肝臟간장
肝形象간형상
○ 肝有二布葉七小葉 如木甲折之象 各有支絡脈居中 以宣發陽和之氣 魂之官也(內經註)
간에는 두 개의 퍼진 잎과 일곱 개의 작은 잎이 있는데 나무 껍질이 벌어진 모양과 같다. 각 잎에는 낙맥의 줄기가 가운데 있어서 화평한 양의 기운을 잘 퍼뜨리며 혼의 기관이다내경추.
○ 肝有二大葉 一小葉 左三葉右四葉 分兩如木甲折之多葉也入門
간에는 큰 잎 2개, 작은 잎 한 개가 있고, 왼쪽에 세 개의 잎, 오른쪽에 네 개의 있어 양쪽으로 나뉘어 마치 나무껍질이 터져서 많은 잎이 나온 것과 같은 모양이다입문.
○ 肝重 四斤四兩 左三葉 右四葉 凡七葉 主藏魂(難經)
간의 무게는 네 근 네 냥이고 왼쪽에 세 개, 오른쪽에 네 개 곧 일곱 개의 잎이 있어 주로 혼을 갈무리한다난경.
肝部位간부위
○ 肝生於左(內經)
간은 왼쪽에서 생한다내경.
○ 肝之系者 自膈下 着左脇肋 上貫膈入肺中 與膈膜 相連也(入門)
간계는 옆구리 아래에서 시작하여 왼쪽 옆구리에 붙어 있고 격막을 뚫고 올라간 후 폐 속으로 들어가는데 격막과 서로 이어져 있다입문.
○ 期門二穴 肝之募也 在兩乳直下一寸半 在背則肝兪 在九椎下 是肝之分也(銅人)
기문혈은 간의 모혈인데 두 젖꼭지의 한치반 아래에 있고 등에는 간수가 9번째 척추 아래에 있다. 이는 간에 해당하는 부위다동인.
肝主時日간이 주관하는 시간과 날짜
○ 肝主春 足厥陰少陽主治 其日甲乙
간은 봄을 주관하고 족궐음과 족소양을 다스리며 갑을일을 주관한다.
○ 東方生風 風生木 木生酸 酸生肝
동방은 풍을 낳고 풍은 목을 낳으며 목은 산을 낳고 산은 간을 낳는다.
○ 肝爲陰中之少陽 通於春氣內經
간은 음중의 소양이며 봄기운과 통한다내경.
肝屬物類간속물류
○ 在天爲風 在地爲木 在體爲筋 在藏爲肝 在色爲蒼 在音爲角 在聲爲呼 在變動爲握 在竅爲目 在味爲酸 在志爲怒 其液爲淚 其榮爲爪 其臭爲臊 其卦爲震(生數三 成數八) 其穀爲麻(一作麥) 其畜爲犬(一作雞) 其蟲爲毛 其數爲八 其果爲李 其菜爲韭(內經) 其脈爲足厥陰(內經)
하늘에서는 풍이고 땅에서는 나무고 몸에서는 근육이고 오장에서는 간이다. 색에서는 푸른 색이고 음에서는 각이다. 성에서는 호통치는 소리고 변동에서는 움켜잡는 것이다. 규에서는 눈이고, 미에서는 신맛이며 지에서는 성냄이다. 액에서는 눈물이고 피에서는 손톱에 나타난다. 냄새는 누린내고 괘는 진괘고생수는 삼이고 성수는 팔이다이다. 곡식은 참깨혹은 보리고 가축은 개혹은 닭다. 부류는 털짐승이고 수는 팔이다. 광일은 오얏이고 채소는 부추다내경. 맥은 족궐음이다내경.
肝臟大小간장의 대소
○ 肝者 主爲將 使之候外 欲知堅固 視目大小
간은 우두머리가 되어서 밖을 살피게 한다. 튼튼하지 알려면 눈의 크기를 본다.
○ 靑色小理者 肝小 粗理者 肝大 廣胸反骹者 肝高 合脇兎骹者 肝下 胸脇好者 肝堅 脇骨弱者 肝脆 膺背好相得者 肝端正 脇骨偏擧者 肝偏傾也
얼굴빛이 푸르고 살결이 작은 이는 간이 작고, 살결이 거친 이는 간이 크다. 가슴이 넓고 발목이 밖으로 휘면 이는 간이 높고, 갈빗대가 오므라지고 발목이 토끼발목 같으면 간이 낮다. 가슴과 옆구리가 좋은 이는 간이 튼튼하고 옆구리뼈가 약한 이는 간이 취약하다. 등과 배가 균형이 잡힌 이는 간이 단정하고 협골이 치우쳐 들린 이는 간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 肝小則藏安 無脇下之病 肝大則逼胃 迫咽 苦膈中 且脇下痛 肝高則傷支賁切 脇悗爲息賁 肝下則逼胃脇下空 易受邪 肝堅則藏安難傷 肝脆則善病消癉 易傷 肝端正則和利難傷 肝偏傾 則脇下痛(靈樞)
간이 작으면 오장이 편안하며 옆구리 아래에 병이 없고, 간이 크면 위와 목구멍을 누르고 격중을 고통스럽게 하고 옆구리 아래가 아프다. 간이 높으면 지체를 상해서 거북하고 갈빗대가 결리며 숨이 차기도 한다. 간이 낮으면 위를 누르고 옆구리 아래가 비어서 사기를 받기가 쉽다. 간이 튼튼하면 오장이 편안하여 잘 상하지 않고 간이 취약하면 소갈병에 잘 걸리며 상하기 쉽다. 간이 단정하면 조화로워 잘 상하지 않고 간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으면 옆구리 아래가 아프다영추.
肝傷證간상증
○ 有所墜墮 惡血留內 有所大怒 氣上不下 積於脇下則傷肝 又曰 大怒氣逆則傷肝(靈樞)
추락해서 나쁜 피가 몸 안에 있거나, 크게 화를 내서 기가 거슬러올라 내려가지 않아 옆구리 아래에 쌓이면 간이 상한다. 또 크게 화를 내서 기가 거슬러오르면 간을 상한다영추.
○ 恚怒 氣逆上 而不下則傷肝(難經)
지나치게 화를 내서 기가 거슬러올라 내려가지 않으면 간을 상한다난경.
肝病證간병증
○ 邪在肝 則兩脇中痛 寒中 惡血在內(靈樞)
간에 사기가 있으면 양 옆구리 속이 아프고 속이 차갑고 나쁜 피가 안에 있다영추.
○ 肝病者 兩脇下痛引小腹 令人善怒
간병이 들면 양 옆구리 아래가 아프고 아랫배가 다기며 남에게 화를 잘 낸다.
○ 肺傳之肝 病名曰肝痺 一名曰厥 脇痛出食
폐가 간에 전해지는 것을 간비라 하는데 궐이라고도 한다. 옆구리가 아프고 음식을 토한다.
○ 肝熱者 色蒼而爪枯(內經)
간에 열이 있으면 안색이 푸르고 손발톱이 마른다내경.
○ 外證 善潔 面靑 善怒 內證 臍左有動氣 按之牢若痛 其病 四肢滿閉 淋澁 便難 轉筋 有是者 肝也 無是者非也(難經)
겉으로 드러나는 증세는 깨끗한 것을 좋아하고 얼굴이 푸르고 화를 잘낸다. 안으로 드러나는 증세는 배꼽 왼쪽에 동기가 있고 누르면 단단하거나 아프다. 이 병은 사지를 다 못쓰고 소변을 찔끔거리거나 잘 나오지 않으며 대변을 보기 어렵고 근육이 뒤틀린다. 이런 증상이 있으면 간병이고 없으면 간병이 아니다난경.
○ 大骨枯槁 大肉陷下 胸中氣滿 腹內痛 心中不便 肩項身熱 破䐃脫肉 目眶陷眞藏 見目不見人 立死 其見人者 至其所不勝之時 則死(註曰 此肝之藏也 所不勝之時 謂庚辛之月也(內經)
대골이 마르고 대육이 꺼져내리며 가슴 속에 기가 그득하고 뱃속이 아프며, 가슴 속이 불편하고 어깨와 목덜미와 몸에 열이 있으며 군육이 빠지고 눈자위가 꺼지고 진장맥이 나타나서 눈으로 사람을 볼 수 없으면 그대로 죽고 그가 사람을 볼 수 있으면 가가 이겨내지 못할 때 이르러 죽는다. 주에 이는 간장이고 이기지 못하는 때는 경신월을 말한다 하였다내경.
肝病虛實간병허실
○ 肝藏血 血舍魂 肝氣 虛則恐 實則怒(靈樞 本神 第八(法風))
간은 혈을 갈무리하고 혈은 혼에 깃든다. 간기가 허하면 두려워하고 실하면 화를 낸다(영추).
○ 肝實 則兩脇下痛 引小腹 善怒 虛則 目䀮䀮無所見 耳無所聞 善恐 如人將捕之(靈樞).
간이 실하면 양 옆구리 아래가 아프고 아랫배가 당기며 화를 잘 낸다. 허하면 눈이 희미하여 잘 보지를 못하며 귀가 잘 들리지 않고 누가 잡으려 오는 것처럼 겁을 잘 낸다(영추).
○ 肝藏血 血有餘則怒 不足則恐(內經).
간은 혈을 갈무리하는데 혈이 남아돌면 화를 잘 내고 부족하면 겁을 낸다내경.
○ 人動 則血運 於諸經, 靜 則血歸於肝藏 肝主血海 故也(入門).
사람이 움직이면 혈이 여러 경락으로 흘러가고, 조용히 있으면 혈이 간장으로 되돌아간다. 간이 혈해를 주관하기 때문이다입문.
肝病間甚간병간심
○ 病在肝 愈於夏 夏不愈 甚於秋 秋不死 持於冬 起於春
병이 간에 있으면 여름에는 낫는다. 여름에 낫지 않으면 가을에는 심해지고 가을에 죽지 않으면 겨울에는 유지되고 봄에는 일어난다.
○ 肝病者 愈在丙丁 丙丁不愈 加於庚辛 庚辛不死 持於壬癸 起於甲乙
간병은 병정일에 낫고 병정일에 낫지 않으면 경신일에 더해서 죽지 않으면 임계일에 지탱하다가 감을일에 일어난다.
○ 肝病者 平朝慧 下晡甚 夜半靜(內經)
간병은 보통 아침에 호전되고 해질녘에 심해지다가 밤중에는 안정된다.(내경)
肝病治法간병치법
○ 肝苦急 急食甘以緩之 甘草 宜食粳米 牛肉 棗 葵 註曰 肝苦急 是其氣有餘也 肝欲散 急食辛以散之 川芎 肝虛 以生薑 陳皮之類補之內經
간의 고통이 극심하면 급히 단 것을 먹여 완화해야 한다. 감초를 쓰고 맵쌀 소고기 대추 아욱을 먹여야 한다. 주에 간의 고통이 극심한 것은 기가 남아돌아서다라 했다. 간은 발산하려고 하니 급히 신 것으로 발산시켜야 한다. 그래서 천궁을 쓰는데 간허에는 생강과 진피를 보해야 한다.(내경)
○ 肝病 宜食甘 粳米 牛肉 棗 葵 取其甘能緩急也(內經)
간병에는 단 것을 먹여야 한다. 맵쌀 소고기 대추 아욱의 단 것을 취해서 급한 것을 완화해 줄 수 있다.(내경)
○ 肝病 宜食麻 犬肉 李 韭 皆酸 取本味也(甲乙經)
간병에는 참깨 개고기 오얏 부추를 먹여야 하는데 모두 신 것이고 본래의 맛을 취한 것이다.(갑을경)
○ 肝虛 宜四物湯 淸肝湯 或補肝丸 肝實 宜瀉靑丸 洗肝散 當歸龍薈丸(海藏)
간허에는 사물탕 청간탕이나 보허환을 쓰며, 간실에는 사청환 세간산 당귀홍회환을 써야 한다.(해장)
○ 肝病 禁當風(內經)
간병에는 바람을 쐬서는 안 된다.(내경)
【淸肝湯】청간탕
治肝經血虛 有怒火 白芍藥 一錢半 川芎ㆍ當歸 各一錢, 柴胡 八分 山梔仁ㆍ牡丹皮 各四分 右剉 水煎. 《入門》
간경의 혈허로 노화가 있는 것을 치료한다. 백작약 한돈반 천궁 당귀 각 한 돈 시호 8푼 선치인 모란피 각 너 푼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補肝丸】보간환
治肝虛 卽 四物湯 加防風 羌活 蜜丸也
간허를 치료한다. 곧 사물탕에 방풍 강활을 넣고 꿀로 환을 지은 것이다.
【瀉靑丸】사청환
治肝實 當歸 草龍膽 川芎 梔子 大黃煨 羌活 防風各等分 上爲末 蜜丸芡實大 每一丸 竹葉湯 同砂糖 溫水化下 ○ 一名凉肝丸(綱目)
간실을 치료한다. 당귀 초용담 천궁 치자 대황(잿물에 묻어 구운 것) 강활 방풍을 각기 같은 양을 가루내어 꿀로 검실 크기로 환을 지어서 매일 한 알씩 죽엽탕과 따뜻한 사탕물에 녹여 먹는다. 일명 청간환이라고도 한다.(강목)
【洗肝散】세간산
治肝實 羌活 當歸 薄荷 防風 大黃 川芎 梔子炒 甘草灸各一錢 上剉 水煎服 加草龍膽一錢 尤妙(海藏)
간실을 치료한다. 강활 당귀 박하 방풍 대황 천궁 볶은 치자 구운 감초를 각기 한 돈씩 썰어 물에 달여 먹는다. 초룡담 한 돈을 더하면 더욱 효과가 있다.(해장)
【當歸龍薈丸】 당귀용회환
治肝臟實熱 脇痛 當歸ㆍ草龍膽ㆍ山梔子ㆍ黃連ㆍ黃柏ㆍ黃芩 各一兩, 大黃ㆍ蘆薈ㆍ靑黛 各五錢 木香 二錢半 麝香 半錢 右爲末 蜜丸小豆大 薑湯下二三十丸 《綱目》
간장의 실열로 옆구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초룡담 산치자 황련 황백 황금 각 한 냥, 대황 노회 청대 각5돈, 목향 두 돈반 사향 반 돈을 가루내어 꿀로 팥크기로 환을 지어 생강탕으로 2,3십 알을 먹는다.(강목)
肝絶候간절후
○ 足厥陰氣絶則筋絶 厥陰者肝脈也 肝者筋之合也 筋者聚于陰器 而絡于舌本也 故脈不榮 則筋急 筋急 則引舌與卵 故脣靑 舌券 卵縮 則筋先死 庚日篤 辛日死
족궐음의 기가 끊어지면 근이 끊어진다. 궐음은 간백이고 간은 근과 상합하며, 근은 생식기에 모였다가 현뿌리에 닿는다. 그러므로 맥에 영양을 공급하지 못하면 근이 당기고 근이 당기면 혀와 음낭이 당긴다. 그러므로 입술이 파랗고 혀가 말리며 음낭이 오그라들어 근이 먼저 죽고 경일에 위독해지고 신일에 죽는다.
○ 厥陰終者 中熱嗌乾 善尿 心煩 甚則舌券卵上縮而終矣(靈樞)
궐을이 끊어지면 속에서 열이 나고 목구멍이 마르며 소변이 잦고 가슴이 답답하다. 심하면 혀가 말리고 음낭이 위로 오르가들어서 죽는다.(영추)
○ 脣吻反靑 四肢槷習(伸縮也) 汗出者此爲肝節也(仲景)
입술이 뒤집어지고 파랗게 되며 사지가 무력하게 경련이 일고(펴졌다 오그라졌다 함) 땀이 나는 것은 간기가 끊어져서다.(중경)
○ 肝絶 八日死 何以知之 面靑但欲伏眠 目示而不見人 汗出如水不止(八一作三)(脈經)
간이 끊어지면 8일만에 죽는다.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얼굴이 파랗고 엎드려 자려고만 하며 눈으로 보기는 하나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땀이 물 흐르듯 나와서 그치지 않기 때문이다.(8일을 3일이라고 한 곳도 있다.)(맥경)
肝臟修養法간장수양법
○ 常以正月 二月 三月朔旦 東面平坐叩齒三 通吸震宮 靑氣入口 九呑之閉 氣九十息(養生書)
늘 정월 2월 3월 초하루 아침에 동녘을 향해 편안히 앉아서 이를 세 번 맞부딪치고 진국의 푸른 기운을 9번 들이마시어 삼키고 90번 숨쉴 동안을 참는다.(양생서)
肝臟導引法간장도인법
○ 可正坐 以兩手相重按䏶下 徐緩身左右 各三五度 又可正坐兩手押相 叉飜覆 向胸三五度 此能去肝家積聚風邪毒氣(臞仙)
바로앉아서 양손을 겹쳐서 허리 아래를 누른 후 천천히 몸을 좌우로 각각 3-5번씩 이완시킨다. 또 바로앉아서 양손을 깍지끼고 가슴을 향해 3-5번 뒤집는다. 이 방법으로 간병적취와 풍사의 독기를 없앨 수 있다.(구선)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心臟 (0) | 2022.04.04 |
---|---|
單方 凡21種 (0) | 2022.04.02 |
東醫寶鑑內景卷之三 - 單味(凡23種) (0) | 2020.07.09 |
東醫寶鑑內景卷之三 - 臟腑病治有難易장부치료의 난이 (0) | 2020.07.08 |
東醫寶鑑內景卷之三 - 五臟六腑오장육부 (0) | 2020.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