毛髮모발
髮屬腎발속신 머리카락은 신에 속한다
內經曰, 腎主髮. 又曰, 腎之合骨也. 其榮髮也.
내경에, 신은 머리카락을 주관한다고 했고, 또, 신은 뼈와 상합하고 그 상태는 머리카락에 나타난다고 했다.
髮者血之餘머리카락은 혈의 여분이다
血盛則髮潤, 血衰則髮衰, 血熱則髮黃, 血敗則髮白. 《入門》
혈이 성하면 머리카락이 윤이 나고 혈이 쇠하면 머리카락이 쇠한다. 혈에 열이 있으면 머리카락이 누렇고 혈이 상하면 머리카락이 희어진다.입문
十二經毛髮多少12경에 따른 모발의 다소
靈樞曰, 美眉者, 太陽多血, 通髥極鬚者, 少陽多血, 美鬚者, 陽明多血.
영추에, 눈썹이 아름다우면 대양경에 혈이 많고, 구레나룻이 턱수염에까지 이르면 소양경에 혈이 많고, 턱수염이 수려하면 양명경에 혈이 많다고 했다.
足陽明之上, 血氣盛則髥美長, 血氣少則無髥, 兩吻多畫.
족양명경의 상부에 혈기가 왕성하면 구레나룻이 곱고 길며, 혈기가 적으면 구레나룻이 없고 양 입가에 주름이 많다.
足陽明之下, 血氣盛則下毛美長至胸, 血氣皆少則無毛, 雖有則稀枯瘁.
족양명의 하부에 혈기가 왕성하면 음모가 곱고 길어 가슴에까지 이른다. 혈기가 모두 적으면 음모가 없고 비록 있더라도 드물게 나고 말아 있다.
足少陽之上, 血氣盛則通髥美長, 血氣皆少則無髥.
족소양경 상부에 혈기가 왕성하면 구레나룻이 곱고 길며, 혈기가 적으면 구레나룻이 없다.
足少陽之下, 血氣盛則脛毛美長, 血氣皆少則脛無毛.
적소양경 하부에 혈기가 왕성하면 정강이 털이 곱고 길며, 혈기가 모두 적으면 정강이 털이 없다.
足太陽之上, 血氣盛則美眉, 眉有毫毛毛之長者曰毫, 血多氣少則惡眉.
족태양경 상부에 혈기가 왕성하면 눈썹이 아름답고 눈썹에 긴 털털중에긴것을호라한다이 있으며, 혈이 많고 기가 적으면 눈썹이 윤택하지 않다.
手陽明之上, 血氣盛則髭美, 血氣皆少則無髭.
수양명 위에 혈기가 왕성하면 콧수염이 아름답고, 혈기가 모두 적으면 콧수염이 없다.
手陽明之下, 血氣盛則腋下毛美.
수양명경 하부에 혈기가 왕성하면 겨드랑이 털이 곱다.
手少陽之上, 血氣盛則眉美以長.
수소양경 상부에 혈기가 왕성하면 눈썹이 곱고 길다.
手太陽之上, 血氣盛則頷多鬚. 《靈樞》
수태양경 상부에 혈기가 왕성하면 턱에 수염이 많다.영추
髮眉鬚髥髭各異머리카락 눈썹 턱수염 구레나룻 콧수염의 차이
在頭曰髮. 髮者, 拔也. 拔擢而出也.
머리에 있는 것은 머리카락이고, 발이란 뽑는다拔는 뜻으로 뽑아올려져 나온 것이다.
在目曰眉. 眉者, 媚也. 有娬媚也.
눈에 있는 것을 눈썹이라고 한다. 미는 아름답다媚는 뜻으로 나방처럼 아름답다는 말이다.
頤下曰鬚. 鬚者, 秀也. 物成乃秀, 人成而鬚生也.
턱 밑에 있는 것은 턱수염이라고 한다. 수는 이삭수고 곡식이 성숙하면 이삭이 나오고 사람이 성숙하면 수염이 생긴다.
在頰曰髥, 隨口動搖髥髥然也.
뺨에 있는 것을 구레나룻이라고 한다. 입을 따라 느릿느릿 움직여서 그렇다.
口上曰髭. 髭者, 姿也. 爲姿容之美也. 《回春》
입 위에 있는 것은 콧수염이라고 한다. 자는 자세자인데 자태가 아름답기 때문이다.회춘
髮眉鬚各有所屬머리카락 눈썹 구레나룻이 속한 곳
髮屬心, 故上生禀火氣也. 眉屬肝, 故橫生禀木氣也. 鬚屬腎, 故下生禀水氣也. 《醫說》
머리카락은 심에 속하기 때문에 화기를 받아서 위로 자란다. 눈썹은 간에 속하기 때문에 목기를 받아서 옆으로 자란다. 턱수염은 신에 속하기 때문에 수기를 받아서 아래로 자란다.의설
人之髮眉鬚, 雖皆毛類, 而所主五藏各異. 故有老而鬚白, 眉髮不白者, 或髮白而眉鬚不白者, 藏氣有所偏故也. 男子腎氣外行, 上爲鬚, 下爲勢. 故女子宦人無勢, 則亦無鬚, 而眉髮無異於男子, 則知不屬腎也, 明矣. 《醫鑑》
사람의 머리카락 눈썹 턱수염은 비록 다 털 종류지만 주장하는 오장이 각각 다르다. 그래서 늙어서 턱수염은 희고 눈썹과 머리카락은 희지 않거나 하는 것은 장기의 기가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남자의 신기가 겉으로 나와서 올라가면 턱수염이 되고 내려가면 고환이 된다. 여자와 환관은 고환이 없어서 수염은 없지만 눈썹과 머리카락은 남자와 다를 게 없으니 신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의감
婦人無鬚부인에게는 수염이 없다
黃帝曰, 婦人無鬚者, 無血氣乎. 岐伯對曰, 衝脉任脉, 皆起於胞中, 上循腹裏, 爲經絡之海. 其浮而外者, 循腹右上行, 會於咽喉, 別而絡脣口. 血氣盛則充膚熱肉, 血獨盛則澹滲皮膚, 生毫毛. 今婦人之生, 有餘於氣, 不足於血, 以其數脫血也. 衝任之脉, 不榮口脣, 故鬚不生焉. 《靈樞》
황제가, 부인에게 수염이 없는 것은 혈기가 없어서다라 하니, 기백이, 충맥 임맥은 모두 포에서 일어나 뱃속을 올라가 경락의 바다가 됩니다. 그 중에서 밖으로 드러나는 것은 배의 오른쪽으로 올라가 인후에 모인 후 갈라져서 입술과 입으로 이어집니다. 혈기가 왕성하면 피부를 채우고 살을 뜨겁게 하지만, 혈만 왕성하면 피부에 스며들어 털을 생기게 합니다. 부인은 나면서 기는 남아돌고 혈은 부족해서 혈을 자주 내보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충임맥이 입과 입술에 영양을 공급하지 못해서 수염이 나지 않습니다라고 대답했다.영추
宦官無鬚환관은 수염이 없다
黃帝曰, 士人有傷於陰, 陰氣絶而不起, 陰不用, 然其鬚不去, 何也. 宦者, 獨去何也. 岐伯對曰, 宦者, 去其宗筋, 傷其衝脉, 血寫不復, 皮膚內結, 脣口不榮, 故鬚不生焉. 帝曰, 其有天宦者, 未嘗被傷, 不脫於血, 然其鬚不生, 何也. 岐伯曰, 此天之所不足也. 其衝任不盛, 宗筋不成, 有氣無血, 脣口不榮, 故鬚不生也. 《靈樞》
황제가, 남자가 생식기를 다쳐서 음기가 끊어지고 발기가 안 되어 생식기를 쓰지 못할 때도 수염이 사라지지 않는 것은 무엇 때문이고 환관에게 유독 수염이 없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하고 물으니, 기백이, 환관은 종근을 거세해서 충맥이 상했으므로 혈이 새어나가 회복되지 않고 피부는 안에서 뭉치고 입술은 영양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수염이 나지 않는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 황제가, 태어날 때부터 고자는 다친 적도 없고 혈을 내보내는 것도 아닌데 수염이 나지 않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하고 물으니, 기백이, 선천적으로 부족해섭니다. 충임맥이 왕성하지 못해서 종근을 만들지 못하고 기는 있으나 혈이 없어 입술과 입에 영양을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염이 나지 않습니다라고 했다.영추
鬚髮榮枯수염과 머리카락의 성쇠
內經曰, 女子七歲, 齒更髮長. 五七, 面始焦, 髮始墮. 六七, 面焦髮白. 丈夫八歲, 齒更髮長, 五八, 髮墮齒枯. 六八, 面焦髮白.
내경에, 여자는 7살에 이를 갈고 머리카락이 자라난다. 35살에는 얼굴이 마르기 시작하고 머리카락이 빠지기 시작한다. 42살에는 얼굴이 완전히 마르고 머리카락이 희어지기 시작한다. 남자는 8살에 이를 갈고 머리카락이 자란다. 40살에는 머리카락이 빠지고 이가 약해진다. 48살에는 얼굴이 초췌해지고 머리카락이 희어진다고 했다.
鬚髮顔面, 皆督脉所絡, 陽精盛, 注於外則鬚髮榮盛, 面體光潤. 《入門》
수염 머리카락 얼굴은 모두 독맥에 이어져 있다. 양정이 왕성해서 바깥으로 흘러가면 수염과 머리카락이 잘 자라고 얼굴과 몸에 윤기가 돈다.입문
膽榮在鬚, 腎華在髮. 精氣上升, 則鬚潤而黑, 六八以後, 精華不能上升. 秋冬令行, 金削肺枯, 以致鬚髮焦槁如灰白色. 養生者, 宜預服補精血藥以防之, 染掠亦非上策. 《入門》
담의 상태는 수염에 나타나고 신의 상태는 머리카락에 나타난다. 정기가 상승하면 수염이 검고 윤기가 있지만, 48살이 지나면 정화가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가을과 겨울이 되어 폐금이 바짝 마르므로 수염과 머리카락이 마르고 회백색을 띠는 것이다. 양생하려는 이는 미리 정혈을 보하는 약을 먹어서 예방해야 한다. 염색하거나 머리카락을 뽑는 것은 역시 좋은 방법이 아니다.입문
補養精血, 變白髮, 宜張天師草還丹ㆍ延年益壽不老丹方見身形ㆍ四物坎离丸ㆍ秤金丹ㆍ還元秋石丸ㆍ神仙烏雲丹ㆍ却老烏鬚健陽丹ㆍ七仙丹ㆍ五老還童丹方見身形ㆍ加味蒼朮膏ㆍ一醉不老丹ㆍ中山還童酒ㆍ烏鬚酒二方.
정혈을 보하여 백발을 검게 하려면 장천사초환단 연년익수불로단처방은신형에있다 사물감리환 창금단 환원추석환 신선오운단 각노오수건양단 칠선단 오로환동단처방은신형에있다 가미창출고 일취불로단 중산환동주 경험오수주 오수주를 써야 한다.
張天師草還丹장천사초환단
此藥久服則身輕, 隨風而去, 如列子之乘虛. 若髮白者, 從根而黑, 如未白者, 永不白. 有不信者, 將藥拌飯與白猫吃, 一月卽黑. 地骨皮ㆍ生地黃ㆍ石菖蒲ㆍ牛膝ㆍ遠志ㆍ兎絲子(酒煮). 右等分, 爲細末, 蜜丸梧子大, 每三五十丸, 空心, 溫酒, 或鹽湯送下. 修製忌鐵器, 及婦人雞犬見. 《海藏》
이 약을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져 열자가 허공에 올라탄 것처럼 바람 부는 대로 간다. 머리카락이 하얗게 센 이는 뿌리에서부터 검게 되고 아직 하얗게 세지 않은 이는 영원히 희게 되지 않는다. 믿기지 않은 이는 이 약을 밥과 섞어서 흰 고양이에게 먹여 보면 1달이 지나면 검게 된다. 지골피 생지황 석창포 우슬 원지 토사자술에달인것 같은 양을 곱게 가누내어 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따뜻한 술이나 소금물로 넘긴다. 약을 만들 때는 쇠그릇을 피하고 부인 닭 개가 보는 것도 피한다.해장
四物坎离丸사물감리환
善烏鬚髮. 熟地黃 三兩, 生地黃 一兩半(同酒浸擣膏), 當歸 二兩, 白芍藥 一兩半(同酒炒). 知母 一兩, 黃柏 二兩(同鹽酒浸炒), 側柏葉ㆍ槐子 各一兩(同炒), 連翹 六錢. 右爲末, 蜜丸梧子大, 盛磁盒內, 放地上七日曬乾收之, 每五六十丸, 或溫酒, 或白湯下. 《入門》
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하는 데 좋다. 숙지황 3냥, 생지황1.5냥함께술에담갔다찧어서고약을만든것, 당귀 2냥, 백작약 1.5냥함께술에담갔디기볶은것 지모1냥, 황백2냥함께소금과술을섞은것에담갔다볶은것, 측백잎과 괴자 각 1냥함께볶은것, 연교 6돈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자기그릇에 담아서 땅 위에 7일 동안 두고 볕을 쬐어 말려 50-60알씩 따뜻한 술이나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秤金丹칭금단
又名一秤金. 久服, 鬚髮黑, 返老還童. 熟地黃 二兩, 地骨皮ㆍ蓮花蕋ㆍ槐角子(俱用酒浸, 夏一日, 春秋三日, 冬六日, 取出曬乾)ㆍ薄荷 各三兩, 沒石子 一兩, 人參ㆍ木香 各五錢. 右爲末, 蜜丸芡實大, 每一丸, 噙化, 溫酒送下, 日三服. 《入門》
일칭금이라고도 한다. 오래 먹으면 머리카락과 수염이 검어지고, 노인이 어린아이가 된다. 숙지황 2냥, 지골피 연화예 괴각자모두여름에는1일봄가을에는3일겨울에는6일술에담갔다꺼내어볕에말린것 박하 각 3냥, 몰석자 1냥 인삼 목향 각 5돈을 가루내어 꿀로 감실크기로 환을 지어 1알씩 입에 머금어 녹여서 따뜻한 술로 넘긴다. 하루에 3번 먹는다.입문
還元秋石丸환원추석환
治因房室損精, 鬚髮早白. 秋石 一斤, 白茯苓 一斤, 天門冬ㆍ麥門冬ㆍ生地黃ㆍ熟地黃ㆍ人參ㆍ地骨皮ㆍ人乳粉 各四兩. 右爲末, 蜜丸梧子大, 白湯, 或酒下三五十丸. 《入門》
성생활로 정을 상해서 머리카락과 수염이 일찍 희어진 것을 치료한다. 추석 1근, 천문동 맥문동 생지황 숙지황 인삼 지골피 인유분 각 4냥을 가루내어 꿀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이나 술로 30-50알씩 먹는다.입문
神仙烏雲丹신선오운환
烏鬚黑髮, 返老還童, 神效無比. 何首烏 八兩(入砂鍋內, 黑豆同蒸半日, 去豆, 用好酒浸七日曬乾, 如此蒸七次), 破故紙 四兩(酒洗), 砂鍋內炒黃ㆍ旱蓮汁 二兩, 槐角 二兩(爲末), 胡桐淚 一兩, 爲末. 右細末, 棗肉 二斤, 胡桃仁 半斤, 擣爲丸梧子大, 空心, 鹽湯下五七十丸. 服三月, 勿輟. 《醫鑑》
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하고 노인을 어린아이가 되게 한다. 다른 약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신효하다. 하수오 8냥사기솥에넣고검정콩과함께한나절동안쪄서콩은버리고좋은술에7일동안담갔다가볕에말리되,이와같이7번찐것 파고지 4냥술에씻어서사기그릇에넣고누렇게볶은것 한련초즙 2냥 괴각가루2냥 호동루가루 1냥을 곱게 가루내고, 대추살 0.5근과 함께 찧어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끌인 소금물로 50-70알씩 빈속에 먹되 3개월 동안 계속 먹어야 한다.의감
却老烏鬚健陽丹노각오수건양단
能變白鬚髮令黑. 赤何首烏ㆍ白何首烏 各一斤, 牛膝 八兩(以黑豆汁拌蒸二次), 赤茯苓(用牛乳五升)ㆍ白茯苓(人乳汁五升, 各以文武火煮乾) 各一斤, 兎絲子ㆍ破故紙 各八兩. 右爲末, 蜜丸彈子大, 每服一丸, 溫酒化下, 日二次. 或生地黃, 熟地黃各一斤加入, 尤妙. 《入門》
흰 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변하게 한다. 적하수오 각 1근, 우슬 8냥검정콩즙에버무려2번찐것, 적복령우유5되에넣고적당한불로달여서말린것, 백복령사람의젖5되에넣고적당한불로달여서말린것 각 1근, 토사자 파고지 각 8냥을 가루내서 꿀로 탄자크기로 환을 지어 1알씩 하루 2번 따뜻한 술로 녹여 먹는다. 생지황이나 숙지황 각 1근을 더하면 더욱 신묘하다.입문
七仙丹칠선단
補心腎, 駐容顔, 黑鬚髮之聖藥. 何首烏(九蒸九曬) 四兩, 人參ㆍ生乾地黃(酒洗)ㆍ熟地黃ㆍ麥門冬ㆍ天門冬ㆍ白茯苓ㆍ茴香(炒) 各二兩. 右爲末, 蜜丸彈子大, 每一丸, 細嚼, 好酒送下, 鹽湯亦可. 或丸如梧子, 每五七十丸, 空心, 酒下. 忌食三白及犯房事. 《丹心》
심신을 보해서 얼굴을 늙지 않게 하고, 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하는 성약이다. 하수오구중구포한것4냥, 인삼 생건지황술로씻은것 숙지황 맥문동 천문동 백복령 회향볶은것 각 2냥을 가루내어 꿀로 탄자크기로 환을 지어 1알씩 꼭꼭 찝어서 좋은 술로 삼킨다. 소금물로 먹어도 좋다. 혹은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50-70알씩 술로 빈속에 먹되 3가지 흰 것과 성생활을 피해야 한다.단심
加味蒼朮膏가미창출고
久服, 精滿氣盛, 髮白變黑, 齒落更生. 蒼朮十斤擣如泥, 入大鍋內, 用水二桶, 以文武火煮至十餘椀, 絹濾取汁, 入磁罐內, 以人參ㆍ生地黃ㆍ熟地黃ㆍ黃柏ㆍ遠志ㆍ杜沖ㆍ川芎ㆍ胡桃肉ㆍ川椒ㆍ破故紙ㆍ當歸ㆍ薑汁 各四兩, 靑鹽 二兩, 朱砂 一兩, 旱蓮草汁 二椀, 白蜜 二斤, 各藥爲末, 入朮膏內, 封固. 大鍋水煮, 官香二炷爲度, 取出埋土中七日. 每取二三匙, 空心, 酒湯任下, 日二次, 養精, 養氣, 養神. 《入門》
오래 먹으면 정이 가득하고 기가 성해져서 허옇던 머리가 검게 변하고 빠졌던 이가 다시 난다. 창출 10근을 질게 찧어서 커다란 솥에 넣고 물 2통을 부어 적당한 불로 10여 사발이 될 때까지 달인 후, 명주로 거른 즙을 사기항아리에 넣는다. 인삼 생지황 숙지황 황백 원지 두충 천궁 호두살 천초 파고지 당귀 생강즙 각 4냥, 청염 2냥, 한련초즙 2사발, 꿀 2근을 가루내서 창출로 만든 고약에 넣어 단단하게 봉한다. 이것을 큰 솥에 넣고 관향 2개를 태울 시간 동안 물에 달여서 꺼낸 후 땅에 7일 동안 묻어두었다가 2-3숟가락씩 하루 2번 끓인 술로 빈속에 임의로 먹으면 정 기 신을 기른다.입문
一醉不老丹일취불노단
專養血, 烏鬚, 黑髮. 蓮花蕋ㆍ生地黃ㆍ槐角子ㆍ五加皮 各二兩, 沒石子 六箇. 右以木石臼擣碎, 以生絹袋盛藥, 同好淸酒十斤入淨罈內, 春冬浸一月, 秋二十日, 夏十日, 緊封罈口, 浸滿日數, 任意飮之, 以醉爲度. 須連日服令盡, 酒盡而鬚髮白者, 自黑矣. 若不黑, 再製服之, 神效. 《醫鑑》
오로지 혈을 길러 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한다. 연화예 생지황 괴각자 오가피 각 2냥, 몰석자 6개를 나무나 돌로 만든 절구에 넣고 찧어서 새 비단 주머니에 채우고 좋은 청주 10근과 함께 깨끗한 술단지 안에 담그되, 봄과 겨울에는 한 달 동안, 가을에는 20일, 여름에는 열흘 동안 단단하게 밀봉해 둔다. 날 수가 차면 임의로 술이 취할 정도로 마신다. 매일 계속해서 없어질 때까지 먹으면 희던 수염과 머리카락이 저절로 검어진다. 만약 검어지지 않으면 다시 만들어 먹으면 신효하다.의감
中山還童酒중산환동주
歌曰, 中山還童酒, 人間處處有, 善緣得遇者, 便是蓬萊叟.
노래에, 중산환동주는 속세의 곳곳에 있다. 좋은 인연으로 이 술을 만나면 봉래산 노인 될 것이라 했다.
馬藺子一升埋土三日取出, 馬藺根洗切片一升, 用黃米二斗, 水煮成煤. 陳麴二塊爲末, 酒酵子二椀, 幷前馬藺子共和一處做酒, 待熟, 另用馬藺子幷根一升, 用水煮十沸, 入酒內三日. 每日, 攪勻去渣. 隨量飮醉, 其酒飮盡, 鬚髮盡黑. 其酒之色如漆之黑. 《回春》
마린자 1되땅에3일동안묻었다가꺼낸것와 마린근씻어서조각으로자른것 1되에 기장쌀 2말을 넣고 물에 달이면 검어진다. 묵은 누룩 2덩어리를 가루내서 술밑 2사발과 함께 앞의 마린자와 함께 술을 담근다. 술의 숙성을 기다려서 따로 마린자와 마린근 1되를 물에 10번 끓어오를 동안 달인 후 술에 3일 동안 넣어 두는데, 매일 고르게 젓고 찌꺼기는 버리고 주량에 따라 취하게 마신다. 그 술을 다 마시면 수염과 머리카락이 모두 검어진다.회춘
經驗烏鬚酒경험오수주
能變白爲黑, 身輕體健, 功不可述. 每年冬十月壬癸日, 面東採摘紅肥大枸杞子二升擣破. 同好無灰酒二斗, 同盛於磁器內, 浸二十一日足, 開封, 添生地黃汁三升, 攪勻, 各以紙三層封其口, 俱至立春前三十日開甁, 空心, 煖飮一盃. 至立春後, 髭鬚都黑, 勿食三白. 《回春》
흰 것을 검게 해 주고 몸을 가볍고 튼튼하게 해 주는 효과는 이루다 말 수 없다. 매년 겨울 10월 임계일에 동쪽을 향한 가지 중 두툼한 구기자 2되를 채취해서 찧어 부수어 좋은 무회주 2되와 함께 사기그릇에 담고 21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개봉한 후, 생지황즙 3되를 넣고 고루 젓는다. 이것을 각각 종이로 입구를 세 겹으로 밀봉했다가 입춘 전 30일 되면 항아리를 개봉해서 빈속에 데워서 1잔씩 마신다. 입춘이 된 후에는 수염이 모두 검어진다. 3가지 흰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회춘
烏鬚酒오수주
能變白髮. 方見身形.
백발을 변하게 한다. 처방은 신형에 있다.
鬚髮黃落수염과 머리카락이 누렇게 떨어지는 것
虛損之疾, 一損損於肺, 皮聚而毛落. 宜八物湯方見虛勞. 《保命》
허손 질병에서 일손맥은 폐가 허손된 것이어서 피부가 쪼그라들고 털이 빠진다. 팔물탕처방은허로에있다을 써야 한다.보명
脉弦氣弱, 皮毛枯槁, 黃芪建中湯方見虛勞, 四物湯亦主之. 《東垣》
맥이 현하고 기가 약하며 피모가 마를 때는 황기건중탕처방은허로에있다을 쓴다, 사물탕도 주로 쓴다.동원
老來髮落鬚長常也. 少壯有髮落, 或鬚亦落者, 火炎血燥故也. 宜服地黃酒ㆍ天門冬膏方幷見身形.
늙으면 머리카ᄅᆞᆨ은 빠지지만 수염은 자라는 것이 정상이다. 젊어서 머리카락이 빠지거나 수염이 빠지는 것은 화가 타올라 혈이 마르기 때문이다. 지황주 천문동고처방은다신형에있다를 먹어야 한다.
髮燥者, 膽有怒火也. 膽合膀胱, 上榮毛髮, 風氣盛則焦燥, 汁竭則枯也. 《入門》
머리카락이 푸석해지는 것은 담에 노화가 있기 때문이다. 담은 방광과 합쳐져 모발에 올라가 영양을 공급하니 풍기가 왕성해도 머리카락이 마르고 수액이 다하여도 마른다.입문
初生兒胎髮, 或童男女髮, 洗淨, 鹽泥固濟, 火煆爲末, 空心, 酒下二三分. 或入補藥服, 尤妙. 《入門》
갓난아이의 배냇머리나 어린아이의 머리카락을 깨끗하게 씻은 뒤 소금기 있는 진흙으로 감싸서 봉한다. 이것을 불에 달구어 가루내고 술로 2-3푼씩 빈속에 술로 먹는데 혹 보약을 넣어 먹으면 더욱 신묘하다.입문
髮黃落, 宜滋榮散ㆍ三聖膏ㆍ菊花散ㆍ巫雲散ㆍ二仙丸ㆍ生禿烏雲油ㆍ金主綠雲油.
머리카락이 누래지면서 빠질 때는 자영산 삼섬고 국화산 무운산 이선환 생독오운유 금주녹운유를 써야 한다.
一男年少, 頭髮盡脫, 用六味地黃丸, 不久髮生寸許, 兩月復舊. 《回春》
어떤 남자가 젊어서 머리카락이 다 빠져서 육미지황환을 썼더니 오래지 않아 머리카락이 1치쯤 나오고 2달만에 예전처럼 되었다.회춘
一婦年少, 髮盡脫不留一莖, 脉微弦而濇. 此由厚味成熱, 濕痰在膈上, 而熏蒸髮根之血, 漸枯而脫. 用防風通聖散, 去芒硝, 惟大黃三度酒炒, 兼以四物湯酒製, 合和作小劑煎以服. 兩月濕熱漸解, 停藥, 淡食調養一年而復舊. 《丹心》
어떤 부인이 젊어서 머리카락이 한 오라기도 남지 않고 다 빠지고, 맥은 미 현하면서 색하였다. 이는 기름진 음식으로 열이 생기고 격막 위에 습담이 생겨 머리카락의 뿌리의 혈을 훈증해서 점점 마르면서 빠진 것이다. 방풍통성산에 망초를 빼고 대황술에축여3번볶은것을 넣고 사물탕술로법제한것을 섞은 뒤 조금씩 달여 먹였다. 2달이 지나 습열이 사라져서 약을 중단하고 담백한 음식으로 1년을 조리했더니 예전처럼 회복되었다.단심
滋榮散자연산
長毛髮, 髮落最宜. 生薑(焙乾)ㆍ人參 各一兩. 右細末, 生薑 切片蘸藥, 髮落處擦之, 日二次. 《瑞竹》
모발을 길러준다. 머리카락이 빠지는 데 가장 좋다. 생강불에쬐어말린것 인삼 각 1냥을 곱게 가루내어 생강 절편에 묻혀 머리카락이 빠지는 곳에 하루에 2번 붙인다.서죽
三聖膏삼성고
治髭髮脫落, 能令再生. 附子ㆍ蔓荊子ㆍ柏子仁 各五錢. 右爲末, 烏雞脂和勻擣乾, 置瓦合內, 封固百日, 取出. 塗落處, 三五日卽生新髮. 《綱目》
수염과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치료해서 다시 나게 할 수 있다. 부자 만형자 백자인 각 5돈을 가루내어 오골계 기름에 고루 반죽해서 찧어서 말린 다음 기와로 구운 상자에 넣고 100일 동안 밀봉한 후 꺼내서 머리카락이 빠진 곳에 3-5일 동안 바르면 새로운 머리카락이 난다.강목
菊花散국화산
治鬚髮黃燥, 能令黑潤. 甘菊ㆍ蔓荊子ㆍ側柏葉ㆍ川芎ㆍ白芷ㆍ細辛ㆍ桑白皮ㆍ旱蓮根莖花葉 各一兩. 右剉, 每二兩, 漿水三椀煎至二椀去滓, 洗鬚髮. 《丹心》
수염과 머리카락이 누렇게 마르는 것을 치료해서 검고 윤기 나게 할 수 있다. 감국 만형자 측백잎 천궁 백지 세신 상백피 한련초의 뿌리 줄기 꽃 잎 각 1냥씩을 썰어서 2냥씩 좁쌀죽 윗물 3사발에 넣고 2사발이 될 때까지 달여 찌꺼기는 버린 후 수염과 머리카락을 씻는다.단심
巫雲散무운산
治鬚髮黃白不澤. 膽礬ㆍ五倍子ㆍ百藥煎ㆍ靑胡桃皮ㆍ酸石榴皮ㆍ訶子皮ㆍ木瓜皮ㆍ猪牙皂角ㆍ何首烏ㆍ細辛 各等分. 右爲末, 蜜和如錢大, 常於木炭內培養, 勿令離炭. 用時, 以熱酒化開, 塗之. 《丹心》
수염과 머리카락이 누렇거나 허옇게 되고 윤기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담반 오배자 백약전 청호도피 산석류피 가자피 모과피 저아조각 하수오 세신 같은 양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해서 동전만 하게 환을 지어 늘 목탄 속에 배양하되 여러 가지가 섞인 목탄은 안 된다. 쓸 때는 뜨거운 물에 녹여 바른다.단심
二仙丸이선환
治髮脫落, 神效. 側柏葉(焙乾) 八兩, 當歸(全身) 四兩. 右不犯鐵爲末, 水糊和丸梧子大, 酒或鹽湯下五七十丸, 日再. 《醫鑑》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치료하는 데 신효하다. 측백잎불에쬐말린것 8냔 당귀전신 4냥을 쇠에 닿지 않게 가루내어 물로 쑨 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크기로 환을 지어 하루 2번 술이나 끓인 소금물로 50-70알씩 먹는다.의감
生禿烏雲油생독오운유
能生鬚髮. 川椒ㆍ白芷ㆍ川芎 各一兩, 蔓荊子ㆍ零陵香ㆍ附子 各五錢. 右麄末, 入絹袋, 浸香油一斤中, 過二十一日, 取油擦頭上, 卽生新髮. 《類聚》
수염과 머리카락이 생기게 한다. 천초 백지 천궁 각 1냥, 만형자 영릉향 부자 각 5돈을 거칠게 가루내어 비단주머니에 넣고 참기름 1근에 21일 동안 담갔다가 그 기름을 머리에 바르면 곧 새로 머리카락이 생긴다.유취
金珠綠雲油금주녹운유
能生髮. 蔓荊子ㆍ沒石子ㆍ躑躅花ㆍ訶子皮ㆍ白芷ㆍ沈香ㆍ附子ㆍ防風ㆍ覆盆子ㆍ生地黃ㆍ零陵香ㆍ芒硝ㆍ旱蓮草ㆍ丁香 各一錢半, 卷柏 三錢. 右剉, 袋盛, 浸淸油八兩中, 封過七日, 取擦頭上, 日三. 《類聚》
머리카락이 생기게 한다. 만형자 몰석자 척촉화 가자피 백지 침향 부자 방풍 복분자 생지황 영릉향 망초 한련초 정향 각 1.5돈, 권백 3돈을 썰어서 자루에 담아 참기름 8냥에 담그고 7일 만에 꺼내서 하루 3번 바른다.유취
染白烏鬚髮염백오수발
宜秘傳烏鬚方ㆍ染鬚方ㆍ外染烏雲膏ㆍ烏鬚髮方ㆍ旱蓮膏.
비전오수방 수염을 염색하는 처방 외염오운고 오수발방 한련고를 써야 한다.
秘傳烏鬚方비염오수방
五倍子不拘多少, 槌碎去灰, 入砂鍋內炒, 烟盡爲度. 以靑布巾打濕扭乾, 布裹脚踏成餠爲末, 每用一錢半.
적당량의 오배자를 망치로 부수어 재를 버리고, 사기그릇에 넣어 연기가 더이상 나지 않을 때까지 볶은 것을 푸른 베수건으로 감싸서 물에 적셨다가 짜서 말린 후에 베에 감싼 채로 발로 밟아 떡을 만들어 가루내어 1.5돈씩 쓴다.
烏黑霜(卽炒黃好細麪) 四兩, 當歸尾 一兩, 爲末, 白芨末一兩. 三味攪勻, 每用一分半.
오흑상좋고고운밀가루를누렇게볶은것 4냥, 당귀꼬리 1냥을 가루내어 백급가루낸것 1냥 이 세 가지를 고루 섞어서 1.5푼씩 쓴다.
紅銅末不拘多少, 火內燒極紅, 投入水碗中, 取出再燒再投, 取水內自然之末, 用水淘淨. 醋煮數沸至乾, 隨炒黑色, 每用一分半.
적동설 적당량을 불에 아주 벌겋게 달군 후 물 사발 속에 넣었다가 꺼내어 다시 달구었다 물에 넣는다. 물속에서 저절로 생긴 가루를 취해서 물에 깨끗하게 인다. 이것을 몇 번 끓어오를 동안 식초에 달이고 말려서 검게 볶아 1.5푼을 쓴다.
明白礬(末) 一分半, 靑鹽 一分二釐, 沒石子 二釐半, 訶子肉 二釐半, 二味俱用麪包, 入砂鍋內, 將桑炭同拌, 炒至焦乾. 右爲末, 用濃茶調勻, 以酒盞盛貯, 用鐵杓注水, 煮如糊. 先將皂角水洗淨鬚髮, 然後塗藥, 包裹一夜, 次早洗去, 以胡桃油塗之令潤. 《醫鑑》
백반가루 1.5푼, 청염1.2푼, 몰석자 0.25푼, 가자육 0.25푼함께밀가루로버무린것을 사기그릇에 넣고 뽕나무재와 함께 섞어 타도록 볶아서 가루내어 진한 차에 고르게 타서 술잔에 담아 두고, 쇠로 만든 구기로 물을 부어가며 달여서 풀처럼 만든다. 먼저 조각을 우린 물로 수염과 머리카락을 깨끗하게 씻은 다음, 약을 바르고 하룻밤을 싸매 둔다. 다음날 새벽에 씻어내고 호두기름을 바르면 윤기가 생긴다.의감
外染烏雲膏외염오운고
五倍子(製) 五錢, 銅末(製) 二錢, 白礬ㆍ白鹽 各一錢半, 沒石子 二箇(麪炒黃色). 右爲末, 濃茶調, 重湯煮見黑色. 如上法用, 卽黑. 《種杏》
오배자법제한것 5돈, 구리가루법제한것 2돈, 백반 백염 각 1.5돈, 몰석자 2개밀가루와함께누렇게볶은것을 가루내어 진한 차에 타서 검게 될 때까지 중탕해서 앞의 방법대로 쓰면 곧 검어진다.종행
染鬚方염수처방
大烏龜一箇, 餓一二日, 將飯與肉ㆍ骨ㆍ果子ㆍ烟火之食飼之. 三五月後, 夜間, 以漆盝盛之, 用竹片置盝口, 令通氣, 外放燈一盞, 盝內熱, 龜自撒尿, 急則只麻油烟熏鼻, 亦卽尿. 先用五倍子末炆醋如膠. 若龜尿得一小鍾, 入五倍醋半鍾, 入磁器炆一滾, 角罐收貯. 以新筆略蘸搽鬚. 多用面黑. 《入門》
크고 검은 거북이 1마리를 하루이틀 굶겼다가 밥과 고기 뼈 과자 불에 익힌 음식을 먹인다. 3-5개월 후 밤에 옻칠을 한 궤짝에 넣고 대나무 조각을 궤짝의 입구에 두어 공기가 통하게 하고 밖에 등잔 1개를 두면 궤짝 안이 뜨거워지면서 거북이가 저절로 오줌을 눈다. 급할 때는 단지 참기름을 태운 연기로 코를 쏘여도 곧 오줌을 눈다. 먼저 오배자 가루를 식초에 고와서 아교처럼 만들고 거북이 오줌을 작은 잔으로 1잔 받아 식초에 갠 오배자를 사기그릇에 넣고 고아서 뿔로 만든 그릇에 담아 둔다. 이것을 새 붓에 조금 묻혀 수염을 문지른다. 많이 쓰면 얼굴이 검어진다.입문
烏鬚髮方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하는 처방
大水蛭二箇, 放磁椀中餓一七日, 取烏骨雄雞血, 以松烟墨濃磨汁, 傾入猪尿胞內, 任水蛭吮飽, 將鍼刺蛭流出血汁, 塗鬚髮, 留根二分, 其汁浸漬入肉, 鬚髮一年茂黑, 且柔軟, 極妙. 《丹心》
큰 거머리 2마리를 사기로 만든 사발 속에 풀어놓고 1-7일 동안 굶겼다가 오골계 수컷의 피오 송연묵을 진하게 간 즙을 되지 오줌보 속에 붓고 거머리가 실컷 먹게 한다. 침으로 거머리를 찔러 나온 피를, 수염 뿌리 쪽으로 2푼 남기고 바르면 피가 살 속으로 들어간다. 수염과 머리카락이 1년이면 무성하게 검이지고 부드러워진다. 아주 신묘하다.단심
旱蓮膏한련고
烏鬚黑髮如神. 旱蓮草十六斤, 六月下半月, 七月上半月採取, 不許水洗, 扭乾取汁, 對日曬過五日, 不住手攪. 午時, 方加眞生薑汁, 好蜜各一斤相和, 如前曬攪, 至數日, 似稀糖成膏, 磁罐收貯. 每日, 空心, 好酒一鍾, 藥一匙調服. 午後又一服. 至二十一日, 將白者摘去, 卽生黑者. 《醫鑑》
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하는 데 신효하다. 한련초 16근6월15일부터7월15일이전에채취한것을 물에 씻지 말고 비틀어 말려서 즙을 내 볕에 쪼이면서 5일 동안 손으로 저은 후 오시에 좋은 생강즙과 좋은 꿀 각 1근을 섞은 후 앞의 방법대로 볕에서 며칠 동안 저어주면 묽은 엿처럼 고약이 된다. 사기 항아리에 담아두고 매일 빈속에 좋은 술 한 잔에 이 약 한 숟갈을 타서 먹고 오후에 또 한 번 먹는다. 21일이 지나서 흰 털을 뽑아버리면 곧검을 털이 난다.의감
髮宜多櫛머리카락은 빗질을 자주 해야 한다
髮是血之餘, 一日一次梳. 《類聚》
머리카락은 혈의 여분이라 하루 한 번은 빗어야 한다.유취
髮多梳則明目去風, 故道家晨梳, 常以百二十爲數. 《延壽》
머리카락을 자주 빗으면 눈이 맑아지고 풍을 없앤다. 그래서 도가에서는 늘 새벽에 빗질을 하고 항상 120번씩 한다.연수
髮占凶證머리카락으로 좋지 않은 것을 점치는 법
病人髮直如麻者, 十五日死.
병자의 머리카락이 삼대처럼 곧게 서면 보름만에 죽는다.
病人髮如乾麻, 善怒者, 死.
병자의 머리카락이 마른 삼대 같고 성을 자주내면 죽는다.
病人髮與眉衝起者, 死. 《扁鵲》
병자의 머리카락과 눈썹이 일어서면 죽는다.편작
單方단방
凡十八種.
모두 18가지다.
鍼砂침사 바늘 만들 때 생기는 쇠가루
染白髮令黑. 取二錢, 醋浸七日, 取曬乾炒黑, 入沒石子一箇爲末, 搽如上法. 《本草》
흰 머리를 검게 한다. 2돈을 식초에 7일 담갔다가 볕에 말려서 검게 볶는다. 몰석자 1개를 가루내어 넣고 앞의 방법대로 바른다.본초
地黃지황
乾熟二種, 皆黑鬚髮良藥. 丸服, 或釀酒服之幷佳. 《本草》
생건지황과 숙지황은 다 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하는 좋은 약이다. 환을 지어 먹거나 술을 빚어 먹긱도 하는데 다 좋다.본초
牛膝우슬
止髮白. 煎服, 或釀酒服之佳. 《本草》
머리가칼이 희어지는 것을 막는다. 달여 먹는데 술을 빚어 먹어도 좋다.본초
旱蓮草한련초
長鬚髮, 令變白爲黑. 六月採取汁, 入薑汁蜜熬爲膏, 每一匙, 酒服. 《本草》
수염과 머리카락을 자라게 하고 흰 머리를 검게 한다. 음력 6월에 캐서 즙을 내고 생간즙과 꿀을 넣고 졸여 고를 내서 한 숟가락씩 술로 먹는다.본초
半夏반하
治眉髮落不生. 先用生薑擦三次, 後半夏生爲末, 麻油調塗之卽生. 《入門》
눈썹과 머리카락이 빠져 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먼저 생강으로 3번 문지른 뒤 반하 생것을 가루내어 흰 참깨기를에 개어 바르면 눈썹과 머리카락이 난다.입문
竹瀝죽력
男女粘髮, 或因油膏而粘滯者, 取竹瀝塗之卽解. 和少鹽, 尤妙. 《野語》
남녀의 머리카락이 끈적끈적하거나 기름으로 인해서 달라붙어 있을 때 죽력을 바르면 곧 풀린다. 소금을 약간 섞으면 더욱 신묘하다.야어
何首烏햐수오
黑鬚髮. 末服, 丸服, 或釀酒服皆佳. 《本草》
수염과 머리카락을 검게 한다. 가루로 먹거나 환을 먹거나 술을 담가 먹는데 다 좋다.본초
芭蕉油파초유
治婦人髮落. 塗之, 長髮令黑. 《本草》
부인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치료한다. 파초유를 바르면 머리카락이 자라고 검어진다.본초
槐實괴실 회와나무 열매
久服令鬚髮不白. 服法詳見身形. 《本草》
오래 먹으면 수염과 머리카락이 세지 않게 한다. 복용법은 신형에 자세히 나와 있다.본초
黑桑椹흑상심 검은 오디
變白髮. 釀酒服之, 佳. 又取一斤, 和科斗一升, 甁盛封口, 懸屋東頭百日, 盡化爲黑泥. 染白髮髭黑如漆. 《本草》
흰 머리카락을 변하게 한다. 술을 빚어 먹는 것이 좋다. 또 1근을 취해서 올챙이 1되를 섞어서 병에 넣고 밀봉한 집의 동쪽 처마에 100일 동안 매달아 놓으면 다 녹아서 검을 진흙처럼 된다. 흰 머리카락과 수염에 바르면 옻처럼 검어진다.본초
母丁香모정향 산수유 만한 크기의 정향
以生薑汁硏, 拔去白鬚, 塗孔中, 卽生黑髮. 又白蜜塗孔中, 亦生黑者. 《本草》
생강즙에 갈아서 흰수염을 뽑아낸 구멍에 바르면 곧 검은 털이 난다. 또 꿀을 그 구멍에 발라도 검은 털이 난다.본초
胡桃호도
外靑皮和科斗爲泥, 染白鬚令黑. 又胡桃仁取油, 塗鬚髮, 令黑潤有光. 《本草》
바깥의 푸른 껍질과 올챙이를 섞어 진흙처럼 된 것을 흰 수염에 바르면 검어진다. 또 호두살의 기름을 짜내 머리카락과 수염에 바르면 검고 윤기가 나면서 빛이 난다.본초
胡麻호마 검은 참깨
生取油, 塗頭, 生禿髮. 又烏麻九蒸九暴爲末, 棗膏丸服, 令白髮還黑. 又取葉煎湯沐頭, 長髮. 《本草》
생것으로 기름을 짜서 머리에 바르면 대머리도 머리카락이 난다. 또 검은 깨를 구증구포해서 가루내어 대추살로 만든 고로 반죽해서 환을 지어 먹으면 흰 머리가 다시 검어진다. 또 잎을 달여서 머리를 감으면 머리가 자란다.본초
蔓菁子만청자 순무씨
壓取油, 塗頭, 能變蒜髮. 今人呼斑髮爲蒜髮. 《本草》
눌러서 기름을 짜서 머리에 바르면 산발을 번하게 한다. 요즘 사람들은 희끗희끗한 머리를 산발이라고 한다.본초
熊脂웅지
主頭痒. 生白禿瘡, 髮落常常塗之, 令生髮且長黑.
머리 가려운 데 주로 쓴다. 백독창이 생겨 머리카락이 빠질 때 늘 바르면 머리카락이 나게 하고 또 길어지면 검어진다.
髮落, 熊腦髓作油, 塗之.
머리카락이 빠지면 곰의 뇌수로 기름을 짜 바른다.
髮黃落, 熊脂亦常塗之. 《本草》
머리카락이 누렇게 빠지면 곰의 기름을 늘 발라준다.본초
白鴿糞백합분 흰 비둘기 똥
治頭上白禿瘡. 取糞爲末, 以酸泔洗了香油調付. 《本草》
머리가 하얗게 빠지는 것을 치료한다. 비둘기 똥을 가루내서 시어진 쌀뜨물로 씻고 참기름에 개서 바른다.본초
羊糞양분
治髮落. 燒灰, 淋汁沐頭, 令易生而黑. 又髮鬚落, 糞和雁膏, 付三宿卽生. 《本草》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태운 재를 걸러낸 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가 잘 나오고 검어진다. 또 머리카락과 수염이 빠지는 데는 양의 똥과 기러기 기름을 섞어 사흘 동안 붙이면 곧 생긴다.본초
猪鬐膏저기고 돼지 목덜미 기름
主髮落. 取臘月者, 火上烊化塗之卽生. 髮薄不生亦宜. 《本草》
머리카락이 빠지는 데 주로 쓴다. 섣달에 잡은 것을 불에 녹여 바르면 곧 머리가 난다. 머리카락이 성기고 잘 나지 않는 데도 좋다.본초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外形篇卷之四手 - 足발 (0) | 2025.03.19 |
---|---|
外形篇卷之四手 - 手팔 (0) | 2024.05.07 |
外形篇卷之三 - 骨뼈 (1) | 2024.04.26 |
外形篇卷之三 - 脉맥 (0) | 2024.04.26 |
外形篇卷之三 -筋근 (0) | 2024.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