通治血病藥餌

一切失血諸病通用 四物湯 補榮湯 保命生地黃散 淸熱滋陰湯方見上 坎离膏 固榮散 血餘散 側栢湯 童子尿

피를 흘리는 모든 병에 두루 쓰이는 약은 사물탕 보영탕 보명생지황산 청열자음탕(처방은 위를 보라) 감리고 고영산 혈여산 측백탕 동자요 등이다.

四物湯

通治血病 熟地黃 白芍藥 川芎 當歸5g 爲剉作一貼 水煎服(局方)

혈병을 두루 치료한다.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 각 5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국방)

一方 春倍川芎 夏倍芍藥 秋倍地黃 冬倍當歸

어떤 처방에는 봄에는 천궁을 배로 넣고, 여름에는 작약을 배로 넣고, 가을에는 지황을 배로 넣고, 겨울에는 당귀를 배로 넣는다.

春加防風 夏加黃芩 秋加天門冬 冬加桂枝(綱目)

봄에는 방풍을 더하고, 여름에는 황금을 더하고 가을에는 천문동을 더하고 겨울에는 계지를 더한다.(강목)

當歸和血歸經 芍藥凉血補腎 生地黃生血寧心 熟地黃補血滋腎 川芎則行血通肝(丹心)

당귀는 피를 고르게 하여 본경으로 돌아가게 하고, 작약은 피를 서늘하게 하고 신을 보하며, 생지황은 피를 생기게 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며, 숙지황은 혈을 보하고 신을 불쿼주며, 천궁은 피를 잘 돌게 하고 간기를 통하게 한다.(단심)

劉宗厚曰 欲求血藥 其四物之謂乎 夫川芎血中氣藥也 通肝經性味辛散 能行血滯於氣也 地黃 血中血藥也 通腎經性味甘寒 能生眞陰之虛者也 當歸 分三治血中主藥也 通肝經性味辛溫 全用能活血各歸其經也 芍藥陰分藥也 通脾經性味酸寒 能凉血 又治血虛腹痛 若求陰藥之屬 必於此而取則焉(局方)

유종후 왈, 혈약을 구하고자 하면 사물탕이라고 하지 않았는가! 천궁은 혈약 중의 기약인데 간경을 통하게 하고 맛은 맵고 흩어지게 하므로 능히 기로 피가 막힌 것을 잘 돌게 한다. 지황은 혈중 혈약인데 신경을 통하게 하고 맛은 달고 성질은 차서 능히 진음이 허한 것을 생기게 한다. 당귀는 셋으로 나누며 혈중 주약인데 간경을 통하게 하고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해서 전체를 쓰면 능히 피를 잘 돌게 하여 각기 그 경맥에 가게 할 수 있다. 작약은 음분약으로 비경을 통하게 하고 맛은 시고 성질은 차서 능히 피를 서늘하게 하고 또 혈이 허해서 아픈 배를 낫게 한다. 음약에 속하는 것을 구할 때는 반드시 이에서 취해야 한다.(국방)

補榮湯

通治諸失血 當歸 白芍藥 生地黃 熟地黃 赤茯笭 梔子仁 麥門冬 陳皮4g 人參 甘草2g

剉作一貼 棗2枚 烏梅1箇 水煎服(回春)

보영탕

여러 가지 피를 흘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당귀 백작약 생지황 숙지황 적복령 치자인 맥문동 진피4g 인삼 감초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대추 두 알, 오매 한 개를 넣어 물에 끓여 먹는다.(회춘)

保命生地黃散

治鬱熱衄吐便尿 諸失血 無寒證者 生地黃 熟地黃 枸杞子 地骨皮 天門冬 白芍藥 黃耆 柴胡4g 黃芩 黃連 甘草2g 剉作一貼 水煎服 脈微身凉 加桂皮(丹心)

보명생지황산

열이 몰려 코피가 나고 피를 토하고 피똥이나 피오줌이 나오는 것 등 여러 가지 피를 흘리는데 한증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숙지황 구기자 지골피 천문동 백작약 황기 시호4g 황금 황연 감초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 맥이 약하고 몸이 차면 계피를 더한다.(단심)

坎离膏

治陰虛火動致衄吐 咳嗽 喀唾血 黃栢 知母160g 生地黃 熟地黃 天門冬 麥門冬80g 杏仁28g 胡桃仁去皮淨140g 白蜜160g 右先黃栢知母 剉入童便3椀 側柏葉1把煎至4椀去渣 又將 天麥門冬 生熟地黃 入汁內添水2椀 再煎去滓 其滓再搗爛 如泥別用水12椀 熬熟絞汁入前汁將 杏桃仁 擂爛再濾去渣 同蜜入前汁內 熬成膏 磁罐收貯封口 沈水中1日 去火毒 每服35 柏葉湯 調空心服 終始忌銅鐵器(回春)

감리고

음이 허해서 화가 동하여 코피가 나는 것, 피를 토하는 것, 해혈, 수혈, 각혈, 타혈을 치료한다. 황백 지모160g 생지황 숙지황 천문동 맥문동80g 행인28g 호도인거피정140g 백밀160g중에 먼저 황백과 지모를 썰어서 아이오줌 세 사발에 넣고 측백잎 한 줌을 넣어 네 사발이 될 때까지 끓여서 찌꺼기를 제거하고 또 천맥문동 생숙지황과 즙에 물 두 사발을 더 넣고 다시 끓여서 찌꺼기를 걷어내서 다시 물크러지게 짓찧는다. 이것을 별도로 물 한두 사발에 넣고 다시 달여서 즙을 내어 처음에 달여낸 즙에 섞는다. 살구씨와 복숭아씨를 잘 짓찧어서 찌꺼기를 걸러내고 꿀과 함께 먼저 만든 즙에 넣고 졸여서 고약을 만든다. 자기 항아리에 넣고 아구리를 잘 막아서 물 속에 넣어 화독을 없앤다. 매번 3-5 숟가락씩 백엽탕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 약을 만들 때 처음부터 끝까지 동기나 철기는 금기다.(회춘)

固榮散

治吐衄 便尿一切失血 眞蒲黃 地楡40g 白芷20g 甘草10g 爲末 每服16g 溫酒調服(丹心)

고영산

피를 토하거나 코피가 나오는 것 피똥이나 피오줌을 누는 일체의 피 흘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진포황 지유40g 백지20g 감초10g을 가루내어 매번 16g씩을 따뜻한 술에 타서 먹는다.(단심)

血餘散

治衄吐 便尿一切失血 兼治內崩 亂髮以皂角水淨洗 晒乾燒灰 爲末 每8g 白茅根 煎湯調下 或醋湯調下(丹心)

혈여산

코피가 나거나 피를 토하거나 피똥이나 피오줌을 누는 일체의 피 흘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겸하여 내붕증도 치료한다. 난발을 주엽나무열매를 달인 물에 깨끗하게 씻어서 햇빛에 말린 다음 가루를 내어 매번 8g씩 백모근을 달인 물에 타서 먹거나 식초탕에 타서 먹는다.(단심)

側柏湯

治吐衄血 血崩血痢 一切失血之疾 採葉晒乾煎湯 代茶吃 止血滋陰 一名 柏湯 一名 柏茶 皆同(入門)

측백탕

피를 토하거나 코피를 흘리거나 혈붕 혈리 등 일체의 피를 흘리는 질병을 치료한다. 측백잎을 따서 햇볕에 말려 끓인 탕을 찻물 대신 마시면 피가 멎고 음이 보해진다. 일명 백탕, 일명 백다라 하는데 다 같다.(입문)

童子尿

諸虛吐衄 喀血 藥中每入童便1合 其效甚速 凡單用重湯頓服 無不效應 盖溲尿降火滋陰 又能消瘀血 止吐衄諸血 先賢有言 凡諸失血服 寒凉藥十無一生服 溲尿者 百無一死 斯言信矣 用童便1鍾 入薑汁23點 攪勻 徐徐服之 日進23次 爲佳(醫鑑)

동자요

여러 허증과 피를 토하거나 코피를 흘리거나 객혈을 하는 약에 아이오줌을 한 홉씩 넣으면 그 효과 아주 빠르다. 단방으로 쓸 때는 중탕하여 한꺼번에 먹어도 효응이 없지 않다. 대개 오줌이란 것은 화를 내리고 음을 불쿠며 또 어혈을 풀 수 있고 피를 토하거나 코피를 흘리는 것을 멎게 한다. 선현의 말에 모든 피를 흘리는 병에 한량약은 열에 하나가 살기 어렵고, 오줌을 복용하면 백에 하나도 죽지를 않는다 했으니 이 말은 믿을 만하다. 아이오줌 한 종지에 생강즙 두세 방울을 넣고 섞어서 천천히 복용하되 매일 두세 번 하면 좋다.(의감)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