身重嗜臥

黃帝曰 人之多臥者 何氣使然 岐伯曰 此人腸胃大 皮膚濕而分肉不解焉 腸胃大則衛氣留久 皮膚濕則分肉不解其行遲 夫衛氣者 晝行於陽 夜行於陰 故陽氣盡則寐 陰氣盡則寤 故腸胃大則衛氣行留久 皮膚濕 分肉不解 則行遲留於陰也 久其氣不精 則目瞑 故多臥矣 (靈樞)

황제 왈, 사람이 잘 눕는 것은 무슨 기가 그렇게 하는 것인가? 기백 왈, 그것은 사람의 장위가 크고 피부가 습해서 분육이 풀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장위가 크면 위기가 오랫동안 머물러 있고, 피부가 습하면 분육이 풀리지 않아 위기가 돌아가는 것이 지연된다. 대개 위기는 낮에는 양에서 돌고 밤에는 음에서 돌므로 양기가 다하면 잠을 자고 음기가 다하면 깨는 것이므로 장위가 크면 위기가 오랫동안 머물다가 돌고, 피부가 습하면 분육이 풀리지 않아 더디게 돌아가다가 음에 머무르게 된다. 오래 되어 그 기가 맑지 못하면 눈이 감기므로 눕기를 좋아한다.(영추)

肝虛腎虛脾虛 皆令人體重煩寃 釋曰 肝虛則脾寡于畏而體重 腎虛則脾勝之而體重 又曰 脾病者身重 又曰 足太陰之脈病 身體皆重(內經)

간이 허하거나 신이 허하거나 비가 허하면 모두 몸이 무겁고 답답하며 괴롭게 된다. 주해에 왈, 간이 허하면 비가 두려움이 적어서 몸이 무겁고, 신이 허하면 비가 신을 이기므로 몸이 무거워진다. 또 왈, 비에 병이 있어도 몸이 무겁고, 또 왈, 족대음경맥에 병이 있어도 신체가 다 무겁다.(내경)

怠惰嗜臥者 脾胃有濕也 宜平胃散方見內傷 身重者濕也(東垣)

게을러지고 눕기를 좋아하는 것은 비위에 습이 있기 때문이니 응당 평위산(처방은 내상을 보라)을 쓰고 몸이 무거운 것은 습증이다.(동원)

 

惡人欲獨處

內經曰 足陽明之脈 是動則病 惡人與火 欲獨閉戶牆而處 少陰之虛 亦欲獨閉戶牆而處 又曰 陽明厥則喘而惋 惋則惡人 釋曰 惋 謂熱內鬱而煩也

내경에 왈, 족양명경맥이 동하면 병이 생겨 사람과 불을 싫어하며 방문을 걸어잠근 곳에 혼자 있으려 한다. 또 왈, 소음경맥이 허하여도 역시 방문을 걸어 잠근 곳에 혼자 있으려고 한다. 또 왈, 양명이 결역되면 숨이 차고 한탄을 하는데 한탄을 하면 사람을 싫어한다. 주해에는 완이란 열이 속에 몰려서 답답한 것을 말한다고 했다.

 

寢睡法

臥宜側身屈膝 益人心氣 覺宜舒展則精神不散 盖舒臥則招魔引魅 孔子寢不尸盖謂是歟(活人心)

잠잘 때는 옆으로 누워서 무릎을 구부리는 것이 좋다. 사람의 심기를 더해 준다. 깨어 있을 때는 무릎을 펴는 것이 좋다. 정신이 흩어지지 않는다. 대개 몸을 펴고 자면 헛것이 보인다. 공자의 죽은 사람처럼 자지 말라고 한 것이 이것을 말한 것이다.(활인심)

不得晝眠 令人失氣 又曰 暮臥常習閉口 口開卽失氣 此邪惡從口入成病 又曰 屈膝側臥 益氣力 勝正偃仰 按孔子不尸臥 故曰 睡不厭踧 覺不厭舒 凡人尸睡則有鬼疰魔邪 又曰 人臥一夜 常作五度 反覆逐更轉(得效)

낮에 잠을 잘 수가 없으면 사람은 기운을 잃게 된다. 또 왈, 저녁에 잘 때에는 늘 입을 다물고 자야 한다. 입을 벌리고 자면 기운이 빠지고 이는 사기가 입으로 들어가 병이 생긴다. 또 왈, 무릎을 굽히고 옆으로 누워서 자면 기력을 보익하는 데는 정언앙보다 낫다. 공자의 죽은 이처럼 누워서 자지 말라는 것을 살피건대, 잠잘 때는 삼갈 것이고, 깨었을 때는 펼 것이다. 대개 사람이 시체처럼 자면 귀주와 마사가 생긴다. 또 왈, 사람이 하룻밤을 자면서 늘 다섯 번 정도는 돌아눕고 이어서 다시 구르는 것이다.(득효)

夜不安寢衾厚 熱壅故也 當急去之 仍拭汗孔 或薄而 寒卽加之 睡者穩也 飢而睡不安 則宜少食 飽而睡不安 則宜啜茶 少行坐(東垣)

밤에 편안치 못한 것은 침금이 두터워서 열이 몰려서다. 당연히 급히 이불을 걷어내고 곧 땀을 닦아내되 얇아서 추우면 더 덮어야 은근하게 잘 수 있다. 배가 고파서 잠자리가 편치 않으면 조금 먹어도 좋다. 배가 불러서 잠자리가 편치 않으면 차를 마시거나 조금 돌아다니거나 앉아 있는 것이 좋다.(동원)

睡留燈燭 令人神不安(活人)

불을 켠 채 잠을 자면 정신이 불안해진다.(활인)

凡人常臥 不宜仰臥 以手覆心上則必魘不得寤 若暗中着魘 不得以火照之 亦不得近前急呼 但捻下心上手然後慢慢喚覺 以皂莢末 或半夏末 吹入鼻中卽醒(千金)

대개 사람들은 누워서 자는데 하늘을 보고 자는 것은 좋지 않다. 손을 가슴 위에 포개고 자면 반드시 가위눌려서 잘 깨어나지 못한다. 어두운 곳에서 가위눌렸을 때는 불을 켜지 말아야 하며 또 앞에 가까이 가서 급히 부르지 말고, 다만 가슴에 올린 손을 내려준 다음 천천히 불러서 깨우거나 주엽나무 가루나 반하 가루를 콧구멍에 불어넣어 깨워야 한다.(천금)

 

辟惡夢

夜夢惡不發說 且以水面東持刀噀之 呪曰 惡夢着草木 好夢成珠玉 卽無咎矣 又夢之善惡竝勿說爲吉(得效)

밤에 꾼 나쁜 꿈은 말하지 말고 또 얼굴을 동쪽으로 향하고 물을 뿜으면서 악몽착초목 호몽성주옥이라 주문을 외우면 아무 일 없다. 또 꿈이 좋건 나쁘건 말하지 않는 것이 좋다.(득효)

麝香 久服不夢寤魘寐 又將眞麝一劑 安寢合中枕之 除邪辟惡夢(本草) 蘇合香 令人無夢魘 或服或帶之 虎頭爲枕 枕之辟惡夢 除魘寐(本草) 犀角除魘寐 或服或帶之 羚羊角 安心氣 不令魘寐 除邪氣驚夢(本草)

사향 오래 복용하면 꿈을 꾸지 않고 가위눌리지도 않는다. 또 좋은 사향 한 제를 베개 속에 넣고 편안하게 자면 사기도 막고 나쁜 꿈도 꾸지 않는다.(초목) 소합향 꿈에 가위눌리지 않게 하는데 먹거나 차고 다닌다. 범대가리를 베개를 만들어 베면 악몽을 피할 수 있고 가위눌리는 것도 막을 수 있다.(본초) 서각 가위눌리지 않게 하는데 먹거나 차고 다닌다. 영양각 심기를 편안하게 하고 가위눌리지 않게 하며 사기를 없애고 놀라는 꿈을 없앤다.(본초)

 

用藥法

虛而多夢紛紜 人蔘 龍骨 加而用之(本草)

허약하여 어지러운 꿈을 자주 꾸는 데는 인삼 용골을 넣어 써야 한다.(본초)

膽虛不眠寒也 酸棗仁炒末 竹葉煎湯調服 膽實多睡熱也 酸棗仁生爲末 以薑汁炒 臘茶煎湯 調服(海藏)

담이 허해서 잠을 못 자면 한증이다. 산조인을 덖어 가루내고 죽엽전탕에 타서 먹는다. 담이 실하여 잠이 많으면 열증이다. 산조인을 생것으로 가루내어 쓰는데 생강즙에 볶은 좋은 차를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해장)

一人 因恐得病 如人將捕 睡臥不安 飮食不知味 以人蔘 白朮 當歸身爲君 陳皮爲佐 加塩炒黃栢 灸玄參各少許爲使 煎服 月餘而安 此因恐傷腎 故以塩炒黃栢 灸玄蔘 引蔘歸等藥入腎也(丹心)

어떤 이가 무서워서 병을 얻었는데 누가 잡으러 오는 것 같고 잠자리가 편치 않으며 음식 맛도 몰랐다. 인삼 백출 당귀신을 주약으로 하고 진피를 좌약으로 해서 거기에 소금으로 덖은 황백과 구운 현삼을 각각 조금씩 넣어서 사약으로 삼아 끓여서 월여를 복용하니 나았다. 이는 무서워한 것 때문에 신이 상한 것으로 소금물에 축여 덖은 황백과 구운 현삼이 인삼과 당귀 등의 약기운을 신에 들어가게 한 것이다.(단심)

 

單味方 凡十八種

鹿頭肉 治煩悶 多夢 夜夢見鬼物 煮汁 飮食其肉(本草)

녹두육 번민과 다몽 그리고 꿈에 헛것을 보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삶아 국물과 고기를 먹는다.(본초)

安息香 治婦人夜夢鬼交 以雄黃合爲丸 燒熏丹田穴永斷(本草)

안식향 부인이 꿈에 헛것과 성교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웅황과 섞어서 환을 지어 태워 단전에 쪼이면 완전히 치료된다.(본초)

苦竹葉 治虛煩不睡 煮服之(本草)

고죽엽 허번으로 잠을 못 이루는 것을 치료하는데 끓여서 먹는다.(본초)

小麥 治煩熱 少睡 煮服之(本草)

소맥 번열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 먹는다.(본초)

酸棗仁 治睡多則生用 不得睡則炒熟用之(本草)

산조인 잠이 많으면 생으로 쓰고 잠을 못 이루면 잘 덖어서 쓴다.(본초)

楡白皮 治不睡 嵇公云楡令人瞑是也 初生莢仁以作糜羹服之令人多睡(本草)

유백피 잠 못이루는 것을 치료한다. 혜공이 말한, 누릅나무는 사람의 눈을 감게 한다는 것이 이것이다. 처음에 열린 느릅나무 열매로 죽을 쑤어 먹거나 국을 끓여 먹으면 잠을 잘 자게 한다.(본초)

林檎 治不睡 多食則令人好睡(本草)

림금 잠을 못 이루는 것을 치료한다. 많이 먹으면 잠을 잘 자게 한다.(본초)

木槿 煮作飮服之 令人得睡(本草)

목근 끓여서 먹으면 잠을 잘 자게 한다.(본초)

食之 令人多睡(本草)

고사리 먹으면 잠을 잘 자게 한다.(본초)

常食令人嗜睡(本草)

순나물 늘 먹으면 잠이 잘 온다.(본초)

莎蔘 治多睡 常欲眠 煮服 或作虀食之(本草)

사삼 잠이 많고 늘 졸리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 먹거나 무쳐서 먹는다.(본초)

通草 療脾疸,常欲眠 煮服之(本草)

통초 비달로 늘 졸리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 먹는다.(본초)

烏梅 治不眠 作茶飮令得睡(本草)

오매 잠을 못 이루는 것을 치료하는데 차를 만들어 먹으면 잠이 잘 온다.(본초)

令人少睡 溫服除好睡(本草)

졸음이 덜 오게 하는데 따뜻하게 먹으면 잘 조는 것을 멎게 한다.(본초)

伏翼(박쥐) 取血滴目中 令不睡(本草)

복익(박쥐) 피를 내어 눈에 넣으면 졸리지 않는다.(본초)

苦菜及苦苣 皆令不睡,久食之 少睡(本草)

고채급고거(상추) 모두 잠이 오지 않게 하며 오래 먹으면 잠이 적다.(본초)

馬頭骨 主喜眠作枕 枕之 令人不睡(本草)

마두골 잠자기를 좋아하는 것을 낫게 하는데 베개를 만들어 베면 졸리지 않는다.(본초)

草決明子 久服 令人不睡(本草)

초결명자 오래 먹으면 졸리지 않게 한다.(본초)

 

鍼灸法

膽寒不得睡臥 取竅陰

담이 차서 잠을 못 이루면 규음혈에 놓는다.

沈困睡多 無名指第二節尖 屈指取之 灸一壯(綱目)

몹시 곤하여 잠이 많으면 무명지를 구부려 둘째 마디 끝에 혈을 잡아 뜸을 한 장 뜬다.(강목)

驚悸 不得眠取陰交 不得臥 取浮郄(甲乙)

놀라 가슴이 두근거리며 잠을 못 이루면 음교혈에 놓고, 잠을 이루지 못하면 부극혈에 놓는다.(갑을)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