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調衛湯】
治濕勝自汗 麻黃根 黃芪各4g 羗活3g 生甘草 當歸尾 生黃芩 半夏各2g 麥門冬 生地黃 猪苓 紅花 蘇木各1g 五味子7粒 剉作一貼 水煎服(東垣)
【조위탕】
습이 승해서 생긴 자한을 치료한다. 마황근 황기각4g 강활3g 생감초 당귀미 생황금 반하각2g 맥문동 생지황 저령 홍화 소목각1g 오미자7립를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玉屛風散】
治表虛自汗 白朮10g 防風 黃芪各5g 爲剉作一貼 水煎服 黃芪 防風 實表氣,白朮 燥內濕 所以有效(丹心)
【옥병풍산】
겉이 허해서 생긴 자한을 치료한다. 백출10g 방풍 황기각5g를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 황기 방풍은 표기를 실하게 하며 백출은 내습을 마르게 하기 때문에 효험이 있다.(단심)
【二甘湯】
治胃熱 食後汗出如雨 生甘草 灸甘草 五味子 烏梅肉各等分 爲剉作 每20g 薑二片棗二枚 水煎服(入門)
【이감탕】
위열로 식후에 비 오듯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생감초 구감초 오미자 오매육각등분을 썰어서 20g마다 생강 두 조각 대추 두 알을 넣고 물에 끓여 먹는다.(입문)
【黃芪湯】
治陰陽偏虛 自汗或盜汗 黃芪蜜炒9g 生乾地黃 天門冬 白茯苓 麻黃根各6g 當歸5g 麥門冬4g 五味子 浮小麥 甘草 各七分防風五分右剉作一貼水煎服(醫鑑)
○ 嚴氏黃芪湯同但無龍骨一味地黃去熟用生耳
【황기탕】
음양 중 어느 하나가 허하여 생긴 자한이나 도한을 치료한다. 황기밀초9g 생건지황 천문동 백복령 마황근각6g 당귀5g 맥문동4g 오미자 부소맥 감초 각 7분 방풍 5분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의감)
○ 엄씨황기탕과 같으나 다만 용골 한 가지가 없으며 지황을 제거하고 생지황을 쓴다.
【參歸腰子】
治心氣虛損自汗 以此收歛心液 人參 當歸 剉各20g 豬心1箇 破作數片 幷心內血 以水二椀 先煎豬心 至一椀半 乃入二藥同煎 至八分 取淸汁 吃 豬心以汁 送下 令盡(丹心)
【삼귀요자】
심기가 허손되어 생긴 자한을 치료하는데 이로써 심액을 거두어 들인다. 인삼 당귀 좌각20g 저심1개 파작수편 심 안의 피에 물 두 사발에 넣고 먼저 저심이 한 사발 반이 될 때까지 끓인 다음 곧 두 약을 함께 넣고 8분까지 끓인 다음 맑은 물을 받아서 그 즙으로 저심을 다 먹는다.(단심)
【牡蠣散】
治諸虛不足體常自汗 夜臥則甚久不至羸瘦枯瘦 心忪 驚惕 牡蠣煆 麻黃根 黃芪 知母各40g
爲末 浮小麥煎湯 調8g 服. 剉之煎服亦可(得效)
○ 【丹溪 治自汗方】 防風 黃芪 白朮 牡蠣粉 麻黃根各等分 剉水煎之 亦佳
【모려산】
여러 가지 허증과 부족증으로 몸에 항상 생긴 자한이 밤에 누우면 더 심하고 오래 되지 않아 여위며 가슴이 놀란 것처럼 두근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모려 달군 것, 마황뿌리 황기 지모 각 40그램을 가루내어 부소맥전탕에 8그램씩 타서 먹는다. 썰어서 달여 먹어도 된다.(득효)
○ 【丹溪 治自汗方】 防風 黃芪 白朮 牡蠣粉 麻黃根各等分 剉水煎之 亦佳
○ 【단계의 자한 치료 처방】 방풍 황기 백출 모려분 마황근각등분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어도 좋다.
【小建中湯】
治表虛自汗 方見虛勞
○ 黃芪建中湯 乃本方 加黃芪也 治虛勞自汗
○ 當歸建中湯乃本方加當歸一兩也 治血虛自汗
○ 桂枝附子湯 乃本方 加桂枝18.75g 炮附子半箇也 治自汗漏不止 每服26g 薑七片 棗二枚 水煎服(得效)
【소건중탕】
표허로 생긴 자한을 치료한다.(처방은 허로를 보라)
○ 황기건중탕이란 바로 이 처방에 황기를 넣은 것인데 허로로 생긴 자한을 치료한다.
○ 당귀건중탕이란 바로 이 처방에 당귀 한 냥중을 더한 것인데 혈허로 인한 자한을 치료한다.
○ 계지부자탕이란 바로 이 처방에 계지18.75g 포부자반개也를 더한 것으로 자한이 흘러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매번 26그램을 먹는데 생강 7쪽과 대추 두 알을 넣고 물에 달여서 먹는다.(득효)
【參芪湯】
治自汗 黃芪蜜炒 人參 白朮 白茯苓 當歸 熟地黃 白芍藥酒炒 酸棗仁炒 牡蠣粉各4g 陳皮3g 甘草1g
剉作一貼 棗二枚 浮小麥 一撮 烏梅一箇 同煎服(醫鑒)
【삼기탕】
자한을 치료한다. 황기밀초 인삼 백출 백복령 당귀 숙지황 백작약주초 산조인초 모려분각4g 진피3g 감초1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대추 두 알 부소맥 한 자밤 오매 한 개와 함께 달여 먹는다.(의감)
【朮苓湯】
治虛汗 黃芪 防風 白茯苓 白朮 麻黃根各20g 甘草10g 爲剉作 每服28g 浮小麥100粒同煎服(直指)
【출령탕】
허한을 치료한다. 황기 방풍 백복령 백출 마황근각20g 감초10g을 썰어서 매번 28그램을 부소맥 100알과 함께 끓여서 먹는다.(직지)
【鎭液丹】
治自汗 黃芪蜜炒100g 大附子80g煨去皮臍童便浸炒 防風炒 白朮炒 白芍藥酒炒 中桂各40g 爲末 酒糊和 丸梧子大 空心 溫酒下50丸 加酸棗仁 尤妙(醫鑒)
【진액단】
자한을 치료한다. 황기밀초100g 대부자80g외거피제동변침초 방풍초 백출초 백작약주초 중계각40g을 가루내서 술로 풀을 쑤어 섞어 오동자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따뜻한 술로 50알씩 먹는다. 산조인을 더하면 더욱 좋다.(의감)
【參附湯】
治陽虛自汗 人參20g 附子炮40g 爲剉作 三貼 薑三片 水煎服(濟生)
【삼부탕】
양허로 인한 자한을 치료한다. 인삼20g 부자포40g을 썰어서 세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끓여 먹는다.(제생)
【芪附湯】
治氣虛自汗 黃芪蜜炒 附子炮各10g 爲剉作 一貼 薑三片 水煎服(濟生)
【芪附湯】
기허로 인한 자한을 치료한다. 황기밀초 부자포각10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끓여 먹는다.(제생)
【桂附湯】
治自汗漏不止 桂枝 附子炮各10g 爲剉作一貼 薑三 水煎服(濟生)
【계부탕】
자한이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계지 부자포각10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끓여서 먹는다.(제생)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頭汗 (0) | 2013.09.17 |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盜汗 (0) | 2013.09.14 |
민어지리 (0) | 2013.08.28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言語 - 歌 哭 呻 欠 嚔 噫 (0) | 2012.11.18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言語 - 言微 呼 笑 (0) | 201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