心汗

別處無汗 獨心孔一處有汗 思慮多則汗亦多 病在於心 宜陳艾湯(丹溪)

다른 곳에 땀이 나지 않고 오직 심공에서만 땀이 나고 사려가 많아도 땀이 역시 많다. 의당 진애탕을 쓴다.(단계)

思慮過度 以致心孔獨有汗出 宜陳艾湯 又法 靑桑第二番葉 帶露採 陰乾焙爲末 每8g空心 米飮調下 又止盜汗(入門)

생각이 지나쳐서 심공에 이르러 유독 땀이 나면 당연히 진애탕을 쓰고 또 다른 방법은 뽕나무 가지 두 번째 붙어 있는 푸른 잎을 이슬이 있을 때 따서 음건하여 약한 불에 말려 가루 내어 한 번에 8그램씩 빈속에 미음에 타서 먹는데 또한 도한을 멎게 한다.(입문)

凡心液汗大人乃心血溢盛 面常發赤者是也 小兒因驚得之 有人患心液盜汗 久不止 用蔘歸腰子方見上 以收斂心血遂愈(得效)

명치와 겨드랑이에서 땀이 나는 어른은 곧 심혈이 지나치게 성하다. 그러므로 늘 얼굴이 붉은 이가 그렇다. 어린이가 놀라면 이렇게 된다. 어떤 이가 명치와 겨드랑이에서 도한이 나서 오래도록 그치지 않았는데 삼귀요자(처방은 위를 보라)를 써서 심혈을 수렴하니 드디어 나았다.(득효)

心汗 宜茯苓補心湯

심한에는 복령보심탕이 좋다.

陳艾湯

治汗自心頭出者 名曰心汗 亦治心腋盜汗 白茯苓75g 爲末 每7.5g 以濃煎 陳艾湯 調下(得效)

진애탕

심두에서 땀이 나는 것을 심한이라 하는데 이것을 치료하며 명치와 겨드랑이에서 나는 식은땀도 치료한다. 백복령75g을 가루내어 7.5그램씩 진하게 끓인 쑥탕에 타서 먹는다.(득효)

茯苓補心湯

治心汗 心汗者 心孔有汗 別處無也. 因七情鬱結而成 白茯苓 人參 白朮 當歸 生地黃 酸棗仁炒 白芍藥 麥門冬 陳皮 黃連各4g 甘草1g 朱砂2g別爲末 爲剉作一貼 棗二枚 烏梅一個 浮小麥100粒 同煎調朱砂末 服之(回春)

복령보심탕

심한을 치료한다. 심한이란 심공에서만 땀이 나고 다른 곳에서는 땀인 나지 않는 것인데 칠정이 몰려서 생긴다. 백복령 인삼 백출 당귀 생지황 산조인초 백작약 맥문동 진피 황련 각4g 감초1g 주사2g별도로 위말를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대추 두 개 오매 한 개 부소맥 100알을 함께 넣고 달여서 여기에 타서 먹는다.(회춘)

 

手足汗

手足汗 津液自胃府 傍達於外則手足自汗 有熱聚胃府 逼而出之者 此陽明證也 宜大柴胡湯方見寒門 下之(入門)

손발에서 땀이 나 진액이 위부로부터 곁으로 퍼져 밖으로 나오는 것이 수족자한인데, 열이 위부에 모여 핍박하여 내보내는 것 이것이 양명증이다. 대시호탕(처방은 한문을 보라)으로 설사를 시킨다.(입문)

手足汗 用芩蓮栢幷補劑 皆不效 八物湯 加半夏 茯苓爲君 白附子 川烏爲佐使 服之 其汗卽無(綱目)

손발에서 땀이 나서, 황금 황련 황백을 쓰면서 보하는 약까지 겸해서 써도 효험이 없었다. 팔물탕에 반하 복령을 주약으로 하고 백부자 천오자를 좌약으로 해서 복용했더니 땀이 즉시 없어졌다.(강목)

治脚汗方 白礬 葛根20 爲末 水三椀煎十數沸 逐日洗而纏之 三五日自止(本事)

발에서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은 백반 갈근 각 20그램을 가루내어 물 세 사발에 넣고 10여 번 끓여서 그 물로 날마다 씻고 싸매기를 3-5일 하면 저절로 멎는다.(본사)

牡礬丹 治兩腋汗 兩脚心汗 久不愈者 宜用方見前陰

모반단은 양쪽 겨드랑이에서 땀이 나는 것과 양쪽 발바닥에서 땀이 나 오래도록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쓴다.(처방은 전음을 보라)

 

陰汗

陰汗腎虛陽衰也 宜局方安神丸方見腰門

음한은 신이 허하고 양이 쇠했기 때문이다. 국방안신환(처방은 요문을 보라)을 쓴다.

治陰汗不止 宜小安神元方見虛勞 以乾舊醬煎湯 入鹽少許呑下 大蒜元亦可

음한이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소안신원(처방은 허로를 보라)을 쓰는데 묵은 된장 마른 것을 끓인 다음 소금을 조금 넣어서 먹되 대산원을 먹는 것도 좋다.

又方 蛇床子酒浸炒 白礬 陳醬煎水 淋洗患處(得效)

또 다른 처방은 사상자술에 담갔다가 초한 것 백반 묵은 된장을 달인 물에 환부를 담그고 씻는 것이다.(득효)

治陰囊汗 密陀僧 爲末極細 和蛤粉 撲傅汗處(入門)

음낭한을 치료하는 데는 밀타승을 아주 곱게 가루내어 조가비가루와 섞어서 쓰는데 땀이 나는 곳에 뿌린다.(입문)

陰汗 宜爐甘石10g 蚌粉 黃蓮 五倍子5g 爲末 先以露蜂房 大腹皮煎湯 洗後糝之(直指)

음한에는 노감석 10g 방분 황련 오배자 각 5g을 가루내어 쓰는데 먼저 말벌집과 빈랑껍질을 달인 물에 씻은 다음에 바른다.(직지)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