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三韓 自夏時 始通中國 而文獻蔑蔑無聞 隋唐以來 方有作者 如乙支之貽詩隋將 羅王之獻頌唐帝 雖在簡冊 未免寂寥 至崔致遠入唐登第 以文章 名動海內 有詩一聯曰 崑崙東走五山碧 星宿北流一水黃 同年孤雲曰 此句卽一輿誌也 蓋中國之五岳 皆祖於崑崙山 黃河發源於星宿海故云 其題潤州玆和寺詩 一句云 畵角聲中朝暮浪 靑山影裏古今人 學士朴仁範 題涇州龍朔寺詩云 燈撼螢光明鳥道 梯回虹影落岩扃 參政朴寅亮 題泗州龜山寺詩云 門前客棹洪波急 竹下僧棋白日閑 我東之以詩鳴于中國 自三子始 文章之華國有如是夫

 

삼한은 하나라 때부터 중국과 통했으나 문헌이 남아있지 않아 아는 것이 없다. 수당 이래로 작자가 있었다. 을지문덕이 수나라 장수에게 보낸 시, 신라왕이 당나라 임금에게 바친 송시와 같은 시는 비록 기록에는 남아있으나 그 수가 적어 쓸쓸함을 면할 수 없다. 최치원이 당에 들어가 과거에 급제함에 이르러 문장으로써 이름을 해내에 날렸다. 다음과 같은 한 연의 시가 있다.

 

곤륜선아 동으로 달려 다섯 산은 푸르고

성수는 북으로 흘러 물은 누렇네,

 

같은 해에 고운이 이 구절은 곧 일종의 여지지다라 했다. 중국의 오악은 대개 곤륜산에서 뻗어 나왔고 황하는 성수해에서 발원한다고 해서 그렇게 말한 것이다. 그의 제윤주자와사시에 이런 구절이 있다.

 

그림이 있는 피리소리 속에 조석으로 물결 일고

청산 그림자 속에 고금의 사람 오가네.

 

학사 박인범의 제경주용삭사시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흔들리는 등불은 반딧불인 양 험한 길 비춰주고

구불구불 사다리는 무지개인 양 돌난간에 닿아 있네.

 

참정 박인량의 제사주구산사시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문전의 나그네 노는 큰 물결 휘젓느라 바쁘고

대나무 밑에 스님 바둑 대낮에 한가롭네.

 

우리나라가 시로써 중국에 이름을 떨치기 시작한 것은 이 세 사람으로부터 비롯되었는데 문장으로 나라를 빛내는 것이 이와 같을진저.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雲小說 14  (0) 2016.05.16
白雲小說 13  (0) 2016.05.13
白雲小說 4  (0) 2016.05.11
白雲小說 3  (0) 2016.05.10
白雲小說 2  (0) 2016.05.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