膽腑담부

 

膽形象담형상

其色玄, 其形如懸瓠, 附肝之短葉間. 重二兩一作三兩三銖, 盛精汁三合, 無出入竅. 入門

그 색은 검고 형상은 조롱박을 걸어놓은 것 같고 간의 짧은 잎 사이에 붙어 있다. 무게는 2냥 혹은 33수고 정즙 3홉을 담고 있으며 드나드는 구멍이 없다.(입문)

肝之餘氣, 溢入於膽, 聚而成精. 由是內藏精而不泄, 外視物而得明, 爲淸淨之府, 能通於眼目. 脉訣

간의 남은 기가 흘러넘쳐서 담에 들어가 모이면 정이 된다. 이렇게 안으로 정을 갈무리하여 내보내지 않아 밖으로 사물을 밝게 볼 수 있으므로 청정지부라 하며 눈과 통한다.(맥결)

 

膽部位담부위

膽主腋, 兩腋缺盆, 皆膽之路. 入門

담은 겨드랑이를 주관하는데 양 겨드랑이와 결이 모두 담의 길이다.(입문)

日月二穴, 膽之募, 在乳下三肋端, 期門下五分, 在背則膽兪在脊第十顀下兩傍, 此膽之部位也. 銅人

일월 두 혈은 담의 모혈이다. 젖꼭지 아래로 3번째 늑골 끝에 있는 기문혈 5푼 아래 있다. 등에는 담수가 10번째 척추 양쪽 아래에 있다. 이것이 담의 부위다.(동인)

 

膽主決斷담주결단

膽生於金, 金主武, 故爲中正之官, 決斷出焉. 人禀剛正果斷, 直而無疑無私者, 膽之氣正也. 入門

담은 금에서 생기고 금은 무를 주관하기 때문에 중정지관이 되어 결단을 한다. 품성이 굳세고 바르며 과단성이 있고 곧아서 의혹이나 사사로움이 없는 이는 담의 기가 올바르기 때문이다.(입문)

 

膽外候담외후

目下裹大, 其膽乃橫.

아래 눈꺼풀이 크면 담이 가로로 뻗쳐 있다.

肝應爪, 爪厚色黃者膽厚, 爪薄色紅者膽薄. 爪堅色靑者膽急, 爪濡色赤者膽緩. 爪直色白無約者膽直, 爪惡色黑多紋者膽結也. 靈樞

간은 손발톱과 상응한다. 손발톱이 두텁고 누르면 담이 두텁고 손발톱이 얇고 붉은 색이면 담이 얇다. 손발톱이 단단하고 색이 푸르면 담이 팽팽하고 손발톱이 무르고 붉으면 담이 느슨하다. 손발톱이 곧고 희며 무늬가 없으면 담이 곧고 손발톱이 거칠고 검으며 무늬가 많으면 담이 뭉쳐 있다.(영추)

 

膽傷證담상증

膽者, 敢也. 驚怕則膽傷矣.

담은 용감하다는 것이다. 놀라고 두려워하면 담이 상한다.

面靑脫色, 膽受怖也. 子和

얼굴이 푸르고 혈색이 없으면 담이 공포를 느낀 것이다.(자화)

 

膽病證담병증

膽病者, 善太息, 口苦, 嘔有苦汁, 心中澹澹, 恐如人將捕之, 嗌中吤吤然, 數唾. 靈樞

담병은 자주 한숨을 쉬고 입이 쓰며 쓴 즙을 토하고 가슴이 두근거려 다른 사람이 잡으러 올까 두려워하며 목구멍 속이 막힌 듯하고 침을 자주 뱉는다.(영추)

痛悶左邊五肋之中, 血瘀生癭馬刀. 又膽候咽門, 故熱壅則生瘡腫痛. 入門

왼쪽 다섯 번째 늑골 속이 아프고 답답한 것은 혈이 뭉쳐 영이나 마도가 생긴 것이다. 담의 징후는 목구멍이니 열이 쌓이면 헐거나 부어서 아프다..(입문)

 

膽病多寒熱. 入門

담병에는 한열이 많다.(입문)

 

膽病虛實간병허실

膽虛則恐畏不能獨臥, 膽實則怒.

담이 허하면 두려움에 혼자 잘 수 없고 담이 실하면 성을 낸다.

膽實則怒而勇敢, 膽虛則善恐而不敢也.

담이 실하면 화를 잘 내고 용감하며 담이 허하면 겁이 많고 용감하지 못하다.

膽虛則不眠, 膽實則多睡. 入門

담이 허하면 잠이 없고 실하면 잠이 많다.(입문)

 

膽病治法담병치법

膽虛, 宜仁熟散, 膽實, 宜半夏湯.

담허에는 인숙산, 담실에는 반하탕을 써야 한다.

小柴胡湯, 治寒熱往來, 乃少陽經主藥也. 方見寒門 水煎澄淸溫服, 則能入膽. 入門

소시호탕은 한열이 오락가락하는 것을 치료하니 곧 소양경의 주약이다.처방은 한문을 보라 물에 달여 가라앉힌 수 따뜻하게 먹으면 담에 들어갈 수 있다.(입문)

仁熟散인숙산

治膽虛恐畏, 不能獨臥. 柏子仁熟地黃 各一錢, 人參枳殼五味子桂心山茱萸甘菊茯神枸杞子 各七分半. 右剉, 作一貼, 水煎服. 或爲末, 溫酒調二錢服之. 入門

담허로 두려워서 혼자 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백자인 숙지황 각 1, 인삼 지각 오미자 계심 산수유 감국 복신 구기자 각 7.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따뜻한 술에 타서 2돈씩 먹는다.(입문)

半夏湯반하탕

治膽實熱煩悶. 生地黃酸棗仁() 各五錢, 半夏生薑 各三錢, 遠志赤茯苓 各二錢, 黃芩 一錢, 黍米 一合. 右剉, 每一兩, 長流水煎, 澄淸服. 入門

담의 실열로 답답해하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산조인볶은 것 5, 반하 생강 각 3, 원지 적복령 각 2, 황금 1돈 기장쌀 1홉을 썰어서 매번 1냥씩 장류수에 달여 가라앉힌 후 그 윗물을 먹는다.(입문)

 

膽絶候담절후

膽爲足少陽, 其終者, 耳聾, 百節皆縱, 目睘音輕, 直視如驚貌絶系. 絶系者一日半死矣. 其死也, 色先靑白, 乃死矣. 靈樞

담은 족소양경이다. 그 기가 끊어지면 귀가 멀고 모든 관절이 다 늘어지며 놀란 듯 눈을 뜨고은 음이 경이고 놀란 것처럼 눈을 곧추 뜬다는 것 목계가 끊어진 것이다. 목계가 끊어지면 하루 반이면 죽는다. 죽을 때 안색이 먼저 희푸르게 변하고 이내 죽는다.(영추)

膽絶七日死, 何以知之. 眉爲之傾. 脉經

담이 끊어지면 7일 만에 죽는다.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눈썹이 기울어지는 것으로 안다.(맥경)

 

膽腑導引法담부도인법

可平坐, 合兩脚掌, 仰頭, 以兩手挽脚腕起搖動爲之三五度. 亦可大坐, 以兩手拓地擧身, 努腰脊三五度, 能去膽家風毒邪氣. 臞仙

편안하게 앉아서 양 발바닥을 붙이고 머리를 들고 양손으로 발목을 15번 당겨서 요동시킨다. 또 다리를 펴고 앉아서 양손으로 땅을 짚고 몸을 든 후 요주에 15번 힘을 준다. 이렇게 하면 담병인의 풍독과 사기를 없앨 수 있다.(구선)

 

單方단방

凡五種.

모두 다섯 가지다.

柴胡시호

治膽病寒熱. 足少陽經主藥也. 又曰, 膽痺, 非此不能除. 剉水煎澄淸飮. 湯液

담병의 한열을 치료한다. 족소양경의 주약이다. , 담비는 이것이 아니면 제거할 수 없다. 썰어서 물에 달여 가라앉힌 후 맑은 것을 마신다.(턍액)

乾地黃건지황

助心膽氣. 或煎服, 或丸服之. 本草

심담의 기를 돕는다. 달여서 먹거나 환으로 먹는다.(본초)

黃連황련

益膽. 或煎服, 或丸服, 或末服. 本草

담을 보한다. 달여 먹거나 환으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細辛세신 족도리풀의 뿌리

添膽氣. 水煎服之. 本草

담기를 더한다.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白百合백백합

定膽. 水煎服之. 本草

담을 안정시킨다. 물에 달여서 먹는다.(본초)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腸腑소장부  (0) 2022.04.26
胃腑위부  (0) 2022.04.25
腎臟신장  (0) 2022.04.23
肺臟폐장  (0) 2022.04.22
脾臟비장  (0) 2022.04.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