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宋時上元日內出御詩 宰相兩制三館皆應製以爲盛事 王岐公云 雙鳳雲間扶輦下 六鰲海上駕山來 最爲典麗 我朝燈夕文機障子詩 李文順公云 三呼萬歲神山湧 一熟千年海果來 可與岐公幷驅爭先矣 今醴泉權一齋漢功云 南山釀瑞生銀瓮 北斗回杓作玉杯 羯흉노갈鼓百枝春浩蕩 鳳燈千樹月低回 白評理元恒亦云 九霄月滿笙簫地 一夜春開錦繡山 自言不及權詩遠矣

 

송나라 때 정월대보름날 궐내에서 임금의 시를 내 보였다. 재상 양제 삼관이 모두 응하여 지어서 성대한 행사가 되었는데, 왕기공의 시는 이렇다.

 

한 쌍의 봉황이 구름 사이에서 임금의 수레를 부축해 내려오고

여섯 마리 자라가 바다 위에서 가산을 끌고 오는구나.

 

이 시를 가장 전려한 것으로 삼았다. 우리나라 등석일 문기장자시에서 이규보는 이렇게 읊었다.

 

세 번 만세 부르니 삼신산이 솟아오르고

천 년에 한 번 익는 바다는 과일을 내놓네.

 

왕기공과 더불어 나란히 앞을 다툴 만하다. 오늘에 예천의 일재 권한공이 이렇게 읊었다.

 

남산이 상서로움을 빚어 은항아리에 담고

북두칠성이 자루를 돌려 옥잔에 따르네.

수많은 갈고 소리에 봄이 무르녹고

천 개의 연등에 달이 오고 가는 듯

 

평리 백원항도 이렇게 읊었다.

 

온 하늘에 달빛 가득하고 땅에는 생황소리에

하룻밤 봄이 금수산에 열렸네.

 

그는 스스로 권한공의 시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고 했다.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櫟翁稗說 7  (0) 2016.06.06
[스크랩] 櫟翁稗說 6  (0) 2016.06.05
[스크랩] 櫟翁稗說 4  (0) 2016.06.03
[스크랩] 櫟翁稗說 3  (0) 2016.06.02
櫟翁稗說 1  (0) 2016.05.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