背등.hwp
0.08MB

 

 

背脊骨節有數배척골절유수

骨以下至尾骶二十一節, 長三尺. 靈樞

대추에서 아래로 미저골까지는 21마디고 길이는 3자다.영추

上七顀, 每顀一寸四分一釐, 共九寸八分七釐, 中七顀, 每顀一寸六分一釐, 共一尺一寸二分七釐, 下七顀, 每顀一寸二分六釐, 共八寸八分二釐. 神應

7추는 매 추골의 길이가 1.41치이므로 모두 9.87치다. 가운데 7추는 매 추골의 길이가 1.61치이므로 모두1.127자며, 하부 7추는 매 추의 길이가 1.26치니 모두 8.82치다.신응

二十一顀長三尺, 校之則上七顀共九寸八分七釐, 中七顀, 下七顀, 共二尺一分三釐, 合爲三尺. 資生

21추의 길이는 3자다. 헤아려 보면 위7추는 모두9.87치고 가운데7추와 아래7추는 모두 2.13자니 합해서 3자가 된다.자생

 

背有三關배유삼관

問背後三關. 答曰, 腦後曰玉枕關, 夾脊曰轆轤關, 水火之際曰尾閭關, 乃精氣升降之道路也. 正理

등뒤의 삼관이란 무엇인가? 뒷머리를 옥침관이라 하고 척추 양옆을 녹로관이라 하고 수화가 만나는 곳을 미려관이라 한다. 곧 정기가 오르내리는 도로다.정리

人之脊骨, 二十四節, 節之末, 名曰尾閭穴, 又名龍虎穴, 又名曹溪路, 又名三岔路, 又名河車路, 又名朝天嶺, 又名上天梯.

사람의 척추뼈는 24마디고, 그 마디끝을 미려혈이라고 한다. 또 용호혈 조계로 삼분로 하거로 조천령 상천제라고도 한다.

尾閭穴之骨頭, 圓如潼金, 上有九竅, 內外相連, 卽泥丸宮也.

미려혈이 있는 뼈 끝은 동금처럼 둥글다. 위에는 9규가 있어 안팎으로 연결되어 있으니 곧 이환궁이다.

脊骨兩傍, 三條逕路, 上衝直至頂門泥丸宮, 下降復至丹田, 復連至尾閭穴.

척추뼈 양쪽에는 세 갈레의 길이 있다. 위로 올라가 바로 정문의 이환궁에 이르고, 밑으로 내려와 다시 단전에 이르고, 다시 미려혈로 이어진다.

尾閭穴, 乃下關也. 從下至上十八節, 乃中關也. 泥丸宮爲上關, 此三關也. 正理

미려혈은 곧 하관이고 아래서 위에 이르는 18마디가 곧 중관이고 이환궁은 상관이다. 이것이 삼관이다.정리

 

脉法맥법

靈樞曰, 腎脉緩, 爲折脊.

영추에, 신맥이 아주 연약하면 척추가 구부러진 것이다라 했다.

內經曰, 寸口脉中手促上擊者, 曰肩背痛.

내경에, 촌구맥이 빠르면서 위로 심하게 뛰는 것은 견배통이라 했다.

脉大者, 心下有留飮, 其人背寒冷. 仲景

맥이 홍대한 것은 명치에 유음이 있는 것으로 그 사람은 등이 차고 시리다.중경

凡背惡寒甚者, 脉浮大而無力, 是陽虛也. 丹心

등에 오한이 심하면 맥이 부대하면서 무력한데 이는 양허다.단심

 

背爲胸府배위흉부

背者, 胸中之府, 背曲肩隨, 胸將壞矣. 內經元本胸作府, 誤也

등은 가슴의 집이다. 등이 굽고 어깨가 처지면 가슴이 무너지려는 것이다. 내경, 원본의 흉작부는 잘못이다.

 

背寒배한

內伏寒痰, 則寒從背起, 冷如掌大. 直指

안으로 한담이 스며들면 한기가 등에서 일어나 손바닥 크기로 시리다.직지

背惡寒, 是痰飮. 仲景云, 心下有留飮, 其人背惡寒, 冷如氷, 茯苓丸方見痰飮主之. 綱目

등 오한은 담음이다. 중경에, 명치에 유음이 있어서 그 사람의 등에 오한이 있고 얼음처럼 차면 복령환처방은담음을보라을 주로 쓴다고 했다.강목

背心常一片氷冷者, 痰飮也. 導痰湯方見痰飮, 合蘇子降氣湯方見氣門服之. 入門

등 가운데가 늘 한 조각 얼음처럼 찬 것은 담음이다. 도담탕처방은담음을보라에 소자강기탕처방은기문을보라을 합해서 먹는다.입문

凡人每日, 背上一條如線而寒起者, 痰也. 宜吐下之. 丹心

매일 등에서 위로 한 줄기 선처럼 한기가 일어나는 것은 담인데, 토법이나 하법을 써야 한다.단심

背寒有陰有陽. 傷寒少陰證, 背惡寒者, 口中和, 陽明證, 背惡寒者, 口中乾燥, 此寒熱之辨也.

入門

등이 시린 데는 음증과 양증이 있다. 상한소음증으로 등에 오한이 있으면 입속이 편안하고, 양명증으로 등에 오한이 있으면 입속이 마른다. 이것으로 한열을 가린다.입문

背寒, 宜貼禦寒膏. 醫鑑

등이 시리면 어한고를 붙여야 한다.의감

禦寒膏어한고

治體虛人, 背上惡寒, 或夏月怕脫衣, 及婦人産後被風冷, 手足冷痛至骨. 又治腰痛. 生薑 半斤(取自然汁), 入明膠 三兩, 乳香沒藥 各一錢半, 銅杓內煎化, 移在滾湯內頓, 以柳條攪至成膏. 又入川椒末少許, 再攪勻, 用皮紙攤貼患處. 用鞋底烘熱熨之, 候五七日脫下, 或起小瘡不妨. 醫鑑

몸이 허한 이가 등이 시리거나 여름철에도 옷 벗기를 두려워하는 것과, 부인이 산후에 풍랭을 입어 손발이 뼛속까지 시리고 아픈 것을 치료하며, 허리 아픈 것도 치료한다. 생강반근그냥즙에 투명한 아교3냥 유향 몰약 각 1.5돈을 넣고, 구리로 만든 국자에 넣어 달여서 녹인 후, 끓는 물속에 옮겨 두고 버들가지로 저어서 고약을 만든다. 여기에 천초가루를 조금 넣고 다시 고루 저어서 피지에 발라 환부에 붙인다. 그리고는 짚신바닥을 뜨겁게 구워서 찜질을 하는데 5-7일 후에 뗀다. 혹 작은 부스럼이 생기기도 하는데 괜찮다.의감

 

背熱배열

背熱屬肺. 肺居上焦, 故熱應於背. 入門

등에서 열이 나는 것은 폐에 속한다. 폐가 상초에 있어서 등에서 열이 나는 것이다.입문

背痛배통

肩背痛, 屬肺分野. 內經曰, 西風生於秋, 病在肺, 兪在肩背. 故秋氣者, 病在肩背. 又曰, 秋脉太過, 則令人逆氣背痛, 慍慍. 綱目

견배통은 폐분야에 속한다. 내경에, 서풍은 가을에 생겨나고 병은 폐에 있고 수혈은 견배에 있다. 그러므로 가을 기운은 병이 견비에 있다고 했다. , 추맥은 너무 지나치면 사람이 기가 거슬러 오르고 아프면 불편하다고 했다.

肺病者, 喘咳逆氣, 肩背痛, 汗出. 又曰, 邪在腎, 則病肩背頸項痛. 靈樞

폐에 병이 생기면 숨이 차고 기침을 하며 기가 거슬러 오르고 견배통이 있고 땀이 난다. , 사기가 신에 있으면 견배와 경항이 아프다고 했다.

肩背痛, 宜用通氣防風湯. 脊痛項强, 腰似折, 項似拔, 宜羌活勝濕湯方見頸項.

견배통에는 통기방풍탕을 써야 한다. 척추가 아프고 목이 뻣뻣하며 허리가 끊어질 듯하고 목이 빠질 듯하면 강활승습탕처방은경항을보라을 써야 한다.

背心一點痛, 宜三合湯. 醫鑑

등 한가운데 한 곳이 아프면 삼합탕을 써야 한다.의감

脊骨胛眼痛, 宜蒼朮復煎湯. 丹心

척추골과 견갑골 가운데가 아프면 창출부전탕을 써야 한다.단심

臀尖痛者, 陰虛而膀胱有火也. 四物湯方見血門, 加知母黃柏, 及桂少許. 有痰, 合二陳湯方見痰飮, 加澤瀉前胡木香爲引, 痛甚, 加乳香沒藥. 入門

둔첨통은 음이 허하고 방광에 화가 있는 것이다. 사물탕처방은혈문을보라에 지모 황백과 계지를 조금 넣어서 쓴다. 담이 있으면 이진탕처방은담음을보라에 택사 전호 목향을 인경약으로 넣고 통증이 심하면 유향 몰약을 넣는다.입문

背疼, 乃作勞所致, 技藝之人, 與士女刻苦者, 多有此患. 色勞者, 亦患之, 惟灸膏肓穴爲妙. 資生

등이 아픈 것은 일을 많이 했거나, 재주를 부리는 이나 고생을 많이 한 이에게 잘 생긴다. 이 병은 색을 지나치게 밝히는 이에도 역시 있다. 고황혈에 뜸을 뜨면 묘한 효과가 있다.자생

一男子患背胛縫, 有一線痛起, 上肩跨至胸前側脇而止, 其痛晝夜不歇. 診其脉弦而數, 重取豁大, 左大於右. 予意背胛, 小腸經也. 胸脇, 膽經也. 此必思慮傷心, 心藏未病而小腸府先病, 故痛從肩胛起, 及慮不能決, 乃歸之膽, 故痛至胸脇而止. 乃小腸火乘膽木, 子來乘母, 是爲實邪, 詢之, 果因謀事不成而病. 用人參四分, 木通二分煎湯, 呑龍薈丸方見五藏數服而愈. 丹溪

한 남자가 어깻죽지에서 한 줄기 통증이 일어나, 어깨로 올라가 가슴에 이르고 옆구리까지 올라가서 그 통증이 밤낮으로 멎지를 않았다. 그 맥을 짚어 보니 현삭했는데 더 누르니 대맥이 나타났고 왼쪽이 오른쪽보다 크게 뛰었다. 나는, 견갑골에는 소장경이 지나고 흉협에는 담경이 지난다. 이는 반드시 생각이 많아 상심해서 심장은 아직 병들지 않고 소장이 먼저 병들어 통증이 견갑골에서 일어난 것이고, 생각만 있고 결단을 내리지 못해서 담에 돌아가서 통증이 가슴과 옆구리까지 이르러서 멎은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곧 소장의 화가 담목을 누른 것이다. 자가 모를 누른 격으로 이는 실사다. 그에게 물었더니, 과연 생각하던 일을 이루지 못해서 병이 된 것이었다. 인삼4푼 목통2푼을 달인 물에 용회환처방은오장을보라을 먹였더니 두어 번 먹고 나았다.단계

通氣防風湯통기방풍탕

治太陽經中寒濕, 肩背痛, 不可回顧. 又云, 肩背痛, 乃風熱乘肺, 肺氣鬱甚也. 黃芪升麻柴胡 各一錢, 防風羌活陳皮人參甘草 各五分, 靑皮 三分, 白豆蔲黃柏 各二分. 右剉, 煎服. 東垣

태양경에 한습이 침범해서 견비통으로 돌아볼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또 견배통은 풍열이 폐로 올라와 폐기가 울체되어 심한 것이라 했다. 황기 승마 시호 각 1, 방풍 강활 진피 인삼 감초 각 5, 청피3푼 백두구 황백 각 2푼을 썰어서 달여 먹는다.동원

三合湯삼합탕

治背心一點痛. 烏藥順氣散方見風門, 合二陳湯方見痰飮香蘇散方見寒門, 加羌活蒼朮, 水煎服. 醫鑑

등 한가운데 한 곳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오약순기산처방은담음을보라 향소산처방은한문을보라에 강활 창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蒼朮復煎湯창출부전탕

治寒濕相合, 腦痛, 脊骨, 胛眼痛, 膝臏痛. 蒼朮 四兩, 水二椀煎至一椀去滓, 入羌活升麻澤瀉柴胡藁本白朮 各五分, 黃柏 三分, 紅花 少許. 右剉, 入蒼朮湯內再煎至半, 去滓服. 丹心

한습이 합해져서 뇌가 아프고 척추골과 견갑골 가운데가 아프며 종지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창출4냥을 물2사발에 넣고 1사발이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여기에 강활 승마 택사 시호 고본 백출 각 5, 황백3푼 홍화조금을 썰어서 넣고 다시 반이 될 때까지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먹는다.단심

 

脊强척추가 뻣뻣해지는 것

督脉之別, 名曰長强, 其病實則脊强. 靈樞

독맥이 갈라지는 곳을 장강이라고 한다. 그 병이 실하면 척추가 뻣뻣해진다.영추

足太陽之脉病, 腰脊强痛. 靈樞

족태양경맥에 병이 들면 요추가 뻣뻐해지면서 아프다.영추

膀胱腎間冷氣, 攻衝背膂腰脊, 强俛仰不利, 宜烏沈湯方見氣門.

방광과 신 사이의 냉기가 등 허리 척추를 치받아서 뻣뻣해져 구부리거나 펴지 못하면 오침탕처방은기문을보라을 써야 한다.

脊痛項强, 背痛不可回顧, 此足太陽手太陽經中濕氣, 鬱不行也. 宜羌活勝濕湯方見頸項.

척추가 아프고 목이 뻣뻣하며 등이 아파서 돌아볼 수 없는 것은 족태양경과 수태양경에 습기가 뭉쳐서 흐르지 못해서다. 강활승습탕처방은항을보라을 써야 한다.

 

背傴僂배구루 꼽추

中濕, 背傴僂, 足攣成廢, 甘遂一錢爲末, 入猪腰子內煨食之, 上吐下瀉卽愈. 入門

중습으로 등이 구부러지고 다리에 경련이 일어 쓰지 못하면 감수1돈을 가루내어 돼지콩팥에 넣고 잿불에 구워먹은 후에 위로 토하고 아래로는 설사를 하면 낫는다.입문

一人背傴僂, 足攣, 脉沈弦而細. 以煨腎散與之, 上吐下瀉, 凡三服乃愈. 方見三法丹心

한 사람이 등이 구부러지고 다리에 경련이 일어났는데 맥이 침현하면서 가늘었다. 외신산을 주어서 위로 토하고 아래로 설사를 하게 하니 3번 먹고는 나았다.처방은삼법을보라 단심

腰脊間, 骨節突出, 亦是中濕. 內經曰, 濕熱不攘, 大筋緛短, 小筋弛長, 緛短爲拘, 弛長爲痿. 註曰, 大筋受熱則縮而短, 小筋得濕則引而長. 是故, 背傴僂而骨節突出也. 依上法治之. 綱目

요추 관절이 튀어나온 것도 역시 중습이다. 내경에, 습열이 제거되지 않으면 대근은 짧아지고 소근은 늘어진다. 짧아진 것은 오그라든 것이고 늘어진 것은 위병이라고 했다. 주에, 대근은 열을 받으므로 오그라들어 짧아지고 소근은 습을 받으므로 늘어져서 길어진다고 했다. 그래서 등이 구부러지고 관절이 튀어나오면 위의 방법대로 치료한다.강목

老人傴僂, 乃精髓不足, 而督脉虛也. 宜用補腎益精髓之劑. 類聚

노인이 등이 구부러지는 것은 정수가 부족해서 독맥이 허해진 것이다. 신을 보하고 정수를 보하는 약을 써야 한다.유취

 

龜背구배

詳見小兒門.

상세한 것은 소아문을 보라.

 

單方단방

凡四種.

모두 4가지다.

羌活강활

治風濕脊痛, 項强不可回顧. , 水煎服之. 湯液

풍습으로 척추가 아프고 목이 뻣뻣해서 돌아볼 수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탕액

獨活독활

治中濕頸項難舒. , 酒水煎服. 本草

중습으로 목을 펼 수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썰어서 술이나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烏藥오약

治膀胱腎間冷氣攻衝背膂. , 水煎服, 或末服之. 湯液

방광과 신 사이의 찬 기운이 등과 척추로 치받는 것을 치료한다. 썰어서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탕액

膃肭臍올눌제 해구신

主治背髆勞悶, 或痛. 酒灸末服, 或丸服. 本草

등과 어깻죽지가 피곤하고 답답하거나 아픈 것을 주로 치료한다. 술에 담갔다가 구워서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鍼灸法침법

脊膂强痛, 取人中. 綱目

척추골이 뻣뻣하고 아프면 인중을 취한다.강목

肩背疼, 取手三里. 綱目

어깨와 등이 아프면 수삼리를 취한다.강목

背痛連胛, 取五樞崑崙懸鍾肩井, 及胛縫穴, 在背端骨下, 直腋縫尖, 及臂, 取二寸半, 瀉六吸. 綱目

등이 아픈 것이 어깻죽지로 이어지면 오추 곤륜 현종 견정을 취한다. 갑봉혈에 미쳐 배단골 아래 곧바로 어깻죽지 끝에서 신에 미치는 곳 2.5치를 취해서 6번 숨쉴 동안 사한다.강목

背疼, 乃作勞所致, 惟膏肓爲要穴, 或背上先疼, 遂牽引肩上而疼者, 乃膏肓爲患, 當灸膏肓兪, 及肩井可愈. 資生

등이 아픈 것은 일을 지나치게 해서 생긴 것이다. 오직 고황수가 중요한 혈이다. 혹 등이 먼저 아프고 마침내 어깨 위로 당기면서 아픈 것도 고황에 병이 든 것이니 당연히 고황수와 견정에 뜸을 뜨면 낫는다.자생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外形篇卷之三 - 腹배  (2) 2023.12.26
外形篇卷之三 - 乳젖가슴  (0) 2023.12.16
外形篇卷之二 - 頸项경항 목  (2) 2022.09.28
外形篇卷之二 - 咽喉인후  (1) 2022.09.27
外形篇卷之二 - 牙齒아치  (2) 2022.09.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