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內經>曰 肝在志爲怒 怒傷肝 悲勝怒 心在志爲喜 喜傷心 恐勝喜 脾在志爲思 思傷脾 怒勝思, 肺在志爲憂 憂傷肺 喜勝憂 腎在志爲恐 恐傷腎 思勝恐

<내경>, 간에 지가 있어 성내게 되고 성내게 되면 간이 상하고, 슬픔이 성내는 것을 이긴다. 심에 지가 있어 기뻐하고 기뻐하는 것이 심을 상하며 공포가 기쁨을 이긴다. 비에 지가 있어 생각을 하게 되고 생각이 비를 상하게 하며 성내는 것이 생각을 이긴다. 폐에 지가 있어 근심하게 되고 근심은 폐를 상하며 기쁨이 근심을 이긴다. 신에 지가 있어 무서워하며 무서움이 신을 상하게 하고 생각이 공포를 이긴다.

<丹溪>曰 五志之火 鬱而成痰 爲癲狂 宜以人事制之 如怒傷肝者 以憂(一作 悲)勝之 以恐解之 喜傷心者 以恐勝之 以怒解之 思傷脾者 以怒勝之 以喜解之 憂傷肺者 以喜勝之 以思解之. 恐傷腎者 以思勝之 以憂解之 驚傷膽者 以憂勝之 以恐解之. 悲傷心包者 以恐勝之 以怒解之 此法 惟賢者 能之

<단계>, 오지의 화가 몰려서 담이 되어 전광증이 생긴다. 응당 사람이 제어를 해야 한다. 성을 내서 간이 상할 것 같으면 근심( 어떤 때는 슬픔)으로 이를 억누르며 무서움으로 풀어준다. 기쁨이 마음을 상하면 무서움으로 이를 억누르고 성냄으로 풀어준다. 생각이 비를 상하면 성냄으로 억누르고 기쁨으로 풀어준다. 근심이 폐를 상하면 기쁨으로 억누르고 생각으로 풀어준다. 무서움이 신을 상하면 생각으로 억누르고 근심으로 풀어준다. 놀람이 담을 상하면 근심으로 억누르고 무서움으로 풀어준다. 슬픔이 심포를 상하면 무서움으로 억누르고 성냄으로 풀어준다. 이 방법은 오직 현명한 이만이 할 수 있다.

一婦人 飢不欲食 常好怒罵 欲殺左右 惡言不輟 衆醫不效 <戴人> 視之曰 此難以藥治 乃使二娼各塗丹粉 作伶人狀 其婦大笑 次日又作角觗 又大笑 其傍常以兩箇能食之 婦誇其食美 病婦亦食而爲一嘗之 不數日怒減食增 不藥而差 後生一子 夫醫貴有才 無才則何以應變無窮(子和)

어떤 부인이 배는 고픈데 먹고 싶지 않고 늘 성을 잘 내고 욕을 잘하며 곁에 있는 이를 죽이려 하고 악담을 멈추지 않았다. 어떤 의원도 소용 없었다. 대인이 보고는 왈, 이 병은 약으로는 치료하기 어렵다고 하고는 곧 두 창기를 각각 분단장을 잘 시켜서 광대 형상을 하게 했더니 그 부인이 크게 웃었다. 다음날 또 씨름을 하게 하니 또 크게 웃었다. 부인 곁에는 늘 음식 잘 먹는 사람 둘을 두어 그 음식이 맛있다고 자랑하며 달게 먹게 하였다. 병든 부인 역시 한 번 맛보게 되고는 며칠이 안 되어 성내는 것은 줄고 식욕은 늘어 약을 쓰지 않고도 차도가 있었다. 후에 아들 하나를 낳았다. 대개 의원은 재능이 있어야 하는데 재능이 없으면 어찌 임기응변을 무궁하게 할 수 있겠는가?(자화)

一女 許婚後 夫經商二年不歸 其女 因不食困臥如痴 無他病多向裏床坐 此思想氣結也 藥獨難治 得喜可解 不然令其怒 予自往激之 大怒而哭 至三時許 令父母解之 與藥一貼 卽求食矣 予曰 病雖愈 必得喜方已 乃給以夫回旣而果然病不擧矣 盖脾主思 過思則脾氣結而不食 怒屬肝木 怒則木氣 升發而衝 開脾氣矣(丹溪)

어떤 여자가 결혼 후에 남편이 장사를 떠나서 두 해가 지나도 돌아오지 않았다. 그 여인이 이로 인해 음식을 먹지 못하고 천치처럼 자리에 누워만 있었다. 다른 병은 없었고 안으로 향해 침상에 앉아 있는 일이 많았다. 이것은 생각이 기를 몰리게 한 것이다. 약만으로는 치료하기 어렵고 기쁨을 주어야 풀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그가 성을 내게 해야 한다. 내가 스스로 가서 그 여인을 충동질해서 크게 성을 내게 한 다음 울게 하고 세 시진쯤 지나서 부모에게 달래게 하고는 한 첩 약을 주었더니 곧 밥을 달라고 했다. 내가 왈, 병은 비록 나았으나 반드시 기쁘게 하는 처방을 써야 한다. 곧 남편이 돌아온다고 하니 과연 병이 도지지 않았다. 대개 비는 생각을 주관하므로 생각이 지나치면 비기가 몰려서 먹고 싶지 않게 되고 성내는 것은 간목에 속하기 때문에 성을 내면 목기가 위로 올라와 충돌하는 비기를 열어 준다.(단계)

 

神病不治證

<內經>曰 得神者昌 失神者亡 失神者 謂失精神 而昏亂者也

<내경>, 정신이 온전한 사람은 건강하고 실신한 사람은 죽는다. 실신이란 정신을 잃어서 혼란한 것을 말한다.

<靈樞>曰 癲疾 嘔多沃沫 氣下泄 不治

<영추>, 전질은 거품을 많이 토하는데 기가 빠지면 치료할 수 없다.

癲癎之病 乍作乍醒者甦 不食迷痴者死(得效) 凡癲狂癇之病若神脫 而目瞪如愚痴者 不可治(正傳).

전간증으로 잠깐 발작했다가 잠깐 깨어나면 만약 실신했다가 깨어나면 살 수 있고, 먹지도 못하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면 죽는다.(득효) 대체로 전광과 간질에 만약 정신이 나갔고 눈동자가 천치 같으면 치료할 수가 없다.

<靈樞>曰 癲疾者 疾發如狂 死不治

<영추>, 전질은 병의 발작이 광증 같으면 치료할 수 없어 죽는다.

 

神病用藥訣1

人之所主者心 心之所養者血 心血一虛 神氣不守 此驚悸之所肇端也 驚者 恐怖之謂 悸者 怔忪之謂 驚者 與之豁痰定驚之劑 悸者 與之逐水消飮之劑 怔忪 卽怔忡也(直指)

사람을 주제하는 것은 심이고 심을 보양하는 것은 혈이다. 심과 혈이 일단 허하고 신기를 제자리를 지키지 못하면 이는 경계의 발단이 된다. 경이란 공포를 이른다. 계는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을 이른다. 경에는 담을 삭이고 놀람을 진정시키는 약제를 쓴다. 계에는 물기를 몰아내고 담음을 삭이는 약제를 써야 한다. 정종은 곧 정충이다.(직지)

健忘者 心脾二藏 血少神虧故也 宜養血安神 以調之(醫鑒)

건망증은 심과 비 두 장기에 혈이 적고 신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응당 혈을 보양하고 전신을 안정시켜 조리를 해야 한다.(의감)

狂爲痰火實盛 癲爲心血不足 多爲求望高遠 不得志者有之 癇病 獨主乎痰 因火動之所作也 治法 癇宜乎吐, 狂宜乎下 癲則宜乎 安神養血 兼降痰火(正傳)

광증은 담화가 몹시 성해서 생기고, 전증은 심혈이 부족해서 생긴다. 바라는 것이 높고 원대해서 뜻대로 얻을 수 없을 때 생긴다. 간증은 주로 담이 화 때문에 동해서 발작한다. 치료법은 간증은 응당 토하게 해야 하고, 광증은 응당 설사를 시켜야 한다. 전증은 응당 전신을 안정시키고 보혈하며 담화를 함께 내려야 한다.(정전)

癲狂 久不愈 三聖散方見吐門吐之 後用三承氣湯方見寒門大下之(保命).

전광증이 오래 되면 나을 수 없다. 삼성산(처방은 토문을 보라)으로 토하게 하고 나서 삼승기탕(처방은 한문을 보라)을 써서 크게 설사를 하게 한다.(보명)

<河間>曰 五志過極 皆爲火也 盖氣爲陽而主輕微 諸所動亂勞傷 皆爲陽化之火 神狂氣亂 而爲病 熱者多矣 <子和><河間>治五志獨得 言外之意 凡見喜 怒 悲 思 恐之證 皆以平心火爲主 至於勞者 傷於動 動便屬陽 驚者駭於心 心便屬火 二者 亦皆以平心火 爲主也(丹心)

<하간>, 5지가 지나치면 모두 화가 생긴다. 대개 기는 양이 되고 경미한 것을 주관하고 여러 가지 동란으로 지쳐서 상한 것은 다 양기의 변화로 된 화이다. 정신 미치고 기가 혼란하여 병이 되어 열이 나는 것이 많다. 자화 왈, 하간은 다섯 가지 지를 치료하는 데에 말로써 할 수 없는 의견을 얻었다. 대개 희로비사공의 증상을 보면 모두 평상의 심화를 주로 하는데 피로한 것은 움직임에서 상하고 움직임은 곧 양에 속하며 놀라는 것은 마음에 놀라는 것인데 심은 곧 화에 속하므로 역시 모두 심화를 평안하게 하는 것을 위주로 삼는다.(단심)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