止汗法
○ 汗出不止恐作亡陽宜以溫粉紅紛撲之 又用獨勝散塡腈
○ 땀이 멎지 않아서 망양증이 될 우려가 있을 때는 마땅히 온분이나 홍분을 몸에 뿌리면 좋고 또 독승산을 배꼽에 가득 채워도 좋다.
○ 或牡蠣麥麩麻黃根藁本糯米防風白芷等分爲末周身撲傳(入門)
○ 혹 모려 밀기울 마황뿌리 고본 찹쌀 방풍 백지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서 온몸에 뿌리기도 한다.(입문)
○ 誤用麻黃令人亡陽汗出不止將病人頭髮水沈外用糯米粉幷龍骨牡蠣末撲傳之(入門)
○ 마황을 잘못 써서 망양증이 생겨 땀이 흘러 그치지 않으면 환자의 머리털을 물에 담그게 하고 몸에는 참쌀가루와 용골 모려를 함께 뿌려야 한다.(입문)
溫紛
止自汗白朮藁本川芎白芷各等分右爲末藥末一兩入粟米粉一兩和勻綿褁撲身(丹心)
○ 자한을 멎게 한다. 백출 고본 천국 백지를 같은 양으로 하여 가루를 내어 이 가루 한 량에 좁쌀가루 한 량을 넣고 고루 섞은 다음 무명에 싸서 몸에 뿌린다.(단심)
紅粉
○ 治同上麻黃根牡蠣粉各一兩赤石脂龍骨各五錢右爲末和勻綿褁撲傳(得效)
○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마황뿌리 모려 가루 각 한 량씩, 적석지 용골 각 오 전을 가루내서 고루 섞어서 무명천에 싸서 뿌린다.(득효)
獨勝散
治自汗盜汗五倍子白礬枯等分爲末以津唾調勻塡臍中以帛縛定立效(醫鑑) 又方何首烏爲末塡唾調封臍中妙(丹心)
○ 자한과 도한을 치료한다. 오배자 백반고 같은 양을 가루내서 침에 고루 섞어서 배꼽에 채워 넣고 천으로 싸매면 효험을 본다.(의감) 또 다른 처방에는 하수오를 가루내어 침으로 개서 쓰게 되어 있는데 배꼽에 붙이면 효험이 있다.(단심)
無汗
○ 汗者 血之異名 故靈樞曰 奪血者 無汗 奪汗者 無血 盛夏浴 食無汗 爲表實 表實者 無汗(丹溪)
○ 땀이란 피의 이명이다. 그러므로 영추에 말하기를, 피를 많이 흘린 이는 땀이 없고, 땀을 많이 흘린 이는 피가 적다고 했다. 한여름에 몸을 씻고 음식을 먹어도 땀이 없는 것은 표실증이다. 표실증을 앓는 이는 땀이 없다.(단계)
○ 三陽實 三陰虛 汗不出 三陰實 三陽虛 汗不止(直指)
○ 상양은 실하고 삼음이 허하면 땀이 없다. 삼음이 실하고 삼양이 허하면 땀이 그치지를 않는다.(직지)
○ 眞氣已虧 胃中火盛 則汗出不休 胃中眞氣已竭 若陰火已衰 則無汗 反燥 乃陰陽俱衰 四時無汗 其形不久(東垣)
○ 진기가 이미 부족하고 위속에 화가 성하면 땀이 나고 그치지를 않는다. 위 속의 진기가 이미 고갈되고 음화가 이미 부족해졌으면 땀이 나지 않고 도리어 마른다. 음양이 함께 쇄하면 내내 땀이 나지 않는데 그 형상은 오래 가지 않는다.(동원)
○ 傷寒陰證 皆無汗詳見寒門
○ 상한음증은 모두 땀이 나지 않는다.9상세한 것은 한문을 보라)
○ 陽氣有餘 爲身熱無汗 陰氣有餘 爲多汗身寒 陰陽有餘 則無汗而寒(內經)
○ 양기가 남아돌면 몸에 열이 나고 땀이 나지 않게 된다. 음기가 남아돌고 땀이 많고 몸이 차다. 음양이 남아돌면 땀이 나지 않고 몸이 차다.(내경)
絶汗
○ 謂出汗如珠不流 復旋乾也(內經註)
○ 구슬 같은 땀이 나기는 하나 흘러내리지는 않다가 곧 마르는 것을 말한다.(내경주)
○ 六陽氣俱絶 則絶汗乃出朝(或旦)占夕死 夕占朝(或旦)死(靈樞 )
○ 육양의 기가 모두 끊어지고 곧 절한이 아침에 나오면 저녁에 죽고 저녁에 나오면 아침에 죽는다.(영추)
柔汗
○ 仲景傷寒論曰 柔汗發黃 爲脾絶 釋曰 柔爲陰 柔汗卽冷汗也 一云 油汗卽粘汗也
○ 중경의 상한론에는, 유한이 누런 것은 비기가 끊어진 것이다라 했고, 주석에는 유는 음이므로 유한이 곧 찬 땀이다라 했다. 또한 유한이라고도 하는 곧 끈적끈적하다고 했다.
汗出兇證
○ 傷寒熱病 汗出髮潤 一不治也, 汗出如油 二不治也 汗凝如珠 三不治也(直指)
○ 상한열병으로 땀이 나서 머리카락이 축축한 것이 치료할 수 없는 하나요, 땀이 나되 기름 같은 것이 치료할 수 없는 둘이요, 땀이 맺혀 구슬 같은 것이 치료할 수 없는 셋이다.(직지)
○ 傷寒熱病 頭汗如珠 不流者 陽脫卽死(入門)
○ 상항열병으로 머리에 구슬 같은 땀이 나서 흐르지 않는 것은 양탈로 곧 죽는다.(입문)
○ 傷寒汗出髮潤 與其出如油 或大如貫珠 着身出而不流 皆爲不治之證(明理)
○ 상한으로 땀이 나지만 머리카락이 축축한 것과 기름 같은 땀이 나는 것과 구슬을 꿰어놓은 것 같은 땀이 온 몸에서 나면서 흘러내리지 않은 것은 모두 치료할 수 없는 증상이다.(명리)
○ 傷寒脈浮洪 汗出如油髮潤 喘不休 爲命絶不治(仲景)
○ 상한으로 맥이 부홍하며 땀이 기름처럼 나서 머리카락이 축축하고 천식이 멎지 않는 것은 치료하지 못할 증상인데 죽게 된다.(중경)
○ 傷寒陽病 自汗 有九證 皆有治法 陰病不得有汗 惟陰毒則額上手背有冷汗 甚者 如水洗 此是陽虛陰盛 亡陽而將脫也 其死必矣(活人)
○ 상한양병으로 생긴 자한에는 아홉 가지 증상이 있는데 모두 치료법이 있다. 음병에는 땀이 있을 수 없고 오직 음독증이면 이마와 손등에 찬 땀이 나는데 심하면 물에 씻은 것처럼 땀이 난다. 이것은 양이 허하고 음이 성하여 망양이 생겨 다 빠져나가려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반드시 죽는다.(활인)
禁忌
○ 冬月天地閉 血氣藏 縱有病亦不宜多出汗(活人)
○ 겨울에는 천지가 닫히고 혈기는 감추어지므로 병이 있어도 땀을 많이 내는 것은 마땅치가 않다.(활인)
○ 自汗大忌生薑 以其開腠理故也(丹溪)
○ 자한에는 생강을 몹시 꺼리는데 그 까닭은 주리가 열리기 때문이다.(단계)
○ 自汗凡辛辣之味 五辛之屬忌食之
○ 자한에는 아주 매운 맛과 다섯 가지 매운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경편권지이 - 涕 (0) | 2020.06.27 |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積氣生液 泣 (0) | 2014.03.11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大蒜元 血汗 漏風證 亡陽證 (0) | 2013.10.26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心汗 手足汗 陰汗 (0) | 2013.10.10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頭汗 (0) | 201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