治血藥法

<丹溪>曰 凡用血藥不可單行單止 又不可純用寒凉藥 必加辛溫升藥 如用凉藥 用酒煮 酒炒之類 乃寒因熱用也 <>曰 久患血證 血不歸元 久服藥餌無效者 以川芎爲君則效

<단계>, 대개 혈약은 단지 피를 돌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것만으로는 안 된다. 또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만을 써서도 안 된다. 반드시 맵고 따뜻해서 약성을 끌어올리는 약을 같이 써야 한다. 서늘한 약을 쓸 때는 술에 찌거나 술에 축여 볶아서 써야 하며 곧 찬 약을 덥게 만들어 쓰는 것이다. 또 왈, 혈증이 오래 되어서 피가 되돌아오지 못하는데 오래 약을 복용해도 효과가 없을 때는 천궁을 주약으로 해서 쓰면 효과가 있다.

大凡血見熱則行 見寒則凝 見黑(一作灰)則止(丹心)

대체로 피가 열을 받으면 돌아가고 찬기를 받으면 엉키며 검은 것(재라고 한 데도 있다)을 만나면 멎는다.(단심)

凡嘔吐血 若出未多 必有瘀於胸膈者 當先消瘀而凉之止之 消瘀宜犀角地黃湯 凉血宜陶氏生地芩蓮湯 止澁 宜側柏散 狗膽丸(入門)

구혈이나 토혈에 피가 많이 나오지 않으면 반드시 가슴에 어혈이 있는 것이니 응당 먼저 어혈을 푼 다음 서늘한 약을 써서 피를 멎게 해야 한다. 어혈을 푸는 데는 서각지황탕을 쓰고, 피를 서늘하게 하는 데는 도씨생지금련탕을 쓰고 피를 멎게 하는 데는 측백산 구담환을 쓴다.(입문)

桃仁 紅花 蘇木 血竭 牧丹皮血滯所宜 蒲黃 阿膠 地楡 百草霜 棕櫚灰血崩所宜

肉蓯蓉 鎖陽 牛膝 枸杞子 益母草 夏枯草 敗龜板血虛所宜, 乳酪 血液之物 血燥所宜 乾薑 肉桂之屬 血寒所宜 生地黃 苦蔘之屬 血熱所宜(丹心)

도인 홍화 소목 혈갈 목단피는 피가 막히는 데 좋고, 포황 아교 지유 백초상 종려회는 혈붕증에 좋다. 육총용 쇄양 우슬 구기자 익모초 하고초 패구판은 혈이 허한 데 좋다. 유락 혈액은 피가 마르는 데 좋고, 건강 육계는 피가 찬 데 좋고, 생지황 고삼은 피가 열이 있을 때 좋다.(단심)

治血 防風爲上使 連翹(黃連)爲中使 地楡爲下使 不可不知(丹心)

혈을 치료하는 데, 방풍은 상사이며 연교(혹은 황련)는 중사이고, 지유는 하사인 것을 몰라서는 안 된다.(단심)

血結之證 皆用醋湯和之爲妙(直指)

대체로 피가 맺히는 증세에는 모두 식초를 끓인 물에 타서 쓰는 것이 효과가 있다.(직지)

灸甘草 炮乾薑 12g 煎服 治男女失血 不能引氣歸元甚妙(丹心)

덖은 감초와 싸서 구운 건강 12g씩을 달여서 쓰면 남녀의 실혈로 기운이 돌지 않는 데 아주 효과가 있다.(단심)

血不足 須用甘草 血色瘀黑 用熟地黃 血色鮮紅 用生地黃 若脈洪實痛甚 用酒大黃 和血止痛 用當歸(東垣)

피가 부족하면 모름지기 감초를 쓰고, 핏빛이 어혈처럼 검으면 숙지황을 쓰고, 혈색이 선홍색이면 생지황을 쓴다. 만약 맥이 홍실하고 몹시 아프면 주대황을 쓰고, 피를 고르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려면 당귀를 쓴다.(동원)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