膀胱腑 방광부
膀胱形象방광형상
膀胱以虛受水, 爲津液之府. 有上口而無下口. 得氣海之氣施化, 則溲便注瀉, 氣海之氣不足, 則秘澁不通.
방광은 비어서 물을 받으니 진액의 집이다. 위쪽 입구는 있으나 아래쪽 출구는 없다. 기해혈의 기를 받아 변화시키면 소변이 나오고 기해혈의 기가 부족하면 막혀서 잘 나오지 않는다.
上口廣二寸半, 中廣九寸. 盛尿九升九合, 重九兩二銖. 《難經》
위의 입구는 둘레가 2.5치고 가운데의 둘레는 9치다. 소변 9되9홉을 담을 수 있고 무게는 9냥2수다.(난경)
膀胱部位방광부위
膀胱在小腹之內. 《靈樞》
방광은 아랫배 속에 있다.(영추)
中極二穴, 膀胱之募, 在臍下四寸. 在背則膀胱兪, 在脊第十九顀下兩傍, 此膀胱部位也. 《銅人》
중극 두 혈은 방광의 모혈로 배꼽 4치 아래에 있다. 등에는 방광수가 19번째 척추 아래 양 옆에 있는데 이것이 방광부위다.(동인)
膀胱傳受방광전수
水液自小腸泌別, 汁滲入膀胱之中, 胞氣化之而爲尿, 以泄出也. 《內經》
수액이 소장에서 걸러져 방광 속으로 스며들면 포가 기화시켜 오줌을 만들어 배설한다.(내경)
膀胱雖爲津液之府, 至於受盛津液, 則又有胞而居膀胱之中. 類纂曰, 膀胱者, 胞之室也. 《東垣》
방광이 비록 진액의 집이기는 하나 진액을 받음에 이르는 것은 곧 포가 있어 방광 속에 자리잡고 있어서다. 유찬에, 방광은 포의 집이라 했다.(동원)
膀胱外候방광외후
鼻孔在外, 膀胱漏泄. 《靈樞》
콧구멍이 밖에 있으면 방광이 샌다.(영추)
腎應骨, 密理厚皮者, 三焦膀胱厚, 麄理薄皮者, 三焦膀胱薄. 疏腠理者, 三焦膀胱緩, 皮急而無毫毛者, 三焦膀胱急. 毫毛美而麄者, 三焦膀胱直, 稀毫毛者, 三焦膀胱結也. 《靈樞》
신은 골과 상응하기에 주리가 치밀하고 살갗이 두터우면 삼초 방광이 두텁고, 주리가 거칠고 살갗이 얇으면 삼초 방광도 얇다. 주리가 성글면 삼초 방광이 느슨하고 살갗이 팽팽하면서 솜털이 없으면 삼초 방광이 팽팽하다. 솜털이 곱고 굵으면 삼초 방광이 바르고 솜털이 드물면 삼초 방광이 뭉쳐 있다.(영추)
膀胱病證방광병증
膀胱病者, 小腹偏腫而痛, 以手按之, 卽欲小便而不得. 肩上熱, 若脉陷, 及足小指外廉脛踝後皆熱. 《靈樞》
방광병은 아랫배가 한쪽으로 붓고 아프다. 손으로 누르면 소변을 보고 싶으나 나오지 않는다. 어깨에서 열이 나거나 맥이 함몰되기도 하며 새끼발가락 바깥 모서리와 정강이와 복사뼈 뒤쪽에서 다 열이 난다.(영추)
膀胱不利爲癃, 不約爲遺尿. 《內經》
방광이 잘 통하지 않으면 융병이 되고 잘 조여 주지 못하면 유뇨가 된다.(내경)
膀胱病者, 熱結下焦, 小腹苦滿, 胞轉小便不利, 令人發狂. 冷則濕痰上溢而爲多唾, 小便淋瀝或遺尿. 《入門》
방광병이 들어 열이 하초에 맺히면 아랫배가 더부룩하여 괴롭고, 포가 뒤집어져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광병이 생긴다. 차가우면 습담이 위로 넘쳐서 침이 많게 되고 소변이 찔끔거리거나 그냥 나오기도 한다.(입문)
膀胱病治法방광병치법
膀胱虛則小便不禁, 宜旣濟丸ㆍ加減八味湯, 倍山茱萸, 加烏藥ㆍ益智仁ㆍ破故紙. 方見腎藏 實則小便不通, 宜益元散方見暑門ㆍ葵子湯.
방광이 허하여 소변을 참지 못할 때는 기재환을 쓰거나 가감팔미탕에 산수유를 2배로 하고 오약 익지인 파고지를 넣어서 써야 한다.처방은 신장을 보라 실하여 소변이 잘 나오지 않을 때에는 익원산처방은 서문을 보라 규자탕을 써야 한다.
五苓散오령산
膀胱主藥也.方見寒門
오령산은 방광의 주약이다.처방은 한문을 보라
旣濟丸기제환
治膀胱虛, 小便不禁. 兎絲子(酒製)ㆍ益智仁(炒)ㆍ白茯苓ㆍ韭子(炒)ㆍ肉蓯蓉(酒洗)ㆍ當歸ㆍ熟地黃 各五錢, 黃柏ㆍ知母(幷鹽炒)ㆍ牡蠣(煆)ㆍ山茱萸(酒蒸去核) 各三錢, 五味子 一錢. 右爲末, 酒麪糊和丸梧子大, 空心, 鹽湯下百丸. 《醫鑑》
방광이 허해서 소변을 참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토사자술로 법제한 것 익지인볶은 것 백복령 규자볶은 것 육종용 당귀 숙지황을 각각 5돈, 황백과 지모함께 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모려달군 것 산수유술에 쪄서 씨를 뺀 것을 각각 3돈씩 오미자1돈과 가루내어 술을 넣고 밀가루풀로 반죽해서 오동나무 씨앗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끓인 소금물로 100알씩 먹는다.(의감)
葵子湯규자탕
治膀胱實熱, 小便不通. 葵子ㆍ赤茯苓ㆍ猪苓ㆍ枳實ㆍ瞿麥ㆍ滑石ㆍ木通ㆍ黃芩ㆍ車前子ㆍ甘草 各一錢. 右剉, 作一貼, 薑五片, 同煎服. 《濟生》
방광의 실열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규자 적복령 저령 지실 구맥 활석 목통 황금 차전자 감초를 각각 1돈씩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5쪽을 넣고 달여서 먹는다.(제생)
膀胱絶候방광절후
遺尿狂言, 目反直視, 此爲膀胱絶也.
그냥 소변이 나오고 미친 소리를 하며 눈이 뒤집히거나 곧추뜨는 것은 방광의 기가 끊어진 것이다.
膀胱之脉爲足太陽, 其終也, 載眼, 反折, 瘈瘲, 其色白, 絶汗乃出, 絶汗出則死矣. 《內經》
방광의 경맥은 족태양인데 끊어지면 눈을 치켜뜨고 목을 뒤로 젖히며 계종이 되고 안색이 창백해지며 절한이 나오는데 절한이 나오면 죽는다.(내경)
單方단방
凡十七種.
모두 17종이다.
澤瀉택사
利膀胱熱, 宣通水道. 水煎服. 《本草》
방광의 열을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茴香회향
溫膀胱, 去冷氣. 或炒爲末, 點服, 或煎服. 《本草》
방광을 데워 냉기를 없앤다. 볶아서 가루내어 조금씩 먹거나 달여 먹는다.(본초)
防己방기
去膀胱熱. 剉水煎服之. 《本草》
방광의 열을 없앤다.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石韋석위
治膀胱熱滿. 水煎服之. 《本草》
방광에 열이 가득찬 것을 치료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地膚子지부자 댑싸리의 씨앗
主膀胱熱, 利小便. 或水煎服, 或爲末服. 《本草》
방광의 열 치료에 주로 쓴다.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瞿麥구맥 패랭이 전초
逐膀胱邪逆, 通小便. 水煎服之. 《本草》
방광의 사기가 치오르는 것을 몰아내서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柏子仁백자인 측백 열매의 씨앗
去膀胱冷膿, 宿水. 或末服, 或丸服皆佳. 《本草》
방광의 차가운 고름이나 오래묵은 물을 없앤다.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威靈仙위령선 으아리 뿌리
去膀胱宿膿, 惡水. 或末服, 或煎服. 《本草》
방광의 묵은 고름이나 나쁜 물을 없앤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 먹는다.(본초)
郁李仁욱리인 이스라지 씨앗
治膀胱急痛. 爲末服, 或丸服. 《本草》
방광이 당기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먹어가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靑橘皮청귤피
除膀胱留熱, 停水. 或煎服, 或末服. 《本草》
방광에 머물러 있는 열과 정체된 물을 없앤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黃柏황백
瀉膀胱之熱, 利下竅. 或煎服, 或丸服之. 《本草》
방광의 열을 사하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달여 먹거나 환으로 먹는다.(본초)
烏藥오약
主膀胱腎間冷痛. 或煎服, 或爲末, 點服. 《本草》
방광과 신 사이의 냉통에 주로 쓴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조금씩 먹는다.(본초)
椒目초목 산초나무 열매의 씨앗
主膀胱急. 或末服, 或爲丸服. 《本草》
주로 방광이 당기는 데 쓴다.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猪腎저신
通利膀胱, 又補膀胱. 水煮幷汁服. 猪胞尤佳. 《本草》
방광을 잘 통하게 하며 방광을 보하기도 한다. 물에 삶아서 즙을 함께 먹는다. 돼지의 오줌보가 훨씬 좋다.(본초)
吳茱萸오수유
能煖膀胱. 水煎服之. 《本草》
방광을 따뜻하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昆布곤포 다시마
療膀胱急妨, 下水氣. 切四兩, 入葱白三莖, 煮爛, 下薑椒鹽末, 調和服之. 《本草》
방광이 당기고 껄끄러운 것을 치료하며 수기를 내린다. 4냥을 썰어 총백3줄기를 넣고 푹 삶은 다음 생강 전초 소금 가루를 넣고 섞어서 먹는다.(본초)
魚膾어회
除膀胱水. 以薑醋蒜虀食之. 《本草》
방광의 물을 없앤다. 생강 식초 마늘로 버무려서 먹는다.(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