單方단방 凡二十三種모두23종임

白礬백반 吐去胸中痰飮 取一兩 水二升 煮取一升 入蜜半合頓服 須臾卽吐 未吐則當飮少熱湯(本草)

가슴 속의 담음을 토하게 한다. 한 양을 물 두 되에 끓여서 한 되가 되게 해서 꿀 반 홉을 넣고 한 번에 마시면 금방 토하게 된다. 토하지 않으면 약간 뜨거운 물을 마셔야 한다본초.

蒼朮창출 消痰水 能治痰飮成窠囊 極效 卽上神朮丸也 性燥能勝濕(本草)

담수를 없앤다. 담음으로 낭종이 생긴 것에 아주 신효하다. 위의 신출환이다. 성질이 조해서 습을 이길 수 있다본초.

貝母패모 消痰 又治胸膈痰氣 最妙(本草)

담을 삭이고 흉격의 담기를 없애는데, 아주 신묘하다본초.

貝母丸패모환取貝母 童便 浸一日 洗晒 爲末 糖霜調和不時服(入門)

패모를 어린아이 오줌에 하루 담갔다가 씻어서 볕에 말린 것 가루내 흰 설탕을 섞어 버무려서 수시로 복용한다입문.

前胡전호 治熱痰 又治痰滿胸痞 剉取三錢 水煎服之(本草)

바디나물뿌리. 열담을 치료하고 담이 가득차서 생긴 흉비를 치료한다. 썰어서 세 돈씩 물에 달여 복용한다본초.

乾薑건강 治寒痰 又消痰下氣 丸服 煎服 皆可(本草)

말린 생강. 한담을 치료하고 담을 삭이고 기를 내린다. 환으로 먹거나 달여 먹는데 다 좋다본초.

生薑생강 去痰下氣 又去冷淡 調胃氣(本草) 治痰癖 生薑四錢 附子生二錢 右剉水煎服(本草)

생강의 뿌리. 담을 없애고 기를 내리며 냉담을 제거하고 위기를 조절한다본초. 담벽을 치료하려면 생강4 부자생것 2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半夏반하 治寒痰 能勝脾胃之濕 所以化痰(湯液) 能消痰涎 去胸中痰滿(本草)

반하의 뿌리. 한담을 치료한다. 비위의 습을 낫게 하며 담을 삭인다탕액. 연담을 삭이고 가슴 속에 가득한 담을 없앤다본초.

油炒半夏 大治濕痰(丹心) 기름에 볶은 반하는 습담을 잘 치료한다단심.

去痰須用半夏 熱加黃芩 風加南星 痞加陳皮 白朮(入門) 담을 없애려면 반드시 반하를 써야 한다. 열이 있으면 황금을 넣고, 풍이 있으면 남성을 넣고, 비가 있으면 진피 백출을 넣는다입문.

半夏丸반하환 治痰喘心痛 半夏 香油炒 爲末 粥丸梧子大 薑湯下 三五十丸(入門) 半夏麴 及法製半夏方 皆見于下 반하환은 담천과 심통을 치료한다. 반하를 참기름에 볶아 가루를 내어 죽으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생강탕에 30-50알을 먹는다입문. 반하국과 법제 처방은 모두 아래를 보라.

半夏麴반하국 반하누룩

痰分之病 半夏爲主 然必造而爲麴 又入霞天膏 白芥子 薑汁 礬湯 竹瀝 造麴 治痰積沈痾者 自能使腐敗 隨大小便出 或散而爲瘡 此半 夏麴之妙也 佐以南星 治風痰 佐以薑汁酒浸炒 芩連 及瓜蔞仁 香油拌麴略炒 治火痰 佐以麩炒枳實 薑汁浸蒸 海粉之類 治老痰 佐以蒼白朮 俱米泔 薑汁浸炒 甚至乾薑 烏頭 皆治濕痰 製法詳見雜方(丹心)

담으로 나뉘는 병에는 반하를 주로 쓰는데, 반드시 반하국을 만들어 써야 한다. 또 하천고 백개자 강즙 반탕 죽력을 넣고 누룩을 만들면 담이 쌓여 생긴 고질병을 치료하는데, 저절로 담이 썩어서 대소변으로 나가거나 흩어져 창이 되기도 하니 이것이 반하국의 신묘한 효과다. 좌약으로 남성을 쓰면 풍담을 치료한다. 좌약으로 생강즙 술에 담갔다가 볶은황금과 황련참기름에 섞어서 볶은 것 과루인 신국참기름과 섞어서 약간 볶은 것을 쓰면 화담을 치료한다. 좌약으로 밀기울로 볶은지실 생강즙에 담갔다가 찐해분을 쓰면 노담을 치료한다. 좌약으로 창출 백출모두 쌀뜨물이나 생강즙에 담갔다가 볶은 것 심하면 건강 오두를 쓰면 모두 습담을 치료한다. 상세한 제법은 잡방을 보라단심.

法製半夏법제반하

大半夏一斤 石灰一斤 滾水七椀 入盆內 攪掠澄淸去滓 將半夏浸之 手攪日晒夜露 七日撈出井華水洗淨三四次 泡三日 每日換水三次 撈起控乾 用白礬八兩 皮硝一斤 滾水七八椀 入盆內 攪掠 浸半夏七日 日晒夜露 取出 水洗三四次 泡三日 每日換水三次 取出控乾入甘草 薄荷 各四兩 丁香 枳實 木香 白薑 陳皮 靑皮 枳殼 五味子 縮砂 各五錢 白豆蔲 肉桂 各三錢 沈香一錢 右切片 滾水十五椀 將半夏同藥 共入盆內 泡二七日 日晒夜露 攪之 日足取出 藥與半夏用白布包住 放在熱炕 用器皿 覆住三炷香時 藥與半夏分胎 半夏乾收用 有痰火者 服之一日 大便出似魚膠 一宿盡除痰根 永不生也 此藥化痰如神 若不信 將半夏七八粒 硏入痰椀 化爲淸水 有痰疾 中風 不語 硏七八粒 井水送下 以手摩運腹上 則醒能言(回春).

대반하 한 근, 석탄 한 근, 펄펄 끓인 물 7사발을 동이 안에 넣고 휘저어 식힌 후 찌거기를 버린다. 여기에 반하를 담가 손으로 저은 후 햇볕에 쬐고 밤에는 밖에 둔다. 7일 후 건져내어 정화수로 깨끗이 서너 번 씻어서 매일 세 번씩 물을 갈면서 사흘 동안 담가 우렸다가 건져내어 말린다. 백반 8냥과 피초 1근을 펄펄 끓인 물 7-8 사발과 함께 동이 안에 넣고 휘저어 식힌 후 반하를 7일 동안 담그되 낮에는 햇ᅟᅧᇀ에 쬐고 밤에는 밖에 둔다. 꺼낸 후 물로 서너 번 씻고 매일 세 번씩 물을 갈면서 3일 동안 담가 우렸다가 건져내어 말린다. 감초 박하4 정향 지실 목향 백강 진피 청피 지각 오미자 숙사5 백두구 육계3 침향1을 얇게 썰어서 펄펄 끓는 물 15사발에 반하와 함께 동이에 넣고 14일 동안 우리되 낮에 볕에 쬐고 밤에는 밖에 두면서 저어준다. 날짜가 차면 꺼내서 다른 약과 반하를 흰 배로 싸서 뜨거운 구들에 놓고 향 3개가 탈 시간 동안 그릇으로 덮었다가 가른 약과 반하를 분리하고 반하는 말려서 모아두고 쓴다. 담화가 있는 이가 복용하면 하룻밤이 가면 담근이 없어지고 다시는 생기지 않는다. 이 약은 담을 삭이는 데 신묘한 효과가 있다. 믿기지 않는다면 반하 7-8알을 갈아서 가래를 뱉어 놓은 사발에 넣어 보라. 가래가 맑은 물로 변할 것이다. 담질이 있어 중풍으로 말을 못할 때는 7-8알을 갈아 우물물로 먹인 다음 손으로 배를 문지르면 깨어나 말을 한다회춘.

瓜蔞仁과루인 治熱痰 酒痰 老痰 潤肺化痰降氣 洗滌胸中垢膩 作丸或煎服皆可(丹心)

하늘타리 열매. 열담 주담 노담을 치료한다. 폐를 적시고 담을 삭이고 기를 내리고 가슴속의 기름 때를 씻어낸다. 환을 만들거나 달여 복용하면 좋다단심.

葶藶子정력자 除胸中痰飮 能逐肺經之水 末服煎服 皆可(本草)

다닥냉이 씨. 가슴속의 담을 없애고 폐경의 수기를 몰아낸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 복용하면 좋다본초.

旋覆花선복화 消胸上痰結 唾如膠漆 除心脇痰水 水煎服 或丸服(本草)

가슴속에 담이 뭉쳐서 아교나 옻 같은 침이 나오는 것을 없애고 가슴과 옆구리의 담수를 없앤다. 물을 달여 먹거나 환으로 복용한다본초.

枳實지실 除胸脇痰癖 水煎服 或作丸服之(本草). 枳實瀉痰 能衝墻壁(丹心)

어린 탱자. 가슴과 옆구리의 담벽을 없앤다. 물에 달여 먹거나 환을 지어 복용한다본초.

枳殼지각 消痰 散胸滿痰滯 煎服 末服 皆可(本草)

익은 탱자. 담을 삭이고 흉격에 가득찬 담을 흩는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좋다본초.

天南星천남성 治風痰 炮黃色入生薑七片 水煎服 或薑汁糊丸服(本草)

풍담을 치료한다. 습지에 싸서 누렇게 구운 것에 생강 일곱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복용하거나, 생강즙으로 쑨 풀로 환을 지어 복용한다본초.

靑礞石청몽석 治食積痰 同焰硝火煆服 能利痰積 從大便而出 作丸服 末服皆可(入門)

식담적을 치료한다. 염초와 함께 불에 달구어 복용하면 담적이 대변으로 빠져나온다. 환을 지어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복용하면 된다입문.

木瓜모과 消痰 止痰唾(本草) 담을 삭이고 가래침이 나오지 않게 한다본초.

木瓜煎모과전 治痰 益脾胃 木瓜蒸爛 取肉 然搗篩去滓 量入煉蜜 薑汁 竹瀝攪和作煎 每取一大匙 嚼下 日34(俗方)

담을 치료하고 비위를 보한다. 모과를 푹 쪄서 과육을 발라낸 후 갈고 찧어 체로 쳐서 찌꺼기를 버린다. 졸인 꿀 생강즙 죽력을 적당히 넣고 고르게 저은 후 졸인다. 큰 숟갈로 한 술씩 하루 서너 번 씹어먹는다속방.

烏梅오매 去痰止渴 可作茶飮(本草)

덜 익은 파란 매실을 짚불 연기에 그을려 말린 것. 담을 없애고 갈증을 멎게 한다. 차로 만들어 마신다본초.

白芥子백개자 主胸膈痰冷(本草) 痰在脇下 非白芥子 不能達 末服煎服皆佳(丹心)

, 겨자씨앗. 흉격의 냉담에 주로 쓴다본초. 담이 옆구리 아래에 있을 때 백개자가 아니면 치료할 수 없다. 가루내어 복용하거나 달여 먹어도 좋다단심.

瓜蔕과체 吐痰 痰塞心胸 令人悶絶 用瓜蔕散吐之 卽甦方見三法

참외꼭지. 담을 토하게 한다. 담이 가슴을 막아서 답답하여 기절했을 때는 과체산으로 토하게 하면 곧 깨어난다처방은삼법을 보라.

海粉해분 熱痰能降 濕痰能燥 結痰能軟 頑痰能消 不可入湯 可入 丸藥用製法詳見雜方(丹心)

열담은 내려가게 하고, 습담은 말리며 결담은 무르게 하고 완담은 삭인다. 탕약에 넣어서는 안 되고 환약에 넣어서 쓴다. 만드는 법은 잡방에 상세하게 보인다 단심.

蛤粉합분 能墜痰軟堅 卽固濟火煆 海蛤粉也 末服 丸服並佳(丹心)

해합의 껍데기를 가루낸 것. 담을 없애고 단단한 것을 무르게 한다. 단단히 밀봉하여 불에 달군 해합의 가루다. 가루내어 복용하거나 환을 지어 복용하면 좋다단심.

蜆殼현각 燒爲白灰飮 調服 除心胸痰水(本草)

가막조개 껍데기. 하얀 재가 되도록 태운 후 미음에 타서 복용한다. 가슴의 담수를 없앤다본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