失血諸證

失血諸證 妄行於上則吐衄 涸於外則虛勞 忘返於下則便紅 積熱膀胱則癃閉尿血 滲透腸間則爲腸風 陰虛陽搏則爲崩中 濕蒸熱瘀爲滯下 熱極腐化則爲膿血 火極似水則血色紫黑 熱勝於陰則發爲瘡瘍 濕滯於血則發爲痛痒 癮疹皮膚則爲冷痺 蓄之在上 其人喜忘 蓄之在下 其人喜狂(丹心)

피를 흘리는 여러 증상. 상초에서 허투루 돌면 토하거나 코피를 흘린다. 겉에서 쇠하고 마르면 허로가 생기고, 아래로 내려와 허투루 돌게 되면 대변이 벌겋다. 방광에 열이 몰리면 오줌이 잘 나오지 않거나 피오줌이 나온다. 장 사이로 스며들면 장풍이 생기고, 음이 허한데 양이 억누르면 자궁출혈이 생긴다. 습열이 훈증해서 몰리면 이질이 생기며 열이 몹시 심해서 썩게 되면 피고름이 된다. 화가 몹시 심해서 물과 비슷해지면 핏빛이 검붉어진다. 열이 음보다 세어지면 창양이 생기고 습이 피에 머물러 있으면 아프고 가려우며 두드러기가 피부에 생기면 차고 저리다. 상초에 머물러 있으면 그 사람은 잊기를 잘하고 하초에 머물러 있으면 그 사람은 기뻐서 미친다.(단심)

其從肺而上溢于鼻者曰衄血 從胃而上溢于口者曰嘔血吐血 咯血唾血者出于腎也 咳血嗽血者出于肺也 其痰帶血絲出者 或從腎或從肺來也 其出于小便者曰尿血血淋 其出于大便者曰腸風血痔(正傳)

피가 폐를 따라 위로 올라와 코로 넘치는 것을 육혈이라고 하며, 위를 따라 위로 올라와서 입으로 넘쳐흐르는 것을 구혈 토혈이라고 한다. 각혈 타혈은 피가 신에서 나오는 것이고 해혈과 수혈은 피가 폐에서 나오는 것이다. 피가 담에 섞여 나오는 것은 신이나 폐를 따라 나온 것이다.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요혈 혈림이라고 하고, 대변에 섞여 나오는 것을 장풍 혈치라고 한다.(정전)

從汗孔出謂之肌衄 從齒齦出謂之齒衄 從舌出謂之舌衄 從委中出謂之膕血 從九竅皆出謂之九竅出血(入門)

피가 땀구멍으로 나오는 것을 기육이라 하고 잇몸에서 나오는 것을 치육이라 하고 혀에서 나오는 것을 설육이라 하며 주중혈에서 나오는 것을 괵혈이라 하고 아홉 구멍 모두에서 나오는 것을 구규출혈이라고 한다.(입문)

 

辨血色新舊

新血鮮紅 舊血瘀黑 又曰風證色靑 寒證色黯 暑證色紅 濕證色如烟煤屋漏水(入門)

새 피는 선홍색이고 오래된 피는 엉키고 검다. 또 왈, 풍증의 피는 퍼렇고 한증의 피는 검으며 서증의 피는 붉고 습증의 피는 그을음이나 지붕에서 새는 물빛과 같다.(입문)

陽證溢出鮮血 陰證下如豚肝(綱目)

양증일 때는 선홍색의 피가 넘쳐 나오고 음증일 때는 돼지간빛과 같은 피가 나온다.(강목)

初便褐色者重 再便深褐色者愈重 三便黑色者爲尤重 色變者以其火燥也 如羊血在日色中 須臾變褐色 久則漸變而爲黑色 卽此意也(海藏)

처음 나오는 대변이 갈색이면 중한 것이고, 그 다음에 나오는 대변이 더욱 진한 갈색이면 더욱 중한 것이고, 세 번째 나오는 변이 흑색이면 더욱더 중한 것이다. 색이 변하는 것은 화기에 마른 것이다. 양의 피를 잠깐 햇볕에 두면 금방 갈색으로 변하고 오래 되면 점차 변해서 까맣게 되는 이치와 같다.

 

蓄血證

蓄血 卽瘀血積蓄也

축혈이란 곧 어혈이 쌓인 것이다.

傷寒熱病 身黃屎黑 如狂喜忘者 爲蓄血(仲景)

상한열병으로 몸이 누렇고 대변이 까맣고 미친 것 같고 잊기를 잘 하는 것은 축혈 때문이다.(중경)

<海藏>曰 喜忘發狂 身黃屎黑 疾已甚也 但小腹滿 小便不利者輕也

<해장>, 잊기를 잘 하고 발광함며 몸이 누렇고 대변이 검으면 이미 병이 깊은 것이다. 단지 아랫배가 그득하고 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것은 병이 가벼운 것이다.

血蓄外證 痰嘔燥渴 昏瞶迷妄 常喜湯水漱口(直指)

축혈이 겉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가래가 나오고 갈증이 나고 귀가 먹고 눈이 멀며 정신이 어떨떨하고 늘 잊어버리고 더운 물에 양치하기를 좋아한다.(직지)

凡病日輕夜重 便是瘀血 又常喜潄水 而不欲下咽(入門)

대개 병은 낮에는 우선했다가 밤에 위중한 것은 곧 어혈이고 또 늘 양치질하기는 좋아하나 목에 넘기려고는 하지 않는다.(입문)

凡蓄血 有上中下之別 以衄 嘔 唾 吐血 爲上部 血結胸中 爲中部 蓄血下焦則爲下部 血蓄 上焦則善忘 宜犀角地黃湯方見衄血 血蓄中焦 胸滿 身黃潄水 不欲嚥 宜桃仁承氣湯方見傷寒 血蓄下焦 則發狂 糞黑 小腹硬痛 宜抵當湯丸 須取盡黑物爲效方見傷寒 生地黃湯 通治三焦蓄血(海藏)

대개 축혈은 상 중 하의 구별이 있다. 육 구 타 토혈을 상부로 삼고, 혈결이 가슴 곳에 있으면 중부로 삼고, 축혈이 하초에 에 있으면 하부로 삼는데, 축혈이 상초에 있으면 잘 잊어버린다. 마땅히 지각지황탕(처방은 육혈을 보라), 축혈이 중초에 있으면 가슴이 그득하며 몸이 누렇고 물로 양치질을 하나 삼키려고는 하지 않으니 마땅히 도인승기탕(처방은 상한을 보라), 축혈이 하초에 있으면 발광하고 대변이 검으며 아랫배가 딱딱하고 아프니 마땅히 저당탕환을 써야 하는데 모름지기 검은 빛이 다 없어질 때까지 써야 효과가 있다.(처방은 상한을 보라) 또 생지황탕은 삼초의 축혈을 두루 치료한다.(해장)

<綱目>曰 瘀血燥結 宜用玉燭散方見胞門 下焦蓄血 桃仁 五靈脂 生地黃 大黃 甘草 利以逐之(直指)

<강목>, 어혈이 말라붙었을 때는 마땅히 옥촉산(처방은 포문을 보라), 하초에 축혈이 있을 때는 도인 오령지 생지황 대황 감초로 설사를 시켜서 내몰아야 한다.(직지)

沒藥 蘇木 水蛭 蝱蟲 五靈脂 留尖桃仁 皆破瘀血(本草)

몰약 소목 수질 맹충 오령지 뾰족한 끝이 있는 복숭아씨 등은 모두 어혈을 푼다.(본초)

生韭汁 善治胸膈間瘀血 甚效(丹心)

생 부추즙으로 가슴에 어혈이 진 것을 잘 치료하면 효과가 좋다.(단심)

 

生地黃湯

治蓄血證脈沈細微 膚冷 臍下滿 或狂 或躁 大便色黑 小便自利 老幼氣弱者尤宜 生地黃1無卽用生乾地黃80g 乾漆炒烟盡20g 生藕汁半升無卽用紫蘇汁1升半 生藍葉一握剉無卽用乾末半升 蝱虫20箇炒 水蛭10箇炒 大黃40 桃仁20g 爲水3升 同熬 至2升放冷 分2服先服 至半日許血未下 再服之 此藥 比抵當湯 丸 甚輕 恐抵當丸 下血不止 故以此湯 主之(海箴)

생지황탕

축혈증으로 맥이 침세하면서 약하고 피부가 차며 배꼽 아래가 그득하거나 미쳐서 날뛰고 대변이 검고 소변이 저절로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기가 약한 노인네 어린이에게 쓰면 더욱 좋다. 생지황1승 없으면 생건지황80g을 쓰고, 건칠초연진20g 생우즙반승 없으면 자소즙1승반을 쓰고, 생남엽일악좌없으면 건말반승을 쓰고, 맹충20개초 수질10개초 대황40썬 것 도인20g을 물 서 되에 넣고 달여서 두 되가 되면 식혀서 둘로 나누어 2번에 먼저 복용하는데 한나절이 지나도 피가 나오지 않으면 다시 먹어야 한다. 이 약은 저당탕이 저당환에 비하면 몹시 약하다. 저당환을 하혈이 멎지 않을 수가 있기 때문에 이 약으로 주로 치료한다.(해잠)

 

血病吉凶

凡血逆行難治 順行易治 無潮熱者輕 有潮熱者重 潮盛脈大者死 又曰九竅出血 身熱不得臥者 卽死 又曰 凡血證 陽盛則身熱多渴 陰盛則身凉不渴 然血陰也 身凉者易愈 又曰 如心肺破血 若湧泉口鼻 俱出者 不治(入門)

대개 피가 거꾸로 흐르면 치료하기 어렵고 제대로 흐르면 치료하기 쉽다. 조열이 없으면 가볍고 조열이 있으면 중하다. 조열이 성하면서 맥이 크면 죽는다. 또 왈, 아홉 구멍에서 피가 나오고 몸의 열이 있으면서 잠을 자지 못하면 죽는다. 또 왈, 대개 혈증은 양이 성하면 신열로 자주 목이 마르고, 음이 성하면 몸이 차서 목이 마르지 않는데 혈이 음이어서 몸이 차면 쉽게 낫는다. 또 왈, 심폐맥이 터져 피가 입과 코로 샘솟듯이 함께 나오면 치료할 수 없다.(입문)

<靈樞> 曰 淫而脫形 身熱色夭然白 及後下血衃血 衃篤重 是爲逆 又曰 衄而不止 大是爲逆 又曰 咳且溲血脫肉 其脈小勁 是爲逆 又曰 嘔血胸滿引背 脈小而疾 是爲逆 又曰 腹脹便血 其脈大時絶 是爲逆 又曰 咳溲血 形肉脫脈搏 是爲逆

<영추> , 음탕해서 살이 빠지고 몸에 열이 나며 안색이 창백하고 뒤로 핏덩어리가 나오는데 핏덩어리는 병이 중한 것으로 이를 역증이라 한다. 또 왈, 코피가 그치지 않고 맥이 큰 것도 역증이고, 또 왈, 기침이 나고 피오줌이 나오며 맥이 약간 굳은 것도 역증이며, 또 왈, 피를 토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등이 켕기고 맥이 작고 빠른 것도 역증이고, 또 왈, 배가 불러오르고 피똥을 누며 맥이 크나 때로 끊어지는 것도 역증이며, 또 왈, 기침이 나오고 피오줌을 누며 살이 빠지고 맥이 박한 것도 역증이다.

<東垣>曰 諸見血身熱脈大者難治 難治者邪勝也 身凉脈靜者易治 易治者正氣復也 又曰 血溢上行 或唾或嘔或吐 皆凶也 若變而下行 爲惡痢者順也 上行爲逆 其治難 下行爲順 其治易 故<仲景>云 蓄血證 下血者 當自愈 若無病之人 忽然下血利者 其病進也 今病血證 上行而復下行 爲惡利者 其邪欲去 是知吉也

<동원>, 모든 혈증을 볼 때, 신열이 있고 맥이 크면 치료하기 어려운데 어려운 것은 사기가 세기 때문이다. 몸이 차고 맥이 고르면 치료하기가 쉬운데 쉬운 것은 정기가 회복되기 때문이다. 또 왈, 피가 넘쳐 위로 솟구쳐 생긴 타혈 구혈 토혈은 모두 흉하다. 만약 변하여 아래로 내려와서 나쁜 이질이 되면 순증이다. 피가 위로 치솟는 것은 역증이므로 그 치료가 어렵고 피가 아래로 내려오는 것은 순증이므로 그 치료가 쉽다. 그러므로 중경에 이르기를, 축혈증으로 피가 내려오면 마땅히 저절로 낫는다. 병이 없는 이가 갑자기 피똥을 누는 것은 그 병이 진행되어 벌써 혈증이 된 것이다. 위로 치솟았다가 다시 오래로 내려와서 나쁜 이질이 되면 그 사기가 없어지려는 것이므로 이는 길함을 알 수 있다고 했다.

<仲景>曰 吐血 咳逆 上氣 脈數 而有熱 不得臥者死

<중경>, 피를 토하고 기침을 하며 기가 치밀어 오르고 맥이 잦으며 열이 나면서 잠을 자지 못하면 죽는다.

無故忽然瀉下惡血 名曰心絶 爲難治

까닭없이 갑자기 나쁜 피를 누는 것은 심절이라고 하는데 치료가 어렵다.

傷寒太陽證 衄血者 病欲愈 熱結膀胱而 血自下者 亦欲愈 以此觀之 則他病伏熱之人 上

焦瘀熱 而作吐者 亦其病之有瘳也 雖然血旣吐 而自止 則可矣(直指)

상한태양증에 코피가 나면 병이 나으려는 것인데 열이 방광에 몰려서 피가 저절로 내려가는 것 역시 나으려는 것이다. 이로 보건대 다른 병으로 열이 잠복되어 있는 이가 상초에 열이 몰려서 토하는 것도 병이 나으려는 것이다. 비록 그러나 피를 이미 토하다가도 저절로 그치면 좋다.(직지)

 

亡血脫血證

<靈樞>曰 鼻頭色白者 亡血也 又曰 衝脈爲血之海 血海不足 則身少血色 面無精光 又曰 血脫者 色白夭然不澤 其脈空虛

<영추>, 코끝이 희면 망혈증이다. 또 왈, 충맥을 혈해라고 하는데 혈해가 부족하면 몸에 핏기가 없고 얼굴에 윤기가 없어진다. 또 왈, 탈혈증은 살이 하얗고 거칠어지며 윤기가 없고 맥이 몹시 허하다.

<內經>曰 臂多靑脈 曰脫血 又曰 安臥 脈盛 謂之脫血

<東垣>曰 六脈弦細而澁 按之空虛 其色必白 而夭不澤者 脫血也. 通用四物湯方見下 三才丸

<동원>, 육맥이 현세하고 삽한데 눌러 보면 공허하며 그 안색이 하얗고 윤택이 없으면 탈혈증이다. 사물탕(처방은 아래를 보라) 삼재환을 두루 쓴다.

三才丸

補血虛 天門冬 熟地黃 人參各等分 上爲末 蜜丸梧子大 每服百丸 酒飮任下(綱目)

삼재환

혈이 허한 것을 보한다. 천문동 숙지황 인삼각등분해서 가루내어 꿀로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백 알씩 술이나 미음으로 먹는다.(강목)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