를 막으면 응당 담을 제거하고 마음을 편안히 하고 몹시 토하게 하며 크게 설사하게 하면 낫는다.(정전)

凡癲癎仆時 口中作聲 將省時吐涎沫 省後又復發 時作時止 而不休息 中風 中寒 中暑 尸厥之類則仆時無聲 省時無涎 後不再發(綱目)

대개 전간으로 넘어질 때는 소리를 지르고 깨어날 때는 거품을 토하며 깨어난 후에도 다시 발작한다. 때로는 발작하고 때로는 깨어나며 멎지 않는다. 중풍 중한 중서 시궐 들은 넘어질 때도 소리를 지르지 않으며 깨어날 때도 침을 흘리지 않고 깨어난 후에 재발도 없다.(강목)

者 異常也 平日能言 癎則沈黙 平日不言 癲則呻吟 甚則僵仆直視 心常不樂 言語無倫 如醉如痴 者 卒然暈倒 咬牙作聲 吐涎沫 不省人事 隨後醒醒

전은 평상시와 다르다. 보통 때는 말을 잘한다. 간이면 침묵하며 보통 때에도 말을 하지 않는다. 전이면 신음을 하는데 심하면 넘어져서 곧추 보며 마음이 늘 좋지 못하며 하는 말이 순서가 없기가 마치 술취한 사람 같고 천치와 같기도 하다. 간이면 갑자기 혼절해서 이를 갈며 소리를 지르고 거품을 토하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조금 있다가 깨어난다.

胎癎 宜燒丹丸 又身熱脈浮爲陽癎 宜妙香丸方見火門 身凉脈沈爲陰癎 宜五生丸 肥人多痰 宜追風袪痰丸 加味壽星元 引神歸舍丹 瘦人火盛 宜淸心滾痰丸 龍腦安神丸 痰迷心竅 宜金箔鎭心丸 控涎丸 痰火俱盛者 宜甘遂散吐下之 因驚者宜驚氣元 抱膽丸 因怒者 宜寧神導痰湯方見風門 當歸龍薈丸方見五臟 心藏虛損 氣血不足 宜滋陰寧神湯 淸心溫膽湯 歸神丹 婦人 宜加味逍遙散方見婦人 朱砂膏見上 五癎通治 宜龍腦安神丸 五癎丸 六珎丹 錢氏五色丸 育魂丹 丑寶丸 䲭頭丸 活虎丹 蝙蝠散 礬丹丸 癎愈復發 宜斷癎丹(諸方)

태간에는 응당 소단환을 쓰며 또 몸에 열이 있고 맥이 뜨면 양간인데 마땅히 묘향환(처방은 화문을 보라)을 쓰고, 몸이 차고 맥이 가라앉으면 음간인데 마땅히 오생환을 쓰며, 살이 찌고 담이 많으면 마땅히 추월거담환 가미수성원 인신귀사단을 쓴다. 마르고 화가 성하면 청심곤담환 용뇌안신화을 쓰고, 담이 심규를 막은 데는 마땅히 금박진심환과 공연환을 쓴다. 담화가 모두 성하면 마땅히 감수산으로 토하고 설사하게 한다. 놀라서 생긴 것에는 경기원 포담환을 쓴다. 화로 인한 것에는 마땅히 영신도담탕(처방은 풍문을 보라) 당귀룡외환(처방은 오장을 보라)을 쓴다. 심장이 허손하고 혈기가 부족한 데는 마땅히 자음영신탕 청심온담탕 귀신단을 쓴다. 부인에게는 마땅히 가미소요산(처방은 부인을 보라) 주사고(위를 보라)를 쓴다. 오간을 두루 치료하는 데는 마땅히 용뇌안신화 오간환 유혼단 전씨오색환 육혼단 축보환 치두환 활호단 편복산 반단환을 쓴다. 전간이 재발하면 마땅히 단간단을 쓴다.(제방)

燒丹丸

治驚發癇 太陰玄精石 輕粉4g 粉霜 硼砂2g 硏細入寒食麪4g 水丸成餠 再用麪裹煨黃 取出去麪 再硏細 滴水和 丸如米大 一歲兒 5, 二歲 10丸 溫水送下 下惡物爲度(丹溪) 一少女 患癇, 遇陰雨及驚 則作聲似羊鳴 口吐涎沫 知其胎受驚也 其病深癇 難治 先與燒丹丸 繼以四物湯 入黃連 隨時令加減 且令淡味以助藥功 半年而愈(丹溪)

소단환

놀라 발한한 증상을 치료한다. 태음현정석 경분4g 분상 붕사2g에 곱게 연마한 한식면4g을 넣어 물에 개어 떡을 만들어 다시 밀가루떡으로 싸서 잿불에 구운 다음 누렇게 되면 꺼내서 밀가루 떡을 제거한다. 다시 보드랍게 갈아서 물로 반죽한 다음 쌀알만하게 환을 짓는다. 한 살 난 아이는 다섯 알, 두 살 난 아이는 열 알을 따뜻한 물로 먹인다. 궂은 물이 나올 때까지 한다.(단계) 어떤 소녀가 간질을 앓았는데 날이 흐려 비가 오거나 놀라면 양울음소리를 내고 거품을 토하는 것으로 그가 태아 때에 놀랐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병이 심하게 되어 치료가 어려웠다. 우선 먼저 소단환을 쓰고 계속해서 사물탕에 황련을 넣어 수시로 가감하고 또 싱겁게 먹여 약효를 돕게 했더니 반년이 지나자 나았다.(단계)

五生丸

治陰癇 身凉脈細緩 天南星 半夏 川烏 白附子 黑豆各生用40g 爲末 薑汁糊丸 梧子大 每3丸 或5丸 淡薑湯 呑下(海藏)

오생환

음간으로 몸이 차고 맥이 세완한 것을 치료한다. 천남성 반하 천오 백부자 흑두각생용40g을 가루내어 생강즙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세 알이나 다섯 알씩 묽은 생강탕으로 먹는다.(해장)

追風袪痰丸

治風痰發癇 半夏湯洗爲末稱240g分作二分 以一分皂角汁浸作麴 一分薑汁浸作麴)天南星120g(,一半白礬水浸一宿,一半皂角浸一宿) 防風 天麻 白殭蠶白附子皂角炒40g 全蝎白礬木香20g 爲末 薑汁糊和 丸梧子大 朱砂爲衣, 薑湯下7080(回春)

추풍거담환

풍담으로 생긴 간질을 치료한다. 반하를 끓인 물에 씻어서 가루내어 240g을 둘로 나누고 하나는 조협즙에 담갔다가 누룩을 만들고 또 하나는 생강즙에 담갔다가 누룩을 만든다. 천남성120g을 썰어서 반은 백반물에 하루 밤을 담그고 또 반은 주염열매를 달인 물에 하루 밤을 담근다. 방풍 천마 백강잠백부자조각초40g 전갈백반목향20g을 가루내어 생강즙으로 끓인 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주사를 입혀 생강탕으로 70-80알을 먹는다.(회춘)

淸心滾痰丸

治癲癎驚狂 一切怪證 專治痰火 大黃酒蒸 黃芩160g 靑礞石同焰硝煆如金色 犀角 皂角 朱砂水飛各20g 沈香10g 麝香2g爲末 水和 作丸 梧子大 朱砂爲衣 溫水下70(回春)

청심곤담환

전간과 놀라서 발광하는 것 일체의 괴증을 치료하는데 주로 담화를 다스린다. 대황주증 황금160g 청몽석 염초를 금빛으로 구운 것 서각 조각 주사수비각20g 침향10g 사향2g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주사를 입혀 따뜻한 물로 70알을 먹는다.(회춘)

龍腦安神丸

治五種癲癎 無問遠近 白茯苓(正傳,用茯神)120g 人參 地骨皮 麥門冬 甘草80g 桑白皮 犀角鎊各40g 牛黃20g 龍腦 麝香12g 朱砂 馬牙草8g 金箔35爲末 蜜丸 彈子大 金箔爲衣 每一丸 冬溫水 夏凉水化下(河間)

용뇌안신환

다섯 가지 전간을 치료하는데 갓 생긴 병이나 오래된 병을 가리지 않는다. 백복령(정전,용복신)120g 인삼 지골피 맥문동 감초80g 상백피 서각방각40g 우황20g 용뇌 사향12g 주사 마아초8g 금박35을 가루내어 꿀로 계란노른자크기로 환을 지어 금박을 입혀서 매일 한 알씩 겨울에는 따뜻한 물로, 여름에는 시원한 물에 풀어 먹는다.(하간)

金箔鎭心丸

治癲癎驚悸怔忡 一切痰火之疾 牛膽製南星40g 朱砂水飛 琥珀 天竺黃20g牛黃 雄黃 眞珠8g麝香2g 爲末 蜜和 兩(37.5g)30丸 金箔爲衣 每一丸 薄荷湯化下(回春)

금박진심환

전간과 놀라서 두근거리는 것과 정충증 등 일체의 담화 질병을 치료한다. 우담제남성40g 주사수비 호박 천축황20g 우황 웅황 진주8g사향2g 이들을 가루내어 꿀에 섞어 한 냥중으로 30알을 만들어 금박을 입혀서 매일 한 알씩 박하탕에 타서 먹는다.(회춘)

控涎丸

治諸癇 久不愈 頑痰散聚 變生諸證 白殭蠶薑汁浸一宿川烏 半夏20g 全蝎7鐵粉12g 甘遂10g 爲末 薑汁糊和 丸菉豆大 朱砂爲衣 薑湯下15(入門)

공연환

여러 가지 간질이 오래 되어 낫지 않고 완담이 흩어졌다 모였다 하며 여러 가지 병증이 나타나는 것이 치료한다. 백강잠강즙침일숙 천오 반하20g 전갈7철분12g 감수10g을 가루내어 생강즙풀에 반죽하여 녹두알크기로 환을 지어 주사를 입혀 생강탕으로 15알씩 먹는다.(입문)

甘遂散

治五種癲癎 及婦人心風血迷 神效 甘遂4g 以猪心血 和勻 將猪心批 作兩片 入在內 再合以線扎縛 皮紙包濕 慢火煨熟 取藥出 硏細入辰砂水飛末4g 和勻 分作 4丸 每一丸 將所煨豬心煎湯化下 如大便下惡物 卽止, 不效 再服一丸(得效)

감수산

다섯 가지 전간과 부인이 심풍으로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는 데 신효하다. 감수4g을 돼지 심장피로 반죽한 다음 쪼갠 염통 속에 넣고 다시 합해서 실로 동여맨다. 이것을 두터운 종이로 싸서 물에 적셔 잿불에 묻어 굽는다. 익으면 꺼내서 곱게 갈아서 수비한 진사4g을 넣고 잘 섞어서 4알로 환을 지어 한 알마다 구운 돼지심장을 달인 물로 먹는다. 대변으로 악물이 나오면 즉시 중지하고 효과가 없으면 한 알을 다시 먹는다. (득효)

驚氣元

治因驚失心 遂成癲疾 發則涎潮昏塞 醒則精神若痴 紫蘇子40g 附子 木香 白殭蠶 白花蛇 橘紅 天麻 南星20g 全蝎10g 龍腦 麝香2g 朱砂水飛10g半爲衣 爲末 蜜丸龍眼大 朱砂爲衣 每一丸 薄荷湯 或溫酒 化下(局方) 去附子 加鐵粉 尤妙(局方)

경기원

놀라 실심해서 마침내 간질이 생겨 발작을 하면 거품을 물고 혼절하고 깨어나도 정신이 천치 같은 것을 치료하다. 자소자40g 부자 목향 백강잠 백화사 귤홍 천마 남성20g 전갈10g 용뇌 사향2g 주사수비10g반위의 를 가루내어 용안씨크기로 환을 지어 주사를 입혀 매번 한 알을 박하탕이나 따뜻한 술에 풀어서 먹는다.(국방) 부자를 제거하고 철분을 더하면 더욱 좋다.(국방)

抱膽丸

治一切癲癎 風狂 或因驚怖所致 先將黑煙100g入銚熔化 次下水銀80g 候結成砂子, 再下朱砂 乳香末各40g 垂熱用柳木槌 硏勻 丸如芡實大 每一丸 空心井水呑下 病者 得睡 切莫驚動 覺來卽安 再服一丸 可除根 昔忠懿王之子 得心疾合 此藥偶有一風犬飼之卽甦 因破犬腹視之 則其藥抱犬膽 故因名之(經驗方)

포담환

여러 가지 전간과 풍광이나 놀라서 생긴 병을 치료한다. 흑연 100g을 먼저 남비에 넣고 다음에 수은 80g을 두는데 모래알처럼 엉키면 또 다시 주사와 향유가루 각 40g을 뜨거울 때 버드나무 방망이로 고루 갈아서 가시연밥만하게 환을 지어서 매번 한 알씩 빈속에 샘물로 먹는다. 환자가 잠들었을 때 절대로 놀라게 하지 않으면 깨어나서 곧 낫는다. 다시 한 알을 먹으면 뿌리째 제거할 수 있다. 옛날 충의왕의 아들이 마음의 병을 얻었는데, 이 약을 우연히 한 미친 개에게 먹였더니 곧 나았다. 그래서 그 개의 배를 가르고 보았더니 그 약이 개의 담낭을 둘러싸고 있었다. 그래서 이름을 그렇게 지었다.(경험방)

滋陰寧神湯

治癲疾 及不時暈倒 痰壅搐搦 當歸 川芎 白芍藥 熟地黃 人參 茯神 白朮 遠志 南星4g 酸棗仁甘草各2g 黃連酒炒2g 爲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溫服(入門)

자음영신탕

전질과 때도 없이 혼절해서 넘어지는 것과 담옹을 치료한다.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인삼 복신 백출 원지 남성4g 산조인감초 각2g 황련주초2g을 썰어서 한 첩으로 하고 생강 세 쪽을 넣어 물에 끓여 따뜻하게 먹는다.(입문)

淸心溫膽湯

治諸癇 平肝解鬱 淸火化痰 益心血 陳皮 半夏 茯苓 枳實 竹茹 白朮 石菖蒲 黃連薑汁炒 香附子 當歸 白芍藥4g 麥門冬3g 川芎 遠志 人參 甘草2g爲剉 分2貼 薑三片 水煎服(醫鑒) <回春> <一名> 淸心抑膽湯

청심온담탕

여러 간질을 치료하는데 간기를 고르게 하고 울증을 풀어 주며 화를 내리고 담을 삭이며 심혈을 보해 준다. 진피 반하 복령 지실 죽여 백출 석창포 황련강즙초 향부자 당귀 백작약4g 맥문동3g 천궁 원지 인삼 감초2g을 썰어서 두 첩으로 나누고 생강 세 쪽을 넣어 물에 끓여 복용한다.(의감) 회춘에는 일명 청심억담탕이라 했다.

歸神丹

治心氣不足 恍惚健忘 或癲簡狂亂 驚悸怔忡 神不守舍之證 及大病後心虛 能安神寧心 固元氣長存 大塊朱砂80g 入豬心內以燈心纏縛 好酒蒸二炊久 取出另硏 酸棗仁 茯神 人參 大當歸80g 深紅琥珀 遠志薑汁製 龍齒40g 金箔 銀箔20爲末 酒煮稀糊和 丸梧子大 每服一九丸至三九丸 麥門冬煎湯下 癲癎甚者 乳香人參煎湯下, 多夢不睡 酸棗仁煎湯下(臞仙 活心)

귀신단

심기가 부족하여 정신이 어떨떨하고 잊어버리기를 잘하는 것과, 전간 광란 경계증 정충증과 정신이상증, 큰 병을 앓고 난 후 심허증을 치료한다. 정신을 진정시키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원기를 든든히 하여 오래 보존하게 한다. 대괴주사80g(돼지 심장에 넣어등심초로 묶은 다음 좋은 술에 넣어 밥 두 솥 지을 동안 쪄서 주사만을 꺼내서 별도로 간다) 산조인 복신 인삼 대당귀80g 심홍호박 원지강즙제 용치40g 금박 은박20을 가루내어 술에 쪄서 묽게 쑨 풀로 오자크기로 환은 지어 매번 19-39알을 맥문동탕을 끓여 먹는다. 전간이 심하면 유향인삼전탕으로 먹고 꿈이 많아 잠을 못 자면 산조인전탕으로 먹는다.(구선활심)

五癎丸

治癲癎 不問新久 半夏80g酒洗焙 白殭蠶60g 南星 烏蛇肉 白礬40g 白附子20g 麝香12g另硏 朱砂10g水飛 全蝎8g雄黃6g另硏 蜈蚣半條去頭足灸 皂角160g 槌碎水半升浸 揉汁與白礬 同熬乾硏 爲末薑汁麪糊和 丸梧子大 每30丸 薑湯下(綱目)

오간환

전간이 갓 생겼거나 오래 되었거나 다 치료한다. 반하80g주세배 백강잠60g 남성 오사육 백반40g 백부자20g 사향12g령연 주사10g수비 전갈8g웅황6g령연 오공반조거두족구 조각160g(짓찧어 물 반 되에 담갔다가즙을 짜서 백반과 같이 끓인 다음에 말려서 감다)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넣고 쑨 밀가루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30알씩 생강탕으로 먹는다.(강목)

六珎丹

治五癇 鳴吼 及風癇 暈倒 吐涎沫 掣搐 水銀60g黑鉛40g同熬成屑雄黃 雌黃 眞珠40g丹砂水飛20g爲末 極細 蜜和杵二三萬下 丸如梧子大 薑湯下5(三因)

육진단

다섯 가지 간질로 고함을 지르거나 풍간으로 혼절하고 거품을 토하며 손발을 가늘게 떠는 것을 치료한다. 수은60g 흑연40g함께 가루낸다 웅황 자황 진주40g단사수비20g을 아주 곱게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2,3만 번 절구질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생강탕으로 5알씩 먹는다. (삼인)

錢氏五色丸

治諸癇 雄黃眞珠另硏各40g 120g 水銀10g同鉛熬結砂子 朱砂水飛20g爲再硏極細 麪糊和 丸麻子大 薄荷湯下34(正傳)

전씨오색환

여러 간질을 치료한다. 웅황진주령연각40g 120g 水銀10g(흑연과 함께 구워서 모래알처럼 엉키게 한다) 주사수비20g을 다시 아주 곱게 갈아서 밀가루풀로 반죽해서 삼씨앗크기로 환을 지어 박하탕으로 3-4알씩 먹는다.(정전)

育魂丹

治諸般癲癎 怔忡 恐懼之疾 山藥40g 半夏 膽星 白茯神 白朮 黃連遠志 酸棗仁栢子仁24g 竹茹 天麻 白附子川芎20g 犀 角 羚羊角 白礬14g 陳皮 全蝎 辰砂13g 牛黃5g 麝香4g 金箔24爲末 竹瀝打甘草膏和 丸鷄頭大 每一丸 淡薑湯下 空心(醫鑒)

육혼단

여러 전간과 정충증과 놀라거나 무서워하는 병을 치료한다. 산약40g 반하 담성 백복신 백출 황련원지 산조인백자인24g 죽여 천마 백부자천궁20g 서 각 영양각 백반14g 陳皮 전갈 진사13g 우황5g 사향4g 금박24을 가루내어 참대기름에 감초고를 탄 것으로 반죽하여 계두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한 알씩 묽은 생강탕으로 빈속에 먹는다.(의감)

丑寶丸

治一切癲癎 怔忡 搐搦 難狀之疾 袪風淸火 豁痰調氣 開心定志 安神鎭驚 大黃酒拌九蒸九晒 黃芩炒各80g 膽星 石菖蒲40g 白殭蠶薑汁炒28g 辰砂24g爲衣 靑礞石天麻薑汁炒 蟬殼20g 沈香 犀角6g 琥珀 雄黃4g 牛黃2g 猪心血2爲末 竹瀝 打糊和丸 菉豆大 朱砂爲衣 薄荷湯下60(醫鑒)

축보환

일체의 전간과 정충증 경련이 일어나는 병 등 잘 낫지 않는 병을 치료한다. 풍을 제거하고 화를 내리며 담을 삭이고 기를 조화시키며 심규를 열어 주고 지를 안정시키며 정신을 편안하게 하고 놀라는 것을 진정시킨다. 대황주반구증구쇄 황금초각80g 담성 석창포40g 백강잠강즙초28g 진사24g위의 청몽석천마강즙초 선각20g 침향 서각6g 호박 웅황4g 우황2g 저심혈2를 가루내어 참대기름과 풀을 반죽하여 녹두크기로 환은 지어 주사를 입인 다음 박하탕으로 60알을 먹는다.(의감)

䲭頭丸

治癲癎惡病 䲭頭一枚燒存性 黃丹 皂莢酥灸各20g爲末 糯米糊和丸 菉豆大 飮下 2030(資生)

시두환

악성 전간을 치료한다. 시두일매소존성 황단 조협소구각20g을 가루내어 찹쌀풀에 반죽하여 녹두크기로 환을 지어 20-30알을 미음으로 먹는다.(자생)

活虎丹

治久年癲癎 氣血不足 取蝎虎1 剪取四足爪 連血 細硏 入朱砂 片腦 麝香各少許 硏勻 先用礞石散 控下痰涎 次用薄荷湯 調前藥 作一服化下. 此藥 能補心神 心全則病差矣(入門)

활호단

오래 전간으로 혈기가 부족한 것을 치료한다. 갈호1 (네 발톶을 잘라내고 피패로 곱게 간다)를 취해서 주사 편뇌 사향을 가각 조금씩 넣고 고루 섞이게 간다. 먼저 몽석산을 써서 담연을 내보낸 다음에 박하탕에 타서 한 번 먹는다. 이 약은 심신을 보할 수 있어서 심신이 온전해지면 병이 차도가 있다.(입문)

蝙蝠散

治癇 取入蟄大蝙蝠1箇 以朱砂12g 塡入腹內 新瓦上火灸 令酥爲度 候冷 爲末 每一箇 分作4

年幼者 作5服 空心白湯 調下(入門)

편복산

간질을 치료한다. 큰 박쥐 한 마리를 잡아서 주사 12g을 뱃속에 채워 넣고 새 기와 위에서 진이 나올 때까지 구워서 식은 다음에 가루내어 매번 한 개를 넷으로 나누어 먹는다. 어린이는 다섯으로 나누어 빈속에 끓인 물에 타서 먹인다.(입문)

礬丹丸

治五癲百癇 黃丹 白礬40g 鑿塼一窠 先安丹 次安礬 以炭3kg煆火盡 取出細硏 以豬心血 和丸 菉豆大 每10丸至20丸 橘皮湯下(三因)一名黃白丹

반단환

다섯 가지 전질과 온갖 간질을 치료한다. 황단 백반40g을 벽돌에 한 개의 구멍을 내서 먼저 안단을 넣고 다음에 안반을 넣어 3kg의 숱으로 구워서 불이 사그라진 다음에 꺼내서 곱게 갈아 돼지 심장 피로 녹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10-20알을 귤피탕에 먹는다. (삼인) 일병 황백단이라고도 한다.

斷癎丹

治癲癎 愈而復發 作止無常 黃芪 釣鉤藤 細辛 甘草20g 蛇退1條燒存性 蟬退全者4牛黃一字爲末 棗肉爲丸梧子大 小兒 菉豆大 每20丸 人參湯 呑下(入門)

斷癎丹

전간이 나았다가 도져서 발작이 무상한 것을 치료한다. 황기 조구등 세신 감초20g 사퇴1약성이 남게 태운다 선퇴전자4우황일자를 가루내어 대추살로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짓고, 소아는 녹두크기로 지어서 매번 20알씩 인삼탕으로 먹는다.(입문)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