血汗

<內經> 少陰所至爲衄衊釋曰衊血汗也

<내경>, 소음이 지극하면 육멸이 된다. 주석에는 멸을 혈한이라 했다.

<河間>曰 膽受熱 血妄行爲衄衊 幷血汗 宜定命散

<하간>, 담이 열을 받으면 피가 허투루 돌아서 육멸이 되거나 혈한이 생기는데 응당 정명산을 쓴다.

<三因>曰 無病者 汗出汚衣 甚如胚染 名曰血汗 亦曰紅汗 由大喜傷心 喜則氣散 血隨氣行也 宜黃芪建中湯方見虛勞 兼服 妙香散方見神門 以金銀器入小麥 麥門冬煎湯 調下 産婦血汗 宜葎草汁方

<삼인>, 병이 없으면서 땀이 나서 옷을 더럽히고 심하면 더럽게 물든 것처럼 되는데 혈한이라고 하고 홍한이라고도 한다. 지나치게 기뻐하여 심장이 상했을 때 기뻐하면 기가 흩어지고 피도 기를 따라간다. 응당 황기건중탕(처방은 허로를 보라)과 묘향산(처방은 신문을 보라)을 함께 복용한다. 금은 그릇에 밀을 넣고 맥문동과 함께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산모의 혈한에는 응당 진초즙을 처방하는 것이 좋다.

定命散

治 衄衊血汗 朱砂 寒水石 麝香 等分爲末 每2g 新水 調下(河間)

정명산

코피가 나는 것과 혈한을 치료한다. 주사 한수석 사향을 등분하여 가루내고 매번 1전을 새로 길러온 물에 타서 먹는다.(하간)

葎草汁方

治 産婦 因大喜 汗出汚衣 赤色 葎草擣取汁2入醋2 和之 空腹 飮1盞 或濃煮服 亦可(三因)

율초즙방

산부가 지나치게 기뻐하여 땀을 흘려 옷을 빨갛게 더럽힌 것을 치료한다. 율초도취즙2에 식초 두 홉을 타서 빈속에 한 잔을 먹거나 진하게 끓여서 먹어도 좋다.(삼인)

蝟皮肉 主血汗 皮燒灰 米飮 調服 肉煮食之(本草)

고습도치의 가죽과 고기는 주로 혈한을 치료한다. 가죽을 태운 재를 미음에 타서 먹고 고기는 삶아서 먹는다.(본초)

 

九竅出血

人卒大驚 則九竅血皆溢出 謂之 九竅出血(本草)

사람이 갑자기 크게 놀라면 아홉 구멍에서 다 피가 흘러나오는데 이것을 구규출혈이라 한다.(본초)

傷寒少陰證 醫者不識 强發其汗 則伏熱逼血 從九竅而出 名爲下厥上竭 不治詳見寒門

상한소음증인 것을 의원이 알지 못하고 억지로 땀을 내게 하면 잠복된 열이 피를 억누르게 되기 때문에 아홉 구멍을 따라 피가 나오는 것이다. 이것을 하궐상갈이라 하는데 치료할 수가 없다. 자세한 것은 상한문을 보라.

九竅出血 宜側柏散方見上 百草霜油 髮灰 龍骨末 或吹入 或 糝之(入門)

구규출혈에는 응당 측백산(처방은 위를 보라) 또는 백상엽유 발회 용골을 가루내거나 빨아들이거나 바른다.(입문)

卒驚悸九竅血 皆溢出 新屠猪羊血 熱飮二升 卽止 又人有九竅四肢指岐間出血 乃暴驚所爲 取新生犢子 臍中屎燒灰 和水服 日三四次 又小薊搗取汁一盞 半盞調和頓服 乾者爲末 冷水調服(本草)

갑자기 놀라고 가슴이 두근거려서 구규에서 모두 피가 흘러나올 때는 갓 잡은 되지나 양의 피를 따뜻할 때 두 되를 마시면 곧 멈춘다. 또 구규나 사지 사이에서 피가 나오기도 하는데 이것은 갑자기 놀라서 그렇다. 갓 낳은 송아지 배꼽 가운데 있는 똥을 태운 재를 물에 풀어서 하루 3-4차 먹는다. 또 조뱅이를 짓찧어 즙을 내어 한 잔을 술 반 잔에 타서 한 번에 마시거나 마른 것을 가루내어 찬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又法> 井華水 卒噀其面 勿令病人 先知之(本草)

<우법> 또 다른 방법은 정화수를 갑자기 환자의 얼굴에 뿜어 주는 것이다. 환자에게 먼저 알려주지 않아야 한다.(본초)

指縫瘙痒成瘡 有竅出血不止 多年糞桶篐篾燒灰傅之 卽止(得效)

손가락 사이에 헌 데가 생겨 가렵고 구멍이 나서 피가 나오면서 그치지 않으면 오래된 똥통대그릇을 태운 재를 붙이면 곧 멎는다.(득효)

血自皮膚間濺出 用煮酒甁上紙 碎揉如楊花 以手捏 在出血處 卽止(入門)

피가 피부에 사이에서 물흐르듯이 나오면 술을 끓일 때의 시루 위의 종이를 비벼서 버드나무꽃처럼 만들어 피가 나오는 곳에 대고 누르고 있으면 곧 멎는다.(입문)

膕中出血不止 乃血虛也 宜服十全大補湯方見虛勞(寶鑑)

오금에서 피가 나오면서 멎지 않는 것은 혈이 허해서이다. 응당 십전대보탕(처방은 허로를 보라)을 쓴다.(보감)

 

傷損失血 詳見諸傷

상손실혈 상세한 것은 제상을 보라.

 

失血眩暈

<海藏>曰 一切去血過多 則必致眩暈悶絶 凡崩中去血 拔牙齒去血多 金瘡去血多 産後去血多 皆有此證 宜大劑芎歸湯方見婦人 煎服救之.

<해장>, 일체의 거혈로 피를 지나치게 많이 흘리면 꼭 어지럼증이 생기고 답답하고 혼절한다. 붕중으로 피를 흘리거나 이를 빼고 피를 많이 흘리거나 쇠붙이에 다쳐서 피를 많이 흘리거나 산후에 피를 많이 흘리는 것이 다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 응당 대제궁귀탕(처방은 부인을 보라)을 달여 먹으면 낫는다.

吐衄大甚不止 當防其血暈 茅根燒烟 將醋灑之 令鼻嗅氣 以遏其勢 或驀然以冷水噀其面 使驚則止(入門)

피를 토하거나 코피가 심하게 나오면서 그치지 않으면 당연히 어지럼증을 방비해야 한다. 띠뿌리를 태우는데 식초를 뿌리면서 코로 냄새를 맡게 하면 그 증세를 막거나 갑자기 찬물을 환자의 얼굴에 뿜어서 놀라게 하면 그친다.(입문)

失血多 眩暈不省 宜生地芩蓮湯救之 又全生活血湯方見胞門 亦佳(入門)

피를 많이 흘려서 어지러워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면 응당 생지금련탕으로 치료해야 한다. 또 전생활혈탕(처방은 포문을 보라)을 써도 좋다.(입문)

血暈者 皆因去血過多 虛而成暈 脈微澁也 急用芎歸湯方見婦人救之 繼用加味四物湯(回春)

혈혼이란 모두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허해져서 생긴 어리럼증인데 맥이 자고 까칠하다. 급히 궁귀탕(처방은 부인을 보라)을 써서 치료를 하고 계속해서 가미사물탕을 쓴다.(회춘)

吐衄血過多 昏迷不省 生地黃三五斤汁連飮 不暇取汁則生吃呷汁 以滓塞鼻神效 又好墨濃磨汁飮之 仍點入鼻中(本草)

피를 토하거나 코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정신을 잃고 깨어나지 못하면 생지황 15근을 즙을 내서 연이어 먹는다. 즙을 낼 여유가 없을 때는 생것으로 즙을 빨아먹게 한 다음 찌꺼기로 코를 막으면 효과 좋다. 또 호묵농마즙을 먹인 다음 코 안에 방울방울 떨구어 주어도 좋다.(본초)

 

生地芩連湯

治婦人因崩漏 大脫血 或男子去血過多因而涸燥 循衣摸床撮空 閉目不省 揚手擲足 錯語失神 鼻乾氣粗 生地黃 川芎 當歸6g 赤芍藥 山梔子 黃芩 黃連2.8g 防風8g爲剉 水煎 徐徐呷下 此危證也 以此救之(入門)

생지금연탕

붕루로 인해 부인이 피가 크게 부족하거나, 남자가 피를 많이 흘려 피부가 마르고 열이 나며 옷깃을 만지작거리고 잠자리를 어루만지며 허공에 대고 헛손질 하고 눈을 뜨지 못하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손을 내젓고 말로 차려고 하며 말을 허투루 하고 정신을 잃고 코가 마르며 숨결이 거친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천궁 당귀6g 적작약 산치자 황금 황연2.8g 방풍8g을 썰어서 물에 끓여 천천히 먹인다. 이는 위급한 증상인데 이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입문)

加味四物湯

治血虛 眩暈卒倒 不可艾灸 驚哭叫動 動卽乘虛而死矣 當歸 川芎 白芍 生地黃 熟地黃 黃芪 人參 白朮 陳皮 白茯笭 荊芥 甘草3g 剉棗2枚 烏梅一箇煎服(回春)

가미사물탕

혈허로 어지럼증이 나서 졸도하는 것을 치료한다. 뜸을 뜨지도 말며 놀라서 울고 소리치며 움직이게 해서는 안 된다. 움직이면 더욱 허해져서 죽는다. 당귀 천궁 백작 생지황 숙지황 황기 인삼 백출 진피 백복령 형개 감초3g을 썰어서 대추 두 알 오매 한 개를 넣고 끓여서 먹는다.(회춘)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