因雜病失音
○ 中風人 飮食坐臥如常 但失音不語 俗乎爲瘂風 小續命湯方見 風門 去附子 加石菖蒲4g 或訶子淸音湯方見下 亦佳(醫鑑)
○ 중풍에 걸린 사람이 먹는 것과 앉고 눕는 것은 보통 때와 같으나 다만 목이 쉬어 말을 못하는 것을 민간에서는 아풍이라 하는데 소속명탕(처방은 풍문을 보라)에서 부자를 빼고 석창포 4g을 넣어서 쓰거나, 가자청음탕(처방은 하래를 보라)을 써도 좋다.(의감)
○ 因咳嗽失音 宜人蔘淸肺散 杏仁煎 蛤蚧丸
○ 기침으로 목이 쉰 데는 응당 인삼청폐산 행인전 합개환을 쓴다.
○ 痰塞失音 宜玉粉丸 芎辛散
○ 담이 막혀서 목이 쉰 데는 응당 옥분환 궁신산을 쓴다.
○ 虛損焦悴 氣血不足 失聲音 久瘖 宜天眞元方見內傷 服過半月 言語自然有聲(得效)
○ 허손으로 여위어 헬쓱하고 기혈이 부족해서 목소리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벙어리가 된 데는 응당 천진원(처방은 내상을 보라)을 보름 동안 먹으면 말이 저절로 나오게 된다.(득효)
○ 因謳歌失音 宜響聲破笛丸(回春)
○ 노래를 부르다가 목이 쉰 것은 응당 향성파적환을 쓴다.(회춘)
○ 因喉痛生瘡聲瘂 宜通隘散方見咽喉.
○ 목이 아프고 헐어서 목소리가 나오지 않으면 통애산(처방을 인후를 보라)을 쓴다.
○ 痘瘡後失音 宜馮氏天花散方見小兒
○ 두창을 앓고 나서 목이 쉬면 응당 풍시천화산(처방을 소아를 보라)를 쓴다.
○ 産後失聲音不出 宜茯苓補心湯方見血門
○ 산후에 목이 쉬어 말을 못하면 응당 복령보심탕(처방은 혈문을 보라)을 쓴다.
【人蔘淸肺散】
治痰嗽 咽乾聲不出 人參 陳皮 貝母炒各6g 半夏 桔梗 茯苓 桑白皮 知母 枳殼 杏仁 黃連各4g 款冬花3g 麥門冬 地骨皮 甘草各2g 五味子20箇, 爲剉 分作二貼 每服 薑三片 水煎服(丹心)
【인삼청폐산】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이 나고 목이 마르고 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진피 패모초각6g 반하 길경 복령 상백피 지모 지각 행인 황련각4g 관동화3g 맥문동 지골피 감초각2g 오미자20개를 썰어서 나누어 두 첩을 만들어 매번 복용할 때 생강 세 쪽을 넣고 물로 끓여서 먹는다.(단심)
【杏仁煎】
治咳嗽失音 聲不出 杏仁泥 白礬 沙糖屑 生薑汁各一盞 桑白皮 木通 貝母炒各60g 紫菀 五味子各40g 石菖蒲20g 以六味剉 以水5升 煎至半升 去滓 入杏 蜜 糖 薑 再煎 成稀膏 每取一匙 含化嚥下 或 加知母 款冬花 尤妙(直指)
【행인전】
기침으로 목이 쉬어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행인니 백반 사당설 생강즙각일잔 상백피 목통 패모초각60g 자울 오미자각40g 석창포20g 뒤의 여섯 가지를 썰어서 물 다섯 되를 붓고 반 되가 될 때까지 끓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은행 꿀 당 생강을 넣고 다시 끓여 묽은 고약처럼 만들어 매번 한 숟가락씩 입에 물고 녹여 먹거나 지모 관동화를 넣어서 쓰면 더 좋다.(직지)
【蛤蚧丸】
治肺間積血 作痛失音 及嗽失音 蛤蚧一對醋灸 訶子肉 阿膠 生地黃 麥門冬 細辛 甘草各20g 爲末 蜜丸 如棗大 每一丸 含化(丹心)
【합개환】
폐에 피가 몰려서 아프고 목이 쉰 것과 기침으로 목이 쉰 것을 치료한다. 합개일대초구 가자육 아교 생지황 맥문동 세신 감초각20g을 가루내어 꿀로 대추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한 알씩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단심)
【玉粉丸】
治冬月寒痰結塞 語聲不出 半夏洗薑製20g 草烏熟炒 桂心各1g 爲末 薑汁浸蒸餠和丸 芡實大 每一丸 至夜含化,年久者亦效(綱目)
【옥분환】
겨울철에 한담이 뭉쳐 막혀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반하세강제20g 초오숙초 계심각1g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담갔던 증병에 반죽하여 가시연밥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한 알씩 밤에 입에 물고 녹여서 먹는다. 오래 된 것도 효과가 있다.(강목)
【芎辛散】
治熱痰壅盛 失音聲不出 是燥熱所致 用此卽效 川芎 細辛 防風 桔梗 白芷 羗活 桑白皮各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二片 薄荷三葉 水煎服(得效)
【궁신산】
열담이 성하여 막혀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이는 조열로 생긴 것인데 이 약을 쓰면 곧 낫는다. 천궁 세신 방풍 길경 백지 강활 상백피각4g 감초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두 쪽과 박하 세 잎을 넣고 물에 끓여서 먹는다.(득효)
【響聲破笛丸】
治因謳歌失音 薄荷150g 連翹 桔梗 甘草各10g 百藥煎75g 川芎56g 縮砂 訶子炒 大黃酒炒各38g 右爲末 雞子淸 和丸 彈子大 每一丸 臨臥噙化嚥下(回春)
【향성파적환】
노래를 부르다가 목이 쉰 것을 치료한다. 박하150g 연교 길경 감초각10g 백약전75g 천궁56g 축사 가자초 대황주초각38g을 가루내어 계란 흰자와 반죽하여 노른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한 알씩 잘 때 입에 물고 녹여서 먹는다.(회춘)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聲音 - 通治聲音藥 (0) | 2012.10.11 |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聲音 - 厥氣爲瘖 瘖瘂有二 聲嘶 腎怯與失音相似 息有音 不治證 (0) | 2012.09.17 |
살사리꽃 (0) | 2012.09.13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聲音 - 聲音出於腎 聽聲音 辨病證 卒然無音 (0) | 2012.09.08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聲音 - 聲音出於腎 聽聲音 辨病證 卒然無音 (0) | 2012.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