咳血 嗽血 唾血 咯血

咳血者 咳甚出血 本於肺 龍腦鷄蘇丸 鷄蘇散方見上 玄霜膏

해혈이란 기침이 심해서 피가 나오는 것인데 원인은 폐에 있다. 용뇌계소환 계소산(처방은 위를 보라) 현상고를 쓴다.

嗽血者 痰嗽帶血 本於脾 六君子湯方見痰飮 加桑白皮 片芩 枳殼 五味子 有火者 加味逍遙散

수혈이란 기침할 때 가래에 피가 섞이는 것인데 원인은 비에 있다. 육군자탕(처방은 담음을 보라)에 상백피 편금 지각 오미자를 더해서 쓰는데 사화가 있으면 가미소요산을 쓴다.

唾血者 鮮血隨唾而出 本於腎 滋陰降火湯方見火門 唾中有紅絲 乃是肺痿 難治

타혈이란 가래침에 빨간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인데 원인을 신에 있다. 자음강화탕(처방은 화문을 보라) 가래침에 피오라기가 섞여 나오는 것을 폐위증이라 하는데 치료하기가 어렵다.

咯血者 咯出血屑 或 咯而不出 甚咯則出 或帶紅絲 細如線 此精血竭也 四物湯 加竹瀝 薑汁 童便 靑黛 或 滋陰降火湯 保命生地黃散方見下 聖餠子(入門)

각혈이란 트림할 때 작은 핏덩이가 나오는 것인데 뱉으려 해도 잘 나오지 않다가 심하게 트림을 해야 나온다. 혹은 가는 실 같은 빨간 피오라기가 나오는데 이것은 정혈이 고갈되어서 그렇다. 사물탕에 죽력 생강즙 아이오줌 청대를 넣어 쓰거나 자음강화탕 보명생지황산(처방은 아래를 보라) 성병자를 쓴다.(입문)

先見紅後痰 多是 陰虛火動 痰不下降 四物湯 貝母 天花粉 以化痰 山梔仁 麥門冬 牧丹皮 以降火 先痰嗽後見紅 多是痰火積熱 降痰火爲急 宜山梔地黃湯

먼저 빨간 피가 보이고 다음에 담이 나오는 것은 흔히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하고 담이 잘 내려가지 못해서다. 사물탕에 패모 천화분을 더해서 담을 삭이고 치자 맥문동 모란피로써 화를 내려야 한다. 먼저 담이 나오고 뒤에 빨간 피가 나오는 것은 흔히 담화로 열이 쌓였기 때문이다. 응당 산치지황탕을 쓴다.

痰嗽涎帶血出 此胃口熱血蒸而出 重者 梔子 輕者藍實(丹心)

가래나 침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은 위에 있는 열이 피를 훈증하여 나오는 것인데 중하면 산치자를 쓰고 경하면 쪽씨를 쓴다.(단심)

先吐痰後見血 是積熱 宜 淸肺湯先吐血後見痰 是陰虛 宜滋陰降火湯(回春).

咳嗽咯血 龍腦鷄蘇丸 河間生地黃散 淸火滋陰湯 淸咳湯 淸咯湯 淸唾湯 坎离膏方見下玄霜雪梨膏 恩袍散(寶鑑)

해혈 수혈 타혈 각혈에는 응당 용뇌계소환 하간생지황산 청화자음탕 청해탕 청각탕 청타탕 감리고(처방은 아래를 보라) 현상설리고 은포산을 쓴다.(보감)

 

龍腦鷄蘇丸

治咳嗽 唾 喀血 薄荷1麥門冬160g 蒲黃 阿膠80g 甘草60g 人參 黃芪40g 爲末 別以柴胡 木通80g 剉用湯半椀 浸2宿 取汁 用蜜2斤 煉12沸 入生乾地黃末240g 攪勻 入柴胡 木通汁

慢火 熬成膏 然後 將前藥末 同搜和 爲丸豌豆大 熟水 下20(局方)

용뇌계소환

해수와 타혈 객혈을 치료한다. 박하1맥문동160g 포황 아교80g 감초60g 인삼 황기40g을 가루내고, 따로 시호 목통80g을 썰어서 끓인 물 반 사발에 담가 이틀 밤을 재워 즙을 내고 , 꿀 두 근을 한두 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생건지황 가루 240g과 고루 섞는다. 여기에 시호 목통즙을 타서 약한 불에 달여 고를 낸 다음 앞의 약 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완두콩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20알씩 먹는다.(국방)

玄霜膏

治喀血 吐血 虛勞嗽 神效 烏梅汁 梨汁 柿霜 白砂糖 白蜜 蘿蔔汁160g 生薑汁40g 赤茯笭320g用乳汁浸晒9 款冬花 紫莞末各80g 共入砂鍋內 熬成膏 丸如彈子大 每1丸 臨臥 含化嚥下(入門)

현상고

객혈 토혈 허로로 기침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신효하다. 오매즙 이즙 시상 백사당 백밀 나복즙160g 생강즙40g 적복령320g유즙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리기른 9번 한다 관동화 자완말각80g을 함께 사기냄비에 담아 고약처럼 되게 졸여서 달걀 노른자크기로 환을 만들어 매번 한 알씩 잠자리에 들기 전에 입에 물고 녹여서 삼킨다.(입문)

加味逍遙散

治痰中見血 牧丹皮 白朮6g 當歸 赤芍藥 桃仁 貝母4g 山梔 黃芩3.2g 桔梗2.8g 靑皮2g 甘草1.2g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가미소요산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목단피 백출6g 당귀 적작약 도인 패모4g 산치 황금3.2g 길경2.8g 청피2g 감초1.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서 먹는다.(입문)

聖餠子

治喀血 杏仁40粒去皮尖 硏細同黃蠟炒 入靑黛4g 捏作餠子 用時 以乾柿1枚 破開以餠 置其中合定 濕紙包煨 硏爛 米飮調服(正傳)

성병자

객혈을 치료한다. 행인40립거피첨 잘 갈아서 황랍과 함께 볶는다. 청대4g을 넣고 반죽하여 떡을 빚는다. 쓸 때에는 곶감 한 개를 쪼개고 그 속에 넣어서 젖은 종이로 싼 다음 잿불에 묻어 구워서 잘 갈아서 미음에 타서 먹는다.(정전)

山梔地黃湯

治先吐痰 後見血 宜以降痰火爲急 山梔仁4.08g 生地黃 赤芍藥 知母 貝母 瓜婁仁4g 天花粉 牧丹皮 麥門冬2g爲剉 作一貼 水煎服(入門)

산치지황탕

먼저 가래가 나오고 뒤에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데 응당 담화를 내리는 것이 급하다. 산치인4.08g 생지황 적작약 지모 패모 과루인4g 천화분 목단피 맥문동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서 먹는다.(입문)

淸肺湯

先痰後血 是積熱也 赤茯笭 陳皮 當歸 生地黃 赤芍藥 天門冬 麥門冬 黃芩 梔子 紫莞 阿膠珠 桑白皮2.8g 甘草1.2g爲剉 作一貼 棗2枚 烏梅1箇 水煎服(回春)

청폐탕

먼저 담이 나오고 후에 피가 나오는데 이는 열이 쌓여 있기 때문이다. 적복령 진피 당귀 생지황 적작약 천문동 맥문동 황금 치자 자완 아교주 상백피2.8g 감초1.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대추 두 알 오매 한 개를 넣고 물에 끓여서 먹는다.(회춘)

河間生地黃散

治鬱熱 衄 吐 喀 唾血 枸杞子 柴胡 黃連 地骨皮 天門冬 白芍藥 黃芩 黃芪 生地黃 熟地黃 甘草2.8g爲剉 作一貼 水煎服(丹心)

하간생지황산

열이 몰려서 생긴 코피 토혈 객혈 타혈을 치료한다. 구기자 시호 황연 지골피 천문동 백작약 황금 황기 생지황 숙지황 감초2.8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단심)

淸火滋陰湯

治嘔吐 咳嗽 唾 喀血 天門冬 麥門冬 生地黃 牧丹皮 赤芍藥 山梔子 黃連 山藥 山茱萸 澤瀉 赤茯笭 甘草2.8g剉作一貼 水煎 入童便服(回春)

청화자음탕

구토 해수 타혈 객혈을 치료한다. 천문동 맥문동 생지황 목단피 적작약 산치자 황연 산약 산수유 택사 적복령 감초2.8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서 아이 오줌에 넣어 먹는다.(회춘)

淸咳湯

해혈을 치료한다. 당귀 백작약 도인 패모초각4g 백출 목단피 황금 치자초흑각3.2g 청피 길경2g 감초1.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회춘)

淸喀湯

治喀血 陳皮 半夏 茯笭 知母 貝母 生地4g 桔梗 梔子炒黑各2.8g 杏仁 阿膠珠2g 桑白皮6g 甘草2g 薄桂0.8g 剉作一貼 薑3片 水煎服(回春)

청객탕

객혈을 치료한다. 진피 반하 복령 지모 패모 생지4g 길경 치자초흑각2.8g 행인 아교주2g 상백피6g 감초2g 박계0.8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끓여 먹는다.(회춘)

淸唾湯

治唾血 知母 貝母 桔梗 黃栢鹽水炒褐色 熟地黃 玄蔘 遠志 天門冬 麥門冬4g 乾薑炒黑2g爲剉 作一貼 水煎服(回春)

청타탕

타혈을 치료한다. 지모 패모 길경 황백염수초갈색 숙지황 현삼 원지 천문동 맥문동4g 건강초흑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서 먹는다.(회춘)

玄霜雪梨膏

治咳嗽 唾喀 吐血 諸勞心動火 勞嗽 久不愈 雪梨60箇去心皮取汁20 酸者不用 生藕汁10生地黃汁10 麥門冬 煎取汁5 生蘿蔔汁5 白茅根汁10爲汁合和重濾 去渣 火上煎煉 入煉蜜1斤 飴糖320g 柿霜320g薑汁半酒盞 火上再熬 如稀糊 卽成膏矣 每服35匙 日3服 不拘時(醫鑑)

玄霜雪梨膏

해수 객혈 타혈 토혈을 치료하는데 지나치게 힘을 써서 화가 동한 것과 허로로 인한 기침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설리60개를 속과 껍질은 버리고 즙을 내어 20종지 신 것은 사용할 수 없다 생우즙10종지 생지황즙10종지 맥문동 전취즙5종지 생나복즙5종지 백모근즙10종지를 합해서 여러 번 거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불 위에서 달여 달인 꿀 한 근을 넣고 이당320g 시상320g 강즙 반 술잔을 넣고 불 위에서 다시 풀처럼 되게 달이면 곧 고약처럼 된다. 매번 3-5 숟가락씩 매일 3번 아무 때난 먹는다.(의감)

恩袍散

治喀血 唾血 吐血 眞生蒲黃 薄荷40g爲末 每12g 以桑白皮湯 調下(綱目)

은포산

객혈 타혈 토혈을 치료한다. 진생포황 박하40g을 가루내어 매번 12g을 상백피탕에 타서 먹는다.(강목)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