衄血
○ 鼻通於腦 血上溢於腦 所以從鼻而出 兼以陽明熱鬱 則口鼻俱出也 又曰 血出於肺 宜莎芎散 三黃補血湯 鷄蘇散 陶氏生地芩蓮湯 保命生地黃散 淸衄湯 解鬱湯(入門)
○ 코는 뇌와 통해 있어서 피가 뇌로 올라와서 넘쳐나면 코피가 나온다. 겸해서 양명경에 열이 울체되면 입과 코에서 함께 나온다. 또 왈, 피가 폐에서 나온다고도 한다. 마땅히 사궁산 삼왛보혈탕 계소산 도씨생지금련탕 보명생지황산 청육탕 해울탕을 써야한다.(입문)
○ <丹溪>曰 衄血以凉血行血爲主 犀角地黃湯 入鬱金 加片芩 升麻
○ <단계>왈, 코피는 피를 서늘하게 하고 잘 돌아가게 하는 것으로써 주로하므로 서각지황탕에 울금을 넣고 편금과 승마를 가하여 쓴다.
○ <東垣>曰 衄血出於肺 犀角 升麻 梔子 黃芩 芍藥 生芐 紫菀 丹蔘 阿膠之類主之
○ <동원>왈, 코피는 폐에서 나온다. 지각 승마 치자 황금 작약 생하 자울 단삼 아교류를 위주로 한다.
○ <內經>曰 脾移熱於肝則爲驚衄 又曰 春善病 鼽衄 又曰 少陰所至爲衄衊 又曰 陽明厥逆 喘咳身熱 善驚衄吐血
○ <내경>왈, 비의 열이 간으로 옮기면 놀라 코피를 흘리게 된다. 또 왈, 봄에는 병에 잘 걸려서 코가 막히고 코피도 잘 난다. 또 왈, 소음이 이르면 코피가 심하게 난다. 또 왈, 양명경이 궐역되면 숨이 차고 기침이 나며 몸에 열이 나고 잘 놀라며 코피가 나기도 하고 토하기도 한다.
○ 衄不止 以麝香散 及諸藥塞鼻 又用止血 諸方法
○ 코피가 그치지 않으면 사향산과 여러 가지 약으로 코를 막은 후에 또 지혈하는 여러 처방을 써야 한다.
○ 傷寒當汗 不汗熱盛迫血必爲衄 宜麻黃升麻湯 麻黃桂枝湯 滑石丸 鼻流涕 久成衄 宜犀角地黃湯(入門)
○ 상한에는 응당 땀를 내야 한다. 땀을 내지 않으면 열이 성해서 혈을 압박하기 때문에 반드시 코피가 나온다. 응당 마황승마탕 마황계지탕 활속환을 쓴다. 콧물이 오랫동안 나오다가 코피가 나오는 데는 서각지황탕이 좋다.(입문)
【莎芎散】
治衄血 香附子160g 川芎80g 右爲末 每8g 茶淸調下不以時 丹溪心法 芎附飮同
【사궁산】
코피를 치료한다. 향부자160g 천궁80g을 가루내어 매 8g을 맑은 차에 타서 아무 때나 먹는다. 단계심법의 궁부음과 같다.
香附開鬱行氣 使邪火散於經絡 川芎和血通肝 使血歸於肝臟 血歸火散 其血立止(入門)
향부자는 울체를 열고 기를 잘 돌아가게 하여 사화를 경락에서 흩어지게 한다. 천궁은 피를 고르게 하고 간경을 통하게 해서 피가 간장으로 잘 돌게 한다. 피가 돌아가면 화가 흩어지고 그 피도 곧 멎는다.(입문)
【三黃補血湯】
治六脈虛芤 而衄 吐血 升麻 白芍藥各8g 熟地黃4g 當歸 川芎各3g 生地黃 柴胡 黃芪 牧丹皮各2g
剉作一貼 水煎服(丹溪)
【삼황보혈탕】
治육혈이 허하고 막혀서 코피를 흘리고 피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승마 백작약각8g 숙지황4g 당귀 천궁각3g 생지황 시호 황기 목단피각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단계)
【鷄蘇散】
治衄血不止 乃肺金受相火 所制然也 鷄蘇葉 黃芪 生地黃 阿膠珠 白茅根各4g 麥門冬 桔梗 蒲黃炒 貝母炒 桑白皮 甘草灸各2g 生薑6g剉作一貼 水煎服. 兼以黃丹 吹入鼻(正傳)
【계소산】
코피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폐금이 상화를 받아서 그런 것이다. 계소엽 황기 생지황 아교주 백모근각4g 맥문동 길경 포황초 패모초 상백피 감초구각2g 생강6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 황단을 겸해서 코에 불어넣어야 한다.(정전)
【陶氏生地芩蓮湯】
治鼻衄 成流不止 失血過多 譫語失神 閉目撮空 不省人事 生地黃 黃芩 黃連 梔子 川芎 赤芍藥 柴胡 桔梗 犀角 甘草各4g 大棗4g 水煎 臨服 以藕汁 磨墨汁調服(入門)
【도씨생지금련탕】
코피가 멎지 않고 계속 흐르는 것과 피를 지나치게 흘려서 헛소리를 하며 정신을 잃고 눈을 감고 헛손질을 하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황금 황련 치자 천궁 적작약 시호 길경 서각 감초각4g 대조4g을 물에 달여 먹을 때 연뿌리즙에 먹물을 타서 복용한다.(입문)
【淸衄湯】
治衄血 當歸 赤芍藥 生地黃 香附子 黃芩 梔子 側柏葉各4g 黃連3g 赤茯苓 桔梗各2g 甘草1g 藕節5個 剉作一貼 水煎 入童便 調服(回春)
【청뉵탕】
코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적작약 생지황 향부자 황금 치자 측백엽각4g 황련3g 적복령 길경각2g 감초1g 우절5개를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로 달여 아이오줌에 넣어 타서 먹는다.(회춘)
【解鬱湯】
治衄血 柴胡 黃芩 黃連 生地黃 地骨皮 黃芪 熟地黃 白芍藥各4g 爲剉 水煎服(入門)
【해울탕】
코피가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황금 황련 생지황 지골피 황기 숙지황 백작약각4g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입문)
【犀角地黃湯】
治衄吐血不止 及上焦瘀血 面黃 大便黑 能消化瘀血 生地黃12g 赤芍藥8g 犀角 牧丹皮各4g
剉作一貼 水煎服 回春 加當歸 黃芩 黃連各4g 尤佳(入門)
【서각지황탕】
코피와 피를 토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과 상초에 어혈이 있어 얼굴이 누렇고 대변이 검을 것을 치료하며 능히 어혈을 삭일 수가 있다. 생지황12g 적작약8g 서각 목단피각4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 회춘에는 당귀 황금 황련각4g을 더하면 더욱 좋다고 했다.(입문)
【麻黃升麻湯】
治傷寒表未解 熱鬱作衄 俗呼謂紅汗 麻黃 升麻 赤芍藥 黃芩 石膏 赤茯 甘草各4g 剉作一貼 薑三片 水煎熱服 微汗(入門)
【마황계지탕】
治상한에 땀을 내지 않아서 코피가 나는 것을 치료하고, 또 감기로 코피가 나고 피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백작약 황기 감초각4g 계지 당귀각2g 맥문동 인삼각1g 오미자5립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동원)
【麝香散】
治衄血不止 枯白礬 白龍骨各12g 麝香0.6g爲細末 每用少許 先以冷水洗淨鼻內 然後吹入鼻中 或以濕紙蘸藥 塞鼻尤妙(得效)
○百草霜細末二錢水調服名曰黑神散又吹入鼻中
○衄不止 蒲黃炒 或血竭末或油髮灰末或人中白末並吹入鼻中(本草)
【사향산】
코피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고백반 백용골각12g 사향0.6g을 곱게 가루내어 매번 조금씩 쓰는데 먼저 찬물로 코 안을 깨끗이 씻어낸 후에 코 속에 불어넣거나 약을 젖은 종이에 묻혀서 코를 막으면 더욱 효과가 있다.(득효)
○백초상을 곱게 가루내어 2전을 물에 타서 먹는데 이름이 흑신산이다. 또 코 속으로 불어넣기도 한다.
○코피가 멎지 않는 데는 포황초나 혈갈가루나 기름 묻은 머리카락을 태운 가루를 쓰는데 흰가루를 코 속에 함께 불어넣는다.(본초)
【滑石丸】
治傷寒不得汗 以致鼻衄 纔見血 急用此止之 滑石末 飯丸梧子大 每10丸 微嚼破 新水嚥下 立止(綱目)
【활석환】
상한에 땀을 내지 못해서 코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피가 잠깐 보일 때 재빨리 이 약을 쓰면 멈춘다. 활석말을 밥과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열 알씩 잘 씹어서 깨끗한 물로 넘기면 곧 멎는다.(강목)
【止衄法】【지육법】
○ 治鼻衄久不止 諸藥無效神效 以大白紙一張或二張 作十數摺冷水浸濕 置頂中 以熱熨斗熨之 至一二重紙乾則血立止(東垣)
○ 코피가 오래도록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온갖 약이 효험이 없을 때 신효하다. 큰 백지 한두 장을 열 남짓으로 접어서물에 적셔 머리 꼭대기에 올려놓고 인두로 뜨겁게 한두 겹의 종이가 마를 때까지 하면 피가 곧 멈춘다.(동원)
○ 治衄百藥不止 用線緊扎手中指中節 如左鼻出血 札右手中指 右鼻出血 札左手中指 如兩鼻出血 左右俱札之 一方用色線(種杏)
○ 백약이 듣지 않는 코피를 치료한다. 노끈으로 가운데손가락 가운데 마디를 단단히 동여매는데 왼쪽 코에서 피가 나오면 오른손 가운데손가락을 동여매고, 오른쪽 코에서 피가 나오면 왼쪽 가운데손가락을 동여맨다. 양 코에서 피가 나오면 좌우 모두를 동여맨다. 또 다른 처방에는 색실을 쓴다.(종행)
○ 治衄不止 白芨爲末 冷水調塗 山根上兩眉間也立止 仍以冷水調12g服之尤妙
○ 코피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백급을 가루내어 찬물에 개어 산근(양 눈썹 사이다) 위에 붙이면 곧 멎는다. 찬물에 6전을 타서 먹으면 더욱 좋다.
○ 又方大蒜一枚 細硏作餠子 如錢大 左鼻出血 貼左脚心 右鼻出血 貼右脚心 如兩鼻出血 貼兩脚心 血止卽洗去
○ 또 다른 처방은 큰 마늘 한 개를 곱게 갈아서 엽전크기로 떡을 만들어 왼쪽 코에서 피가 나오면 왼쪽 발바닥가운데 붙이고 오른쪽 코에서 피가 나오면 오른쪽 발바닥가운데 붙이고 양쪽 코에서 피가 나오면 양쪽 발바닥가운데 붙이고, 피가 멎으면 즉시 씻어서 없앤다.
○ 洪寶膏 治衄血不止 取藥冷水調塗後頂上 最絶血路 方見癰疽(回春)
○ 홍보고 코피가 멎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을 찬물에 개어서 뒷머리에 붙이면 피가 나오는 길이 아주 잘 막힌다.(처방은 옹저를 보라)(회춘)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內景卷之二 - 血 - 尿血 (0) | 2012.08.06 |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血 - 咳血 嗽血 唾血 咯血 (0) | 2012.08.05 |
[스크랩] 內景篇卷之二 - 血 - 失血諸證 辨血色新舊 蓄血證 血病吉凶 亡血脫血證 (0) | 2012.07.28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血 - 陰血生於水穀 血爲榮 血爲氣配 脈法 熱能傷血 七情動血 內傷失血 (0) | 2012.07.27 |
[스크랩] 內景1-神-單方凡二十三種 鍼灸法 (0) | 201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