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臟虛實爲夢
肝氣虛則夢見菌香生草 實則夢伏樹下不敢起 心氣虛則夢救火陽物 實則夢燔灼 脾氣虛則夢飮食不足 實則夢築垣盖屋 肺氣虛則夢見白物見人斬血藉藉 實則夢見兵戰 腎氣虛則夢見舟船溺人 實則夢伏水中若有畏恐(內經)
간기가 허하면 꿈에 버섯이나 산나물이 보이며 실하면 나무 아래 엎드려서 일어나지 못하는 꿈을 꾼다. 심기가 허하면 꿈에 불을 끄거나 햇볕에 있으며, 실하면 불에 구워지는 꿈을 꾸고, 비기가 허하면 꿈에 음식이 부족하고 실하면 담장을 쌓거나 집을 덮는 꿈을 꾼다. 폐기가 허하면 꿈에 흰물건을 보거나 사람을 참해서 피가 낭자한 것을 보고 실하면 군인이 싸우는 것을 본다. 신기가 허하면 배가 보이거나 물에 빠진 사람이 보이고 실하면 물에 엎어지거나 무서운 것이 보인다.(내경)
陽氣之出入爲寤寐
○ 靈樞曰 衛氣之行晝行於陽 則目張而寤 夜行於陰 則目瞑而寐
○ 영추 왈, 위기가 낮에는 양에서 돌기 때문에 눈을 떠 깨어나며, 밤에는 음에서 돌기 때문에 눈을 감고 잔다.
○ 鄭康成曰 口鼻之呼吸爲魂 耳目之聰明爲魄 以耳目與口鼻對言則口鼻爲陽 耳目爲陰 以耳目口鼻與臟腑對言則耳目口鼻爲陽 臟腑爲陰 故陽氣行陽分二拾五度 於身體之外 則耳目口鼻 皆受陽氣 所以能知覺視聽 動作而寤矣 陽氣行陰分二拾五度 於臟腑之內 則耳目口鼻 無陽氣運動 所以不能知覺而寐矣 聰明者 豈非陽氣爲之乎(入門)
○ 정강성 왈, 입과 코로 숨을 쉬는 것이 혼이 되고 귀와 눈이 총명한 것이 백이 되니 이목과 구비로 대비해서 말하자면 구비는 양이 되고 이목은 음이 된다. 이목과 구비를 장부에 대비해서 말하자면 이목구비는 양이 되고 장부는 음이 되니 그러므로 양기는 양분을 25번 도는데 몸 밖에서는 모두 양기를 받아 그 때문에 지각도 하고 시청할 수도 있고 움직일 수가 있어서 깨어 있다. 양기가 음분을 25번 도는데 장부 속을 돌면 이목구비가 움직이는 양기가 없기 때문에 지각할 수 없어 잠을 잔다. 눈이 밝고 귀가 밝은 것은 어찌 양기가 없이 할 수 있겠는가!(입문)
昏沈多睡
○ 靈樞曰 足太陽有通項入于腦者 正屬目本 名曰眼系 在項中兩筋間 入腦乃別陰蹻陽蟜 陰陽相交陽入陰陰出陽 交于目銳眥(當作目內眥) 陽氣盛則瞋目 陰氣盛則瞑目
○ 영추 왈, 족태양경은 목을 통해서 뇌로 통하는데 바로 눈에 속해 있으므로 안계라 한다. 목 가운데 양 힘줄 사이에 있어서 뇌로 들어가 음교와 양교로 갈라졌다가 음양이 서로 교차하여 양은 음으로 들어가고 음은 양에서 나와 음예자(반드시 목내자라고 해야 한다)에서 만난다. 양기가 성하면 눈을 부릅뜨고 음기가 성하면 눈을 감는다.
○ 衛氣不得入於陰 常留於陽 留於陽則陽氣滿 陽氣滿則陽盛 不得入於陰 故目不瞑 又曰衛氣留於陰 不得行於陽 留於陰 則陰氣盛 陰氣盛 則陰滿 不得入於陽 故目閉(入門)
○ 위기가 음에 들어갈 수가 없으면 늘 양에 머무르고 양에 머무르면 양기가 가득차고 양기가 가득차면 양이 성하여 음에 들어갈 수가 없다. 그러므로 눈을 감는다. 또 왈, 위기가 음에 머무르면 양이 돌 수가 없고 음에 머무르면 음기가 성하고 음기가 성하면 음이 가득차서 양에 들어갈 수가 없어서 눈을 감는다.(입문)
○ 傷寒之邪 傳入陰則多眠昏 昏閉目者 陰主闔也 黙黙不欲言者 陰主靜也. 太陽證已解而多眠者 不必藥也 陽明證 熱伏於裏而 多眠者 宜小柴胡湯方見寒門 少陰之證 脈微細但欲寐 盖寤則行陽 寐則行陰 必從足少陰始 故少陰病但欲寐 宜茯苓四逆湯方見寒門 以益陰回陽 或熱病 得汗後 脈沈細身冷喜臥 昏沈不省 亦急與四逆湯令四肢溫 不爾有熟睡而死者 惟汗下後酣眠者 爲正氣已復 不必藥也(入門)
○ 상한의 사기가 전해서 음으로 들어가면 잠이 많고 정신이 어지러워 눈을 감는데 이는 음이 닫는 것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묵연히 말을 하지 않으려는 것은 음이 조용한 것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태양증이 이미 풀려 잠이 많으면 약이 필요 없다. 양명증에 열이 속에 남아 있어서 잠이 많으면 응당 소시호탕(처방은 한문을 보라)을 쓴다. 소음증은 맥이 약하고 가늘어 오직 자려고만 한다. 깨어나면 양으로 돌게 되고 잠들면 음으로 돌게 되는데 반드시 족소음을 따라서 시작되므로 소음병은 잠만 자려고 하는 것이다. 응당 복령사역탕(처방은 한문을 보라)을 써서 음을 보하고 양을 회복하는 것이 좋다. 간혹 열병에 땀을 낸 후에도 맥이 가라앉고 가늘어 몸이 차고 눕기를 좋아하고 어지러워 가라앉고 깨어나지 못하는 것도 역시 급히 사역탕을 써서 사지를 따뜻하게 해 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깊이 잠들었다가 죽을 수도 있다. 땀을 낸 후에 푹 자는 것은 정기가 이미 회복된 것이므로 약이 필요 없다.(입문)
○ 風溫多眠 狐惑多眠 並見本文
○ 풍온증으로 잠을 많은 것과 호혹증으로 잠이 많은 것이 있다.(다 본문에 있다)
虛煩不睡
○ 靈樞曰 黃帝問曰 人之目不瞑 不臥者 何氣使然 伯高對曰 衛氣晝日行於陽 夜行於陰 常從足少陰之分間 行於五臟六腑 今厥氣客於臟腑 則衛氣獨衛其外 不得入於陰 行於陽則陽氣盛 陽氣盛則陽蹻陷 不得入於陰 陰氣虛 故目不瞑 飮以半夏湯一劑 陰陽已通 其臥立至 其方以流水千里外者八升 揚之萬遍 取其淸五升 煮之炊以葦薪火沸 置秫米一升 治半夏五合 徐炊令竭爲一升半 去其渣 飮汁一小盃日三 稍益以知爲度 其病新發者 覆盃則臥 汗出則已矣 久者三飮而已也
○ 영추 왈, 황제가, 사람이 눈을 감지 못하고 자지 못하는 것은 무슨 기운이 하는가 하고 물었다. 백고가 대답하되, 위기는 낮에는 양에서 돌고 밤에는 음에서 도는데 늘 족소음경맥을 따라 나누어져서 오장육부로 돌아간다. 궐기가 장부에 머무르면 위기는 혼자서 밖을 보위해야 하기 때문에 음에 들어갈 수가 없어서 양에서만 돌게 된다. 그러면 양기가 성해지고 양기가 성해지면 양교가 함몰되고 음에 들어갈 수가 없어서 음기가 허해지기 때문에 눈을 감을 수가 없다고 했다. 반하탕 한 제를 먹으면 음양이 통하고 잠을 자게 된다. 처방은 천리 밖에서부터 흐르는 물 8되를 떠서 만 번쯤 휘저은 다음 맑은 물 5되를 취해서 갈대짚불로 끓이는데 찰기장쌀 한 되 법제한 반하 다섯 홉을 넣고 서서히 달여서 한 되반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그 즙을 작은 술잔으로 하루 세 번 먹는다. 조금씩 양을 늘려서 차도를 알 때까지 쓴다. 병이 갓 생겼을 때는 이 약을 먹으면 잠이 오고 땀이 나면서 낫는다. 오래 되었어도 세 번 먹으면 낫는다.
○ 身不覺熱 頭目昏疼 口乾咽燥而不渴 淸淸不寐 皆虛煩也(三因)
○ 몸에 열은 없고 머리가 아프고 눈앞이 아찔하고 입이 마르고 목이 마르나 갈증은 나지 않고 정신이 또렷해지면서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모두 허번이다.(삼인)
○ 大病後 虛煩不睡 溫膽湯主之 甚者 益元散方見暑門 加朱砂 牛黃 服之(入門)
○ 큰 병 후에 허번으로 잠을 자지 못하면 온담탕을 주로 쓴다. 심하면 익원산(처방은 서문을 보라) 가주사 우황을 먹는다.(입문)
○ 但獨熱者 虛煩也 起臥不安 睡不穩 謂之煩 宜竹葉石膏湯方見寒門 酸棗仁湯(入門)
○ 혼자만 열을 느끼는 것이 허번이다. 앉으나 누우나 편치 않고 잠이 깊이 들지 못하는 것을 일러 번이라 한다. 응당 죽엽석고탕(처방은 한문을 보라) 산조인탕을 쓴다.(입문)
○ 不寐有二種 大病後虛弱 及年高人 陽衰不寐者 六君子湯方見痰門 加炒酸棗仁 黃芪 如痰在膽經 神不歸舍而不寐者 溫膽湯 加南星 酸棗仁炒(醫鑑)
○ 잠을 못 자는 데는 두 가지가 있는데 큰 병 후에 허약해져서 못 자는 것과 늙은이가 양기가 쇠하여 잠을 못 자는 것이다. 육군자탕(처방은 담문을 보라)에 덖은 산조인과 황기를 넣어 쓴다. 담경에 담연이 있어서 신이 제 자리로 돌아가지 못해서 잠을 못자면 온담탕에 남성과 덖은 산조인을 넣어서 쓴다.(의감)
○ 虛煩者 心胸煩擾而不寧也 內經曰 陰虛則內熱 今之虛煩 多是陰虛生內熱所致 是故傷寒吐下後 及霍亂吐瀉後 津液枯渴 多有虛煩之證(醫鑑).
○ 허번이란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못한 것이다. 내경 왈, 음이 허하면 속에 열이 있다. 허번은 흔히 음이 허하고 속에 열이 나서 이르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한으로 토하고 설사한 다음이나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한 다음에는 진액이 부족해져서 흔히 허번증이 생긴다.(의감)
○ 虛煩不睡 宜寧志膏 酸棗仁湯 高枕無憂散 眞珠母元 獨活湯
○ 허번으로 잠을 자지 못하면 응당 영지고 산조인탕 고침무우산 진주모원 독활탕을 쓴다.
○ 勞心膽冷 夜臥不睡 定志元方見神門 加酸棗仁炒 栢子仁炒 朱砂 乳香爲衣 棗湯下50丸 加味溫膽湯 亦上之(醫鑑)
○ 지나치게 마음을 써서 담경이 냉해서 밤에 누워 자지 못하면 정지원(처방은 신문을 보라)에 덖은 산조인 주사 유향에 주사를 입혀 조탕에 50알을 먹는다. 가미온담탕을 써도 된다.(의감)
○ 癲狂不睡傷寒不睡並見各門
○ 전광증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과 상한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도 있다.(다 해당 문을 보라)
【酸棗仁湯】
治虛煩不睡 及傷寒吐下後 虛煩不睡 石膏10g 酸棗仁炒 人參各6g 知母 赤茯苓 甘草各4g 桂心2g 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入門)
【산조인탕】
허번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과 상한으로 토하고 설사한 다음 허번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석고10g 산조인초 인삼각6g 지모 적복령 감초각4g 계심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을 넣어 물에 끓여 먹는다.(입문)
【溫膽湯】
治 心膽虛怯 觸事易驚 夢寐不祥 虛煩不得睡 半夏 陳皮 白茯苓 枳實各8g 靑竹茹4g 甘草2g, 爲剉作一貼 薑五片棗二枚 水煎服(醫鑒) 驚悸 怔忡 失志 不寐 皆是痰涎沃心 宜理痰氣 此藥主之
【온담탕】
심과 담이 허약하여 걸핏하면 잘 놀라고 꿈자리가 사나우며 허번으로 잘 수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반하 진피 백복령 지실각8g 청죽여4g 감초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다섯 쪽과 대추 두 알을 넣고 물에 끓여서 먹는다. 경계 정충과 뜻을 잃어 잠을 못 자는 것은 다 담연이 심에 들어갔기 때문이다. 응당 담기를 다스려야 하는데 이 약을 주약으로 한다.(의감)
【加味溫膽湯】
治心膽虛怯 觸事易驚 夢寐不祥 虛煩不得睡 半夏14g 陳皮9g 竹茹 枳實各6g 酸棗仁炒 遠志 五味子 人參 熟地黃 白茯苓 甘草各4g爲剉分作二貼 薑五片棗二枚 水煎服(回春) 前方加酸棗仁 五味子 遠志 人參 熟地黃也 心肝氣血虛者 尤宜服之
【가미온담탕】
심과 담이 허약하여 걸핏하면 잘 놀라고 꿈자리가 사나우며 허번으로 잘 수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반하14g 진피9g 죽여 지실각6g 산조인초 원지 오미자 인삼 숙지황 백복령 감초각4g을 썰어서 두 첩으로 나누어 생강 다섯 쪽과 대추 두 알을 넣어 물로 끓여 먹는다.(회춘) 앞의 처방에 산조인 오미자 원지 인삼 숙지황을 더한다. 심과 간의 기혈이 허하면 더욱 쓰는 것이 좋다.
【寧志膏】
治虛煩不得睡 或夢涉危險睡臥不寧 酸棗仁炒二兩人蔘一兩朱砂五錢乳香二錢半 右爲末煉蜜和丸彈子大每一丸溫酒化下大棗湯亦可(局方)
○ 婦人失血過多心神不安不得睡臥朱砂酸棗仁炒人蔘白茯神琥珀各七錢半乳香二錢右爲末每一錢燈心棗子煎湯調下(大全良方)
【영지고】
허번으로 잠을 자지 못하거나 꿈에 위험한 곳을 건너면서 잠자리가 편치 않은 것을 치료한다. 산조인초드냥중 인삼한냥중 주사오전 유향이전반을 가루내어 졸인 꿀에 반죽하여 노른자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한 알씩 따뜻한 술에 풀어 먹거나 대조탕으로 먹어도 좋다.(국방)
○ 婦人失血過多心神不安不得睡臥朱砂酸棗仁炒人蔘白茯神琥珀各七錢半乳香二錢右爲末每一錢燈心棗子煎湯調下(大全良方)
○ 부인이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심신이 불안하고 잠을 자지 못하는 데는 주사 산조인초 인삼 백복신 호박을 각각 7전반, 유향 이전을 가루내어 매 일전씩을 등심초와 대추를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대전양방)
【酸棗仁湯】
治不睡及多睡酸棗仁微炒人蔘白茯苓各等分右爲末每一錢水一盞煎至七分 如要睡卽冷服如不要睡卽熱服(醫鑑)
【산조인탕】
잠을 자지 못하거나 너무 잠이 많은 것을 치료한다. 조인미초 인삼 백복령을 같은 양을 가루내어 매번 일 전씩을 물 한 잔에 끓여 7분이 되게 하여 잠을 자게 하려면 차게 먹고, 잠을 자지 않게 하려면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의감)
【高枕無憂散】
治心膽虛怯 晝夜不睡 百方不效 服此如神 人參20g 石膏12g 陳皮 半夏 白茯苓 枳實 竹茹 麥門冬 龍眼肉 甘草各6g 酸棗仁炒4g 爲剉 分作2貼 水煎服(醫鑒)
【고침무우산】
심과 담이 허약하여 밤낮 잠을 자지 못하는데 백방이 무효할 때 이 약을 복용하면 신효하다. 인삼20g 석고12g 진피 반하 백복령 지실 죽여 맥문동 용안육 감초각6g 산조인초4g을 썰어서 두 첩으로 나누어 물에 끓여 먹는다.(의감)
【眞珠毋丸】
治神魂不寧 驚悸不得睡 眞珠母30g 熟地黃 當歸各60g 人參 酸棗仁炒 栢子仁 犀角 白茯神各40g 沈香 龍齒各20g 爲末 蜜丸梧子大 朱砂爲衣 每40~50丸 薄荷湯下 日二服 此方 眞珠母爲君 龍齒佐之, 眞珠母入肝經爲第一 龍齒與肝同類也 龍齒虎睛 人皆以爲鎭心 藥殊不知 龍齒安魂 虎睛定魄 龍能變化 故魂遊而不定 虎能專靜 故魄止而有守 若魄不寧者 宜用虎睛 魂飛揚者 宜用龍齒(本事)
【진주모환】
정신이 불안하고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잠을 잘 수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진주모30g 숙지황 당귀각60g 인삼 산조인초 백자인 서각 백복신각40g 침향 용치각20g을 가루내어 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주사를 입혀 매번 40-50알씩 박하탕으로 하루 두 번 먹는다. 이 처방은 진주모를 주약으로 하고 용치를 좌약으로 한다. 진주모는 강경에 들어가는 제일 좋은 약이고 용치는 간과 더불어 같은 류이다. 용치와 범의 눈알을 사람들은 모두 마을 안정시키는 약으로만 알고, 이 약이 달리 용치는 혼을 안정시키고 범의 눈알은 백을 안정시킨다는 것은 알지 못한다. 용은 변화를 잘하기 때문에 혼이 놀아 안정되지 못하는 데 작용하고, 범은 고요하게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백을 멈춰 지키는 것이다. 만약 백이 불안하면 응당 범의 눈알을 쓰고 혼이 들뜬 데는 응당 용치를 써야 한다.(본사)
【獨活湯】
治同上 獨活 羗活 人參 前胡 細辛 半夏 沙參 五味子 白茯苓 酸棗仁炒 甘草各3g剉作一貼 薑三片 烏梅 一箇 水煎服(本事)
【독활탕】
위와 같다. 독활 강활 인삼 전호 세신 반하 사삼 오미자 백복령 산조인초 감초각3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 과 오매 한 개를 넣어 물에 끓여 먹는다.(본사)
魂離不睡
四明蕫生患 神氣不寧 每臥 則魂魄飛揚 覺身在床 而神魂離體 驚悸多魘 通夕無寐 更醫不效 許學士 診之曰 以脈言之 肝藏受邪 非心病也 平人肝不受邪 臥則魂歸於肝 神靜而得寐 今肝氣因虛 邪氣襲之 肝藏魂者也 肝有邪則魂不得歸 是以臥則魂飛揚 若離體也 肝主怒 故小怒則劇 遂處以眞珠母丸 獨活湯二方以贈 服一月而病悉除 二方見上本事方
사명 땅의 동생이라는 환자가 정신이 온전하지 못해서 매번 누우면 혼백이 들떠서 몸은 침상에 있으나 정신은 몸을 떠난 것처럼 느껴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고 가위에 잘 눌리고 밤새도록 잠을 자지 못했다. 의원을 바꾸어도 효험이 없었다. 허학사가 진찰을 하고 왈, 맥으로 말할 것 같으면 간장이 사기를 받은 것이지 마음의 병은 아니다. 건강한 사람은 간이 사기를 받지 않기 때문에 누우면 피가 간으로 들어가고 정신이 안정되어 잠을 잘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환자는 간기가 허하여 사기의 침범을 받았다. 간은 혼을 갈무리하는 것인데 간에 사기가 있으면 혼이 돌아갈 수가 없으므로 누우면 혼이 들떠서 몸을 떠난 것과 같다. 간을 성냄을 주관하는 까닭에 조금만 성을 내도 병이 심해진다면서 마침내 진주모환과 독활탕 두 처방을 주었다. 한 달을 복용하고는 병이 다 나았다.(두 처방은 위의 본사방을 보라)
思結不睡
一婦人 因思慮過傷 二年不得寐 戴人曰 兩手脈俱緩 此脾受邪也 脾主思故也 與其夫議 以怒激之 多取財 飮酒數日 不處一方而去 其婦大怒汗出 是夜困臥 如此者八九日不寤 自是食進 其脈得平 此因膽虛 不能制脾之 思慮而不寐 今激之以怒 膽復制脾 故得寐也(子和)
어떤 부인이 생각을 지나치게 해서 병이 나 두 해나 잠을 잘 수가 없었다. 대인이 왈, 양 손의 맥이 모두 완하니 이는 비가 사기를 받은 것인데 비는 생각을 주관하는 까닭이다. 그 남편과 부인이 격노하게 하자고 의논을 하였다. 많은 재물을 취하고 며칠 동안 술과 음식을 먹고도 처방 하나 써 주지 않고 가버렸다. 그 부인이 대노하여 땀을 흘리다가 그 밤에는 곤하게 누워서 자는데 8-9일을 깨어나지 않았다. 이후부터는 밥맛도 나고 맥도 제대로 뛰었다. 이는 담이 허하여 비가 지나치게 생각하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환자를 격동시키고 노하게 하여 담이 다시 비를 제어하게 했기 때문에 잠을 잘 수가 있었다.(자화)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內景卷之二 - 血 - 身重嗜臥 惡人欲獨處 寢睡法 辟惡夢 用藥法 單味方 鍼灸法 (0) | 2012.09.07 |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血 - 老少之睡不同 睡辨陰陽虛實 臥不安 (0) | 2012.09.04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血 - 五臟虛實爲夢 陽氣之出入爲寤寐 昏沈多睡 虛煩不睡 魂離不睡 思結不睡 (0) | 2012.09.03 |
[스크랩] 內景卷之二 - 夢(睡眠) - 魂魄爲夢 淫邪發夢 (0) | 2012.08.29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血 - 鍼灸法 (0) | 2012.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