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腸腑소장부

 

小腸形象소장형상

小腸長三丈二尺, 廣二寸半, 徑八分分之少半, 重二斤十四兩, 當臍左迴, 疊積十六曲, 盛穀二斗四升, 水六升三合合之太半. 靈樞

소장의 길이는 32척이고 둘레는 2치반, 직경은 81/3푼이고 무게는 214냥이다. 배꼽에서 왼쪽으로 돌면서 16굽이로 겹겹이 쌓이는데 곡식 24되와 물 62/3홉을 받아들일 수 있다.(영추)

 

小腸部位소장부위

小腸後附脊, 當臍左環迴周, 葉積而下. 靈樞

소장은 뒤로 척추에 붙어 있고 배꼽에서 왼쪽으로 주위를 돌아 잎이 쌓이는 것처럼 내려간다. (영추)

胃之下口, 卽小腸上口, 名曰幽門. 臍上一寸, 水分穴, 卽小腸下口也. 入門

위의 아래 출구는 곧 소장 위의 입구로 유문이라고 한다. 배꼽 1치 위가 수분혈인데 곧 소장 아래 출구다.(입문)

關元一穴, 在臍下三寸, 小腸之募也. 在背則小腸兪, 在脊十八顀下兩傍, 此小腸部位也. 銅人

배꼽 아래 3치에 있는 관원혈이 소장의 모혈이다. 등에는 있는 소장수는 18번째 척추 아래 양쪽에 있다. 이것이 소장 부위다.(동인)

 

小腸傳受소장전수

凡胃中腐熟水穀, 其滓穢, 自胃之下口, 傳入於小腸上口, 自小腸下口, 泌別淸濁, 水液入膀胱上口, 滓穢入大腸上口. 難經曰, 小腸大腸會, 謂之闌門, 言由關闌分隔也. 入門

위에서 수곡을 삭히면 그 찌꺼기는 위의 아래 출구로부터 소장의 위 입구로 전해 들어가고 소장의 아래 출구로부터 청탁을 분별하여 수액은 방광의 입구로 들어가고 찌꺼기는 대장의 입구로 들어간다. 난경에, 소장과 대장이 만나는 곳을 난문이라 한다 했다. 난문이 대소변을 분리하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입문)

 

小腸外候소장외후

脣厚, 人中長, 以候小腸.

입술의 두께와 인중의 길이로 소장을 살핀다.

心應脉, 皮厚者脉厚, 脉厚者小腸厚. 皮薄者脉薄, 脉薄者小腸薄. 皮緩者脉緩, 脉緩者, 小腸大而長. 皮薄而脉衝小者, 小腸小而短. 諸陽經脉皆多紆屈者, 小腸結也. 靈樞

심은 맥과 상응하기 때문에 살갗이 두터우면 맥도 두텁고 맥이 두터우면 소장도 두텁다. 살갗이 얇으면 맥도 얇고 맥이 얇으면 소장도 얇다. 살갗이 느슨하면 맥도 느슨하고 맥이 느슨하면 소장은 굵고 길다. 살갗이 얇고 맥이 허하고 작으면 소장이 가늘고 짧다. 모든 양경맥에 구불구불한 혈이 많으면 소장이 뭉쳐 있는 것이다.(영추)

 

小腸病證소장병증

中氣不足, 腸爲之苦鳴.

속에 기가 부족하면 장에서 꼬르륵 소리가 난다.

小腸病者, 小腹痛, 腰脊控睾而痛睾陰丸也, 時窘之候, 當耳前熱.

소장에 병이 들면 아랫배가 아프고 요추에서 고환(고는 환이다)까지 당기면서 아프며 때로는 대소변이 급하게 보고 싶고 귀 앞부분에 열이 난다.

小腸控睾, 引腰脊, 上衝心, 邪在小腸也. 靈樞

소장에서 고환과 허리 척추까지 당기면서 아프고 심장으로 치오르는 것은 사기가 소장에 있는 것이다.(영추)

小腸爲泄. 內經

소장은 설사를 한다.(내경)

小腸有氣則小腹痛, 小腸有血則小便澁, 小腸有熱則莖中痛. 入門

소장에 기가 있으면 아랫배가 아프고 소장에 혈이 있으면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소장에 열이 있으면 음경 속이 아프다.(입문)

 

小腸病治法소장병치법

小腸者, 心之府也. 有病宜通利, 用導赤散赤茯苓湯.

소장은 심의 부다. 병이 있으면 소통시켜야 하므로 도적산 적복령턍을 쓴다.

導赤散도적산

治小腸熱, 小便不利. 生地黃木通甘草 各一錢. 右剉, 入靑竹葉七片, 同煎服. 錢乙

소장의 열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목통 감초 각 1돈을 썰어서 청죽엽7장을 넣어 달여 먹는다.(전을)

赤茯苓湯적복령탕

治小腸熱, 面赤多汗, 小便不利. 木通赤茯苓檳榔生地黃黃芩赤芍藥麥門冬甘草 各一錢. 右剉, 作一貼, 入生薑 五片, 同煎服. 必用方

소장의 열로 안색이 붉고 땀이 많으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목통 적복령 빈랑 생지황 황금 적복령 맥문동 감초 각 1돈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5쪽을 넣어 달여 먹는다.(필용방)

 

小腸絶候소장절후

小腸絶, 六日死, 何以知之. 髮直如乾麻, 不得屈伸, 自汗不止. 脉經

소장의 기가 끊어지면 6일 만에 죽는다.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머리카락이 마른 삼대처럼 곤두서고 몸을 굴신할 수 없으며 자한이 멈추지 않는 것으로 안다.(맥경)

 

單方단방

凡九種.

모두 9종이다.

澤瀉택사

通小腸, 利小便. 水煎服之. 本草

소장을 통하게 해서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木通목통

通小腸, 下水. 水煎服之. 本草

소장을 통하게 하여 물을 내려보낸다. 물에 끓여 먹는다.(본초)

瞿麥구맥

通心經, 利小腸爲最要. 水煎服之. 本草

심경을 통하게 하고 소장을 잘 통하게 하는 데 가장 좋은 약이다. 물에 끓여 먹는다.(본초)

連翹연교

通小腸. 水煎服之. 本草

소장을 통하게 한다. 물에 끓여 먹는다.(본초)

茯神복신

治小腸不利. 水煎服, 或末服. 本草

소장이 잘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물에 끓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黑豆흑두

煮汁飮, 除腸中淋露. 又治腸痛. 熬浸酒飮之. 本草

달인 물을 마시면 장 속의 찔끔거리는 물을 없애고, 장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볶아서 술에 담가 마신다.(본초)

梔子치자

療小腸熱. 水煎服之. 本草

소장의 열을 치료한다. 물에 끓여 먹는다.(본초)

冬瓜汁동과즙

利小腸. 可飮之. 本草

소장을 잘 통하게 한다. 마시면 좋다.(본초)

煮葵汁자규즙

滑小腸. 作羹, 作茹食之. 本草

소장을 매끄럽게 한다. 국을 끓여 먹거나 나물로 무쳐 먹는다.(본초)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膀胱腑 방광부  (0) 2022.04.29
大腸腑대장부  (0) 2022.04.28
胃腑위부  (0) 2022.04.25
膽腑담부  (0) 2022.04.23
腎臟신장  (0) 2022.04.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