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實五虛5실증과 5허증
黃帝曰, 願聞五實五虛. 岐伯對曰, 脉盛, 皮熱, 腹脹, 前後不通, 悶𥉠, 此謂五實. 脉細, 皮寒, 氣少, 泄利前後, 飮食不入, 此謂五虛. 帝曰, 其時有生者, 何也. 岐伯曰, 漿粥入胃, 泄注止, 則虛者活, 身汗, 得後利, 則實者活, 此其候也. 《內經》
황제가, 오실과 오허에 대해 듣고 싶군요 하니, 기백이, 맥이 왕성한 것, 살갗에 열이 있는 것, 배가 부풀어 오르는 것, 대소변이 막히는 것, 답답하고 정신이 아득한 것을 오실이라고 하고, 맥이 세한 것, 살갗이 찬 것, 기운이 없는 것, 설사를 하고 대소변이 자주 나오는 것,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오허라고 합니다. 제가, 그런 때도 살 수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요? 하니, 기백이, 죽이 위에 들어가고 설사가 멎으면 허한 이도 살 수 있고, 몸에서 땀이 나고 대변이 나오면 실한 이도 살 수 있으니 이것이 그 징훕니다라고 대답했다.내경
五虛之證, 予嘗治數人, 在下則泄瀉不止, 在上則吐痰不止者, 皆死. 盖氣脫無所管攝故也. 早用參朮膏救之, 十活一二. 五實之證, 大承氣湯方見寒門, 加麻黃救之. 《綱目》
오허증을 내가 일찌기 두어 사람 치료했는데, 아래로 설사가 멎지 않고 위로는 가래를 계속 토하는 이는 모두 죽었다. 기가 빠져서 몸의 섭생을 못해서다. 일찍 삼출고를 써서 구제하면 열에 한둘은 산다. 오실증에는 대승기탕처방은한문에있다에 마황을 넣어 구제한다.강목
陰陽生病음양에 따라 생긴 병
內經曰, 夫邪之生也, 或生於陰, 或生於陽. 其生於陽者, 得之風雨寒暑, 其生於陰者, 得之飮食居處, 陰陽喜怒.
내경에, 사기가 생기는 것은 혹 음에서 생기거나 혹 양에서 생긴다. 양에서 생긴 그것은 풍우 한서에 의한 것이고, 음에서 생긴 그것은 음식 거처 성생활 칠정에 의한 것이라고 했다.
風雨寒熱, 不得虛, 邪不能獨傷人. 此必因虛邪之風與其身形, 兩虛相得, 乃客其形. 虛邪之中人也, 始於皮膚. 皮膚緩則腠理開, 開則邪從毛髮入, 入則抵深, 深則毛髮立, 毛髮立則淅然, 故皮膚痛. 留而不去, 則傳舍於絡脉, 時痛肌肉. 留而不去, 傳舍於經, 洒淅善驚. 留而不去, 傳舍於輸, 六經不通四肢, 肢節痛, 腰脊乃强. 留而不去, 傳舍於伏衝之脉, 體重身痛. 留而不去, 傳舍於腸胃, 賁響腹脹. 多寒, 則腸鳴飱泄, 食不化, 多熱, 則溏出糜. 《靈樞》
풍 우 한 열은 허가 아니면 사기만으로는 사람을 상하게 할 수 없다. 이것이 반드시 허사의 풍과 그 몸의 형체가 서로 양허한 상태를 얻어야 이에 그 형체에 침입한다. 허사가 사람에게 적중되는 것은 살갗에서 시작된다. 살갗이 이완되면 주리가 열리고 주리가 열리면 사기가 모발로 들어간다. 들어가면 깊은 곳에 이르고 깊은 곳에 이르면 모발이 곤두선다. 모발이 곤두서면 오싹해져서 살갗이 아프다. 제거되지 않고 머무르면 낙맥으로 전이되어 머물러 때때로 근육이 아프다. 제거되지 않고 머무르면 경맥으로 전이되어 머물러 오싹오싹 떨고 잘 놀란다. 제거되지 않고 머무르면 경혈로 전이되어 머물러 육경이 사지로 통하지 못해서 사지관절이 아프고 요추가 뻣뻣해진다. 제거되지 않고 머무르면 복충맥으로 전이되어 머물러 몸이 무겁고 아프다. 제거되지 않고 머무르면 장위로 전이되어 머물러 횡격막에서 소리가 나고 매가 부풀어오른다. 한이 많으면 뱃속이 울리면서 소화되지 않은 음식을 설사하는데,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하고 열이 많으면 물컹물컹한 죽이 나온다.영추
風雨之傷人也, 先客於皮膚, 傳入於孫脉. 孫脉滿, 則傳入于絡脉, 絡脉滿, 則輸于大經脉. 血氣與邪幷客於分腠之間, 其脉堅大, 故曰實. 實者, 外堅充滿, 不可按之, 按之則痛. 《內經》
풍우가 사람을 상하는 것은 먼저 살갗으로 들어와 손맥으로 전해 들어간다. 손맥이 가득차면 낙맥으로 전해 들어가고 낙맥이 가득차면 큰 경맥으로 들어간다. 혈기와 사기가 함께 분육과 주리 사이로 들어가는데 그 맥이 견하고 대해서 실하다고 한다. 실하면 겉이 단단하고 충만하여 누를 수 없고 누르면 아프다.내경
寒濕之中人也, 皮膚不收, 肌肉堅緊, 榮血澁, 衛氣去, 故曰虛. 虛者, 聶辟聶謂皺, 辟謂疊, 氣不足. 按之則氣足以溫之, 故快然而不痛. 《內經》
한습이 사람에게 적중하면 살갗이 수축되지 않고 기육이 단단하게 긴장되어 영혈이 껄끄럽고 위기가 사라지므로 허하다고 한다. 허하면 살갗이 주름지고 접히며섭을주름진것을말하고벽은접히는것을말함 기가 모자란다. 누르면 기가 충족되어 따뜻해져서 말끔히 통증이 사라진다.내경
其生於陰者, 憂思傷心, 重寒傷肺. 忿怒傷肝, 醉以入房, 汗出當風傷脾, 用力過度, 若入房, 汗出浴水, 則傷腎. 《靈樞》
병이 음에서 생기는 것은, 근심과 상념이 많아 심을 상하는 경우, 아주 추워서 폐를 상한 경우, 분노로 간을 상한 경우, 취한 채 성생활을 하거나 땀이 난 채로 바람을 쏘여 비를 상한 경우, 힘을 지나치게 많이 쓰거나 성생활로 땀이 나온 뒤 목욕을 해서 신을 상한 경우다.영추
陰陽虛盛음허 양허 음성 양성
內經曰, 陽虛則外寒, 陰虛則內熱, 陽盛則外熱, 陰盛則內寒.
내경에, 양이 허하면 겉이 차고, 음이 허하면 속에서 열이 나며, 양이 성하면 겉에서 열이 나고 음이 성하면 속이 차다고 했다.
陽虛生外寒者, 陽受氣於上焦, 以溫皮膚分肉之間. 今寒氣在外, 則上焦不通, 上焦不通, 則寒氣獨留於外, 故寒慄. 《內經》
양이 허해서 겉이 찬 것은 양이 기를 상초에서 받아 살갗과 분육 사이를 따뜻하게 하는데,, 지금 한기가 겉에 있어서 상초가 막히고 상초가 막히면 한기만 겉에 머물기 때문에 추워서 덜덜 떠는 것이다.
陰虛生內熱者, 有所勞倦, 形氣衰少, 穀氣不盛, 上焦不行, 下脘不通, 胃氣熱. 熱氣熏胸中, 故內熱. 《內經》
음이 허해서 속에서 열이 나는 것은 노권으로 형과 기가 쇠약해지고 곡기가 왕성하지 못해서 상초가 운행되지 못하고 하완이 막히니 위기에 열이 생겨서 열기가 가슴속을 훈증하므로 속에서 열이 나는 것이다.내경
陽盛生外熱者, 上焦不通利, 則皮膚緻密, 腠理閉塞, 玄府不通, 衛氣不得泄越. 故外熱. 《內經》
양이 성하면 겉에서 열이 나는 것은 상초가 잘 통하지 못해서 살갗이 치밀해져 주리가 막히고 땀구멍이 통하지 못하여 위기가 흩어지지 못하므로 겉에서 열이 나는 것이다.내경
陰盛生內寒者, 厥氣上逆, 寒氣積於胸中而不瀉, 不瀉則溫氣去, 寒獨留則血凝, 血凝則脉不通, 其脉盛大以濇, 故內寒. 《內經》
음이 성하면 속이 찬 것은 궐기가 거슬러 올라 한기가 가슴속에 쌓여 나가지 못하는데, 나가지 못하니 온기가 사라져 한기만 남게 되어 혈이 엉기어 막힌다. 혈이 엉기면 맥이 통하지 않아서 그 맥이 성대하면서 삽하기에 속이 찬 것이다.내경
內傷精神안으로 정과 신이 상함
內經曰, 故貴脫勢, 雖不中邪, 精神內傷, 身必敗亡. 始富後貧, 雖不傷邪, 皮焦筋屈, 痿躄爲攣. 暴樂暴苦, 始樂後苦, 皆傷精氣, 精氣竭絶, 形體毁沮.
내경에, 전에는 귀하게 살다가 권세를 잃으면 비록 사기가 적중되지 않더라도 안으로 정과 신이 상하여 반드시 몸이 망가진다. 처음에는 부자였다가 나중에 가난해지면 비록 사기가 상하지 않더라고 살갗이 마르고 근이 오그라들며 위벽으로 경련이 인다. 갑자기 기쁜 일이 생기거나 갑자기 괴로운 일이 생기고, 처음에는 즐겁게 지내다가 나중에는 괴로워지면 모두 정기를 상한다. 정기가 다해서 끊어지면 형체가 훼손되어 무너진다고 했다.
寒熱傷形氣한열은 형기를 상함
內經曰, 寒傷形, 熱傷氣, 氣傷痛, 形傷腫. 故先痛而後腫者, 氣傷形也. 先腫而後痛者, 形傷氣也. 註曰, 氣傷則熱結於肉分故痛, 形傷則寒薄於皮腠故腫也.
내경에, 한은 형을 상하게 하고, 열은 기를 상하게 한다. 기가 손상되면 아프고, 형이 손상되면 붓는다. 그러므로 먼저 아프고 뒤에 붓는 것은 기가 형을 상하게 한 것이고, 먼저 붓고 뒤에 아픈 것은 형이 기를 상하게 한 것이라고 했다. 주에, 기가 상하면 열이 기육에 울결되기 때문에 아프고, 형이 상하면 한기가 살갗과 주리에 치받기 때문에 붓는다고 했다.
喜怒傷氣, 寒暑傷形. 《內經》
희로는 기를 상하게 하고 한서는 형을 상하게 한다.내경
求屬法구속법 병의 근본 치료법
黃帝曰, 有病熱者, 寒之而熱, 有病寒者, 熱之而寒. 二者皆在, 新病復起, 奈何. 岐伯對曰, 諸寒之而熱者, 取之陰, 熱之而寒者, 取之陽, 所謂求其屬也. 註曰, 言益火之源, 以消陰翳, 壯水之主, 以鎭陽光, 故曰, 求其屬也. 《內經》
황제가, 열병이 있으면 차게 해도 열하고, 한병이 있으면 덥게 해도 한하며, 한열이 다 있는데 새로운 병이 다시 생기면 어찌해야 하느냐?고 물으니, 기백이 차게 해도 열이 나면 음을 취하고, 뜨겁게 해도 추우면 양을 취합니다. 이른바 속성을 치료한다는 것입니다라 답했다. 주에, 화의 근원을 더해서 음예를 없애고, 수의 주인을 든든히 해서 양광을 누르므로 병의 속성을 치료한다고 한 것이라고 했다.내경
療病式병 치료법
欲療病, 先察其源, 先候病機. 五藏未虛, 六府未竭, 血脉未亂, 精神未散, 服藥必活. 若病已成, 可得半愈. 病勢已過, 命將難痊. 《本草》
병을 치료하고자 하면 먼저 그 근원을 살피고, 먼저 병의 기미를 살펴야 한다. 오장이 허하지 않고 육부가 다하지 않았으며, 혈맥이 어지럽지 않고 정신이 흩어지지 않았으면 약을 먹으면 반드시 산다. 만약 병이 이미 났어도 절반은 나을 수 있지만 병세가 이미 지나쳤으면 낫기 어렵다.본초
三不治六不治세 가지 불치와 여섯 가지 불치
倉公有言曰, 病不肯服藥, 一死也. 信巫不信醫, 二死也. 輕身薄命, 不能將愼, 三死也. 《本草》
창공이, 병이 들었어도 약을 먹지 않으려 하는 것이 첫 번째 죽을 이유고, 의원을 믿지 않고 무당을 믿는 것이 두 번째 죽을 이유고, 몸을 가볍게 여기고 목숨을 우습게 보아 조심하지 않는 것이 세 번째 죽을 이유라 말했다.본초
扁鵲曰, 病有六不治. 驕恣不倫於理, 一不治也. 輕身重財, 二不治也. 衣食不能適, 三不治也. 陰陽幷, 藏氣不定, 四不治也. 形羸不能服藥, 五不治也. 信巫不信醫, 六不治也. 《入門》
편작이, 병에는 여섯 가지 치료할 수 없는 것이 있는데, 교만방자해서 이치에 따르지 않는 것이 첫 번째 치료할 수 없는 것이고, 몸을 가벼이 여기고 재물을 중요시하는 것이 두 번째 치료할 수 없는 것이고, 입고 먹는 것을 적당히 하지 않는 것이 세 번째 치료할 수 없는 것이고, 음양이 뒤섞이고 장기가 안정되지 않은 것이 네 번째 치료할 수 없는 것이고, 형체가 파리하고 약을 먹을 수 없는 것이 다섯 번째 치료할 수 없는 것이고, 무당을 믿고 의원을 믿지 않는 것이 여섯 번째 치료할 수 없는 것이라고 했다.입문
醫貴三世삼세를 이은 의원은 귀함
論語云, 人而無恒, 不可以作巫醫. 明此二法, 不可以權飾妄造. 所以醫不三世, 不服其藥. 九折臂者, 乃成良醫. 盖謂學功須深故也. 《本草》
논어에, 사람이 항심이 없으면 무당이나 의원이 될 수 없다고 했다. 이 두 가지 법은 멋대로 꾸미거나 함부로 지어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3세를 내려온 의원이 아니면 그 약을 먹지 않는다고 했고, 9번 팔이 부러져야 좋은 의사가 될 수 있다고 했다. 의술을 모름지기 깊이 배워야 한다는 것을 이른 것이다.본초
四時生病사계절 따라 생기는 병
靈樞曰, 冬傷於寒, 春生癉熱. 春傷於風, 夏生飱泄腸澼. 夏傷於暑, 秋生痎瘧. 秋傷於濕, 冬生咳嗽.
영추에, 겨울에 한기에 상하면 봄에 성열병이 생긴다. 봄에 풍사에 상하면 여름에 손설 장벽이 생긴다. 여름에 서사에 상하면 가을에 학질이 생긴다. 가을에 습사에 상하면 겨울에 기침을 한다고 했다.
內經曰, 春傷於風, 夏生飱泄. 夏傷於暑, 秋爲痎瘧. 秋傷於濕, 冬生咳嗽. 冬傷於寒, 春必病溫.
내경에, 봄애 풍사에 상하면 여름에 손설이 생기고, 여름에 서사에 상하면 가을에 학질이 되고, 가을에 습사에 상하면 겨울에 기침을 하고, 겨울에 한기에 상하면 봄에 반드시 온병이 온다고 했다.
又曰, 春傷於風, 邪氣留連, 乃爲洞泄. 夏傷於暑, 秋爲痎瘧. 秋傷於濕, 上逆而咳, 發爲痿厥. 冬傷寒, 春必病溫. 《內經》
또, 봄에 풍사에 상하면 사기가 머물러 동설이 되고, 여름에 서사에 상하면 가을에 학질이 되고, 가을에 습사에 상하면 치고 올라와 기침을 하고 위약해져 기가 거스르고, 겨울에 한기에 상하면 봄에 반드시 온병이 된다고 했다.내경
脉盛身寒, 得之傷寒. 脉虛身熱, 得之傷暑. 《仲景》
맥이 성하고 몸이 차면 상한에서 얻은 것이고, 맥이 허하고 몸에 열이 있으면 상서에서 얻은 것이다.중경
百病始生온갖 병의 시작
靈樞曰, 夫百病之始生也, 皆生風雨, 寒暑, 淸濕, 喜怒. 喜怒不節則傷藏, 風雨則傷上, 淸濕則傷下. 藏傷則病起於陰, 淸濕襲虛則病起於下, 風雨襲虛則病起於上.
영추에, 온갖 병의 처음 시작은 모두 풍우 한서 청습 희노에서 생긴다. 희노에 절도가 없으면 오장을 상하고, 풍우는 상부를 상하며, 청습은 하부를 상하고, 오장이 상하면 병이 음에서 일어나고, 청습이 허를 습격하면 병이 하부에서 일어나고, 풍우가 허를 습격하면 병이 상부에서 일어난다고 했다.
內經曰, 凡消癉, 仆擊, 偏枯, 痿厥, 氣滿發逆, 肥貴人則膏粱之疾也.
내경에, 소갈병 졸도 반신불수 위궐 기가 가득차서 치받는 병이 살지고 귀한 사람에게 오면 기름진 음식을 먹어서 생긴 것이다라고 했다.
隔則閉絶, 上下不通, 則暴憂之病也.
눌리고 닫혀 끊어져서 위아래로 통하지 않는 것은 갑작스런 근심 병이다.
暴厥而聾, 偏塞閉不通, 內氣暴薄也.
갑작스런 궐역으로 귀가 먹고, 대소졍리 나오지 않는 것은 내기가 갑자기 치받아서다.
不從內, 外中風之病, 故瘦留着也.
안에서 온 것이 아니라 밖에서 온 중풍은 유착되어 수척해진다.
蹠跛, 寒風濕之病也.
다리절룩거리는 것은 한풍습의 병이다.
黃疸, 暴痛, 癲疾, 厥狂, 久逆之所生也.
황달 갑작스런 통증 전질 궐증 광병은 기가 오랫동안 거슬러 올라 생긴 것이다.
五藏不平, 六府閉塞之所生也.
오장이 화평하지 못한 것은 육부가 막혀서 생긴 것이다.
頭痛耳鳴, 九竅不利, 腸胃之所生也. 《內經》
머리가 아프고 귀가 울며 구규가 잘 통하지 않는 것은 장위에서 생긴 것이다.내경
五邪中人, 各有法度. 風中於前口眼喎斜, 寒中於後頭項强痛. 霧傷於上, 濕傷於下. 風令脉浮, 寒令脉急. 霧傷皮腠, 濕流關節, 食傷脾胃. 極寒傷經, 極熱傷絡. 《難經》
오사가 사람에게 들어올 때는 각기 법도가 있다. 풍사는 앞으로 들어오고구안와사다, 한기는 뒤로 들어오고머리가아프고목이뻣뻣한것, 안개는 상부를 상하게 하고, 습사는 하부를 상하게 한다. 풍사는 맥을 부하게 하고, 한기는 맥을 급하게 한다. 안개는 살갗과 주리를 상하게 하고, 습사는 관절로 흐르며, 음식은 비위를 상하게 한다. 심한 한기는 경맥을 상하게 하고 심한 열사는 낙맥을 상하게 한다.난경
無痰不成瘧, 無많不成痢. 《直指》
담이 없으면 학질이 생기지 않고 적이 없으면 이질이 생기지 않는다.직지
病朝慧夕加모든 병은 아침에 가볍고 밤에 심함
黃帝問曰, 百病朝慧, 晝安, 夕加, 夜甚, 何也. 岐伯對曰, 朝則人氣始生, 衛氣始行故朝慧. 日中人氣長, 長則勝邪故安. 夕則人氣始衰, 邪氣始生故加. 夜半人氣入藏, 邪氣獨居於身故甚也. 《靈樞》
황제가, 모든 병은 아침에 가볍고 낮에는 안정되고 저녁에는 더해지고 밤에는 심해지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라고 묻자, 기백이 대답하기를, 아침에는 사람의 기가 생기기 시작해서 위기가 흐르기 시작하기 때문에 아침에는 상쾌합니다. 낮에는 사람의 기가 자라나는데 자라면 사기를 이기기 때문에 안정됩니다. 저녁에는 사람의 기가 쇠하기 시작하고 사기가 생기기 시작하기 때에 더해집니다. 밤중에는 사람의 기가 오장으로 들어가 사기만 신체에 남아서 심해집니다라 했다.영추
反常爲病정상에서 어긋나면 병이 됨
內經曰, 氣實形實, 氣虛形虛, 此其常也. 反此者病.
내경에, 기가 실하면 형도 실하고 기가 허하면 형도 허한 것 이는 정상이고 이와 반대는 병이라고 했다.
穀盛氣盛, 穀虛氣虛, 此其常也. 反此者病.
곡기가 왕성하면 기도 왕성하고, 곡기가 허하면 기도 허한 것이 정상이 이와 반대는 병이다.
脉實血實, 脉虛血虛, 此其常也. 反此者病.
맥이 실하면 혈도 실하고 맥이 허하면 혈도 허한 것이 정상이고 이와 대면 병이다.
氣虛身熱, 此謂反也. 穀入多而氣少, 此謂反也. 穀不入而氣多, 此謂反也. 脉盛血少, 此謂反也. 脉少血多, 此謂反也.
기는 허한데 몸에 열이 나는 것은 어긋난 것이다. 수곡이 많이 들어오는데 기가 적은 것도 어긋난 것이다. 맥은 왕성한데 혈이 적은 것도 어긋난 것이다. 맥은 적은데 혈이 많은 것도 어긋난 것이다.
穀入多而氣少者, 得之有所奪血, 濕居下也. 穀入少而氣多者, 邪在胃及與肺也. 《內經》
수곡은 많이 들어오는데 기가 적은 것은 혈을 빼앗겼거나 습이 하부에 있어서다. 수곡은 적게 들어오는데 기가 많은 것은 사기가 위와 폐에 있어서다.내경
便寒便熱찬것이 편하거나 뜨거운 것이 편한 경우
黃帝曰, 臨病人問所便奈何. 岐伯對曰, 夫中熱消癉則便寒, 寒中之屬則便熱. 胃中熱, 則消穀令人懸心善飢, 臍以上皮熱. 腸中熱, 則出黃如糜, 臍以下皮寒. 胃中寒, 則腹脹, 腸中寒, 則腸鳴飱泄. 胃中寒腸中熱, 脹而且泄, 胃中熱腸中寒, 則疾飢, 小腹痛脹. 《靈樞》
황제가. 병자를 볼 때는 편안한가를 묻는데 무엇 때문입니까? 하니, 기백이 대답하기를, 중초에 열이 있어 소갈이 생긴 것이면 찬것을 편안해 하고, 중초에 한이 있어 생긴 것이면 뜨거운 것을 편안해 합니다. 위 속에 열이 있으면 곡기를 소화해서 사람에게 배고프다는 마음에 매달리게 하고, 배꼽 위의 살갗에 열이 납니다. 장 속에 열이 있으면 죽같이 누렇게 나오고 배꼽 아래 살갗이 찹니다. 위 속에 한이 있으면 배가 부풀어오르고 장 속에 한이 있으면 장에서 소리가 나고 소화되지 않은 설사를 합니다. 위 속에 열이 있고 장 속에 한이 있으면 빨리 배고프고 아랫배가 붓고 아프다고 했다.영추
肥瘦辨病候살지고 마른 것으로 병을 구분하는 징후
靈樞曰, 肥而澤者, 血氣有餘, 肥而不澤者, 氣有餘, 血不足. 瘦而無澤者, 血氣俱不足. 審察其形氣有餘不足而調之, 可以知逆順矣.
영추에, 살찌고 윤기가 있으면 혈 기에 여유가 있다. 살은 쩠지만 윤기가 없으면 기는 여유가 있지만 혈은 모자란다. 마르고 윤기도 없으면 혈 기 다 모자란다. 그 형과 기가 남아도는지 모자라는지를 잘 살펴서 조리한다면 병의 역과 순을 알 수 있다고 했다.
人黑瘦者, 易治, 肥大肉厚赤白者, 難愈. 黑人耐風濕, 赤白者不耐風濕. 瘦人肉硬, 肥人肉軟. 肉軟則受病難愈. 《千金》
검고 마른 사람은 쉽고, 비대해서 살이 많고 붉거나 흰 이는 치료하기 어렵고, 검은 이는 풍습을 잘 견디지만 붉거나 흰 이는 풍습을 견디지 못하고, 마른 이는 살이 단단하고 살찐 이는 살이 무르고, 살이 무르면 병이 났을 때 치료가 어렵다.천금
氣衰則身冷, 血衰則膚硬. 《入門》
기가 쇠하면 몸이 차고, 혈이 쇠하면 살갗이 단단해진다.입문
肥人, 氣虛生寒, 寒生濕, 濕生痰. 瘦人, 血虛生熱, 熱生火, 火生燥. 故肥人多寒濕, 瘦人多熱燥也. 《丹心》
살찐 이는 기가 허해서 한이 생기는데 한은 습을 낳고 습은 담을 낳는다. 마른 이는 혈이 허해서 열이 나는데 열은 화를 낳고 화는 조를 낳는다. 그래서 살찐 이는 한습이 많고 마른 이는 열조가 많다.단심
勇怯異形용감한 이와 겁많은 이는 형체가 다름
黃帝曰, 願聞勇怯之所由然. 少愈曰, 勇士者, 目深以固, 長衡直揚, 三焦理橫, 其心端直, 其肝大以堅, 其膽滿以傍. 怒則氣盛而胸脹, 肝擧而膽橫, 眥裂而目揚, 毛起而面蒼. 此勇士之由然也.
황제가, 용감하거나 겁을 내는 까닭을 듣고 싶습니다라 하니, 소유가, 용감한 이는 눈이 깊고 또렷하며 눈썹이 길고 곧으며 삼초의 무늬가 가로로 놓이고 마음이 단정하고 곧으며, 간이 크고 단단하고 담에는 담즙이 가득합니다. 성내면 기가 성하여 가슴이 부풀고 간이 들려서 담이 가로놓이며 눈가가 찢어질 듯 눈을 치뜨며, 털이 곤두서고 얼굴이 푸르게 됩니다. 이것이 용감한 이가 되는 까닭입니다라 했다.
帝曰, 願聞怯士之所由然. 少兪曰, 怯士者, 目大而不深, 陰陽相失, 三焦理縱, 𩩲骬短而小, 肝系緩, 其膽不滿而縱, 腸胃挺, 脇下空. 雖方大怒, 氣不能滿其胸, 肝肺雖擧, 氣衰復下, 故不能久怒. 此怯士之由然也.
제가, 겁이 많은 이가 되는 까닭을 듣고 싶습니다라 하니, 소유가, 겁이 많은 이는 눈이 크고 깊지 않으며 음양이 조화롭지 않고 삼초의 무늬가 세로로 놓이며, 갈우가 짧고 작으며 간계가 느슨하고 담즙이 가득차지 않아 장위가 올라붙어 옆구리 아래가 비어 있습니다. 비로 크게 성을 내더라도 기가 가슴을 채우지 못하고 간폐가 들려도 기가 쇠하여 다시 내려가지 때문에 오래 성낼 수가 없습니다. 이것이 겁이 많은 이가 되는 까닭입니다라 했다.
帝曰, 怯士之得酒, 怒不異勇士者, 何藏使然. 少兪曰, 酒者, 水穀之精, 熟穀之液也. 其氣慓悍, 其入于胃中. 則胃脹氣上逆, 滿于胸中, 肝浮膽橫. 當是之時, 固比于勇士, 氣衰則悔. 與勇士同類, 不知避之, 名曰酒悖也. 《靈樞》
제가, 겁이 많은 이가 술을 마시고 성을 내면 용감한 이와 다르지 않은데 어는 장기 때문인가요? 하니, 소유가, 술이란 수곡의 정화로 곡식을 숙성시킨 액입니다. 그 기가 날래고 사나워서 위 속에 들어가면 위가 부풀어 오르고 기가 거슬러 올라 가슴속을 가득 채우면 간이 뜨고 담이 가로놓입니다. 당연히 이때는 참으로 용감 이와 비슷해지지만 기가 쇠하면 후회합니다. 용감한 이와 동류가 되어 피할 것을 아지 못하는 것을 주패라고 합니다라 했다.영추
臟腑病緩傳장부병완전 장부의 병이 천천히 전이되는 경우
內經曰, 五藏相通, 移皆有次. 五藏有病, 則各傳其所勝. 不治, 法三月若六月, 三日若六日, 傳五藏而當死. 註曰, 病有緩傳者, 有急傳者, 緩者, 或一歲二歲三歲而死, 其次或三月若六月而死. 急者, 一日二日三日四日, 或五六日而死.
내경에, 오장은 서로 통하는데 옮기는 데는 다 순서가 있다. 오장에 병이 들면 각기 그가 이기는 곳에 옮긴다. 치료하지 않으면 3개월이나 6개월 혹은 3일이나 6일 안에 오장으로 옮겨서 죽는다. 주에, 병은 천천히 옮겨지는 것과 빨리 옮겨지는 것이 있는데, 천천히 옮기는 것은 혹 1년 2년 3년에 죽게 되고, 혹 3개월 6개월이면 죽게 되고, 급한 것은 하루나 이틀, 3일 4일 혹은 5-6일이면 죽게 된다고 했다.
今風寒客於人, 使毫毛畢直, 皮膚閉而爲熱. 當是之時, 可汗而發也. 不治, 病入舍於肺, 名曰肺痺, 發咳上氣. 不治, 肺卽傳而行之肝, 病名曰肝痺, 脇痛出食. 當是之時, 可按若刺耳. 不治, 肝傳之脾, 病名曰脾風, 發癉腹中熱, 煩心出黃. 當此之時, 可按可藥可浴. 不治, 脾傳之腎, 病名曰疝瘕, 小腹寃熱而痛, 出白. 當此之時, 可灸可藥. 不治, 腎傳之心, 筋脉相引而急, 病名曰瘈. 當此之時, 可灸可藥. 不治滿十日, 法當死. 腎因傳之心, 心卽復反傳而行之肺, 發寒熱, 法當三歲死. 此病之次也.
풍한이 사람에게 칩입하면 털을 모두 곤두서게 하고 살갗이 닫혀 열이 나게 된다. 이때는 땀을 내서 발산시켜야 한다. 치료하지 않으면 병이 폐에 들어와 자리잡는 것을 폐비라고 하는데 기침을 하고 기가 치오른다. 치료하지 않으면 폐로 옮긴 병이 간으로 옮긴 것을 간비라고 하는데 옆구리가 아프고 먹은 것을 토한다. 이때는 안마를 하거나 자침을 해야 한다. 치료하지 않으면 간으로 옮긴 병이 비로 전이된 것을 비풍이라고 하는데 황달이 생기고 뱃속에 열이 나며 마음이 답답하고 오줌이 누렇다. 이때는 안마 약물 목용으로 치료해야 한다. 치료하지 않으면 비로 옮긴 병이 신으로 옮긴 것을 산가라 하는데, 아랫배에 열이 쌓여 아프고 흰 오줌을 눈다. 이때는 뜸이나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 치료하지 않으면 신의 병이 심으로 옮겨져서 근맥이 서로 당겨 팽팽해진 병을 계라고 한다. 이때는 뜸을 뜨거나 약으로 채료해야 한다. 치료하지 않고 열흘이 지나면 당연히 죽는다. 신병은 심으로 옮기고 심이 다시 폐로 옮기면 한열이 생기면서 3년만에 죽에 된다. 이것이 병이 옮겨지는 차례다.
此邪初入表, 傳之緩也. 《內經》
이것은 사기가 처음에 외부에서 들어와서 옮기는 것이 느린 것이다.내경
臟腑病急傳장부병이 빨리 전이되는 경우
夫病傳者. 心病先心痛. 一日而咳心傳肺, 三日脇支滿肺傳肝, 五日閉塞不通, 身痛體重肝傳脾, 三日不已死, 冬夜半, 夏日中.
병이 옮겨지는 것은, 심병에는 먼저 심통이 있고, 하루만에 기침이 나고심이폐에전한것 3일만에 협구리가 결리고 그득하면폐가간에전한것 5알만에 대소변이 막혀 나오지 않고 몸이 아프고 무겁다.간이비에전한것 3일에 그치지 않으면 죽으니 겨울에는 한밤중에 죽고 여름에는 한낮에 죽는다.
肺病喘咳. 三日而脇支滿肺傳肝. 一日身重體痛, 五日而脹肝傳脾胃, 十日不已, 死, 冬日入, 夏日出.
폐병은 숨이 차고 기침을 한다. 3일만에 옆구리가 결리고 그득하다.폐가간에전한것 하루가 지나면 몸이 무겁고 아프며 5일만에 배가 부풀어 오른다.간이비위에전한것
肝病頭目眩脇支滿. 三日體重身痛, 五日而脹肝傳脾胃, 三日腰脊小腹痛脛痠脾傳腎, 三日不已, 死, 冬日入, 夏早食.
간병은 머리와 눈이 어지럽고 옆구리가 결리고 그득하다. 3일만에 몸이 무겁고 아프며 5일만에 배가 부풀어 오르며간이비위에전한것 3일만에 요추 아랫배가 아프면서 정강이가 시리다.비가신에전한것 3일만에 그치지 않으면 죽는데 겨울에는 해질 무렵 여름에는 아침 식사 시간이다.
脾病身重體痛. 一日而脹脾自傳胃, 二日小腹腰脊痛脛痠, 三日背膂筋痛, 小便閉脾傳腎膀胱, 十日不已, 死, 冬人定, 日晏食.
비병은 몸이 무겁고 아픈데, 하루만에 불러오고비에서저절로위에전해진것 이틀만에 아랫배 허리 척추가 아프면서 정강이가 시리고 3일만에 척추 옆 근육이 아프고 오줌이 막힌다.비가신방광에전한것 열흘만에 그치지 않으면 죽는데 겨울에는 사람이 잠들었을 때, 여름에는 저녁시간 무렵에 죽는다.
腎病小腹腰脊痛䯒痠. 三日背膂筋痛, 小便閉腎傳膀胱, 三日腹脹膀胱傳小腸, 三日兩脇支痛小腸傳心, 二日不已, 死, 冬大晨, 夏晏晡.
신병은 아랫배 허리 척추가 아프면서 정강이가 시리다. 3일만에 척추 옆의 근육이 아프고 오줌이 막히고신이방광에전한것 3일만에 배가 부풀어 오르고방광이소장에전한것 3일만에 양 옆구리가 결리고 아프다.소장이시메전한것 2일만에 그치지 않으면 죽는데, 겨울에는 날이 밝을 때 죽고 여름에는 황혼에 죽는다.
胃病脹滿. 五日小腹腰脊痛䯒痠胃傳腎, 三日背膂筋痛, 小便閉腎傳膀胱, 五日身體重膀胱傳心, 六日不已, 死, 冬夜半後, 夏日昳.
위병은 창만이 생기는데, 5일만에 아랫배 허리 척추가 아프면서 정강이가 시리고위기신에전한것 3일만에 척추 옆의 근육이 아프고 오줌이 막히며신이방광에전한것 5일만에 몸이 무겁다방광이심에전한것. 6일만에 그치지 않으면 죽는데 겨울에는 자정이 지나서 죽고 여름에는 한낮 후에 죽는다.
膀胱病小便閉. 五日小腹脹腰脊痛䯒痠膀胱傳腎, 一日腹脹腎傳小腸, 二日身體痛小腸傳心, 二日不已, 死, 冬雞鳴, 夏下晡.
방광병은 오줌이 막힌다. 5일만에 아랫배가 부풀어 오르고 허리 척추가 아프며 정강이기 시리고방광이신에전한것 하루만에 배가 부풀어 오르고신이소장에전한것 2일만에 몸이 아프다소장이심에전한거. 2일만에 그치지 않으면 죽는데 겨울에는 닭 울 때 죽고, 여름에는 해질 무렵에 죽는다.
謂大氣入藏, 盖傳之急者也. 《內經》
큰 사기가 오장에 들어간 것을 이른 것인데 급하게 옮겨진다.내경
邪精虛實사기 정기의 허실
內經曰, 邪之所湊, 其氣必虛. 許學士云, 留而不去, 其病則實.
내경에, 사기가 모여드는 곳은 그 기가 반드시 허하다고 했다. 허학사가, 제거되지 않고 머물러 있으면 그 병은 실해진다고 했다.
邪氣盛則實, 精氣奪則虛. 《內經》
사기가 왕성한 것을 실증이라 하고, 정기가 빠진 것을 허증이라고 한다.내경
重實重虛者, 言大熱病. 氣熱脉滿, 是謂重實也. 脉虛氣虛尺虛, 是謂重虛也. 《內經》
중실 중허란 열이 심한 병을 말한다. 기에 열이 있고 맥이 그득한 것을 중실이라 하고, 맥이 허하고 기가 허하고 척부가 허한 것을 중허라고 한다.내경
三虛三實삼허 삼실
人有三虛三實何謂也. 然有脉之虛實, 有病之虛實, 有診之虛實. 脉之虛實者, 濡者爲虛, 緊牢者爲實. 病之虛實者, 出者爲虛, 入者爲實. 言者爲虛, 不言者爲實. 緩者爲虛, 急者爲實. 診之虛實者, 濡者爲虛, 牢者爲實. 痒者爲虛, 痛者爲實. 外痛內快, 爲外實內虛. 內痛外快, 爲內實外虛. 《難經》
사람에게 삼허 삼실이 있다는 것은 뭘 말하는 것인가? 그러나 맥에는 허실이 있고, 병에도 허실이 있고, 증상에도 허실이 있다는 것이다. 맥의 허실은 유는 허한 것이고, 죄긴한 것은 실한 것이다. 병의 허실은 나가는 것이 허한 것이고, 들어오는 것이 실한 것이다. 말하는 것은 허한 것이고 말하지 못하는 것은 실한 것이다. 느린 것은 허한 것이고, 급한 것은 실한 것이다. 증상의 허실은 눌러서 부드러우면 허한 것이고 단단하면 실한 것이다. 가려우면 허한 것이고 아프면 실한 것이다. 겉은 아프지만 속은 편안 것이 외실내허고 속은 아프지만 겉은 편안한 것이 내실외허다.난경
脉從病反맥은 순응하는데 병은 상반됨
黃帝曰, 脉從而病反者, 何如. 岐伯曰, 脉至而從, 按之不鼓, 諸陽皆然. 帝曰, 諸陰之反, 何如. 岐伯曰, 脉至而從, 按之鼓甚而盛也. 註曰, 病熱而脉數, 按之不鼓動, 乃寒盛格陽而致之, 非熱也. 形證皆寒, 按之而脉氣鼓擊於指下而盛, 此爲熱盛拒陰而生病, 非寒也. 《內經》
황제가, 맥은 따르는데 병은 상반되는 것은 무엇인가요?라 하니, 기백이, 맥은 이르러 따르지만 눌러보면 뛰지 않는 것이니 모든 양병이 다 그러합니다라 했다. 제가, 모든 음병의 상반은 어떠한가요?라고 하니, 기백이, 맥은 이르러 따르지만 눌러보면 뛰지 않는 것은 심하게 뛰고 왕성합니라고 했다. 주에, 열병에 맥이 삭하지만 눌러보면 뛰지 않는 것은 한성격양으로 인한 것이지 열증이 아니다. 형체의 증상이 모두 한하지만 눌러 보면 맥의 기운이 손가락을 세게 치면서 왕성하게 뛰는 것은 열성거음으로 병이 든 것이지 한증이 아니다라 했다.내경
證似陽者, 脉亦從證似陽, 而其病反是寒也. 證似陰者, 脉亦從證似陰, 而其病反是熱也. 皆反其脉證施治. 如身熱煩躁面赤, 其脉沈而微, 是陰證似陽也. 身熱者, 裏寒故也. 煩躁者, 陰盛故也. 面戴陽者, 下虛故也. 若誤謂實熱, 反與涼藥則氣消, 成大病矣. 四逆湯方見寒門, 加葱白治之. 如手足逆冷, 大便秘, 小便赤, 脉沈而滑者, 陽證似陰也. 輕者, 白虎湯, 重者, 承氣湯二方幷見寒門下之.
징후가 양증 같고 맥도 증상에 따라 양증과 비슷하지만 그 병이 오히려 한인 것이 있고, 징후가 음증과 비슷하지만 그 병이 오히려 열인 것이 있다. 모두그 맥과 상반되게 치료해야 한다.가령 몸에 열이 나고 번조가 있으며 얼굴이 붉은데 그 맥이 침미한 것은 음증이 양증처럼 보이는 것이다. 몸에 열이 나는 것은 속이 차서고, 변조가 있는 것은 음이 성해서고, 얼굴이 뷹운 것은 아래가 허해서다. 만약 실열로 잘못 보아서 반대로 찬 약을 투여하면 기가 사그라져서 큰 병이 된다. 사역탕처방은한문에있다에 총백을 넣어 치료한다. 가령 손발이 싸늘하고 변비가 있으며 오줌이 벌겋지만 맥이 침활한 것은 양증이 음증처럼 보이는 것이다. 가벼우면 백호탕을, 무거우면 승기탕두처방은다한문에있다으로 설사를 시킨다.
此二節言證似陽, 而脉病屬陰, 證似陰, 而脉病屬陽, 故反其證而治之. 盖證似陽, 而脉病屬陰者, 世尙能辨, 若脉證俱是陰, 而病獨屬陽者, 擧世莫辨而致夭折者, 滔滔皆是. 《綱目》
이 두 구절은 징후는 양증처럼 보이지만 맥과 병은 음에 속하는 것과, 징후는 음증처럼 보인지만 맥과 병은 양에 속하는 것을 말한 것이므로 그 징후와 반대로 치료해야 한다. 싱후는 양증처럼 보이지만 맥과 병이 음에 속하는 것은 세상이 오히려 구별할 수 있으나 만일 맥과 증이 모두 음증이고 병만 양에 속하는 것은 온 세상 사람들이 구별하지 못해서 요절에 이르는 경우가 많은 것이 이것이다.강목
標本相反표본의 상반
六氣之病, 標本相反者, 惟太陽少陰之病爲最. 盖太陽標陽而本寒, 少陰標陰而本熱. 按之不鼓, 爲寒盛格陽者, 太陽寒水之本與標相反也. 按之鼓甚, 爲熱甚拒陰者, 少陰君火之本與標相反也. 不知相反者, 逆標氣之陰陽而正治, 則順本氣之寒熱而病加. 知相反者, 順標氣之陰陽而反治, 則逆本氣之寒熱而病愈矣. 《綱目》
육기의 병에서 표본이 상반되는 것은 태양병과 소음병이 제일 심하다. 태양에서 표는 양이고 본은 한이며, 소음에서 표는 음이고 본은 열이다. 눌러서 뛰지 않는 것은 한이 성하여 양을 쫓아내는 것인데, 태양한수의 본과 표가 상반된 것이다. 눌러서 심하게 뛰는 것은 열이 심해서 음을 밀어내는 것인데 소음군화의 표와 본이 상반되는 것이다. 상반되는 것을 아지 못하고 표기의 음양을 거슬러 정치법을 쓰면 본기의 한열에 순응해서 병이 심해진다. 상반되는 것을 알아서 표기의 음양에 따라 반대로 치료하면 본기의 한영을 거슬러서 병이 낫는다.강목
惡寒ㆍ惡熱오한 오열
發熱惡寒者, 發於陽, 無熱惡寒者, 發於陰. 《仲景》
발열오한은 양에서 생긴 것이고 무열오한은 음에서 생긴 것이다.중경
惡寒非寒, 明是熱證, 惡熱非熱, 明是虛證. 《丹心》
오한이면서 차지 않으면 분명히 열증이고, 오열이면서 열이 없으면 분명히 허증이다.단심
久病非寒, 暴病非熱. 《綱目》
오랜 병은 한증이 아니고 갑작스런 병은 열증이 아니다.강목
榮衛生病영위에 생긴 병
黃帝問曰, 榮衛寒痺之爲病, 奈何. 伯高答曰, 榮之所生也, 寒熱少氣, 血上下行. 衛之生病也, 氣痛時來時去, 怫愾賁響. 風寒客于腸胃之中. 寒痺之爲病也, 留而不去, 時痛而皮不仁也. 《靈樞》
황제가, 영 위 한비의 병은 어떠합니까?라 하니, 백고가, 영에 생기면 한열이 있고 기운이 없으면 혈이 위아래로 흘러다니고, 위에 병이 생기면 기통이 때로는 있다가 때로는 없다가 하고 답답하면서 꼬르륵소리가 납니다. 풍한이 장위 속에 들어와섭니다. 한비에 병이 생겨서 머물러 제거되지 않으면 때때로 아프고 살갗에 감각이 없습니다라 했다.영추
能食不能食음식을 먹을 수 있고, 없고
中風能食, 傷寒不能食. 《丹心》
중풍에는 음식을 먹고, 상한에는 음식을 먹지 못한다.단심
凡病辨有餘不足졀릉 여유와 부족을 구별해야 함
凡病來潮作之時, 病氣精神增添者, 是爲病氣有餘, 乃邪氣勝也. 急瀉之, 以寒涼酸苦之劑.
병이 조수처럼 밀려와 발작할 때 병의 기세가 심해지고 정신이 맑아지면 이는 병의 기운이 남아도는 것이어서 곧 사기가 성한 것이다. 빨리 차고 서늘하고 시고 쓴 약으로 사해야 한다.
若病來潮作之時, 神氣困弱者, 爲病氣不足, 乃眞氣不足也. 急補之, 以辛甘溫熱之劑.
병이 조수처럼 밀려와 발작해서 신기가 피곤하고 약한 것은 병의 기운이 모자란 것이어서 진기가 모자란 것이다. 빨리 맵고 달고 뜨거운 약으로 보해야 한다.
如病人形氣不足, 病來潮作之時, 病氣亦不足, 此乃陰陽俱不足也. 禁用鍼, 宜補之以甘藥. 又灸臍下氣海穴.
병자가 형과 기가 모자라면 병이 조수처럼 밀려와 발작하면 병기도 모자라니 이는 곧 음양이 다 모자란 것이다. 침을 써서는 안 되고 단맛의 약으로 보해야 한다. 또 배꼽 아래 기해혈에 뜸을 떠야 한다.
夫氣謂口鼻中氣息也. 形謂皮肉筋骨血脉也. 形勝者爲有餘, 消瘦者爲不足也. 氣者, 審口鼻中氣, 勞役如故, 爲氣有餘也. 若喘息, 氣促, 氣短, 或不足以息者, 爲不足也. 故曰, 形氣也. 《東垣》
기는 입과 코로 숨을 쉬는 숨을 이르는 것이고, 형은 살갗 살 근육 뼈 혈맥을 이른다. 형이 승한 것은 여유가 있다는 것이고, 형이 마른 것은 모자란 것이다. 기는 입과 코의 숨을 살펴서 일을 많이 하고도 평소와 같으면 기가 남아도는 것이고 만약 숨이 차고 급하며 숨이 짧거나 숨을 제대로 쉴 수 없는 것은 모자란 것이다. 그래서 형기라고 한다.동원
凡病有形無形병의 유형과 무형
靈樞曰, 有形而不痛者, 陽之類也. 無形而痛者, 陰之類也. 無形而痛者, 陽完而陰傷之也. 急治其陰, 無攻其陽. 有形而不痛者, 其陰完而陽傷之也. 急治其陽, 無攻其陰. 陰陽俱動, 乍有形乍無形, 加以煩心, 命曰陰勝其陽. 此謂不表不裏, 其形不久也.
영추에, 형에는 있으나 아프지 않는 것은 양병에 속하고, 형에는 없으니 아픈 것은 음병에 속한다. 형에는 없으나 아픈 것은 양은 온전하지만 음은 상한 것이어서 빨리 음을 치료해야지 양을 쳐서는 안 된다. 형은 있고 아프지 것은 음은 온전하나 음이 상한 것이어서 빨리 양을 치료해야지 양을 쳐서는 안 된다. 음양이 다 움직여서 형이 잠깐 있다가 없다가 하면서 마음이 답답함이 더해지는 것은 음이 양을 이겼다고 한다. 이는 겉의 병이 아니고 속병도 아닌 것을 말하니 오래 살지 못한다고 했다.
三焦不歸삼초가 되돌아가지 못함
寸口脉微而濇, 微者, 衛氣不行, 濇者, 榮氣不逮. 榮衛不能相將, 三焦無所仰, 身體痺不仁. 榮氣不足, 則煩疼, 口難言. 衛氣虛, 則惡寒, 數欠. 三焦不歸其部, 上焦不歸者, 噫而呑酢, 中焦不歸者, 不能消穀引食, 下焦不歸者, 則遺尿. 《仲景》
촌구맥이 미 색하면 미는 위기가 운행하지 못하는 것이고 색은 영기가 이르지 못하는 것이다. 영위가 서로 돕지 못하면 삼초가 기댈 곳이 없어서 몸이 저리고 감각이 없어진다. 영기가 모자라면 답답하고 아프며 말을 하기 어렵다. 위기가 허하면 오한이 있고 하품을 자주한다. 삼초가 그 부에 돌아가지 못하는 것은, 상초가 돌아가지 못하면 트림을 하고 신물을 삼키며, 중초가 돌아가지 못하면 음식을 소화시키지 못해서 밥을 끌어들이지 않고, 하초가 돌아가지 못하면 오줌을 지린다.중경
二尸四異四奇이시병 사이병 사기병
小兒魃病, 生者爲相繼, 死者爲傳尸也. 有脉而無氣, 謂之尸厥, 有氣而無脉, 謂之行尸.
소아 발병 중에서 산 이를 상계라 하고, 죽은 이를 전시라고 한다. 맥이 있고 기가 없는 것을 일러 시궐이라고 하고, 기가 있고 맥이 없는것을 행시라고 한다.
丁奚, 哺露, 客忤, 無辜, 四異病也.
정해감 포로감 객오감 무고감이 4이병이다.
陽易, 陰易, 百合, 狐惑, 四奇病也. 《海藏》
양역 음역 백합 호혹이 4기병이다.해장
男女病因남녀 병인
凡病男子必審房勞, 女人先問經孕. 《入門》
병에 남자는 반드시 방사를 살피고 여자는 먼저 달거리와 임신을 물어야 한다.입문
升降失常爲病늘상 오르내리지 못하면 병이 됨
凡頭面上病, 皆百邪上攻. 胸膈間病, 皆百邪上衝. 腸胃間病, 皆百邪下流而傳入. 不然, 則血氣失升降之常, 陽當升而不升, 陰當降而不降. 識病機栝, 盡於此矣. 《入門》
머리와 얼굴의 병은 다 온 사기가 상부를 공격한 것이고, 흉격 사이의 병은 다 사기가 치고 올라온 것이다. 장위 사이의 병은 다 사기가 아래로 흘러 전입된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혈기가 정상적으로 오르내리지 못해서 양은 올라가야 하는데 올라가지 못하고 음은 내려가야 하는데 내려가지 못해서 생긴 것이다. 병을 아는 관건은 이에서 다한다.입문
陽病者, 上行極而下, 陰病者, 下行極而上. 上下必于中焦. 於是三焦溷亂, 內外氣塞. 《靈樞》
양병은 끝까지 올라갔다가 내려가고, 음병은 끝까지 내려갔다가 올라가는데 상행과 하행은 반드시 중초를 지난다. 그래서 삼초가 혼란하면 내외의 기가 막힌다.영추
手之三陽, 從手走頭, 足之三陽, 從頭走足. 是高能接下也. 足之三陰, 從足走腹, 手之三陰, 從腹走手, 是下能趨上也. 故上下升降而爲和. 易曰, 天道下濟而光明, 地道卑而上行. 難經曰, 氣主煦之升也, 血主濡之潤也. 夫唱則婦隨, 血隨氣而上行. 氣也者, 寄于辛, 用于寅, 平朝始從中焦注, 循天之紀左旋, 至丑而終, 晝夜通行五十度, 周流八百一十丈. 《東垣》
수삼양경은 손을 따라 머리로 가고 족삼양경은 머리를 따라 발로 가니 이는 높은 곳에서 아래로 접할 수 있다. 족삼음경은 발을 따라 배로 가고 수삼음경은 배를 따라 손으로 가니 이는 아래서 위로 올라갈 수 있다. 그러므로 위아래로 오르내리면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역에, 천도는 아래로 내려와 밝게 빛나고 지도는 낮은 곳에서 위로 올라온다고 했다. 난경에, 기는 온기를 주관해서 올라가고, 혈은 수분을 주관해서 윤택해진다고 했다. 부차부수인 것처럼 혈은 기를 따라 올라간다. 기는 신에 기생하면서 인시에 작용해서 새벽에 중초에서 시작하여 하늘의 법칙에 따라 왼쪽으로 돌다가 축시에 이르러 마치는데 밤낮으로 50번을 돌아서 810장을 돈다.동원
辨陰陽二證음양증의 구분법
凡病陰證, 則身靜重語無聲, 氣難布息. 目睛不了了, 鼻中呼不出吸不入往來, 口與鼻中氣冷. 水漿不入, 大小便不禁, 面上惡寒, 有如刀刮. 《東垣》
병의 음증은 몸이 무거워 움직이지 않고 말을 해도 소리가 나지 않고 숨쉬기도 어렵다. 눈동자가 또렷하지 않고 코로 숨을 쉬어도 나가지 않고 들이마셔도 들어오지 않으며, 입과 코를 드나드는 공기가 차다. 물도 넘기지 못하고 대소변을 참지 못하며 얼굴에 오한이 들어 칼로 에는 듯하다.동원
陽證, 則身動輕語有聲, 目睛了了. 鼻中呼吸出入能往而能來, 口與鼻中氣皆然. 《東垣》
양증은 몸을 가볍게 움직이고 말을 하면 소리가 울리며 눈동자가 또렷하다. 코로 숨을 쉬는데 들고나는 숨이 원활하다. 입과 코로 숨쉬는 것이 다 그러하다.동원
身表涼, 知在陰經也. 名曰陰證. 身表熱, 知在陽經也. 名曰陽證. 《入門》
몸의 겉이 찬 것은 음경에 있는 것으로 알고 음증이라고 한다. 몸의 겉에 열이 나는 것은 음양경에 있는 것으로 알아 양증이라고 한다.입문
陽勝則身熱, 腠理閉, 喘麄爲之俛仰. 汗不出而熱, 齒乾以煩寃腹滿死. 能冬不能夏能與耐同. 陰勝則身寒汗出, 身常凊, 數慄而寒. 寒則厥, 厥則腹滿死. 能夏不能冬. 《內經》
양이 승하면 몸에 열이 나고 주리가 닫히며 숨이 거칠어 몸을 구부렸다 폈다 하면서 숨을 쉰다.
땀이 나지 않으면서 열이 나고 이가 마르면서 몹시 답답하여 괴로우며 배가 그득해서 죽는다. 겨울엔 견디나 여름에는 견디지 못하다.능은내와같다 음이 승하면 몸이 차고 땀이 나며 몸이 늘 서늘해서 자주 덜덜 떨면서 오한이 있다. 오한이 있으면 수족이 싸늘하고 수족이 싸늘하면 배가 그득해서 죽는다. 여름에는 견디나 겨울에는 견디지 못한다.내경
凡病人開目喜見人者, 屬陽也, 閉目不欲見人者, 屬陰也.
병자가 눈을 뜨고 사람 보기를 좋아하면 양에 속하고, 눈을 감고 사람을 보지 않으려 하면 음에 속한다.
多睡者, 陽虛陰盛也. 無睡者, 陰虛陽盛也.
잠이 많은 것은 양이 허하고 음이 성한 것이고, 잠이 없는 것은 음이 허하고 양이 성한 것이다.
喜明者屬陽, 元氣實也. 喜暗者屬陰, 元氣虛也.
밝은 것을 좋아하면 양에 속하는데 원기가 실한 것이고, 어두운 것을 좋아하면 음에 속하는데 원기가 허한 것이다.
睡向壁者屬陰, 元氣虛也. 睡向外者屬陽, 元氣實也. 《回春》
잘 때 벽을 향하는 것은 음에 속하는데 원기가 허한 것이고, 잘 때 바깥을 향하는 것은 양에 속하는데 원기가 실한 것이다.회춘
辨內傷外傷내외상의 구분법
詳見內傷.
자세한 것은 내상에 있다.
八虛候五臟8허로 오장을 살핌
黃帝問曰, 人有八虛, 各何以候. 岐伯對曰, 以候五藏也. 肺心有邪, 其氣流于兩肘, 肝有邪, 其氣流于兩脇一作腋, 脾有邪, 其氣流于兩髀一作股, 腎有邪, 其氣流于兩膕. 凡此八虛者, 皆機關之室, 眞氣之所過, 血絡之所遊, 邪氣惡血固不得留住, 留住則傷經絡骨節, 機關不得屈伸, 故病攣也. 《靈樞》
황제가 묻기를, 사람에게 있는 팔허는 각기 무엇을 살핍니까? 하니, 기백이 대답하기를, 오장으로 살피는데, 폐 심에 사기가 있으면 그 기가 양 팔꿈치로 흘러가고, 간에 사기가 있으면 그 기가 양 옆구리혹은겨드랑이라고했다로 흘러들어가고, 비에 사기가 있으면 그 기가 양 넓적다리혹은고라고도했다로 흘러들어가고, 신에 사기가 있으면 그 기가 양 오금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이 팔허는 모두 관절의 집이고 진기가 지나가는 곳이며 혈락이 흐르는 곳이므로 사기나 어혈이 머무르게 해서는 안 됩니다. 머무르면 경락과 골절이 상하여 관절을 구부렸다 폈다 하지 못해서 경련이 입니다라 했다.영추
人不食七日死사람은 7일 동안 먹지 않으면 죽음
黃帝曰, 願聞人之不食七日而死, 何也. 伯高對曰, 腸胃之中, 常留穀二斗, 水一斗五升. 故平人日再後, 後二升半, 一日中五升, 七日則五七三斗五升, 而留水穀盡矣. 故平人不食飮七日而死者, 水穀精氣津液皆盡故也. 《靈樞》
황제가, 사람이 이레 동안 먹지 않으면 죽는다고 들었는데 어째서입니까? 하고 물으니, 백고가 대답하기를, 장위 속에는 늘 곡식 2말과 물 1.5말이 남아 있는데, 정상적인 사람은 하루에 2번 뒤를 보되 2.5되씩 내보내므로 하루에 5되를 내보내고 이레면 3.5말을 내보내어 남아 있던 수곡이 다합니다. 그래서 정상적인 사람이 이레 동안 먹지 않으면 죽으니 수곡의 정기와 진액이 다 없어져섭니다라 했다.영추
病有五逆병의 5가지 역증
黃帝曰, 何謂五逆. 岐伯曰, 熱病脉靜, 汗已出脉盛躁, 是一逆也. 病泄脉洪大, 是二逆也. 着痺不移, 䐃肉破身熱, 脉偏絶, 是三逆也. 淫而奪形, 身熱色夭白, 及後下血衃, 血衃篤重, 是謂四逆也. 寒熱奪形, 脉堅搏, 是謂五逆也. 《靈樞》
황제가, 무엇을 오역이라 합니까? 하니, 기백이, 열병인데도 맥이 안정되다가 땀이 이미 나고서도 맥이 왕성하고 조급한데 뛰는 것이 첫 번째 역증이고, 설사인데도 맥이 홍대한 것이 두 번째 역증이고, 마비가 고착되어 옮겨가지 않아 두터운 살이 생긴 것이 파열되고 몸에 열이 나며 맥이 치우치게 끊어지는 것이 세 번째 역증이고, 음핵으로 형기를 빼앗기고 몸에 열이 나며 안색이 어둡고 장백하고 대변에 검붉은 피가 섞여 나오면 위독한 것으로 이를 네 번째 역증이라 하고, 오한 발열로 형기를 빼앗겼으나 맥이 견실한 것을 다섯 번째 역증이라고 합니다라 했다.영추
帝曰, 諸病皆有逆順, 可得聞乎. 岐伯曰, 腹脹, 身熱, 脉大, 是一逆也. 腹鳴而滿, 四肢淸泄, 其脉大, 是二逆也. 衄而不止, 脉大, 是三逆也. 咳且溲血脫形, 其脉小勁, 是四逆也. 咳脫形, 身熱, 脉小以疾, 是謂五逆也. 如是者, 不過十五日而死矣. 《靈樞》
腹大脹, 四末淸, 脫形泄甚, 是一逆也. 腹脹便血, 其脉大時絶, 是二逆也. 咳溲血, 形肉脫, 脉搏, 是三逆也. 嘔血, 胸滿引背, 脉小而疾, 是四逆也. 咳嘔腹脹, 且飱泄, 其脉絶, 是五逆也. 如是者, 不及一時而死矣. 《靈樞》
제가, 모든 병에는 다 역순이 있다는데 들을 수 있나요? 하니, 기백이, 배가 부풀어 오르고 몸에 열이 나는데 맥이 대한 것이 첫 번째 역증이고, 뱃속에서 소리가 나면서 더부룩하고 사지가 차갑고 설사를 하는데 맥이 대한 것이 두 번째 역증이고, 코피가 멎지 않은데도 맥이 대한 것이 세 번째 역증이고, 기침하고 혈뇨가 나오면서 살이 빠지는데도 그 맥이 소하고 경한 것이 네 번째 역증이고, 기침을 하며 살이 빠지고 몸에 열이 나는데도 맥이 소하고 질한 것이 다섯 번째 역증인데, 이와 같으면 1시를 못 넘기고 죽습니다라 했다.영추
五味所入오미가 들어가는 곳
酸入肝, 辛入肺, 苦入心, 醎入腎, 甘入脾, 是謂五入. 《內經》
신맛은 간으로 들어가고, 매운맛은 폐로 들어가고, 쓴맛은 심으로 들어가고 짠맛은 신으로 들어가고 단맛은 비로 들어가는데 이를 오입니라고 한다.내경
五氣所病오기로 생기는 병
心爲噫, 肺爲咳, 肝爲語, 脾爲呑, 腎爲欠爲嚏. 胃爲氣逆爲噦爲恐. 大腸小腸爲泄. 下焦溢爲水. 膀胱不利爲癃, 不約爲遺尿. 膽爲怒. 是謂五病. 《內經》
심에 있으면 트림이 나오고, 폐에 있으면 기침이 나오고, 간에 있으면 말이 많고, 담에 있으면 삼키고, 신에 있으면 하품과 재채기를 한다. 위에 있으면 기역과 딱굴질 두려움이 생긴다. 대소장에 있으면 설사를 하고, 하초에 있으면 넘쳐서 수종이 된다. 방광에 있으면 오줌이 잘 통하지 못해서 융폐가 생기거나 참지 못해 지리게 된다. 담에 있으면 성을 잘 내게 된다. 이를 오병이라 이른다.내경
五精所幷오정이 아우르는 것
精氣幷於心則喜, 幷於肺則悲, 幷於肝則憂, 幷於脾則畏, 幷於腎則恐. 是謂五幷, 虛而相幷者也. 註曰, 精氣, 謂火之精氣也. 肺虛而心精幷之則爲喜. 他藏倣此. 《內經》
정기가 심에 병합되면 기뻐하고, 폐에 평합되면 슬퍼하고, 간에 병합되면 우울해 하고, 비에 병합되면 두려워하고, 신에 병합되면 무서워한다. 이를 오병이라고 이르는데, 허해서 서로 병합하는 것이다. 주에, 정기는 화의 정기다. 폐가 허해서 정기가 심으로 병합되면 기뻐한다고 했으니 다른 장기도 이와 같다.내경
五臟所惡오장이 싫어하는 것
心惡熱, 肺惡寒, 肝惡風, 脾惡濕, 腎惡燥, 是謂五惡. 《內經》
심은 열을 싫어하고, 폐는 한을 싫어하고, 간은 풍을 싫어하고, 비는 습을 싫어하고, 신은 조를 싫어한다. 이를 오오라고 이른다.내경
五臟化液오장의 진액
心爲汗, 肺爲涕, 肝爲淚, 脾爲涎, 腎爲唾, 是謂五液. 《內經》
심은 땀이 되고, 폐는 콧물이 되고, 간은 눈물이 되고 비는 침이 되고, 신은 침이 된다. 이를 오액이라 이른다.내경
五味所禁오미를 금하는 것
辛走氣, 氣病無多食辛, 醎走血, 血病無多食醎, 苦走骨, 骨病無多食苦, 甘走肉, 肉病無多食甘, 酸走筋, 筋病無多食酸. 是謂五禁, 無令多食. 《內經》
매운맛은 기에 들어가므로 기병에는 신 것을 많이 먹으면 안 된다. 짠맛은 혈에 들어가므로 혈병에는 짠 것을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쓴맛은 골에 들어가므로 골병에는 쓴 것을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단맛은 육에 들어가므로 육병에는 단 것을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신맛은 근에 들어가므로 근병에는 신 것을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이를 오금이라고 이르는데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내경
五病所發오병이 생기는 곳
陰病發於骨, 陽病發於血, 陰病發於肉, 陽病發於冬, 陰病發於夏, 是謂五發. 《內經》
음병은 골에서 생기고, 양병은 혈에서 생기고, 음병은 육에서 생기고, 양병은 겨울에 생기고 음병은 여름에 생기는데 이를 오발이라고 이른다.내경
五邪所亂오사가 어지럽히는 것
邪入於陽則狂, 邪入於陰則痺, 搏陽則爲巓疾, 搏陰則爲瘖, 陽入之陰則靜, 陰出之陽則怒, 是謂五亂. 《內經》
사기가 양으로 들어가면 미치고, 사기가 음으로 들어가면 비증이 된다. 양을 치면 전질이 되고 음을 치면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양이 음으로 들어가면 안정되고 음이 양에서 나오면 화를 내게 된다. 이를 오난이라 이른다.내경
五邪所見오사가 나타나는 것
春得秋脉, 夏得冬脉, 長夏得春脉, 秋得夏脉, 冬得長夏脉. 是謂五邪, 皆同命死不治. 《內經》
봄에 가을 맥이 나타나고, 여름에 겨울 맥이 나타나고 장하에 봄 맥이 나타나고 가을에 여름 맥이 나타나고 겨울에 여름 맥이 나타난다. 이를 오사라 이르는데 모두 같은 운명으로 치료하지 못하고 죽는다.내경
五臟所藏오장이 저장하는 것
心藏神, 肺藏魄, 肝藏魂, 脾藏意, 腎藏志, 是謂五藏所藏. 《內經》
심은 신을 갈무리하고, 폐는 백을 갈무리하고, 간을 혼을 갈무리하고, 비는 의를 갈무리하고, 신은 지를 갈무리한다. 이를 오장이 갈무리하는 것이라고 한다.내경
五臟所主오장이 주관하는 것
心主脉, 肺主皮, 肝主筋, 脾主肉, 腎主骨, 是謂五主. 《內經》
심은 맥을 주관하고, 폐는 살갗을 주관하고, 간은 근을 주관하고, 비는 살을 주관하고, 신은 뼈를 주관하고는데 이름 오주라 이른다.내경
五勞所傷오로로 상하는 것
久視傷血, 久臥傷氣, 久坐傷肉, 久立傷骨, 久行傷筋, 是謂五勞所傷. 《內經》
오래 보면 혈을 상하고, 오래 누워 있으면 기를 상하고, 오래 앉아 있으면 살을 상하고, 오래 서 있으면 뼈를 상하고 오래 걸으면 근을 상하는데 이를 일러 오로오상이라 한다.내경
五脉應象오맥이 상응하는 모양
肝脉弦, 心脉鉤, 脾脉代, 肺脉毛, 腎脉石, 是謂五藏之脉. 《內經》
간맥은 현맥이고, 심맥은 구맥이고, 비맥은 대맥이고, 폐맥은 모맥이고 신맥은 석맥인데 이를 오장의 맥이라 이른다.내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