尿血

<內經>曰 胞移熱於膀胱 則癃尿血

<내경>, 포의 열이 방광으로 가면 오줌이 막히거나 피오줌이 나온다.

<仲景>曰 熱在下焦 則尿血 凡小便血出 成淋作痛 或雜尿而出者 從膀胱中來也 如血出不痛 乃心移熱於小腸 從精竅中出也(正傳)

<중경>, 열이 하초에 있으면 피오줌이 나온다. 대개 소변에 피가 나오다가 임병이 되어 아프면서 피가 오줌에 섞여 나오는 것은 방광 속에서 나오는 것이다. 피가 나오면서 아프지는 않은 것은 곧 심의 열이 소장으로 넘어가서 정규에서 나오는 것이다.(정전)

小便出血 而不痛者 爲尿血 非淋也 是血從精竅中來 乃心移熱於小腸 四物湯 梔子 滑石 牛膝 芩蓮 髮灰散 琥珀散(入門)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면서도 아프지 않은 것은 피오줌이지 임병은 아니다. 이는 피가 정규에서 나오는 것인데 곧 심의 열이 소장에 넘어가서 생긴 것이다. 사물탕에 치자 활석 우슬 금련을 넣어 쓰거나 발회산 호박산을 써야 한다.(입문)

小便出血 是心伏熱在於小腸 八正散方見小便 麥門冬煎服(鉤玄)

소변에 피가 나오는 것은 심의 열이 소장에 넘어가서 잠복했기 때문이다. 팔정산처방은 소변을 보라 맥문동을 더해서 끓여 먹는다.(구현)

尿血 宜淸腸湯 淸熱滋陰湯 小薊飮子 薑蜜湯 四物湯合五苓散方見寒門煎服 酒傷尿血 茯苓調血湯 色傷尿血 鹿角膠丸 腎氣丸方見虛勞 老人 六味地黃丸方見虛勞 婦人 當歸散 小兒 立效散

피오줌에는 응당 청장탕 청열자음탕 소계음자 강밀탕 사물탕합오령산처방은 한문을 보라을 더해서 먹는다. 술 때문에 피오줌이 나오는 것은 복령조혈탕을 쓰고 색을 밝혀서 피오줌이 나오는 것은 녹각교환 신기환처방은 허로를 보라을 쓰고 노인은 육미지황환처방은 허로를 보라 부인은 당귀산 소아는 입효산을 쓴다.

有實熱 當歸承氣湯方見下下之(寶鑑)

실열이 있으면 당귀승기탕처방은 아래를 보라으로 설사를 시켜야 한다.(보감)

 

髮灰散

治尿血 亂髮燒存性 爲末 每8g 以醋二合湯少許 調服 或以井華水 亦得(綱目)

발회산

피오줌 누는 것을 치료한다. 난발을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가루를 내어 매 4전을 식초 두 홉에 푼 다음 끓인 물에 조금 타서 복용하거나, 정화수에 타서 먹어도 좋다.(강목)

髮灰丸 治同 髮灰以側柏葉汁 調糯米粉和 丸梧子大 白湯 呑下50(正傳)

발회환 피오줌을 누는 것을 치료한다. 발회는 측백잎즙을 참쌀가루에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에 50알씩 먹는다.(정전)

琥珀散

治尿血 琥珀 爲細末 燈心 薄荷 煎湯 調8g 服之(入門)

호박산

피오줌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호박을 곱게 가루내어 등심 박하를 달인 물에 4전씩 타서 먹는다.(입문)

淸腸湯

治尿血 當歸 生地黃 梔子 黃連 赤芍藥 黃栢 瞿麥 赤茯笭 木通 萹蓄 知母 麥門冬2.8g 甘草2g剉作一貼 燈心1團 烏梅1箇 水煎服(回春)

청장탕

피오줌 누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생지황 치자 황연 적작약 황백 구맥 적복령 목통 편축 지모 맥문동2.8g 감초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등심 한 단 오매 한 개를 물에 끓여 먹는다.(회춘)

淸熱滋陰湯

治尿血 及便血 生地黃 麥門冬 梔子炒黑各4g 玄蔘 牧丹皮3.2g 當歸 川芎 赤芍藥2g 知母 黃栢竝酒炒 白朮 陳皮 甘草1.2g剉作一貼 水煎服(醫鑑)

청열자음탕

피오줌과 피똥 누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맥문동 치자초흑각4g 현삼 목단피3.2g 당귀 천궁 적작약2g 지모 황백병주초 백출 진피 감초1.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듣어 물에 끓여 먹는다.(의감)

小薊飮子

治下焦結熱尿血 藕節8g 當歸4g 山梔仁3.2g 小薊 生地黃 滑石 通草 蒲黃2g 甘草1.2g爲剉 作一貼 竹葉7片 同煎服(丹心)

소계음자

하초에 열이 맺혀서 나오는 피오줌을 치료한다. 우절8g 당귀4g 산치인3.2g 소계 생지황 활석 통초 포황2g 감초1.2g을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죽엽 7잎을 넣어 함께 끓여 먹는다.(단심)

薑蜜湯

治小便出血 生薑7半盃 白茅根1爲水煎服(得效)

강밀탕

소변에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생강7반배 백모근1을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茯苓調血湯

治酒麵過度 房勞後 小便出血半 赤茯笭6g 赤芍藥 川芎 半夏麴各2.8g 前胡 柴胡 靑皮 枳殼 桔梗 桑白皮 白茅根 燈心 甘草2g剉作一貼 薑5片 蜜2匙 水煎服(得效)

복령조혈탕

술이나 국수를 지나치게 먹었거나 방사 후에 소변에 피가 반이나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적복령6g 적작약 천궁 반하국각2.8g 전호 시호 청피 지각 길경 상백피 백모근 등심 감초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5쪽 꿀 두 숟갈을 넣고 물에 끓여 먹는다.(득효)

鹿角膠丸

治房室勞傷 小便出血 鹿角膠40g作珠 沒藥 油髮灰24g 爲末 白茅根汁 打糊 和丸 梧子大 空心鹽湯 呑下70(得效)

녹각교환

방사로 피로 때문에 상해서 소변에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녹각교40g초하여 구슬처럼 만든 것 몰약 유발회24g을 가루내어 백모근즙으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소금탕으로 70알씩 먹는다.(득효)

當歸散

治婦人尿血 生地黃10g 小薊葉8g 當歸 羚羊角屑 赤芍藥6g 爲剉 作一貼 水煎服(丹心)

당귀산

부인의 피오줌을 치료한다. 생지황10g 소계엽8g 당귀 영양각설 적작약6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서 먹는다.(단심)

立效散

治小兒尿血 蒲黃 生地黃 赤茯笭 甘草4g 爲剉 水煎(丹心) 甘草 升麻 煎水 調益元散 服之方見暑門

입효산

소아의 피오줌을 치료한다. 포황 생지황 적복령 감초4g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 (단심) 또 감초와 승마을 물에 끓여서 익원산을 타서 먹는다. 처방은 서문을 보라.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