厥氣爲瘖
○ 厥氣走喉 而不能言 手足淸 大便不利 取足少陰 又曰 人卒然無音 刺之奈何 岐伯曰 足少陰上繫於舌 絡於橫骨 從於會厭 兩瀉其血脈 濁氣乃辟 會厭之脈 上絡任脈 取之天突 其厭乃發(靈樞)
○ 궐기가 울대 쪽으로 몰려 말을 못하고 손발이 차며 대변이 나오지 않으면 족소음 경맥을 취한다. 또 왈, 갑자기 소리를 내지 못하면 어디를 찔러야 하는가? 기백 왈, 족소음은 위로 혀와 연결되어 있고 횡골을 통하여 회염에 와서 끝이 나는데 이 혈맥의 양쪽에 사혈을 하면 탁기가 곧 없어진다. 회염의 맥은 위로 임맥에 연결되는데 천돌혈을 취하면 그 회염이 곧 움직인다.(영추)
○ 一男子 久病痰嗽 忽感風寒 食酒肉遂厥氣 走喉病暴瘖 灸豊隆二穴各三壯 照海二穴各一壯, 其聲立出 仍用黃芩降火爲君 杏仁 陳皮 桔梗 瀉厥氣爲臣 訶子泄逆氣 甘草和元氣爲佐 服之良愈(綱目)
○ 어떤 남자가 오랜 병으로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을 하다가 갑자기 풍한이 들어 술과 고기를 먹고는 궐기가 생겨 인후에 몰려서 갑자기 말을 못하게 되었다. 풍륭 두 혈에 뜸을 각기 세 장을 뜨고 조해혈에 각기 한 장씩 떴는데 곧 말을 하였다. 그 다음에 화를 내리기 위해 황금을 주약으로 하고 행인 진피 도라지를 궐기를 사하기 위해 신약으로 해서 가자로 치미는 기운을 사하고 감초로 원기를 조화시키기 위해 좌약으로 넣어 먹이니 잘 나았다.(강목)
瘖瘂有二
○ 瘖者 邪入陰分也 內經曰 邪搏陰則爲瘖 又邪入於陰搏則爲瘂 然有二證 一曰舌瘖 乃中風舌不轉運之類是也 二曰喉瘖 乃勞嗽失音之類是也 盖舌瘖但舌本不能轉運言語而喉咽音聲則如故也 喉瘖但喉中聲嘶 而舌本 則能轉運言語也(綱目)
○ 벙어리는 음분에 사기가 들어서다. 내경 왈, 사기가 음과 부딪치면 벙어리가 되고, 또 사기가 음에 들어가서 부딪치면 벙어리가 된다. 그러나 벙어리는 두 가지 증상이 있는데, 하나는, 혀벙어리는 중풍으로 혀가 잘 돌아가지 않는 것이고, 또 하나는 울대벙어리인데 허로로 기침을 하다가 목이 쉰 부류가 이것이다. 대개 혀벙어리는 다만 혀가 잘 돌아가지 않아 말을 못하는 것이지 목구멍에서는 소리가 예와 같이 나온다. 울대벙어리는 다만 목구멍에서 소리가 쉰 것이지 혀는 본래 말을 할 수 있게 움직인다.(강목)
聲嘶
○ 五臟久咳 則聲嘶 聲嘶者 喉破也 非咽門病也(得效)
○ 오장의 기침이 오래 되면 목소리가 쉰다. 목소리가 쉰 것은 울대가 상한 것이지 인두의 병은 아니다.(득효)
○ 用力顫掉聲嘶 乃氣虛衛冷甚也(入門)
○ 힘들여 목청을 내서 목이 쉰 것은 바로 기가 허하고 위기가 몹시 찬 것이다.(입문)
○ 咳嗽聲嘶者 血虛受熱也 用靑黛 蛤粉 蜜調作丸含化(丹心)
○ 기침으로 목이 쉰 것은 혈이 허해서 열을 받은 것이다. 청대 합분을 꿀과 반죽하여 환을 지어 입에 물고 녹여 먹는다.(단심)
○ 聲嘶 宜柴胡升麻湯 潤肺丸 蜜脂煎(入門)
○ 목이 쉰 데는 응당 시호승마탕 윤폐환 밀지전을 쓴다.(입문)
【柴胡升麻湯】
治傷寒咳嗽 聲嘶 或咽痛 柴胡 黃芩`半夏 升麻 乾葛 枳實 桔梗 知母 貝母 玄參 桑白皮 甘草各3g 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醫鑒)
【시호승마탕】
상한으로 기침을 하여 목이 쉬거나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시호 황금 반하 승마 건갈 지실 길경 지모 패모 현삼 상백피 감초각3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끓여서 먹는다.(의감)
【潤肺丸】
治久嗽聲嘶 語音不出 訶子皮 五倍子 五味子 片芩 甘草各等分 爲末 蜜丸 櫻桃大 每一丸 噙化嚥下(入門)
【윤폐환】
기침이 오래 되어 목이 쉬어 말소리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가자피 오배자 오미자 편금 감초각등분하여 가루내어 꿀로 앵도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한 알씩 입에 물고 녹여서 먹는다.(입문)
【蜜脂煎】
治暴失音 聲嘶 常服 潤肺 猪脂1.2kg熬去渣 入白蜜0.6kg再煉少頃 濾精入磁器內 侯成膏 不拘時挑服一匙(入門)
【밀지전】
갑자기 목이 쉬어 목 쉰 소리를 내는 것을 치료하는데 늘 먹으면 폐가 윤택해진다. 저지1.2kg을 졸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백밀0.6kg을 넣고 다시 약간 졸인 다음 걸러서 사기그릇에 담아 고가 되게 한 다음 아무 때나 한 숟가락씩 먹는다.(입문)
腎怯與失音相似
○ 病吐瀉 及大病後 雖有聲而不能言 又能進藥 此非失音乃腎怯 不能上接於陽故也 當補腎地黃元方見虛勞主之 失音乃感風寒 卒病耳(錢仲陽)
○ 병으로 토하고 설사하며, 큰 병을 앓고 난 후 비록 소리는 낼 수 있으나 말을 할 수 없어도 약을 먹을 수 있으면 이는 목이 쉰 것이 아니고 신겁증인데 위로 올라가서 양기에 다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응당 보신지화원을 주로 쓴다. 목이 쉰 것은 풍한에 감촉되어 갑자기 생겼을 뿐이다.(전중양)
息有音
不得臥而息有音者 是陽明之逆也 足三陽者 下行 今逆而上行 故息有音也 陽明者胃脈也 陽明逆不得從其道 故不得臥也 夫起居如故 而息有音者 此肺之絡脈逆也 絡脈之病人也 微故 起居如故 而息有音也(內經)
누울 수도 없고 숨을 쉴 때 소리가 나면 이는 양명경이 거슬러 오르는 것이다. 족삼양경의 기운을 내려가게 해야 하는데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숨 쉴 때 소리가 나는 것이다. 양명경은 위의 경맥인데 양명경의 기운이 거슬러 올랐다가 제 길을 따라갈 수가 없기 때문에 누울 수가 없는 것이다. 대개 자고 일어나는 것은 여전하면서 숨을 쉴 때 소리가 나면 이는 폐의 낙맥이 거슬러 올라서다. 낙맥에 병이 생긴 이는 병이 가볍기 때문에 자고 일어나는 것은 여전한데 숨을 쉴 때 소리가 나는 것이다.(내경)
不治證
○ 內傷虛損 咽瘡失音者 無治法(入門)
○ 내상으로 허손되어 목구멍이 헐고 목이 쉰 것을 치료하는 법은 없다.(입문)
○ 病人五臟已奪 神明不守 聲嘶者死(扁鵲)
○ 오장이 이미 허탈되어 정신이 없고 목쉰 소리를 하는 이는 죽는다.(편작)
○ 病人陰陽俱絶 失音不能言者 三日半死(華陀)
○ 음양이 모두 끊어지고 목이 쉬어 말을 할 수가 없는 이는 사흘 반만에 죽는다.(화타)
傷寒孤惑聲瘂 小兒疳痢聲瘂 竝見本文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聲音 - 單方(凡20種) 鍼灸法 (0) | 2012.10.12 |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聲音 - 通治聲音藥 (0) | 2012.10.11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聲音 - 因雜病失音 (0) | 2012.09.13 |
살사리꽃 (0) | 2012.09.13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聲音 - 聲音出於腎 聽聲音 辨病證 卒然無音 (0) | 2012.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