臟腑病治有難易장부치료의 난이
○ 難經曰 藏病難治 府病易治 何謂也 然藏病所以難治者 傳其勝也. 府病易治者 傳其子也. 藏病 傳其所勝者 假令心病傳肺 肺傳肝 肝傳脾 脾傳腎 腎傳心 一藏不再傳 故138言次傳者死 府病 傳其子者 假令心病傳脾 脾傳肺 肺傳腎 腎傳肝 肝傳心 是子母相傳 周而復始 故言生也
○ 內經曰 邪風之至 疾如風雨 故善治者 治皮毛 其次 治肌膚 其次 治筋脈 其次 治六府 其次 治五藏. 治五藏者 半死半生也.
난경에, 장병은 치료가 어렵고 부병은 치료가 쉽다고 한 것은 무슨 말인가? 그러나 장병이 치료하기가 어렵다고 한 것은 승(상극)으로 전하기 때문이고, 부병이 치료하기 쉽다는 것는 자(상생)로 전하기 때문이다. 장병은 승으로 전하기 때문에 가령 심병은 폐에 전하고 폐는 간에 전하고 간은 비에 전하고 비는 신에 전하고 신은 심에 전하여 어떤 장기도 다시 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두 번 전하면 죽는다는 것이다. 부병은 자로 전하기 때문에 가령 심병은 비에 전하고 비는 폐에 전하고 폐는 신에 전하고 신은 간에 전하고 간은 심에 전하니 이는 자모가 서로 전하는 것이니 돌아 다시 시작할 수 있으므로 살 수 있다고 한 것이다.
내경에, 사풍의 병은 비바람처럼 빨라서 치료를 잘하는 이는 피모에 있을 때 치료하고 그 다음은 근맥에 있을 때 치료하고 그 다음은 육부에 있을 때 치료하고 그 다음은 오장에 있을 때 치료한다. 오장에 있을 때 치료하면 반은 죽고 반은 산다고 했다.
臟腑相關
○ 內經曰 五臟不平 六府閉塞之所生也.
내경에, 오장이 화평하지 못한 것은 육부가 막혀서 생기는 것이라 했다.
○ 五臟川鑿論曰 心與膽相通 心病怔忡 宜溫膽爲主 膽病 戰慄癲狂 宜補心爲主. 肝與大腸相通 肝病宜疎通大腸 大腸病 宜平肝經爲主 脾與小腸相通 脾病 宜瀉小腸火 小腸病 宜潤脾土爲主 肺與膀胱相通 肺病 宜淸利膀胱水 膀胱病 宜淸肺氣爲主 腎與三焦相通 腎病 宜調和三焦 三焦病 宜補腎爲主 此合一之妙也(入門).
오작천착론에, 심과 담은 서로 통하므로 심병으로 가슴이 두근거리면 담을 따뜻하게 하는 것을 위주로 하고, 담병으로 덜덜 떨고 전광이 있을 때는 심을 보하는 것을 위주로 해야 한다. 간과 대장은 서로 통하므로 간병은 대장을 소통시켜야 하고 대장병은 간경을 화평하게 하는 것을 위주로 해야 한다. 비와 소장은 서로 통하므로 비병은 소장의 화를 사해야 하고 소장병은 비토을 윤택하게 하는 것을 위주로 해야 한다. 폐와 방광은 서로 통하므로 폐병은 방광의 수기를 시원하게 내보내고 방광병은 폐기를 맑게 하는 것을 위주로 해야 한다. 신과 삼초는 서로 통하므로 신병은 삼초를 조화시키고 삼초병에는 신을 보하는 것을 위주로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것이 합일의 묘한 이치다입문.
五臟病間甚오장병이 간헐적으로 심해지는 경우
○ 內經曰 夫邪氣之客於身也 以勝相加至其所生而愈 至其所不勝而甚 至其所生而持 自得其位而起 必先定五藏之脈 乃可言間甚之時 死生之期也.
내경에, 사기가 몸에 들어와서 상극으로 서로 증가하여 소생하는 곳에 이르면 낫고, 상극하지 못한 곳에 이르면 심해진다. 생처에 이르러 유지되면 저절로 그 위치를 얻으므로 일어나는 법이어서 반드시 먼저 오장의 맥을 정한 뒤에 곧 간헐적으로 심한 때와 죽고 사는 시기를 말할 수 있다고 했다.
○ 凡病以五藏時日 占病愈甚極準 錢仲陽深得其理 學者宜究心焉(綱目).
오장의 운행 시일은 병의 낫고 심해지는 것을 점치는 기준이 된다. 진중양이 그 이치를 깊이 깨달았으니 배우는 이들은 마땅히 연구해야 한다강목.
○ 釋曰 如肝病 愈於夏 甚於秋 持於冬 起於春 餘倣此.
석에, 간병처럼 여름에는 낫고 가을에는 심해지고 겨울에는 유지되고 봄에는 일어나며 나머지도 이와 같다고 했다.
五臟死期
內經曰 五藏受氣於其所生 傳之於其所勝 氣舍於其所生 死於其所不勝 病之且死 必先傳行 至其所不勝病乃死 此言氣之力行也 故死. 肝受氣於心(所生之子) 傳之於脾(己之所勝) 氣舍於腎(生己之母)至肺而死(勝己之鬼) 心受氣於脾 傳之於肺 氣舍於肝 至腎而死 脾受氣於肺 傳之於腎 氣舍於心 至肝而死 肺受氣於腎 傳之於肝 氣舍於脾 至心而死 腎受氣於肝 傳之於心 氣舍於肺 至脾而死.此皆逆死也 一日一夜五分之 此所以占死者之早暮也.
내경에, 오장은 생겨난 곳에서 기를 받고 승한 곳에 기를 전해준다. 생겨난 곳에 기가 머물고 승하지 못하는 곳에서 죽는다. 병이 들어 역시 죽는 것은 반드시 먼저 전변하다가 이기지 못하는 곳에 이르러 죽게 된다. 이 말은 기가 역행하기 때문에 죽는다는 것이다. 간은 심낳은 자식으로부터 기를 받아 비자기가 이기는 것에 전해주며, 기가 신자기를 생성시킨 어머니에 머물다가 폐자기를 이기는 귀신에 이르면 죽는다. 심은 비에서 기를 받아 폐에게 전해주며 기가 간에 머물다가 신에 이르면 죽는다. 비는 폐에서 기를 받아 신에 전해주며 기가 심에 머물다가 간에 이르면 죽는다. 폐는 신에서 기를 받아 간에 전해주며 기가 비에 머물다가 심에 이르면 죽는다. 신은 간에서 기를 받아 심에 전해주며 기가 폐에 머물다가 비에 이르면 죽는다. 이는 모두 역행해서 죽는 것이다. 하루 낮, 하루 밤을 다섯 등분해서 죽는 이의 조만을 점칠 수 있다.
臟腑之絶候장부의 기가 끊어지려는 경우
祥見 氣門 상세한 것은 기문을 보라.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肝臟 (0) | 2022.04.01 |
---|---|
東醫寶鑑內景卷之三 - 單味(凡23種) (0) | 2020.07.09 |
東醫寶鑑內景卷之三 - 五臟六腑오장육부 (0) | 2020.07.07 |
內景篇卷之二 - 單方 (0) | 2020.07.02 |
內景篇卷之二 - 痰飮通治藥 (0) | 2020.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