胞포
胞形象포형상
胞者, 一名赤宮, 一名丹田, 一名命門. 男子藏精施化, 婦人繫胞有孕, 俱爲生化之源. 非五行也, 非水, 亦非火. 此天地之異名也, 象坤土之生萬物也. 《東垣》
포는 적궁 단전 명문이라고도 한다. 남자는 정을 저장했다가 퍼뜨려 변화시키고 부인은 포가 이어져야 잉태할 수 있다. 모두 낳고 기르는 원천이다. 오행도 아니고 물도 아니고 불 역시 아니다. 이는 천지의 다른 이름이고 곤토가 만물을 낳는 것을 본뜬 것이다.(동원)
內經曰, 胞者, 藏於陰而象於地, 名曰奇恒之府. 註曰, 奇異於恒常之六府也.
내경에, 포는 음을 간직하고 땅을 닮아서 기항지부라고 한다라 했다. 주에, 일반적인 6부와는 매우 다르다라 했다.
此胞, 非膀胱中盛尿之胞也.
이 포는 방광 속에서 소변을 담는 포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胞部位포부위
婦人胎之所居, 名曰子宮, 亦曰胞門. 《東垣》
부인의 태가 있는 곳을 자궁이라고 하고 포문이라고도 한다.(동원)
胞, 一名丹田, 一名關元穴名. 在臍下三寸, 方圓四寸. 着脊梁, 兩腎間中央赤是也. 左靑右白, 上黃下黑, 三寸法三光, 四寸法四時, 五色法五行. 兩腎間名大海而貯其血氣. 亦名大中極, 言取人身之上下四向最爲中也. 《資生》
포는 단전이라고 하고 관원혈이름이라도도 하는데, 배꼽 아래 3치에 있고 사방으로 4치가 된다. 척추에 붙어 있는데 양쪽 신장의 가운데 붉은 곳이 이곳이다. 왼쪽은 푸르고 오른쪽은 희며 위는 누르고 아래는 검다. 3치는 삼광을 본받은 것이고 4치는 사시를 본받은 것이고 오색은 오행을 본받은 것이다. 양쪽 신장 사이를 대해라 하는데 혈기를 갈무리한다. 또 대중극이라고도 하는데 몸의 상하 사방의 가운데가 됨을 말한 것이다.(자생)
胞一名子宮, 胞有寒則無子. 《仲景》
포는 자궁이라고도 한다. 포가 차가우면 자식이 없다.(중경)
胞爲血室포위혈실
衝脉任脉, 皆起於胞中, 上循腹裏, 爲經絡之海. 《靈樞》
충맥 임맥은 다 포에서 시작되어 배 속으로 올라가 경락의 바다가 된다.(영추)
內經曰, 女子二七, 天癸至, 任脉通, 大衝脉盛, 月事以時下, 故有子. 註曰, 癸謂壬癸北方水干名也. 任脉衝脉, 皆奇經脉也. 衝任流通, 經血漸盈, 應時而下, 天眞之氣降, 與之從事, 故云天癸也. 然衝爲血海, 任主胞胎, 二者相資, 故能有子. 所以謂之月事者, 平和之氣, 常以三旬而一見也. 故愆期者, 謂之有病. 《良方》
내경에, 여자는 14세에 천계에 이르러 임맥이 통하고 대충맥이 왕성해져 달거리가 때맞추어 시작하므로 자식을 가질 수 있다라 했다. 주에, 계는 임계로 북방수의 천간 이름이라 했다. 임맥 충맥은 다 기경맥이다. 충임맥이 유통되면 경혈이 점차 가득차서 때맞추어 내려온다. 천진의 기가 내려오면 그것과 함께 일을 하므로 천계라 한다. 그러나 충맥은 혈해고 임맥은 포태를 주관하기 때문에 둘이 서로 도와서 자식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달거리라고 하는 이유는 화평한 기가 늘 30일에 한 번씩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주기가 어긋나면 병이 있다고 한 것이다.(양방)
血室者, 血之所居也. 榮衛停止之所, 經脉流會之處, 衝脉是矣.
혈실이란 피가 머무는 곳이고 영위가 머무는 곳이며 경맥이 흘러 모이는 곳이니 충맥이 이것이다.
衝脉爲血海, 諸經朝會, 男子則運而行之, 女子則停而止之. 男旣運行, 故無積而不滿, 女旣停止, 故有積而能滿. 滿者以時而溢, 謂之信, 卽月水也. 以象月盈則虧也. 《綱目》
충맥은 혈해로 모든 경락이 모이는 곳이다. 남자는 이것을 운행시키고 여자는 이것을 정지시킨다. 남자는 운행시키므로 쌓이지도 않고 가득해지지도 않지만 여자는 정지시키므로 쌓이고 가득차게 된다. 가득찬 것이 때맞추어 넘치는 것을 신이라 하는데 곧 월수를 말한다. 달이 차면 이지러지는 것을 본뜬 것이다.(강목)
脉法맥법
脉微, 血氣俱虛, 年少者, 亡血也. 乳子下利爲可, 否者此爲居經, 三月一來.
맥이 미미하면 혈기가 모두 허한 것이다. 나이가 적은 이는 망혈이 된 것이다. 젖먹이는 어머니가 설사를 하면 그럴 수 있으나 그것이 아니라면 이는 거경이 된 것으로 석 달에 한 번씩 나온다.
少陰脉微而遲, 微則無精, 遲則陰中寒, 澁則血不來, 此爲居經, 三月一來. 《脉經》
소음맥이 미나 지한 경우에 맥이 미하면 정이 없는 것이고 지하면 음부 속이 차가운 것이다. 삽한 것은 혈이 나오지 않는 것이고 이를 거경이라 하는데 석 달에 한 번 나온다.(맥경)
婦人漏下赤白, 日下血數升, 脉急疾者死, 遲者生.
부인이 누하로 희불그레한 피를 하루에 두어 되 하혈할 때는 맥이 급질이면 죽고 지하면 산다.
婦人漏下赤白不止, 脉小虛滑者生, 大緊實數者死. 《脉經》
부인이 누하로 희불그레한 피가 멎지 않을 때에는 맥이 소 허 활하면 살고 대 긴 실 삭하면 죽는다.(맥경)
寸關調如故, 而尺脉絶不至者, 月水不利.
촌맥과 관맥이 여느 때처럼 고르나 척맥이 끊어져서 이르지 않으면 달거리가 순조롭지 않다.
尺脉來而斷絶者, 月水不利.
척맥이 오다가 끊어질 때는 달거리가 순조롭지 않다.
肝脉沈, 主月水不利.
간맥이 침하면 주로 달거리가 순조롭지 않다.
尺脉滑, 血氣實也. 婦人經脉不利.
척맥이 활한 것은 혈기가 실한 것으로 부인의 경우는 달거리가 순조롭지 않다.
脉來至狀如琴絃, 若小腹痛, 主月水不利, 孔竅生瘡. 《脉經》
맥이 뛰는 모양이 거문고 줄 같고 소복통이 있으면 주로 달거리가 순조롭지 않고 음부에 창이 생긴다.(맥경)
帶下之脉, 宜遲滑, 忌浮虛. 《醫鑑》
대하의 맥은 지활해야 하니 부허를 꺼린다.(의감)
經行有異경행유이
婦人年二七天癸至, 七七天癸竭, 行早性機巧, 行遲性魯鈍. 通行則陰陽和合, 始能生子. 行年十四歲當時, 二十歲不行, 命如風燭, 有病發則死. 間有不死, 百中無一, 亦令一生多病, 未嘗一日安裕. 然有四季行亦可. 又有一年一次者, 亦不甚佳, 或一生不循正道而行者, 晩年有僻疾則難治. 《得效》
부인은 14세에 천계가 오고, 47세에 천계가 다한다. 초경이 빠르면 성기능이 교묘하고 늦으면 성기능이 노둔하다. 월경이 통하면 음양이 화합하여 비로소 자식을 낳을 수 있다. 달거리는 나이 14세에 하는 것이 적당하고 20세에도 없으면 목숨이 바람 앞에 촛불 같아 병이 들면 죽는다. 간혹 죽지 않는다 해도 백 명 중 하나도 없고 평생 병이 많아 하루도 안온할 날이 없다. 그러나 석 달에 한 번씩 달거리를 하는 것은 괜찮다. 또 일 년에 한 번씩 하는 것도 아주 좋지 않고 혹 평생 정상적으로 달거리를 하지 못하면 만년에 악질의 병이 생겨 치료가 어렵다.(득효)
月候形色월후형색
經水者, 陰血也. 陰必從陽, 故禀火色也. 血爲氣之配, 氣熱則熱, 氣寒則寒, 氣升則升, 氣降則降, 氣凝則凝, 氣滯則滯, 氣淸則淸, 氣濁則濁. 往往見有成塊者, 氣之凝也. 將行而痛者, 氣之滯也. 行後作痛者, 氣血俱虛也. 色淡者, 亦虛也. 而有水渾之也. 錯經妄行者, 氣之亂也. 紫者, 氣之熱也. 黑者, 熱之甚也. 今人但見其紫者, 黑者, 作痛者, 成塊者, 率指爲風冷, 而行溫熱之劑, 禍不旋踵矣. 《丹心》
경수는 음혈이다. 음은 반드시 양을 따르기에 화의 색을 띤 것이다. 혈은 기의 짝이 되기 때문에 기에 열이 있으면 혈에도 열이 있고, 기가 차가우면 혈도 차갑고 기가 올라가면 혈도 올라가고 기가 내려가면 혈도 내려가고, 기가 뭉치면 혈도 뭉치고 기가 막히면 혈도 막히고 기가 맑으면 혈도 맑고 기가 탁하면 혈도 탁하다. 가끔 덩어리가 보이는 것은 기가 뭉친 것이다. 달거리를 하기 전에 아픈 것은 기가 막힌 것이고 달거리 후에 아픈 것은 기혈이 다 허한 것이다. 색이 맑은 것 역시 허한 것이며 이는 물이 섞였기 때문이다. 달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것은 기가 어지럽기 때문이다. 자주색이면 기에 열이 있는 것이고, 흑색이면 열이 심한 것이다. 요즈음 사람들은 그 색이 자주인가 검은가 아픈가 덩어리졌는가만을 보고는 모두 풍냉으로 여겨 따뜻한 약제를 쓴다. 이는 화가 미치게 될 것이다.(단심)
心主血, 故以色紅爲正, 月候雖不對期, 而色正者易調. 《入門》
심은 혈을 주관하기 때문에 붉은색이 좋다. 달거리 징후가 비록 문제가 있더라도 색이 좋으면 조절하기가 쉽다.(입문)
和血治法화혈치법
經色紫者, 風也. 四物湯方見血門, 加防風ㆍ白芷ㆍ荊芥.
달거리가 자주색이면 풍증이다.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에 방풍 백지 형개를 넣어서 쓴다.
黑者, 熱甚也. 成塊, 色紫黑者, 血熱也. 四物湯, 加黃芩ㆍ黃連ㆍ香附子.
검으면 열이 심한 것이고 덩어리지고 자흑색이면 혈열이다. 사물탕에 황금 황련 향부자를 넣어서 쓴다.
淡白者, 虛也. 芎歸湯方見婦人, 加人參ㆍ黃芪ㆍ白芍藥ㆍ香附子.
색이 엷고 흰 것은 허증이다. 궁귀탕처방은 부인을 보라에 인삼 황기 백작약 향부자를 넣어 쓴다.
淡者, 有水渾之也. 二陳湯方見痰飮, 加川芎ㆍ當歸. 一云, 色淡者, 氣血俱虛, 宜八物湯方見虛勞.
옅은 것은 물이 섞인 것이다. 이진탕처방은 담음을 보라에 천궁 당귀를 넣어서 쓴다. 한편 색이 옅은 것은 기혈이 다 허한 것으로 팔물탕처방은 허로를 보라을 써야 한다고도 한다.
如烟塵水者, 如屋漏水者, 如豆汁者, 或帶黃者, 濕痰也. 二陳湯, 加秦芃ㆍ防風ㆍ蒼朮. 一云, 如黑豆汁者, 四物湯, 加芩連.
잿물 같거나 지붕에 떨어지는 물 같거나 콩즙 같거나 누런빛을 띠는 것은 습담이다. 이진탕에 진교 방풍 창출을 넣어서 쓴다. 검정콩즙 같은 것은 사물탕에 황금 황련을 넣어서 쓴다.
成塊, 色不變者, 氣滯也. 四物湯, 加香附子ㆍ玄胡索ㆍ枳殼ㆍ陳皮.
덩어리지기는 했으나 색이 변하지 않았으면 기가 막힌 것이다. 사물탕에 향부자 현호색 지각 진피를 더해서 쓴다.
通用百子附歸丸方見婦人ㆍ琥珀調經丸.
백자부귀환처방은 부인을 보라 호박조경환을 쓴다.
琥珀調經丸호박조경환
治胞冷無子, 能令經正. 香附米 一斤(分作二包, 用童尿, 米醋各浸九日, 和淨熟艾四兩拌勻, 再加醋五椀, 入砂鍋內同煮乾爲度), 入川芎ㆍ當歸ㆍ白芍藥ㆍ熟地黃ㆍ生乾地黃ㆍ沒藥 各二兩, 琥珀 一兩. 右爲末, 醋糊和丸梧子大, 每百丸, 空心, 艾醋湯下. 《入門》
포가 차가와 자식이 없는 것을 치료하여 달거리를 고르게 할 수 있다. 향부미1근2봉지로 나누어 아이 오줌과 쌀식초를 각기 9일 동안 담갔다가 정제하여 묵힌 쑥4냥과 고르게 섞어서 다시 식초 5사발과 사기그릇에 넣고 마를 때까지 졸인 것에 천궁 당귀 백작약 숙지황 생건지황 몰약을 각각 2냥씩, 호박1냥을 가루내어 식초를 넣어 쑨 풀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100알씩 빈속에 식초를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月候不調월후부조
婦人經水少, 不如前者何也. 師曰, 曾經下利, 若汗出小便利, 亡其津液, 故令經水反少也. 設經下多於前者, 有所苦困, 當言恐大便難, 身復無汗也. 《脉經》
부인의 경수가 줄어서 예전 같지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스승께서, 일찍이 경수가 많았거나 땀이 났거나 소변이 너무 나와서 그 진액이 없어졌기 때문에 경수가 도리어 적어진 것이다. 설사 경수가 전보다 많아졌어도 그것은 곤고한 일이 있었기 때문이니 당연히 대변을 누기가 어려워지고 다시는 몸에 땀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 하셨다.(맥경)
月候不調之由, 或前或後, 或多或少. 凡行後作痛者, 虛也. 小而淡者, 血虛也. 多者, 氣虛也. 其將行作痛, 及凝塊不散者, 滯也. 紫黑色者, 滯而挾熱也. 《丹心》
달거리의 징후가 고르지 못한 까닭은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많아지거나 적어진 때문이다. 달거리를 한 후 통증이 있는 것은 허해서다. 작으면서 옅은 것은 혈이 허해서다. 많은 것은 기가 허해서다. 달거리 전에 아프고 덩어리가 흩어지지 않는 것은 막혀서다. 검붉은 것은 막혀서 열이 있기 때문이다.(단심)
月候不調之中, 有兼疼痛者, 有兼發熱者, 其不調之中, 有趲前者, 有退後者, 則趲前爲熱, 退後爲虛也. 疼痛之中, 有常時作痛者, 有經前經後作痛者, 則常時與經前作痛者, 爲血積, 經後爲血虛也. 發熱之中, 有常時發熱者, 有經行發熱者, 則常時爲血虛有積, 經行爲血虛有熱. 《丹心》
달거리의 징후가 고르지 못한 것 중에는 통증을 겸한 것이 있고 발열까지 겸한 것이 있다. 달거리가 고르지 못한 것 중에는 주기가 짧아지는 것과 길어지는 것이 있다. 짧아지는 것은 열 때문이고 길어지는 것은 허하기 때문이다. 통증이 있는 것 중에는 늘 통증이 있는 것과 달거리 전후에만 통증이 있는 것이 있다. 늘 있거나 달거리 전후에 통증이 있는 것은 혈이 쌓여서고 달거리 후에 있는 것은 혈이 허해서다. 열이 나는 것 중에는 늘 열이 나는 것이 있고 달거리 중에만 열이 나는 것이 있다. 늘 열이 나는 것은 혈이 허한데 적이 있어서고 달거리 중에만 열이 나는 것은 혈이 허한데 열이 나기 때문이다.(단심)
調血治法조혈치법
治經水或前或後, 或多或少, 或逾月不至, 或一月再至, 皆不調之故, 宜調經散. 一云, 經候不調, 當以四物湯, 爲主治. 《丹心》
달거리가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많아지거나 적어지거나 달을 넘기거나 한 달에 두 번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모두 고르지 않아서다. 조경산을 써야 하고 달거리가 고르지 않으면 사물탕을 써서 주로 치료해야 한다.(단심)
臨經行腹痛, 此血澁故也. 宜淸熱調血湯. 又四物湯, 加玄胡索ㆍ苦練根ㆍ蓬朮ㆍ香附子ㆍ桃仁ㆍ紅花ㆍ黃連.
달거리를 하려 할 때 배가 아픈 것은 혈이 껄끄러워 잘 흐르지 않아서다. 정열조혈탕을 써야 하고 또 사물탕에 현호색 고련근멀구슬나무 뿌리 봉출 향부자 도인 홍화 황련을 넣어 쓴다.
經行後腹痛, 乃虛中有熱, 八物湯加減服方見虛勞.
달거리 후에 배가 아픈 것은 허한 중에 열이 있어서다. 팔물탕을 가감해서 먹는다.처방은 허로를 보라
先期而來, 乃氣血俱熱, 宜淸經四物湯. 又四物湯, 加柴胡ㆍ黃芩ㆍ黃連.
달거리가 빨라진 것은 기혈에 모두 열이 있어서니 청경사물탕을 써야 하고 또 사물탕에 시호 황금 황련 넣어서 쓴다.
過期不來, 是血虛, 宜通經四物湯. 又四物湯, 加黃芪ㆍ陳皮ㆍ升麻ㆍ人參.
달거리가 때가 지났는데도 나오지 않는 것은 혈이 허해서니 통경사물탕을 써야 하고 또 사물탕에 황기 진피 승마 인삼을 넣어 쓴다.
月候不調, 通用煮附丸ㆍ墨附丸ㆍ四製香附丸ㆍ七製香附丸. 《入門》
달거리가 고르지 않을 때는 자부환 묵부환 사제향부환 칠제향환을 두루 쓴다.(입문)
調經散조경산
一名溫經湯. 治月候不調. 麥門冬 二錢, 當歸 一錢半, 人參ㆍ半夏(製)ㆍ白芍藥ㆍ川芎ㆍ牡丹皮 各一錢, 阿膠珠ㆍ甘草(灸) 各七分半, 吳茱萸ㆍ肉桂 各五分. 右剉, 作一貼, 薑 三片, 水煎服. 《入門》
온경탕이라고도 하며 달거리가 고르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맥문동2돈 당귀1.5돈 인삼 반하법제한 것 백작약 천궁 모란피 각 1돈에, 아교주 감초구운 것를 각각 7.5푼에 오수유 육계 각 5푼을 넣어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을 넣고 물에 달여서 먹는다.(입문)
千金調經湯治同上. 當歸ㆍ川芎ㆍ白芍藥 各一錢, 麥門冬ㆍ半夏 各七分, 人參ㆍ阿膠珠ㆍ牡丹皮ㆍ吳茱萸ㆍ肉桂 各五分, 甘草 三分. 右剉, 服如上法. 《回春》
천금조경탕도 위의 병을 치료한다. 당귀 천궁 백작약 각 1돈 맥문동 반하 각 7푼 인삼 아교주 모란피 오수유 육계 각 5푼, 감초3푼을 썰어서 앞의 방법대로 먹는다.(회춘)
淸熱調血湯청열조혈탕
治經水將來, 腹中陣痛, 乃氣血俱實也. 當歸ㆍ川芎ㆍ白芍藥ㆍ生乾地黃ㆍ黃連ㆍ香附子ㆍ桃仁ㆍ紅花ㆍ蓬朮ㆍ玄胡索ㆍ牡丹皮 各七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醫鑑》
달거리를 하려고 할 때 배 속에 통증이 있는 것은 기혈이 모두 실해서다. 당귀 천궁 백작약 생건지황 황련 향부자 도인 홍화 봉출 현호색 모란피 각 7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淸經四物湯청경사물탕
治經水不及期而來, 乃血虛有熱. 當歸 一錢半, 生乾地黃ㆍ條芩ㆍ香附子 各一錢, 白芍藥ㆍ黃連(薑汁炒) 各八分, 川芎ㆍ阿膠珠ㆍ黃柏ㆍ知母 各五分, 艾葉ㆍ甘草 各三分. 右剉, 作一貼, 煎服. 《醫鑑》
달거리 때가 아닌데 나오는 것은 혈이 허하고 열이 있어서다. 당귀1.5돈 생건지황 조금 향부자 각 1돈, 백작약 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각 8푼, 천궁 아교주 황백 지모 각 5푼, 애엽 감초 각 3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달여 먹는다.(의감)
通經四物湯통경사물탕
治經水過期不行, 乃血虛有寒. 當歸 一錢半, 熟地黃ㆍ白芍藥ㆍ香附子ㆍ蓬朮ㆍ蘇木 各一錢, 木通 八分, 川芎ㆍ肉桂ㆍ甘草 各五分, 紅花 三分, 桃仁 二十箇. 右剉, 作一貼, 空心, 水煎服. 《醫鑑》
달거리 때가 지나도 나오지 않는 것은 혈이 허하고 차가와서다. 당귀1.5돈 숙지황 백작약 향부자 봉출 소목 각 1돈, 목통8푼 천궁 육계 감초 각 5푼, 홍화3푼 도인20개를 썰어서 1첩을 지어 빈속에 물에 끓여서 먹는다.(의감)
煮附丸자부환
治經候不調, 臍腹㽲痛, 面色萎黃, 飮食減少, 或崩漏帶下. 香附子, 擦去毛, 好醋煮半日, 焙爲末, 醋糊和丸梧子大, 米飮下五七十丸. 《綱目》
달거리가 고르지 못하고 배꼽 주위가 갑자기 아프며 안색이 누렇게 뜨고 잘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며, 붕루 대하를 치료한다. 향부자를 비벼 털을 제거하고 좋은 식초를 넣어 한나절 달인다. 이것을 불에 쬐어 말려서 가루내고 식초를 넣어 쑨 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미음으로 50-70알씩 먹는다.(강목)
一名香附丸, 又名醋附丸. 治婢妾氣鬱, 經多不調.
향부환이라도 하며 또 초부환이고도 한다. 비첩이 기울로 달거리가 많고 고르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墨附丸묵부환
治婦人經水不調, 久無子. (四製)香附子 一斤. (淨)熟艾 四兩, 用醋一椀煮至乾, 入石臼內擣爛, 捏作餠子, 於新瓦上焙乾. 入白茯苓ㆍ當歸ㆍ人參ㆍ川芎ㆍ熟地黃ㆍ京墨(火煆紅醋淬) 各一兩, 木香 五錢. 右爲末, 醋糊和丸梧子大, 溫酒呑下七八十丸. 《入門》
부인의 달거리가 고르지 못하고 오래도록 자식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네 가지로 법제한향부자1근 정제한묵힌쑥4냥을 식초 한 사발에 마를 때까지 졸인다. 이것을 돌절구에 넣고 짓찧고 이겨서 떡을 만들어 새 기와 위에서 불에 쬐어 말린다. 백복령 당귀 인삼 천궁 숙지황 경묵불에 벌겋게 달구었다 식초에 담근 것 각 1냥, 목향5돈을 가루내어 식초로 쑨 풀에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따뜻한 술로 70-80알씩 먹는다.(입문)
四製香附丸사제향부환
治月候不調, 能調和經脉. 香附米 一斤, 分作四製.
달거리가 고르지 못한 것을 치료해서 경맥을 조화롭게 할 수 있다. 향부미1근을 네 가지로 법제한다.
一用鹽水加薑汁浸煮略炒, 主降痰.
하나는 소금물에 생강즙을 넣은 것에 담갔다가 졸인 후 약간 볶아서 쓴다. 주로 담을 내린다.
一用米醋浸煮略炒, 主補血.
하나는 쌀식초에 담가서 졸여 약간 볶아서 쓴다. 주로 혈을 보한다.
一用山梔仁四兩同炒去梔, 主散鬱.
하나는 산치자 씨앗4냥과 함께 볶아서 치자는 버리고 쓴다. 주로 막힌 것을 흩어지게 한다.
一用童便洗過不炒, 主降火.
하나는 아이 오줌에 씻기만 하고 볶지는 않고 쓴다. 주로 화를 내린다.
右爲末, 入川芎ㆍ當歸 各二兩, 同爲末, 酒麪糊和丸梧子大, 每五七十丸. 隨證作湯使呑下. 《種杏》
이 약들을 가루내어 천궁 당귀 각 2냥을 넣고 함께 가루내어 술로 쑨 밀가루풀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50-70알씩 증상에 따라 탕을 지어 그것으로 삼킨다.(종행)
入門, 香附米 一斤 分四包, 用酒ㆍ醋ㆍ童便ㆍ鹽水, 各浸七日, 焙乾擣末, 醋糊和丸, 鹽酒呑下.
입문의 처방. 향부미1근을 네 봉지로 나누어 술 식초 동변 소금물에 각기 7일 동안 담갔다가 불에 쬐어 말린 다음 가루내어 식초풀로 반죽하여 환을 짓고 소금을 탄 술로 삼킨다.
七製香附丸칠제향부환
治月候不調, 結成癥瘕, 或骨蒸發熱. 香附米 十四兩, 分七包.
달거리가 고르지 않아 뭉쳐 징가가 되거나 골증열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미14냥을 7봉지로 나눈다.
一包, 同當歸二兩, 酒浸.
첫째 봉지는 당귀2냥과 함께 술에 담근다.
二包, 同蓬朮二兩, 童便浸.
둘째 봉지는 봉출2냥과 동변에 담근다.
三包, 同牡丹皮ㆍ艾葉 各一兩, 米泔浸.
셋째 봉지는 모란피 애엽 각 1냥과 함께 쌀뜨물에 담근다.
四包, 同烏藥二兩, 米泔浸.
넷째 봉지는 오약2냥과 함께 쌀뜨물에 담근다.
五包, 同川芎ㆍ玄胡索 各一兩, 水浸.
다섯째 봉지는 천궁 현호색 각 1냥과 함께 물에 담근다.
六包, 同三稜ㆍ柴胡 各一兩, 醋浸.
여섯째 봉지는 삼릉 시호 각 1냥과 함께 식초에 담근다.
七包, 同紅花ㆍ烏梅 各一兩, 鹽水浸.
일곱째 봉지는 홍화 오매 각 1냥과 함께 소금물에 담근다.
右各浸, 春五, 夏三, 秋七, 冬十日, 曬乾只取香附爲末. 以浸藥水打糊和丸梧子大, 臨臥, 酒下八十丸. 《入門》
이것들은 각기 봄에는 5일 여름에는 3일 가을에는 7일 겨울에는 10일 동안 담갔다가 볕에 말린 후 향부자만 골라내서 가루내어 약을 담갔던 물로 쑨 풀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잘 때 술로 80알씩 먹는다.(입문)
血閉혈폐
月事不來者, 胞脉閉也. 胞脉者, 屬心而絡於胞中, 今氣上迫肺, 心氣不得下通, 故月事不來也. 《內經》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은 포맥이 막혀서다. 포맥은 심에 닿고 포 속으로 이어지는데 막 기가 폐로 치올라와 심기가 내려가지 못하기 때문에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이다.(내경)
小腸移熱於大腸, 爲伏瘕, 爲沈. 註曰, 血澁不利, 則月事沈滯而不行. 《內經》
소장에서 대장으로 열이 옮겨지면 복가가 되고 가라앉는다. 주에, 혈이 껄끄러워 잘 흐르지 못하면 달거리가 막혀 나오지 않는다고 했다.(내경)
內經曰, 二陽之病, 發心脾, 有不得隱曲, 女子不月. 盖衝任爲經絡之海, 與手太陽小腸ㆍ手少陰心爲表裏, 衝任氣盛, 則血依時下, 若憂思傷心, 則不能生血. 脾者, 心之子, 脾失所養, 則食少, 絶生化之源, 經閉不調矣. 須知心爲氣血之主, 脾胃爲氣血之本也. 《入門》
내경에, 이양의 병은 심비에서 생긴다. 성생활을 할 수 없고 여자는 달거리가 없다고 했다. 충임맥은 경락의 바다고 수태음소장경 수소음심경과 표리가 된다. 충임맥의 기가 성하면 혈이 제때 나오지만 만약 걱정이 많아 심이 상하면 혈을 만들지 못한다. 비는 심의 자식이어서 비를 길러주지 못하면 먹는 것이 적고 생화의 원천이 끊어져 달거리가 멈추거나 고르지 못하다. 그러므로 심은 기혈의 주인이고 비위는 기혈의 근본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입문)
經閉不行有三. 一者, 胃弱形瘦, 氣血衰, 津液不生, 而致經水斷絶, 名曰血枯經絶, 此中焦胃熱結也.
달거리가 끊어지는 것은 세 가지다. 하나는 위가 약하여 몸이 마르고 진액이 생기지 않으며 경수가 끊어진 것이다. 이것을 혈이 말라 달거리가 끊어졌다고 한다. 이는 중초에 열이 뭉쳤기 때문이다.
二者, 心包脉洪數, 時見躁作, 大小便不利, 而經水閉絶, 乃血海乾枯, 此下焦胞脉熱結也.
둘은 심포맥이 홍삭하고 때로는 조급하게 뛰며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경수가 끊어진 것이다. 곧 혈해가 마른 것으로 이는 하초포맥에 열이 뭉쳤기 때문이다.
三者, 或因勞心, 心火上行, 月事不來者, 胞脉閉也. 此上焦心肝肺熱結也. 《東垣》
셋은 노심초사해서 심화가 위로 올라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으로 포맥이 끊어진 것이다.(동원)
世有室女童男, 積想在心, 思慮過度, 多致勞損, 男子則神色先散, 女子則月水先閉. 盖憂愁思慮則傷心, 而血逆竭. 故神色先散, 月水先閉. 且心病不能養脾, 故不嗜食, 脾虛則金虧, 故發嗽矣. 《良方》
세상의 처녀 총각들이 그리움이 쌓여 마음에 있는데 생각이 과도하여 노손에 이르는 게 많다. 남자면 신색이 먼저 흩어지고 여자면 달거리가 끊어진다. 근심 걱정으로 상심하면 혈이 역행하고 고갈된다. 그러므로 신색이 먼저 흩어지고 경수가 먼저 끊어지는 것이다. 또 심병은 비를 제대로 길러주지 못하기 때문에 입맛이 없어지고 비가 허하면 폐금이 사그라져서 기침을 하게 된다.(양방)
通血治法통혈치법
胞脉閉, 月事不來, 先服降心火之劑. 宜三和湯ㆍ玉燭散, 次服五補元方見虛勞, 後以衛生湯, 補脾養血.
포맥이 막혀 달거리가 나오지 않으면 먼저 심화를 내리는 약제를 먹어야 한다. 삼화탕 옥촉산을 쓴 후 오보원처방을 허로를 보라을 복용하고 위생탕을 써서 비를 보하고 혈을 길러야 한다.
二陽之病, 月事不來, 先瀉心火, 血自下, 亦用上藥. 《潔古》
이양병으로 달거리가 나오지 않으면 먼저 심화를 사한다 그러면 혈이 저절로 나오게 되니 위의 약을 쓴다.(결고)
氣上迫肺, 月事不來, 宜導痰降火, 則心氣下通, 而月事來, 宜通經湯. 《丹心》
기가 폐로 치올라 달거리가 나오지 않으면 담을 삭히고 화를 내려야 심기가 아래로 통하여 달거리가 나온다. 통경탕을 써야 한다.(단심)
先賢治血閉之法, 皆主於補血瀉火. 補血者, 四物湯, 瀉火者, 調胃承氣湯, 卽玉燭散也. 《綱目》
선현의 혈폐의 치료법은 모두 혈을 보하고 화를 내리는 것을 주로했다. 보혈에는 사물탕, 화를 내리는 데는 조위승기탕 곧 옥촉산이다.(강목)
胃弱, 血枯經斷, 宜補中益氣湯方見內傷, 加川芎ㆍ生地黃ㆍ天花粉.
위가 약해서 혈이 말라 달거리가 끊어지면 보중기탕처방은 내상을 보라에 천궁 생지황 천화분을 넣어 쓴다.
正半産後, 失血多, 經閉, 宜十全大補湯方見虛勞. 《入門》
산후나 유산 후에 실혈이 많아 달거리가 막힐 때는 십전대보탕처방은 허로를 보라을 써야 한다.(입문)
濕痰粘住, 經閉者, 導痰湯方見痰飮, 加川芎ㆍ當歸ㆍ黃連, 不可服地黃. 《入門》
습담이 머물러 달거리가 나오지 않을 때는 도담탕처방은 담음을 보라에 천궁 당귀 황련을 더하되 지황을 먹어서는 안 된다.(입문)
室女勞心, 血閉, 宜柏子仁丸ㆍ澤蘭湯. 《良方》
처녀가 노심초사해서 달거리가 나오지 않으면 백자인환 택란탕을 써야 한다.(양방)
氣血盛實, 經血遏閉者, 宜萬痛丸ㆍ血極膏. 《入門》
기혈이 왕성한데도 달거리가 말라 막히면 만통환 혈극고를 써야 한다.(입문)
血海疼痛, 宜烏藥湯. 《東垣》
혈해에 동통이 있으면 오약탕을 써야 한다.(동원)
血閉, 通用增味四物湯ㆍ導經丸ㆍ瑞金散ㆍ六合湯.
달거리가 나오지 않을 때는 보통 증미사물탕 도경환 서금산 육합탕을 써야 한다.
脾胃鬱火, 耗血不通, 宜歸脾湯方見神方, 肝脾鬱怒, 血傷不通, 宜加味歸脾湯. 《良方》
비위의 울화로 혈이 소모되어 통하지 않으면 귀비탕처방은 신방을 보라을 써야 하고, 성을 내어 간비가 막혀 혈이 상해서 달거리가 나오지 않을 때는 가미귀비탕을 써야 한다.(양방)
三和湯삼화탕
治熱結血閉. 生乾地黃ㆍ白芍藥ㆍ川芎ㆍ當歸ㆍ連翹ㆍ大黃ㆍ朴硝ㆍ薄荷ㆍ黃芩ㆍ梔子ㆍ甘草 各七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丹心》
열결로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생건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 연교 대황 박초 박하 황금 치자 감초 각 7푼을 썰어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此方, 乃集四物湯ㆍ調胃承氣湯ㆍ凉膈散三方也.
이 처방은 사물탕 조위승기탕 양격산의 세 처방을 모은 것이다.
玉燭散옥촉산
治月候凝滯不通, 漸成癥瘕. 當歸ㆍ白芍藥ㆍ川芎ㆍ熟地黃ㆍ大黃ㆍ芒硝ㆍ甘草 各一錢. 右剉, 作一貼, 水煎服. 大便泄者不可用. 《丹心》
달거리가 막혀서 나오지 않다가 점차 징가가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백작약 천궁 숙지황 대황 망초 감초 각 1돈을 썰어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데, 설사를 하는 이에게는 쓸 수 없다.(단심)
衛生湯위생탕
補脾養血. 黃芪 二錢, 當歸ㆍ白芍藥ㆍ甘草 各一錢. 右剉, 作一貼, 水煎服. 《元素》
비를 보하고 혈을 기른다. 황기2돈 당귀 백작약 감초 각 1돈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원소)
通經湯통경탕
治月閉. 當歸ㆍ川芎ㆍ白芍藥ㆍ生乾地黃ㆍ大黃ㆍ官桂ㆍ厚朴ㆍ枳殼ㆍ枳實ㆍ黃芩ㆍ蘇木ㆍ紅花 各七分. 右剉, 作一貼. 入烏梅一箇, 薑 三片, 棗 二枚, 水煎服. 《醫鑑》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천궁 백작약 생건지황 대황 관계 후박 지각 직실 황금 소목 홍화 각 7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오매1개 생강3쪽 대추2개를 넣고 물에 달여서 먹는다.(의감)
心氣不得下通, 故月事不來. 宜用黃連, 厚朴之類, 導痰降火, 則月事來矣. 此藥是也. 宜加黃連七分.
심기가 아래로 통하지 않으면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다. 황련 후박류를 사용하여 담을 삭히고 화를 내리면 달거리가 나오는데. 그 약이 이것이니, 황련7푼을 넣어서 써야 한다.
柏子仁丸백자인환
治勞心月閉. 澤蘭 二兩, 柏子仁(炒另硏)ㆍ牛膝(酒焙)ㆍ卷柏 各一兩. 右爲末, 蜜丸梧子大, 空心, 米飮下五七十丸. 《良方》
노심초사해서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택란2냥 백자인볶아서 따로 가루낸 것 우슬술에 담갔다가 불에 쬐어 말린 것 권백 각 1냥을 가루내어 꿀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미음으로 50-70알씩 먹는다.(양방)
澤蘭湯택란탕
治同上. 澤蘭葉 二錢, 當歸ㆍ白芍藥(炒)ㆍ甘草 各一錢. 右剉, 作一貼, 水煎服. 《良方》
위와 같은 것을 치료한다. 택란엽2돈 당귀 백작약볶은 것 감초 각1돈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양방)
萬痛丸만통환
治月經瘀閉, 臍腹疼痛. 乾漆(碎炒令烟盡)ㆍ牛膝(酒浸一宿焙乾) 各一兩. 右爲末, 入生地黃汁一升, 盛銀器內慢火熬成膏, 丸如梧子大, 每服二三十丸, 空心, 米飮下. 《拔粹》
달거리가 나오지 않아 배꼽 부위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건칠부수어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볶은 것 각 1냥을 가루내어 생지황즙1되를 은그릇에 넣고 은근한 불로 졸여서 고약을 만들어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20-30알씩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다.(발수)
一名萬病丸.
만병환이라고도 한다.
血極膏혈극고
治月閉不通. 大黃爲末, 醋熬成膏, 丸如雞頭大一云雞子黃大, 每一丸, 熱酒和開, 臨臥溫服. 大便利一二行後, 紅脉自下, 是婦人之仙藥也. 加當歸頭, 一名單大黃膏. 《謙甫》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을 가루내어 식초에 졸여서 고약을 만들고 닭머리 만하게계란노른자 크기라도 한 데도 있다 환을 지어 매번 1알을 뜨거운 술에 녹여 데워서 잠잘 때 먹는다. 대변이 한두 번 시원하게 나온 후에 달거리가 저절로 나오게 되니 이것이 부인들의 선약이다. 당귀두를 넣은 것을 단대황고라고도 한다.(겸보)
一方, 治月閉不通, 服補藥無效危篤者. 大黃(酒蒸九次曬) 四兩, 血竭ㆍ沒藥 各五錢. 右末, 水丸, 以四物湯煎水, 下七八十丸. 《醫鑑》
어떤 처방은 달거리가 나오지 않아서 보약이 효과가 없어 위독한 사람을 치료한다고 했다. 대황술에 아홉 번 쪄서 구중구포한 것4냥, 혈갈 몰약 각 5돈을 가루내어 물로 반죽해서 환을 지어 사물탕을 달인 물로 70-80알씩 먹는다.(의감)
烏藥湯오약탕
治婦人血海疼痛. 香附子 二錢, 烏藥 一錢半, 當歸 一錢, 木香ㆍ甘草 各五分. 右剉, 水煎服. 《東垣》
부인의 혈해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2돈 오 1.5돈 당 1돈 목향 감초 각 5푼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導經丸도경환
治經閉不通, 腰腹疼痛. 大黃 二兩, 當歸ㆍ川芎ㆍ白芍藥ㆍ官桂ㆍ桃仁ㆍ甘草 各一兩, 血竭 二錢半, 紅花 一錢, 斑猫(糯米同炒) 二十箇. 右末, 蜜丸梧子大, 酒下三十丸. 《丹心》
달거리가 나오지 않아 허리와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대황2냥 당귀 천궁 백작약 관계 도인 감초 각 1냥, 혈갈2.5돈 홍화1돈 반묘찹쌀과 함께 볶은 것20개를 가루내어 꿀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술로 30알씩 먹는다.(단심)
瑞金散서금산
治月經不行, 血氣撮痛. 薑黃 一錢半, 牡丹皮ㆍ蓬朮ㆍ紅花ㆍ當歸ㆍ赤芍藥ㆍ川芎ㆍ玄胡索ㆍ官桂 各七分. 右剉, 作一貼, 水一盞, 酒半盞煎服. 《丹心》
달거리가 나오지 않아서 혈기가 뭉쳐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강황1.5돈 모란피 봉출 홍화 당귀 적작약 천궁 현호색 관계 각 7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 한 잔 술 반 잔에 달여 먹는다.(단심)
六合湯육합탕
治月經不行, 結塊疼痛. 四物湯, 加蓬朮ㆍ官桂 各等分, 剉煎服. 《丹心》
달거리가 나오지 않아 덩어리져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에 봉출 관계 각각 등분하여 썰어서 달여 먹는다.(단심)
加味歸脾湯가미귀비탕
治肝脾怒鬱, 月經不通. 卽歸脾湯 加柴胡ㆍ山梔仁 各一錢. 右剉, 水煎服之. 《良方》
간비에 누기가 울체되어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귀비탕에 시호 산치인 각 1돈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양방)
室女月經不行실녀월경불행
女子十四歲, 衝任脉盛, 而血自下, 若過期不通, 則宜紅花當歸散ㆍ血極膏方見上ㆍ三神丸ㆍ牡丹皮湯ㆍ通經丸, 或四物湯方見血門, 加蓬朮ㆍ桃仁ㆍ牡丹皮ㆍ玄胡索ㆍ紅花(酒焙).
여자가 14세가 되면 충임맥이 왕성해져 달거리가 저절로 나온다. 만약 때가 지나도 달거리가 나오지 않으면 홍화당귀산 혈극고처방은 위를 보라 삼신환 모란피탕 통경환이나 사물탕처방은 혈문을 보라에 봉출 도인 모란피 현호색 홍화술에 담갔다가 불에 죄어 말린 것을 넣어 쓴다.
紅花當歸散홍화당귀산
治室女月經不通, 或積瘀血, 腰腹疼痛. 赤芍藥 二兩, 劉寄奴 一兩二錢半, 紫葳ㆍ當歸尾ㆍ牛膝ㆍ蘇木ㆍ甘草 各五錢, 白芷ㆍ桂心ㆍ紅花 各三錢半. 右爲末, 酒調二錢服. 紅花酒下尤佳. 《雲岐》
처녀가 달거리가 나오지 않거나 어혈이 쌓여 허리와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적작약2냥 유기노1.25냥 능소화 당귀잔뿌리 우슬 소목 감초 각 5돈, 계심 홍화 각 3.5돈을 가루내어 술에 2돈씩 타서 먹는다. 홍화주를 먹으면 더욱 좋다.(운기)
三神丸삼신환
治室女經候不調腹痛. 橘紅 二兩, 玄胡索(醋製)ㆍ當歸(酒炒) 各一兩. 右爲末, 酒糊和丸梧子大, 艾醋湯下百丸. 《丹心》
처녀의 달거리가 고르지 않고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귤홍2냥 현호색식초에 법제한 것 당귀술에 축여 볶은 것 각 1냥을 가루내어 술을 넣어 쑨 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쑥과 식초를 달인 물로 100알씩 먹는다.(단심)
牡丹皮湯
治室女經閉, 咳嗽發熱. 當歸ㆍ牡丹皮 各一錢半, 白芍藥ㆍ生乾地黃ㆍ陳皮ㆍ白朮ㆍ香附子 各一錢, 川芎ㆍ柴胡ㆍ黃芩 各七分, 甘草 四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之. 《回春》
처녀가 달거리가 나오지 않고 기침을 하며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모란피 각 1.5돈 백작약 생건지황 진피 백출 향부자 각 1돈, 천궁 시호 황금 각 7푼, 감초4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通經丸통경환
治室女月候不通, 或成血瘕. 桂心ㆍ靑皮ㆍ大黃ㆍ乾薑ㆍ川椒ㆍ蓬朮ㆍ乾漆(炒)ㆍ當歸ㆍ桃仁ㆍ紅花 各五錢. 右爲細末, 先取二兩和醋熬膏. 乃入餘末, 和勻作丸梧子大, 醋湯下五七十丸. 《入門》
처녀가 달거리가 나오지 않거나 혈가가 된 것을 치료한다. 계심 청피 대황 건강 천초 봉출 건슬볶은 것 당귀 도인 홍화 각 5돈을 가루내어 먼저 2냥을 식초에 버무려 고약을 만들고 여기에 나머지 가루를 넣고 고루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식초탕으로 50-70알씩 먹는다.(입문)
血結成瘕혈결성가
衝脉任脉, 皆起於胞中, 爲血之海, 血澁不行, 則成瘕作痛.
충맥 임맥은 다 포 속에서 나와서 혈해가 된다. 혈이 껄끄러워 잘 흐르지 못하면 가가 생겨 아프게 된다.
任脉爲病, 男子爲七疝, 女子爲瘕聚. 《難經》
임맥에 병이 들면 남자는 칠산이 생기고 여자는 징가와 적취가 생긴다.(난경)
月事不行, 血結成瘕, 宜歸朮破癥湯ㆍ增味四物湯ㆍ四物調經湯ㆍ立效散ㆍ地黃通經元ㆍ無極丸ㆍ桃仁煎.
달거리가 나오지 않고 혈이 뭉쳐서 가가 되면 귀출파징탕 증미사물탕 사물조경탕 입효산 지황통경원 무극환 도인전을 써야 한다.
歸朮破癥湯귀출파징탕
治月經不通, 腹中有積塊疼痛. 香附子(醋炒) 一錢半, 三稜ㆍ蓬朮(幷醋煮)ㆍ赤芍藥ㆍ白芍藥ㆍ當歸尾ㆍ靑皮 各一錢, 烏藥 七分, 紅花ㆍ蘇木ㆍ官桂 各五分. 右剉, 作一貼, 入酒少許, 水煎服. 《集略》
달거리가 잘 나오지 않고 뱃속에 덩어리가 쌓여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식초에 축여 볶은 것1.5돈 삼릉과 봉출함께 식초에 달인 것 적작약 백작약 당귀잔뿌리 청피 각 1돈, 오약7푼 홍화 소목 관계 각 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술을 약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집략)
增味四物湯증미사물탕
治血瘕疼痛. 四物湯料, 入三稜ㆍ蓬朮(幷醋炒)ㆍ乾漆(炒)ㆍ官桂 各一錢. 右剉, 煎服. 《東垣》
혈가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에 삼릉과 봉출함께 식초에 축여 볶은 것 건슬볶은 것 관계 각 1돈을 썰어서 달여 먹는다.(동원)
四物調經湯사물조경탕
治經閉有積塊動痛. 香附(醋炒) 一錢, 當歸ㆍ川芎ㆍ白芍藥(酒炒)ㆍ柴胡ㆍ黃芩ㆍ枳殼 各七分, 熟地黃ㆍ陳皮ㆍ白朮ㆍ三稜ㆍ蓬朮(幷醋炒)ㆍ白芷ㆍ茴香(鹽水炒)ㆍ玄胡索 各五分, 靑皮ㆍ縮砂ㆍ紅花ㆍ甘草 各三分. 右剉, 作一貼, 入生薑 三片, 葱白 三莖, 水煎服. 《回春》
달거리가 나오지 않고 덩어리져서 움직이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향부식초에 축여 볶은 것1돈 당귀 천궁 백작약술에 축여 볶은 것 시호 황금 지각 각 7푼, 홍화 감초 각 3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총백3줄기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立效散입효산
治經年積血, 腹中常痛. 靑皮ㆍ陳皮ㆍ烏藥ㆍ乾薑ㆍ香附子ㆍ蓬朮ㆍ三稜 各等分. 右剉, 醋煮, 焙乾爲末. 空心, 陳皮煎湯調下二錢. 《濟陰》
여러 해 동안의 적혈로 배 속이 늘 아픈 것을 치료한다. 청피 진피 오약 건강 향부자 봉출 삼릉을 각 등분하여 썰어서 식초에 졸인 후 불에 쬐어 말려 가루를 내서 빈속에 진피 달인 물로2돈씩 먹는다.(제음)
地黃通經丸지황통경환
治血瘕如盃, 在臍下作痛. 熟地黃 二兩, 䖟蟲(炒)ㆍ水蛭(糯米同炒去米)ㆍ桃仁 各五十箇. 右爲末, 蜜丸梧子大, 空心, 溫酒下七八十丸. 《正傳》
잔처럼 생긴 혈가가 배꼽 아래에 있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숙지황2냥 맹충볶은 것 수질찹쌀과 함께 볶아서 찹쌀은 버린 것 도인 각 50개를 썰어서 꿀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따뜻한 술로 70-80알씩 먹는다.(정전)
無極丸무극환
治經閉, 有血塊, 苦痛. 錦紋大黃 四兩. 一兩酒煮, 一兩醋煮, 一兩童便煮, 一兩鹽水煮, 各七次. 右合一處. 又七蒸, 七曬, 爲末. 用當歸, 熟地黃各一兩半, 濃煎汁煮糊和丸梧子大, 紅花湯下三十丸. 《醫鑑》
달거리가 나오지 않고 혈괴가 있어 매우 아픈 것을 치료한다. 대황비단무늬가 있는 것으로 4냥 1냥은 술에 달이고, 1냥은 식초에 달이고, 1냥은 아이소변에 달이고 1냥은 물에 달이는데 각각 7번씩 하고, 이것을 한 곳에 합해 7번 찌고 7번 볕에 말려 가루낸 것 당귀 숙지황 각 1.5냥을 진하게 달인 즙으로 쑨 풀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홍화탕으로 30알씩 먹는다.(의감)
千金桃仁煎천금도인전
治血瘕, 血積, 經候不通. 桃仁ㆍ大黃ㆍ朴硝 各二兩, 䖟蟲 五錢. 右爲末, 好醋二升半, 銀石器中, 慢火煎取一升半. 下桃仁ㆍ大黃ㆍ䖟蟲攪千下, 次下朴硝, 更熟攪, 良久出之, 丸如梧子大. 前一日不吃晩飯, 五更初, 溫酒呑下五丸, 取下惡物. 未下再服, 見鮮血卽止藥. 《良方》
혈가와 혈적으로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도인 대황 박초 각 2냥, 맹충5돈을 가루내어 좋은 식초2.5되와 함께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은근한 불로 졸여서 1.5되를 취한다. 여기에 도인 대황 맹충을 넣고 수없이 저은 다음 박초를 넣고 다시 충분히 저은 후 오래 있다가 꺼내어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전날 저녁을 굶고 오경 초에 따뜻한 술로 5알씩 삼키면 나쁜 것이 나오는데, 나오지 않으면 다시 먹고 선혈이 보이면 곧 약을 그만 먹는다.(양구)
血枯혈고
黃帝曰, 有病胸脇支滿者, 妨於食, 病至則先聞腥臊臭, 出淸液, 先唾血, 四肢淸, 目眩, 時時前後血, 病名爲何, 何以得之. 岐伯曰, 病名血枯. 此得之年少時, 有所大脫血, 若醉入房, 中氣竭, 肝傷, 故月事衰少不來也. 治之, 以烏賊丸. 《內經》
황제가, 병으로 가슴과 옆구리가 결리고 답답해서 먹을 수가 없고, 병이 깊어지면 먼저 비리고 누린내가 나고 맑은 물이 나오며 먼저 피를 뱉어내고 사지가 차고 눈이 어지러우며 때때로 전후음에서 피가 나옵니다. 병명이 무엇이고 어째서 생기는 것입니까? 하고 물으니, 기백이, 병명은 혈곤데 이는 나이가 어릴 때 얻은 것으로 크게 피를 흘리거나 술에 취한 체 성교를 해서 중기가 고갈되고 간이 상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달거리가 적어지거나 나오지 않는 것입니다라 했다. 이것의 치료는 오적환으로 한다.(내경)
治血枯, 宜烏賊骨丸ㆍ八物湯方見虛勞. 《良方》
혈고의 치료는 오적골환 팔물탕처방은 허로를 보라을 써야 한다.(양방)
烏賊骨丸오적골환
烏賊魚骨, 䕡茹各等分. 右爲末, 雀卵不拘數, 和丸小豆大, 每十丸, 煎鮑魚湯呑下, 日三服, 壓以善饍. 《良方》
오적어골과 여여 같은 양을 가루내어서 참새알 적당량과 반죽하여 팥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10알씩 절인 어물을 달인 물로 하루 3번 먹고 좋은 음식으로 내려보낸다.(양방)
血枯經閉. 四物湯方見血門, 加桃仁, 紅花. 《丹心》
혈고로 달거리가 나오지 않으면 사물탕처방은 혈문을 보라에 도인 홍화를 넣어서 쓴다.(단심)
血崩血漏혈붕혈루
內經曰, 陰虛陽搏, 謂之崩. 註曰, 陰脉不足, 陽脉盛搏, 則內崩而血流下也.
내경에, 음맥이 허하고 양맥이 견실한 것을 붕중이라 한다고 했다. 주에, 음맥이 부족하고 양맥이 왕성하게 박동하면 안으로 혈붕이 되어 아래로 흐른다고 했다.
悲哀太甚, 則胞絡絶, 胞絡絶則陽氣內動, 發則心下崩, 數溲血也. 《丹心》
너무 지나칠 정도로 슬퍼하면 포락이 끊어지고 포락이 끊어지면 양기가 안에서 요동을 친다. 발작하면 심이 아래로 무너져서 요혈이 자주 나온다.(단심)
盖悲哀則心系急, 肺布葉擧而上焦不通, 榮衛不散, 熱氣在中. 故胞絡絶而陽氣內鼓動, 發則心下崩, 數溲血也. 心下崩, 謂心包內崩而下血也. 《入門》
슬퍼하면 심계가 당기고 폐포엽이 들려서 상초가 막히며 영위가 흩어지지 못하고 열기가 안에 머물게 되어 포락이 끊어지고 양기가 안에서 요동을 치다가 발작하면 심이 아래로 무너져서 요혈이 자주 나오는 것이다. 심하붕은 심포가 안으로 무너져서 하혈하는 것을 이른다.(입문)
非時血下, 淋瀝不止, 謂之漏下, 忽然暴下, 若山崩然, 謂之崩中. 《入門》
때가 되지도 않았는데 하혈할 때 찔끔찔끔 나오면서 그치지 않는 것을 누하하고 하는데, 갑자기 산이 무너지듯 쏟아지는 것을 붕중이라고 한다.(입문)
崩漏不止有三. 一者, 脾胃虛損, 下陷於腎, 與相火相合, 濕熱下迫, 經漏不止. 其色紫黑, 如夏月腐肉之臭, 中有白帶, 脉沈細疾數, 或沈弦洪大, 其熱明矣. 或腰痛, 或臍下痛. 宜大補脾胃而升擧血氣.
붕루가 그치지 않는 경우는 세 가진데, 하나는 비위의 허손이 신으로 내려가 상화와 서로 합쳐서 습열이 밀고 내려가 붕루가 멎지 않는 것이다. 색이 검붉고 여름에 고기 썩는 냄새가 나며, 안에 백대가 있고 맥이 침 세 질 삭하거나 침 현 홍 대하니 열이 나는 것이 분명하다. 간혹 허리나 배꼽 아래가 아프기도 한다. 비위를 크게 보하여 혈기를 들어올려 주어야 한다.
二者, 或故貴奪勢, 或先富後貧, 心氣不足, 其火大熾旺於血脉之中, 又飮食失節, 其容顔似不病者. 此心病者, 不行於診, 其經水不時而下, 或適來適斷, 或暴下不止. 當先說惡死之言, 令心不動, 以大補氣血之藥, 擧養脾胃, 微加鎭墜心火之藥, 補陰瀉陽, 經自止矣.
둘은, 예전에는 귀했지만 세력을 잃었거나 부유하다가 가난해져서 심기가 부족하게 되어 그 화가 혈맥 속에서 크게 왕성해지고 또 음식을 조절하지 못해도 얼굴에는 병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것은 심병이다. 진료를 하지 않아도, 달거리가 때도 없이 나오거나 나오다 멎다 하거나 갑자기 쏟아져 멎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최악의 경우 죽을 수도 있다는 말을 해서 마음을 움직이지 않게 한 다음 크게 기혈을 보하는 약으로 비위의 기를 끌어올리고 심화를 누르는 약을 조금 넣어 음을 보하고 양을 사하면 달거리가 저절로 멎는다.
三者, 悲哀太甚則胞絡絶, 云云見上. 《東垣》
셋은 지나치게 슬퍼해서 포락이 끊어진 것이다. 앞에서 누누이 말한 것을 보라.(동원)
崩漏治法붕루치법
血崩, 乃經血錯亂, 淖溢妄行, 遽止則便有積瘀, 凝成窠臼, 不止則又恐昏暈. 必先服五靈脂末名獨行散一錢, 溫酒調下, 其性能行血止血. 然後用五積散方見寒門, 加防風ㆍ荊芥, 入醋煎服, 一二貼後, 再服五靈脂散, 去故生新. 如更不止, 乃用五灰ㆍ十灰丸散方見血門.
혈붕은 달거리로 나올 피가 어지럽게 섞여서 흘러넘쳐 멋대로 돌아다니는 것이다. 급히 멎게 하면 어혈이 쌓이고 뭉쳐서 자리잡고, 멎게 하지 않으면 또 머리가 어지러울 것이다. 먼저 꼭 오령지 가루독행산이라고 함1돈을 따뜻한 술에 타서 먹는다. 이는 혈을 잘 흐르게 하면서도 지혈하는 성능도 있다. 그런 후에 오적산처방은 한문을 보라에 방풍 형개를 넣어 식초를 넣고 달여서 한두 첩을 먹는다. 다시 오령지 가루를 먹어 오래된 피를 없애고 새 피가 생기게 한다. 그래도 멎지 않으면 오회산 십회환 십회산을 쓴다.처방은 혈문을 보라
悲哀太甚而崩漏, 宜備金散ㆍ四製香附丸方見上.
지나치게 슬퍼해서 붕루가 되었을 때는 비금산 사제향부환처방은 위를 보라을 써야 한다.
經行犯房, 損傷衝任, 經血暴下, 宜溫經湯方見上.
달거리 중에 성교를 하면 충임맥이 손상되어 달거리가 갑자기 쏟아진다. 온경탕처방은 위를 보라을 써야 한다.
濕熱下迫而爲崩漏, 其色紫黑, 腐臭, 宜解毒四物湯ㆍ凉血地黃湯ㆍ固經丸.
습열이 밀고 내려와 붕루가 되어 색이 검붉고 썩은 냄새가 날 때는 해독사물탕 양혈지황탕 고경환을 써야 한다.
憂鬱, 及先富後貧, 而爲崩漏, 宜開鬱四物湯.
우울하거나 부자가 가난해져서 붕루가 생겼을 때는 개울사물탕을 써야 한다.
胃氣下陷, 經水暴下, 宜升陽調經湯ㆍ益胃升陽湯方見內傷ㆍ升陽除濕湯ㆍ柴胡調經湯已上《入門》
위기가 아래로 쳐져서 경수가 쏟아지면 승양조경탕 익위승양탕처방은 내상을 보라 승양제습탕 시호조경탕이상을 써야 한다.(입문)
血崩, 急則治其標, 白芷湯, 調百草霜末服. 甚者棕櫚灰, 或狗頭骨灰, 或五靈脂半生半炒末, 俱以酒調服, 後用四物湯, 加芩ㆍ連ㆍ參ㆍ芪ㆍ香附ㆍ乾薑, 調理. 《丹心》
혈붕이 급증이면 그 표를 치료해야 하니 백지를 달인 물에 백초상 가루를 타서 먹는다. 심하면 종려불에 태운 재나 개의 머리뼈를 태운 재나 오령지반은 생것이고 반은 볶은 것 가루를 모두 술에 타서 먹은 후 사물탕에 황금 황련 인삼 황기 향부자 건강을 넣어서 조리하여 쓴다.(단심)
婦人四十以上, 悲哀太甚, 血走而崩, 愼不可燥熱之藥, 先用黃連解毒湯方見寒門, 後以三和湯方見上 調治. 《醫鑑》
부인이 마흔 이후에 너무 슬퍼해서 혈이 멋대로 흘러 혈붕이 되었을 때는 조열한 약을 쓰면 안 된다. 먼저 황련해독탕처방을 한문을 보라을 쓰고 난 후 삼화탕처방은 위를 보라으로 조리하며 다스린다.(의감)
室女思男, 以致血崩成勞, 十分難治. 宜四物湯, 加柴胡ㆍ黃芩, 或加味逍遙散方見婦人《入門》
처녀가 남자를 지나치게 그리워해서 혈붕으로 허로가 되면 아주 치료하기 어렵다. 사물탕에 시호 황금을 넣거나, 가미소요산처방은 부인을 보라을 써야 한다.(입문)
凡崩漏有寒, 伏龍肝散ㆍ丁香膠艾湯. 有熱, 涼血地黃湯ㆍ解毒四物湯. 通用當歸芍藥湯ㆍ奇效四物湯ㆍ煮附丸方見上.
붕루가 한증이면 복룡간산 정향교애탕을 쓰고, 열증이면 양혈지황산 해독사물탕을 쓴다. 당귀작약탕 기효사물탕 자부환처방은 위를 보라을 두루 쓴다.
四物湯, 加荊芥ㆍ條芩, 止血神效. 《正傳》
사물탕에 형개 조금을 넣으면 지혈에 신효하다.(정전)
黑藥能止血, 宜五灰散ㆍ十灰丸幷見血門ㆍ如聖散ㆍ立效散.
검은색의 약은 지혈이 되기 때문에 오회산 십회환처방은 함께 혈문을 보라 여성산 입효산을 써야 한다.
崩漏過多昏暈, 宜生地芩連湯方見血門ㆍ全生活血湯.
붕루가 심하여 어지러울 때는 생지금련탕처방은 혈문을 보라 전생활혈탕을 써야 한다.
備金散비금산
治血崩不止. 香附子(炒黑) 四兩, 當歸尾 一兩二錢, 五靈脂(炒) 一兩. 右爲末, 每二錢, 醋湯調, 空心服.
혈붕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검게 볶은 것4냥 당귀잔뿌리1.2냥 오령지볶은 것1냥을 가루내어 매번 2돈씩 식초를 탄 물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
一名偁金散. 《綱目》《入門》
칭금산이라고도 한다.(강목)(입문)
解毒四物湯
治崩漏, 面黃腹痛. 黃芩ㆍ黃連ㆍ黃柏ㆍ梔子ㆍ生乾地黃ㆍ當歸ㆍ白芍藥ㆍ川芎 各一錢. 右剉, 作一貼, 水煎服. 《入門》
붕루로 안색이 누렇고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황금 황련 호아백 치자 생건지황 당귀 백작약 천궁 각 1돈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此方, 乃黃連解毒湯, 與四物湯合劑也.
이 처방은 황련해독탕과 사물탕을 합해서 조제한 것이다.
凉血地黃湯양혈지황탕
治血崩. 是腎水陰虛, 不能鎭守包絡相火, 故血走而崩. 羌活ㆍ防風ㆍ柴胡 各一錢, 生地黃ㆍ當歸 各五分, 知母ㆍ黃柏ㆍ荊芥ㆍ細辛ㆍ蔓荊子ㆍ黃芩ㆍ川芎ㆍ藁本ㆍ黃連ㆍ升麻ㆍ甘草 各三分, 紅花一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之. 《入門》
혈붕을 치료한다. 이는 신수인 음이 허하여 포락의 상화를 지키지 못해서 혈이 멋대로 달려 무너진 것이다. 강활 방풍 시호 각 1돈, 생지황 당귀 각 5푼, 지모 황백 형개 세신 만형자 황금 천궁 고본 황련 승마 감초 각 3푼, 홍화1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固經丸고경환
治經水過多. 黃芩ㆍ白朮ㆍ龜板 各一兩, 椿根白皮 七錢, 黃柏(炒) 三錢, 香附子(童便浸焙) 二錢半. 右爲末, 酒糊和丸梧子大, 白湯下五七十丸. 《入門》
경수가 지나치게 많은 것을 치료한다. 황금 백출 귀판 각 1냥, 춘근백피7돈 황백볶은 것3돈 향부자아이오줌에 담갔다 불에 쬐어 말린 것2.5돈을 썰어서 술로 쑨 풀에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50-70알씩 먹는다.(입문)
開鬱四物湯개울사물탕
治崩漏, 多因心氣所使而下, 故貴奪勢, 先富後貧, 皆是也. 香附米(炒)ㆍ當歸身ㆍ白芍藥(酒炒)ㆍ熟地黃ㆍ白朮 各一錢, 川芎ㆍ黃芪ㆍ蒲黃(炒)ㆍ地楡ㆍ人參 各五錢, 升麻 三分. 右剉, 作一貼, 煎服. 《正傳》
붕루를 치료한다. 대부분 심기로 인해서 내려오는 것이므로 귀하게 살다가 세력을 빼앗기거나 부자가 가난해진 것이 다 이것이다. 향부미볶은 것 당귀몸통부위 백작약술에축여 볶은 것 숙지황 백출 각 1돈, 천궁 황기 포황볶은 것 지유 인삼 각 5돈 승마3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달여서 먹는다.(정전)
升陽調經湯승양조경탕
治內傷, 中氣下陷, 暴崩不止. 柴胡ㆍ羌活ㆍ蒼朮ㆍ黃芪 各一錢, 當歸ㆍ防風ㆍ升麻ㆍ藁本ㆍ甘草 各七分, 蔓荊子 五分, 獨活 三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以飯壓之. 《入門》
내상으로 중기가 밑으로 쳐져서 붕루가 쏟아져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강활 창출 황기 각 1돈, 당귀 방풍 승마 고본 감초 각 7푼, 만형자5푼 독활3푼을 썰어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은 후 밥을 먹어 내려보낸다.(입문)
益胃升陽湯익위승양탕
治血塊暴下, 幷水泄俱作, 是前後二陰有形血脫竭於下也. 血脫益氣, 古聖人之法, 此陽生陰長之義也. 方見內傷
혈괴가 쏟아지면서 물 같은 설사를 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는 전후 이음에 있는 유형의 혈이 하초에서 고갈되기 때문이다. 혈이 없어지면 기를 더해주는 것은 옛 성인의 방법이다. 이것이 양이 생기고 음이 잘란다는 뜻이다.처방은 내상을 보라.
升陽除濕湯승양제습탕
治崩漏不止, 因脾胃虛而心包乘之, 故血漏而下. 黃芪ㆍ蒼朮ㆍ羌活 各一錢, 柴胡ㆍ升麻ㆍ防風ㆍ藁本ㆍ甘草(灸) 各七分, 蔓荊子 五分, 獨活ㆍ當歸 各三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東垣》
붕루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비위가 허한데다가 심포에도 문제가 생겨서 붕루가 나오는 것이다. 황기 창출 강활 각 1돈, 시호 승마 방풍 고본 감초구운 것 각 7푼, 만형자5푼 독활 당귀 각 3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柴胡調經湯시호조경탕
治同上. 蒼朮一錢半, 柴胡 一錢, 羌活ㆍ獨活ㆍ藁本ㆍ升麻 各七分, 葛根ㆍ當歸ㆍ甘草 各五分, 紅花 二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東垣》
위와 같은 것을 치료한다. 창출1.5돈 시호1돈 강활 독활 고본 승마 각 7푼 갈근 당귀 감초 각 5푼, 홍화2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已上四方, 皆升擧之劑, 先服益胃升陽湯, 不止, 却服後二方. 乃大擧, 大升, 助春夏二濕之久陷下之至治也. 《綱目》
이상의 네 가지 처방은 모두 끌어올리는 조제다. 먼저 익위승양탕을 먹고, 그치지 않으면 즉각 뒤의 두 처방을 먹고는 곧 크게 끌어올려서 봄과 여름의 습으로 오랫동안 아래로 처진 것을 치료하는 것이다.(강목)
伏龍肝散복룡간산
治衝任經虛, 崩漏不止, 臍腹冷痛. 川芎ㆍ艾葉 各一錢半, 伏龍肝 一錢, 赤石脂ㆍ麥門冬 各七分, 當歸ㆍ乾薑ㆍ熟地黃ㆍ肉桂ㆍ甘草 各五分. 右剉, 作一貼, 入棗二枚煎服. 或爲末, 米飮調二錢服. 《入門》
충임 경맥이 허해서 붕루가 멎지 않고 배꼽이 차갑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천궁 애엽 각 1.5돈 봉룡간1돈 적석지 맥문동 각 7푼, 당귀 건강 숙지황 육계 감초 각 5푼을 썰어서 1첩을 만들어 대추2개를 넣고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2돈씩 먹는다.(입문)
丁香膠艾湯정향교애탕
治崩漏不止, 間有如茅屋漏水, 或下白帶, 臍下如氷. 當歸 一錢半, 生艾葉 一錢二分, 阿膠珠 七分, 川芎ㆍ丁香 各五分, 熟地黃ㆍ白芍藥 各四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東垣》
붕루가 멎지 않고 간간이 띠집에서 새는 물 같은 것이 있거나 백대하가 나오고 배꼽 아래가 얼음처럼 찬 것을 치료한다. 당귀1.5돈 생애엽1.2돈 아교주7푼 천궁 정향 각 5푼, 숙지황 백작약 각 4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當歸芍藥湯당귀작약탕
治經漏不止, 氣弱困倦. 此中氣虛弱, 下陷之甚. 蒼朮ㆍ白朮ㆍ當歸ㆍ白芍藥 各一錢半, 黃芪 一錢, 陳皮ㆍ熟地黃 各五分, (灸)甘草ㆍ生地黃 各三分, 柴胡 二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東垣》
경루가 멎지 않고 기가 약해서 피곤한 것을 치료한다. 이는 중기가 허약하여 심하게 아래로 처졌기 때문이다. 창출 백출 당귀 백작약 각 1.5돈, 황기1돈 진피 숙지황 각 5푼, 구운감초 생지황 각 3푼 시호2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奇效四物湯기효사물탕
治血崩神效. 四物湯, 加阿膠珠ㆍ艾葉ㆍ黃芩, 共七錢. 右剉, 作一貼, 薑 五片, 煎服. 《得效》
혈붕 치료에 신효하다. 사물탕에 아교주 애엽 황기 함께 7돈을 넣어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5쪽을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如聖散여성산
止血崩. 棕櫚ㆍ烏梅 各一兩, 乾薑 一兩半. 右幷燒存性, 爲末, 每二錢, 烏梅湯酒調下, 空心. 《丹心》
혈붕을 멎게 한다. 종려 오매 각 1냥 ,건강1.5냥을 함께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가루내 매번 2돈씩 오매를 달인 물이나 오매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단심)
立效散입효산
治血崩. 當歸ㆍ蓮花蘂ㆍ白綿子ㆍ紅花ㆍ茅花 各一兩. 右剉, 紙包, 鹽泥固濟, 火煆存性, 爲末. 入麝香少許, 每二錢, 溫酒調下, 空心. 《東垣》
혈붕을 치료한다. 당귀 연화예 면회씨 홍화 모화 각 1냥을 썰어서 종이에 싸고 소금기 있는 진흙을 발라서 약성이 남게 불에 달구어 가루를 낸 다음 사향을 약간 넣어서 2돈씩 따뜻한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동원)
全生活血湯전성활혈탕
治崩漏太多, 昏冒不省, 瞑目無所知覺, 盖因血暴亡也. 血去則心神無所養, 暴損氣血, 豈能久活. 今當補而升擧之, 以助其陽, 則目張, 神不昏迷矣. 今立一方, 補血, 養血, 生血, 益陽, 以補手足厥陰之不足. 白芍藥ㆍ升麻 各一錢, 防風ㆍ羌活ㆍ獨活ㆍ柴胡ㆍ當歸身ㆍ葛根ㆍ甘草 各七分, 藁本ㆍ川芎 各五分, 生地黃ㆍ熟地黃 各四分, 蔓荊子ㆍ細辛 各三分, 紅花 一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東垣》
붕루가 너무 심해서 어지럽고 인사불성이 되어 눈을 감고 지각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는 혈이 갑자기 없어졌기 때문이다. 혈이 없어지면 심신이 영양을 받지 못해서 기혈이 갑자기 상하니 어찌 오래 살 수 있겠는가? 당장 보하고 끌어올려서 양을 도와야만 눈이 떠지고 신이 혼미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 처방을 낸 것은 혈을 보하고 양를 보하고 혈을 만들고 양을 도와서 수궐음과 족궐음의 부족을 보하기 위한 것이다. 백작약 승마 각 1돈, 방풍 강활 독활 시호 당귀몸통부위 갈근 감초 각 7푼, 고본 천궁 각 5푼, 생지황 숙지황 각 4푼, 만형자 세신 각 3푼, 홍화1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赤白帶下적백대하
脾傳之腎, 病名曰疝瘕, 小腹寃熱而痛, 出白, 一名曰蠱. 註曰, 出白者, 溲出白液也. 盖白帶, 白濁之類也. 《內經》
비의 병이 신으로 전해진 것을 산가라 한다. 아랫배가 울열로 아프고 흰 것이 나온다. 이것을 고병이라고도 한다. 주에, 흰 것이 나오는 것은 소변으로 흰 액체가 나오는 것이라 했다. 이것은 백대나 백탁과 유사한 것이다.(내경)
任脉爲病, 女子帶下瘕聚. 註曰, 任脉自胞, 上過帶脉, 貫於臍上, 故爲帶下. 帶脉起于季肋章門穴名, 似束帶狀. 今濕熱寃結不散, 故爲病也. 寃者, 結也. 屈也. 屈滯而病熱不散也.
임맥에 병이 들면 여자는 대하 징가 적취가 생긴다. 주에, 임맥은 포에서 시작해서 위로 대맥을 지나고 배꼽 위를 관통하기 때문에 대하가 생긴다고 했다. 대맥은 옆구리 아래 장문혈이름에서 일어나는데 허리띠로 묶은 모양이다. 지금 습열이 쌓이고 뭉쳐 흩어지지 않기 때문에 병이 된 것이다. 원이란 뭉친다 굽었다라는 뜻으로 구부러지고 막혀서 병이 들어 흩어지지 않는 것이다.
赤者, 熱入小腸, 白者, 熱入大腸. 原其本, 皆濕熱結于脉, 故津液涌溢, 是爲赤白帶下, 臍下痛, 陰中綿綿而下也. 《保命》
적은 열이 소장으로 들어간 것이고 백은 열이 대장으로 들어간 것이다. 그 근본을 파보면 모두 습열이 혈맥에 뭉쳐 진액이 흘러넘쳐 이것이 적백대하가 된 것이다. 배꼽 아래가 아프고 음부에서 쉬지 않고 흘러내린다.(보명)
小腹寃熱, 結於任脉, 自胞上而過帶脉, 出於大小腸之分, 溲出白液, 淋瀝以下, 故曰帶下, 與赤白濁一般, 但不痛耳. 《入門》
아랫배의 원열이 임맥에 뭉치면 포로부터 위로 올라가 대맥을 지나 대소장이 갈라지는 곳으로 나오면 소변으로 흰 액체가 찔끔거리며 나오기 때문에 대하라고 한다. 이것은 적백탁과 같지만 아프지는 않다.(입문)
婦人帶下, 是第一等病, 令人不産育, 宜急治之. 扁鵲過邯鄲, 聞貴婦人, 所以專爲帶下醫也. 《綱目》
부인의 대하 이것이 아주 중요한 병이 되는 것은 아이를 낳을 수 없게 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급히 치료해야 한다. 편작이 한단을 지나다가 부인을 귀하게 여긴다는 말을 듣고 대하의를 전공하게 된 까닭이다.(강목)
婦人帶下, 脉浮, 惡寒, 漏下者, 不治. 《脉經》
부인의 대하에 맥이 뜨고 오한이 있고 누하가 있으면 치료할 수 없다.(맥경)
帶下治法대하치법
帶與漏, 俱是胃中痰積, 流下滲入膀胱, 出於大小腸, 宜升提之. 甚者上必用吐, 下用二陳湯方見痰飮, 加蒼白朮ㆍ升麻ㆍ柴胡, 或蒼柏樗皮丸. 《丹心》
대하와 누하는 모두 위 속에 쌓인 담이 흘러내려 방광으로 스며들고 대소장으로 나오는 것으로 끌어올려야 한다. 심하면 위로는 반드시 토법을 써야 하고 아래로는 이진탕처방은 담음을 보라에 창백출 승마 시호을 넣어 쓰거나 창백저피환을 써야 한다.(단심)
婦人月事不調, 暮則發熱, 小腹裏急, 手掌煩熱, 脣口乾燥, 何也. 師曰, 此病屬帶下, 何以故, 曾經半産, 瘀血在小腹不去, 何以知之. 其證脣乾燥, 故知之. 溫經湯方見上主之. 《仲景》
부인의 달거리가 고르지 않고 저녁이 되면 열이 나며 아랫배가 당기고 손바닥에 번열이 있으며, 입술이 마르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스승께서, 이 병은 대하에 속한다. 무엇 때문인고 하니 이전에 유산을 한 후 아랫배에서 어혈을 제거하지 못해서다. 어떻게 알 수 있는고 하니 그 증상은 입술이 마른 것으로 알 수 있다. 온경탕처방은 위를 보라을 주로 쓴다고 하셨다.(중경)
帶下是濕熱爲病 赤屬血, 白屬氣, 主治燥濕爲先. 《丹心》
대하는 습열로 인해 병이 된 것이다. 적색은 혈에 속하고 백색은 기에 속하는데, 주된 치료는 습을 말리는 것이 우선이다.(단심)
赤白帶, 宜伏龍肝散方見上ㆍ苦練丸ㆍ白芍藥散.
적백대하에는 복룡간산처방은 위를 보라 고련환 백작약산을 써야 한다.
肥人白帶, 是濕痰, 宜蒼柏樗皮丸, 瘦人是熱, 宜芩柏樗皮丸, 通用補經固眞湯ㆍ白斂元ㆍ補宮丸ㆍ四神丸ㆍ淸白散.
살찐 사람의 백대하는 습담 때문이므로, 창백저피환을 써야 하고, 마른 사람은 열 때문이므로 금백저파환을 써야 한다. 보경고진탕 백렴원 보궁환 사신환 청백산을 두루 쓴다.
久帶下, 陽氣虛極, 下流白滑如涕, 腥臭, 多悲不樂, 宜酒煮當歸丸ㆍ固眞丸ㆍ桂附湯. 《入門》
오래된 대하는 양기가 아주 허해서 밑으로 콧물같이 희고 매끄러운 것이 흐르고 비린내가 나며 자주 슬퍼하고 즐거워하지 않는다. 주자당귀환 고진환 계부탕을 써야 한다.(입문)
孕婦白帶, 宜芩朮樗皮丸.
임산부의 백대하에는 금출저피환을 써야 한다.
室女帶下, 宜琥珀朱砂丸.
처녀의 대하에는 호박주사환을 써야 한다.
帶下, 必須斷厚味. 《入門》
대하에는 반드시 기름진 음식을 끊어야 한다.(입문)
蒼柏樗皮丸창백저피환
治肥人白帶, 是濕痰. 蒼朮ㆍ黃柏ㆍ樗根白皮ㆍ海石ㆍ半夏(製)ㆍ南星(炮)ㆍ川芎ㆍ香附子ㆍ乾薑 各等分. 右爲末, 醋糊和丸梧子大, 白湯下五七十丸. 夏月, 去乾薑, 代滑石. 《入門》
살찐 이의 대하를 치료한다. 이는 습담 때문이다. 창출 황백 저근백피 해석 반하법제한 것 남성습지에 싸서 구운 것 천궁 향부자 건강 각기 같은 분량을 가루내서 식초를 넣어 쑨 풀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50-70알씩 먹는다. 여름에는 건강을 빼고 활석으로 대신한다.(입문)
苦練丸고련환
治熱入大小腸, 爲赤白帶下, 最妙. 苦練子(碎酒浸)ㆍ茴香(炒)ㆍ當歸 各等分. 右爲末, 酒糊和丸梧子大, 每取三五十丸, 空心, 溫酒下. 《保命》
열이 대소장으로 들어가 적백대하가 된 것을 치료한다. 아주 신묘한 효과가 있다. 고련자부숴서 술에 담근 것 당귀, 같은 양을 가루내어 술로 쑨 풀에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30-50알씩 빈속에 따뜻한 술로 먹는다.(보명)
白芍藥散백작약산
治赤白帶久不止. 白芍藥 二兩, 乾薑 五錢. 右各炒黃色爲末, 米飮調下二錢, 日二. 《綱目》
적백대하가 오랫동안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백작약2냥 마른 생강5돈을 각각 누렇게 볶아서 가루내어 하루에 2번 2돈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강독)
芩柏樗皮丸금백저피환
治瘦人帶下, 是熱. 黃芩ㆍ黃柏ㆍ樗根白皮ㆍ滑石ㆍ川芎ㆍ海石ㆍ靑黛ㆍ當歸ㆍ白芍藥 各等分. 右爲末, 醋糊和丸梧子大, 白湯下五七十丸. 《入門》
마른 이의 대하를 치료한다. 이는 열 때문에 생긴 것이다. 황금 황백 저근백피 활석 천궁 해석 청대 당귀 백작약, 같은 양을 가루내어 식초를 넣어 쑨 풀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에 50-70알씩 먹는다.(입문)
補經固眞湯보경고진탕
治白帶. 脉訣曰, 崩中日久爲白帶, 漏下多時骨木枯. 言始病血崩, 久則血少, 復亡其陽. 故白滑之物下流不止, 血海將枯也. 乾薑(細末)ㆍ人參 各二錢, 郁李仁(泥)ㆍ柴胡ㆍ甘草(灸)ㆍ陳皮(不去白)ㆍ黃芩(生) 各一錢, 白葵花 七朶. 右剉, 除黃芩, 以水二盞, 先煎藥至一盞七分, 再入黃芩煎至一盞, 空心熱服, 以美饍壓之. 《東垣》
백대하를 치료한다. 맥결에, 붕중이 오래되면 백대하가 되고, 누하가 잦으면 뼈가 마른다고 했다. 처음에는 혈붕을 앓다가 오래되면 혈이 줄어 다시 망양이 되므로 희고 매끄러운 것이 아래로 흘러 멎지 않아 혈해가 고갈되는 것이다. 말린 생강곱게 간 것 인삼 각 2돈, 욱리인질게 간 것 시호 감초구운 것 진피흰 부분을 없애지 않은 것 황금생것 각 1돈, 백규화7송이를 썰어서 황금을 빼고 물2잔으로 나머지 약제들을 1.7잔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인 후 다시 황금을 넣고 1잔이 되도록 달여서 빈속에 뜨겁게 먹은 후 좋은 음식을 먹어 내려보낸다.(동원)
白斂元백렴원
治衝任虛寒, 帶下純白. 鹿茸(燎去毛醋蒸焙) 二兩, 白斂ㆍ金毛狗脊 各一兩. 右爲末, 艾煎醋湯打糯米糊, 和丸梧子大, 空心, 溫酒下五七十丸. 《得效》
충임맥이 허하고 차가와 대하가 순백색인 것을 치료한다. 녹이불에 그을려 털을 제거하고 식초에 쪄서 불에 쬐어 말린 것 2냥 백렴 금모구척 각 1냥을 가루내어 쑥을 달여서 식초를 넣은 물에 찹쌀을 섞어서 쑨 풀로 반죽해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따뜻한 술로 50-70알씩 먹는다.(득효)
補宮丸보궁환
治白帶及白淫. 鹿角霜ㆍ白茯苓ㆍ白芷ㆍ白朮ㆍ烏賊魚骨ㆍ白薇ㆍ白芍藥ㆍ牡蠣粉ㆍ山藥 各等分. 右爲末, 糊丸梧子大, 米飮下五十丸. 《丹心》
백대하와 백음을 치료한다. 녹각상 백복령 백지 백출 오적어골 백미 백작약 모려분 산약 같은 양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미음으로 50알씩 먹는다.(단심)
四神丸사신환
治白帶. 香附米 八兩(以酒ㆍ醋ㆍ鹽水ㆍ童便, 各浸二兩, 過三日乃出, 炒), 蒼朮 四兩(米泔浸), 牡蠣粉(炒)ㆍ縮砂(炒)ㆍ樗根白皮(蜜水炒) 各二兩. 右爲末, 以黃米煮飯和丸梧子大, 空心, 酒下五七十丸. 《醫鑑》
백대하를 치료한다. 향부미8냥술 식초 소금물 동변에 각 2냥씩 사흘 동안 담갔다가 꺼내어 볶은 것 창출4냥쌀뜨물에 담근 것 모려분볶은 것 축사볶은 것 저근백피꿀물에 축여 볶은 것 각 2냥을 가루내어 찰기장쌀로 지은 밥과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술로 50-70알씩 먹는다.(의감)
淸白散청백산
治白帶. 當歸ㆍ川芎ㆍ白芍藥ㆍ生地黃(酒洗)ㆍ黃柏(鹽水炒)ㆍ貝母ㆍ樗根白皮(酒炒) 各一錢, 乾薑(炒黑)ㆍ甘草 各五分. 右剉, 作一貼, 薑 三片, 水煎服. 《醫鑑》
백대하를 치료한다. 당귀 천궁 백작약 생지황술로 씻은 것 황백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패모 저근백피술에 축여 볶은 것 각 1돈, 마른 생강검게 볶은 것 감초 각 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酒煮當歸丸주자당귀환
治白帶, 長流不止, 腰以下如在氷雪中, 面白目靑, 肌肉消瘦, 此上中下三陽眞氣俱虛也. 當歸 一兩, 良薑ㆍ附子(炮) 各七錢, 茴香 五錢. 右剉, 以好酒一盞半同煮, 至酒盡焙乾. 乃入炒黃鹽ㆍ全蝎 各三錢, 柴胡 二錢, (灸)甘草ㆍ川練子ㆍ丁香ㆍ木香ㆍ升麻 各一錢, 玄胡索 四錢. 右同爲細末, 酒麪糊和丸梧子大, 空心, 淡醋湯下五七十丸. 《東垣》
백대하가 오래 흘러 멎지 않고 허리 아래가 빙설 속에 있는 것처럼 차고 안색이 하얗고 눈이 푸르며 기육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이는 상초 중초 하초 삼양의 진기가 다 허하기 때문이다. 당귀1냥 양강 부자습지에 싸서 구운 것 각 7돈, 회향5돈을 썰어서 좋은 술1.5잔에 함께 술이 마를 때까지 졸여서 누렇게 볶은 소금 전갈 각 3돈 시호2돈 감초구운 것 천련자 정향 목향 승마 각 1돈, 현호색4돈을 넣어 함께 곱게 가루내어 술을 넣은 밀가루 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식초를 묽게 탄 물로 50-70알씩 먹는다.(동원)
固眞丸고진환
治白帶久不止, 臍腹冷痛. 乾薑 四兩, 龍骨ㆍ當歸 各二兩, 柴胡ㆍ白石脂 各一兩, 黃柏ㆍ白芍藥 各五錢. 右爲末, 麪糊和丸梧子大, 白湯下二三十丸, 以飯壓下. 《入門》
백대하가 오래되어 멎지 않고 배꼽 부위가 차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건강4냥 용골 당귀 각 2냥, 시호 백석지 각 1냥 황백 백작약 각 5돈을 가루내어 밀가루 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20-30알씩 먹고 밥을 먹어 내려 보낸다.(입문)
桂附湯계부탕
治白帶腥臭, 多悲不樂, 大寒之證. 附子(炮) 三錢, 肉桂 一錢, 黃柏ㆍ知母 各五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東垣》
백대하에서 비린내가 나고 자주 슬퍼하며 즐거워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한이 심한 증상이다. 부자습지에 싸서 구운 것3돈 육계1돈 황백 지모 각 5푼을 썰어서 1첩을 만들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芩朮樗皮丸금출저피환
治孕婦白帶. 黃芩ㆍ白朮 各三錢, 樗根白皮ㆍ白芍藥ㆍ山茱萸 各二錢半, 白芷ㆍ黃連 各二錢, 黃柏 一錢. 右爲末, 酒糊和丸梧子大, 白湯下五十丸. 孕婦帶下, 專是濕熱也. 《入門》
임산부의 백대하를 치료한다. 황금 백출 각 3돈 저근백피 백작약 산수유 각 2.5돈 백지 황련 각 2돈, 황백1돈을 썰어 술을 넣어 쑨 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50알씩 먹는다. 임산부의 대하는 오로지 습열 때문이다.(입문)
琥珀朱砂丸호박주사환
治室女經水初下, 一時驚悸, 或感風冷, 以致經水止, 而卽患帶下. 琥珀ㆍ木香ㆍ當歸ㆍ沒藥 各四錢, 乳香 一錢, 麝香ㆍ朱砂 各二分半. 右爲末, 水丸芡實大, 每一丸, 溫酒磨服. 《入門》
처녀가 달거리를 처음 할 때 일시적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풍냉을 받아 달거리가 멎게 되어 곧 대하를 앓는 것을 치료한다. 호박 목향 당귀 몰약 각 4돈 유향1돈 사향 주사 각 2.5푼을 가루내어 물로 검실가시연꽃 씨앗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1알씩 따뜻한 술로 갈아 먹는다.(입문)
吐下療白帶토하요백대
一婦人病白帶, 如水漏下, 臭穢不可近. 戴人曰, 此帶濁水, 本熱乘大陽經, 其寒水不禁固, 故如此也. 夫水自高趨下, 宜先絶其上源. 乃以瓜蔕散涌痰二三升. 次日服導水丸下汚水十餘行, 三遍, 汗出周身. 至明朝, 病人云, 汚已大下矣. 次用寒涼之藥, 服及半載, 生一男. 《子和》
어떤 부인이 백대하를 않아 물 흐르듯 새어 나오고 냄새가 심해 가까이 갈 수가 없었다. 대인이, 이 탁한 물과 같은 대하는 본래 열이 태양경에 올라서 한수가 굳게 지키지 못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것이다.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므로 먼저 위의 근원을 끊어야 한다. 곧 과체산으로 담을 2-3되 토하게 하고 다음 날 도수환을 먹여 더러운 물을 10여 번 나오게 했다. 이를 3번 하니 땀이 온몸에서 났다. 다음 날 아침에 환자가, 더러운 것이 이미 많이 나왔다고 했다. 그 다음에 차가운 약을 썼는데 복용 후 반 년 만에 남자 아이를 낳았다고 했다.(자화)
一方다른 처방
名曰白芷丸. 治帶下, 腸有敗膿, 淋露不已, 腥穢殊甚, 遂至臍腹更增冷痛. 此爲敗膿血所致, 須以此排膿. 單葉紅蜀葵根 二兩, 白芷 一兩, 白芍藥ㆍ白礬(枯) 各五錢. 右爲末, 蠟丸梧子大, 空心, 米飮下十五丸. 竢膿盡, 別以他藥補之. 如無葵根, 以蘇木節代之. 《入門》《本草》
백지환이라고도 한다. 대하를 치료한다. 장에 썩은 고름이 있어 계속 찔끔거리고 비린내가 워낙 심하고, 결국 배꼽 부위에 냉통이 심해지는 것은 썩은 고름 때문이다. 모름지기 이 약으로 고름 빼내야 한다. 단엽붉은 접시꽃 뿌리2냥 백지11냥 백작약 백반구운 것 각 5돈을 가루내어 황랍으로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미음으로 15알씩 먹는다. 고름이 다 나오면 따로 다른 약으로 보한다. 접시꽃 뿌리가 없으면 소목의 마디로 대신한다.(입문)(본초)
五色帶下
五崩何等類. 師曰, 白崩者, 形如涕, 赤崩者, 形如絳, 黃崩者, 形如爛瓜, 靑崩者, 形如藍色, 黑崩者, 形如衃血也. 《脉經》
5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스승께서, 백붕은 콧물 같고, 적붕은 붉은 비단 같으며, 황붕은 문드러진 오이 같고, 청붕은 남색이고, 흑붕은 어혈 같다고 하셨다.(맥경)
五色帶下, 由傷肝則靑如泥色, 傷心則赤如紅津, 傷肺則白如鼻涕, 傷脾則黃如爛瓜, 傷腎則黑如衃血. 《入門》
오색대하는, 간을 상하면 진흙처럼 퍼렇고, 상심하면 붉은 진액처럼 붉고, 폐를 상하면 콧물처럼 희고, 비가 상하면 문드러진 오이처럼 누렇고, 신이 상하면 어혈처럼 꺼멓다.(입문)
所下五色, 各應五藏, 五藏俱虛, 五色倂下, 是皆血之爲病也. 《得效》
대하의 5색은 각기 오장에 상응하므로 오장이 모두 허하면 오색의 대하가 함께 나온다. 이는 모두 혈이 병이 된 것이다.(득효)
五色帶下, 宜胃風湯方見大便ㆍ五積散方見寒門, 去麻黃, 加荊芥穗, 伏龍肝散方見上ㆍ溫淸飮ㆍ地楡散ㆍ香附散.
오색대하에는 위풍탕처방은 대변을 보라 오적산처방은 한문을 보라에서 마황을 빼고 형개수를 넣어 쓰거나, 복룡간산처방은 앞을 보라 온정음 지유산 향부산을 써야 한다.
溫淸飮온청음
治崩漏不止, 五色相雜, 面黃腹痛, 寒熱往來. 一名解毒四物湯. 方見上
붕루가 멎지 않고 오색이 섞여 있으며 안색이 누렇고 배가 아프며 한열이 오락가락하는 것을 치료한다. 해독사물탕이라고도 한다처방은 위를 보라.
地楡散지유산
治漏下五色, 黃瘦虛竭. 地楡三兩, 剉, 醋一升煮十餘沸, 空心, 熱服一合. 《入門》
오색 대하가 나오고 몸이 누렇게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지유3냥을 썰어 식초1되에 10여 번 끓여서 한 홉씩 빈속에 뜨겁게 먹는다.(입문)
香附散향부산
治五色崩漏. 香附子(去毛擣碎, 醋煮半日, 焙), 爲末, 每二錢, 米飮調下, 空心, 神效. 《本事》
오색 대하와 붕루를 치료한다. 향부자털을 없애고 찧어 부숴 식초에 한나절 동안 졸일 후 불에 쬐어 말린 것을 가루내어 매번 2돈씩 미음에 타서 빈속에 먹으면 신효하다.(본사)
寒入血室한입혈실
月經不通, 遶臍寒疝痛, 其脉沈緊, 此由寒氣客於血室, 血凝不行, 所以作痛. 宜桂枝桃仁湯.
달거리가 나오지 않고 배꼽 주위가 차고 산통이 있으며 맥이 침기한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한기가 혈실에 들어가 혈이 뭉쳐 흐르지 못해서 아픈 것이다. 계지도인탕을 써야 한다.
桂枝桃仁湯계지도인탕
桂枝ㆍ赤芍藥ㆍ生乾地黃(酒洗) 各二錢, 甘草(灸) 一錢, 桃仁 三十箇. 右剉, 作一貼, 入生薑 三片, 棗 二枚, 水煎溫服. 《丹心》
계지 적작약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각 2돈, 감초구운 것1돈 도인 30개를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대추2개를 넣고 물에 달여 따뜻하게 먹는다.(단심)
瑞金散亦良.方見上
서금산도 좋다.처방은 위를 보라.
熱入血室열입혈실
婦人傷寒發熱, 經水適來適斷, 晝日明了, 夜則譫語, 如見鬼狀, 此爲熱入血室, 宜用柴胡破瘀湯, 或調經湯. 《仲景》
부인이 상한으로 열이 나는데 달거리가 마침 오면서 때마침 끊어지고, 낮에는 의식이 뚜렷한데 밤만 되면 귀신을 본 것처럼 헛소리를 하는 것은 열이 혈실에 들어가서다. 시호파어탕을 써야 한다.(중경)
柴胡破瘀湯시호파어탕
治熱入血室, 及蓄血證. 柴胡 二錢, 黃芩ㆍ半夏ㆍ赤芍藥ㆍ當歸ㆍ生地黃 各一錢, 桃仁ㆍ五靈脂ㆍ甘草 各五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入門》
열이 혈실에 들어간 것과 축혈증을 치료한다. 시호2돈 황금 반하 적작약 당귀 생지황 각 1돈, 도인 오령지 감초 각 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調經湯조경탕
治熱入血室. 柴胡ㆍ生地黃 各一錢半, 赤芍藥ㆍ當歸ㆍ黃芩 各一錢, 半夏ㆍ人參ㆍ川芎ㆍ甘草 各五分. 右剉, 作一貼, 入薑 三片, 棗 二枚, 水煎服. 《海藏》
열이 혈실에 들어간 것을 치료한다. 시호 생지황 각 1.5돈, 적작약 당귀 황금 각 1돈, 반하 인삼 천궁 감초 각 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대추2개를 넣고 물에 달여서 먹는다.(해장)
此方, 乃小柴胡湯, 與四物湯合劑也.
이 처방은 소시호탕과 사물탕을 합해 조제한 것이다.
經斷復行경단복행
婦人四十九歲已後, 天癸當住, 每月却行, 或過多不止, 宜芩心丸ㆍ子芩丸ㆍ當歸散ㆍ加味四物湯. 《綱目》
부인이 49세가 된 뒤에는 천계가 당연히 멈추어야 한다. 매달 달거리를 하거나 양이 많아지고 멎지 않으면 금심환 자금환, 당귀산 가미사물탕을 써야 한다.(강목)
芩心丸금심환
治婦人, 天癸過後復行, 或漏下不止. 條黃芩 二兩(泔浸一作醋浸一日灸乾, 又浸又灸, 如此七次), 爲末, 醋糊和丸梧子大, 每七十丸, 空心, 溫酒送下, 日二服. 《瑞竹》
부인이 천계가 지난 후에도 다시 달거리를 하거나 누하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황금가지2냥식초에 담근다고 한 곳도 있음. 하루 동안 담갔다가 구워 말리고, 또 담갔다가 굽기를 7번 함을 가루내어 식초를 넣어 쑨 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리고 환을 지어 매번 70알씩 빈속에 따뜻한 술로 하루에 2번 먹어서 내려보낸다.(서죽)
子芩丸자금환
治同上. 條黃芩 四兩(剉, 醋浸透, 紙裹煨, 七次), 當歸(酒洗)ㆍ香附米(醋炒) 各二兩. 右爲末, 醋糊和丸梧子大, 空心, 酒下五七十丸. 《醫鑑》
위와 같은 것을 치료한다. 황금가지4냥썰어서 식초에 충분히 밸 정도로 담갔다가 총이로 싸서 잿불에 묻어 굽기를 7번 한 것 당귀술로 씻을 것 향부미식초에 축여 볶은 것 각 2냥을 썰어서 식초로 쑨 풀로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50-70알씩 술로 먹는다.(의감)
當歸散당귀산
治婦人天癸已過期, 經脉不勻, 或三四月不行, 或一月再至, 腰腹疼痛. 內經云, 七損八益. 謂女子七數盡, 而經不依時者, 血有餘也. 不可止之. 但令得依時, 不腰痛爲善. 當歸ㆍ川芎ㆍ白芍藥(炒)ㆍ條黃芩(炒) 各一兩, 白朮 五錢. 右爲末, 每服二錢, 空心, 酒調下, 日二. 《本事》
부인이 이미 달거리가 끊어질 나이가 지나서도 경맥이 고르지 못하여 3-4개월 동안 달거리가 없거나 한 달에 두 번 달거리를 하면서 허리와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내경에, 칠손팔익이라 했으니, 이는 여자가 49세가 되어 달거리가 때에 맞지 않게 나오는 것을 말한 것으로 혈이 남아돌아서니 억지로 멎게 해서는 안 된다. 다만 제때에 나오도록 해주고 허리가 아프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당귀 천궁 백작약볶은 것 황금가지볶은 것 각 1냥, 백출5돈을 가루내어 매번 2돈씩 빈속에 술에 타서 하루에 2번 먹는다.(본사)
良方, 有山茱萸 一兩半.
양방에는 산수유 1.5냥이 더 들어가 있다.
加味四物湯가미사물탕
治經斷後多年, 忽然再行, 遂成崩漏, 腹痛寒熱. 四物湯四錢, 加人參ㆍ吳茱萸 各一錢. 右剉, 作一貼, 入薑 三片, 棗 二枚, 水煎服. 《得效》
달거리가 끊어진 지 여러 해가 지났는데 갑자기 다시 달거리를 해서 마침내 붕루가 되고 배가 아프며 한열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사물탕4돈에 인삼 오수유 각 1돈을 넣고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대추2개를 넣어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單方단방
凡四十一種.
모두 41종이다.
伏龍肝복룡간
卽竈心土也. 主婦人崩中帶下, 爲止血之聖藥. 盖燥可去濕也. 《湯液》
아궁이의 가마솥 밑에 있는 흙이다. 주로 부인의 붕중과 대하에 쓰니 지혈의 성약이다. 조한 것이 습을 없앨 수 있어서다.(탕액)
治血露. 蚕沙ㆍ阿膠 各一兩, 伏龍肝 半兩, 同爲末, 溫酒調下二錢. 《本草》
혈로를 치료한다. 잠사 아교 각 1냥, 복룡간반냥을 함께 가루내어 2돈씩 따뜻한 술에 타서 먹는다.(본초)
百草霜백초상
治血崩.
혈붕을 치료한다.
百草霜末二錢, 狗膽汁拌勻, 分作兩服, 以當歸酒調下. 《本草》
백초상 가루2돈을 개의 쓸개즙과 고루 섞어서 2번에 나누어 먹는데 당귀술에 타서 먹는다.(본초)
芒硝朴硝망초박초
幷治月候不通血閉, 癥瘕. 取末一錢, 醋湯下, 空心. 《本草》
달거리가 나오지 않아 혈이 멎거나 징가를 치료한다. 가루내어 1돈씩 식초를 탄 물로 빈속에 먹는다.(본초)
乾地黃건지황
治胞漏下血. 或煎服, 或丸服幷佳. 《本草》
누하를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益母草익모초
治赤白帶下. 花開時採擣爲末, 空心, 酒調二錢, 日三服. 《本草》
적백대하를 치료한다. 꽃이 필 때 캔 것을 찧어서 가루내어 2돈씩 술에 타서 빈속에 하루 3번 먹는다.(본초)
蒲黃포황
止崩漏, 及赤白帶下. 炒取二錢, 溫水調服, 或丸服. 《本草》
붕루와 적백대하를 멎게 한다. 볶은 것을 2돈씩 따뜻한 물에 타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當歸당귀
主崩漏, 及月水不利. 煎服, 末服幷佳. 《本草》
주로 붕루와 달거리가 잘 나오지 않는 데 쓴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血積, 當歸四錢, 乾漆三錢, 爲末, 蜜丸, 酒下十五丸. 《良方》
혈적에 당귀4돈 건칠3돈을 가루내어 꿀로 환을 지어 술로 15알씩 먹는다.(양방)
黃芩황금
下血閉, 治淋露下血. 《本草》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과 누하를 치료한다.(본초)
血崩, 黃芩爲末二錢, 以燒稱錘淬酒調下, 空心. 《良方》
혈붕에는 황금가루2돈을 불에 달군 저울추를 담갔던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양방)
芍藥작약
治血閉不通. 煎服, 末服, 丸服幷佳. 《本草》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白芷백지 구릿대 뿌리
治崩漏, 及赤白帶下. 煎服, 末服皆佳. 《本草》
붕루와 적백대하를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赤白帶, 白芷一兩, 烏賊魚骨二箇, 燒胎髮一團煅, 右爲末, 空心, 酒下二錢. 《良方》
적맥대하에는 백지1냥 오적어골2개 갓 태어난 아이의 머리카락1묶음을 불에 태운 것을 가루내어 빈속에 술로 2돈씩 먹는다.(양방)
酸漿草산장초 꽈리의 뿌리
治赤白帶下. 陰乾爲末, 空心, 酒下二錢. 《本草》
적백대하를 치료한다. 그늘에 말려 가루내서 빈속에 술로 2돈씩 먹는다.(본초)
地楡지유 오이풀 뿌리
主帶下十二病. 一曰多赤, 二曰多白, 三曰月水不通, 四曰陰蝕, 五曰子藏堅, 六曰子門僻, 七曰合陰陽患痛, 八曰小腹寒痛, 九曰子門閉, 十曰子宮冷, 十一曰夢與鬼交, 十二曰五藏不定. 又治崩漏不止. 煎服, 末服幷佳. 《本草》
주로 대하 12병에 쓴다. 1은 많이 붉은 것 2는 많이 흰 것 3은 달거리가 통하지 않는 것 4는 음식창 5는 자궁이 굳는 것 6은 자궁의 입구가 비뚤어진 것 7은 성교할 때 아픈 것 8은 아랫배가 차고 아픈 것 9는 자궁의 입구가 막힌 것 10은 자궁이 찬 것 11은 꿈에 귀신과 교접하는 것 12는 오장이 안정되지 않은 것이다. 또 봉루가 멎지 않는 것도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赤白帶, 骨立者, 地楡一斤, 剉, 水熬成膏, 空心服二合, 日二. 《良方》
적백대하에 뼈만 앙상하게 남았을 때는 지유1근을 썰어서 물에 졸여 고약을 만들어 빈속에 2홉씩 하루 2번 먹는다.(양방)
芎藭궁궁
治崩漏. 煎服, 末服幷佳. 《本草》
붕루를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治血崩, 取一兩, 剉, 酒五盞煎至一盞, 去滓, 下生地黃汁一盞, 再煎二三沸, 分三服. 《良方》
혈붕을 치료한다. 1냥을 취하여 썰어서 술5잔에 졸여 한 잔을 만들고 찌꺼기를 제거하고 생지황즙1잔을 넣고 다시 두세 번 끓어오를 동안 달여서 3번에 나누어 먹는다.(양방)
艾葉애엽
主崩漏, 及帶下. 煎服之.
붕루와 대하에 주로 쓴다. 달여서 먹는다.
血崩, 熟艾雞子大, 阿膠珠五錢, 乾薑炮黑一錢, 同煎服. 《本草》
혈붕에는 묵힌쑥계란 노른자 만큼 아교주5돈 건강습지에 싸서 검게 구운 것 1돈을 함께 달여 먹는다.(본초)
大薊小薊대계소계 엉겅퀴와 조뱅이
幷主崩漏, 及赤白帶, 擣取汁服. 《本草》
다 붕루와 적백대하를 주로 치료한다. 찧어서 즙을 내어 먹는다.(본초)
血崩, 取根五兩, 茅根三兩, 酒煮服. 《良方》
혈붕에는 뿌리5냥 모근3냥을 술에 달여 먹는다.(양방)
牡丹皮모란피
主月經不通. 煎服, 末服幷佳. 《本草》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데 주로 쓴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三稜삼릉
通月經, 破血瘕. 煎服, 末服, 丸服幷佳. 《本草》
달거리를 통하게 하고 혈가를 깨뜨린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玄胡索현호색
主月經不調, 崩中, 淋露. 煎服, 末服, 丸服幷佳. 《本草》
달거리가 고르지 않거나 피가 쏟아지거나 찔끔거리는 데 주로 쓴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大黃대황
主血閉脹, 及諸老血留結成瘕. 煎服, 丸服幷佳. 《本草》
달거리가 막혀서 부풀어 오른 것이나 오래된 피가 뭉쳐 가가 된 데 주로 쓴다. 달여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桑木耳상목이
主月水不調, 崩中帶下, 月閉血凝. 酒煎服, 或燒爲末, 酒服二錢.
달거리가 고르지 않거나 붕중 대하가 있거나 달거리가 나오지 않고 피가 엉킨 데 주로 쓴다. 술에 달여 먹거나 태워 가루내서 2돈씩 술에 타서 먹는다.
槐木耳亦同. 《本草》
회화나무 버섯도 같다.(본초)
蕎麥麪교맥변 메밀가루
治赤白帶下, 不拘多少, 以雞子淸和丸, 白湯, 空心下. 三五十丸卽愈. 《回春》
적백대하를 치료한다. 적당량을 달걀 흰자와 반죽해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빈속에 35알씩 먹으면 즉시 낫는다.(회춘)
樗根白皮저근백피 가죽나무 뿌리 껍질
治崩漏, 及赤白帶. 取白根切一大握, 水一升煮, 分二服. 或爲末, 蜜丸服亦佳. 《回春》
붕루와 적백대하를 치료한다. 크게 흰 뿌리1줌을 썰어 물1되를 달여서 2번에 나누어 먹는다. 가루내어 꿀로 환을 지어 먹어도 좋다.(회춘)
橡實殼상실각 도토리 껍질
主崩中帶下. 燒灰和米飮服.
붕중 대하에 주로 쓴다. 불에 태운 재를 미음에 타서 먹는다.
取殼, 與蒼耳, 燒爲末, 以加白芷ㆍ乾薑(炮), 四物湯調下. 《正傳》
껍질을 창이와 함께 태워서 가루낸 후 백지 건강습지에 싸서 구운 것을 사물탕에 타서 먹는다.(정전)
棕櫚皮종려피
治崩漏帶下. 燒灰與白礬(枯)爲末, 酒服二錢. 又與絲瓜燒灰, 等分爲末, 鹽湯調下. 《本草》
붕루 대하를 치료한다. 태운 재와 백반구운 것을 가루내어 2돈씩 술로 먹는다. 또 수세미오이를 태운 재와 같은 양으로 가루내어 소금물에 타서 먹는다.(본초)
牡蠣모려 굴조개 껍질
治崩漏, 及赤白帶下. 取粉醋調作丸, 再煆硏細, 却用艾醋湯熬膏和丸, 艾醋湯下五十丸. 《綱目》
붕루와 적백대하를 치료한다. 가루를 식초에 타서 환을 만들고 다시 불에 달구어 곱게 간 다음 이것을 쑥과 식초를 달인 물에 졸여 만든 고약으로 반죽하여 환을 지어서 쑥과 식초를 달인 물로 50알씩 먹는다.(강목)
鱉甲별갑 자라 등딱지
治漏下五色, 羸瘦. 灸黃爲末, 酒下一錢. 又取鱉肉作羹, 常食之佳. 《本草》
오색대하로 몸이 마르는 것을 치료한다. 누렇게 구워서 가루내어 1돈씩 술로 먹는다. 또 자라고기로 국을 끓여 늘 먹어도 좋다.(본초)
蚕退紙잠퇴지 누에가 갓 깐 누에알껍질이 붙어 있는 종이
主崩漏帶下. 燒爲末, 米飮調服. 《本草》
붕루 대하에 주로 쓴다. 태워서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먹는다.(본초)
烏賊魚骨오적어골 갑오징어 뼈
治血枯. 又通月經, 療血崩血漏. 爲末, 丸服, 或末服皆佳. 《本草》
혈고를 치료하며, 달거리를 통하게 하여 붕루를 치료한다. 가루내어 환을 지어 먹거나 가루로 먹은데 다 좋다.(본초)
鰻鱺魚만리어 뱀장어
療婦人帶下百病. 作羹食, 或燒食皆佳. 《本草》
부인의 대하와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국을 끓여 먹거나 구워서 먹는데 다 좋다.(본초)
牡鼠屎모서시 숫쥐의 똥
治室女月水不通. 燒灰爲末, 酒下一錢, 神效. 勿令知. 《本草》
처녀의 달거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불에 태운 재를 가루내어 1돈씩 술로 먹으면 신효한데 무엇을 먹는지 알려서는 안 된다.(본초)
䖟蟲맹충 등에
主室女月水不通, 逐瘀血, 散積血, 破血閉. 去翅足, 炒爲末, 醋湯調下, 或丸服之. 《本草》
처녀의 달거리가 나오지 않은 데 주로 쓴다. 어혈을 몰아내고 적혈을 흩뜨리고 혈폐를 깨뜨린다. 날개와 다리를 떼고 볶아서 가루내어 식초를 탄 물에 타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水蛭수질 거머리
治同上. 破血最良. 須切斷, 同石灰再三炒爲末. 或末服, 或丸服. 《本草》
위와 같은 병을 치료한다. 어혈을 깨뜨리는 데 가장 좋다. 반드시 잘라서 석회와 함께 두세 번 볶아서 가루내어 가루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五靈脂오령지 날다람쥐의 똥
行經血有功, 治血崩不止, 及赤白帶下. 半生半炒爲末, 酒下一錢, 或丸服之. 《丹心》
달거리가 잘 나오게 한다. 혈붕이 멎지 않는 것이나 적백대하를 치료한다. 반은 생것을, 반을 볶은 것을 1돈씩 술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단심)
荊芥穗형개수
治崩漏不止. 燒存性爲末, 每二錢, 童尿調下. 《良方》
붕루가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가루내어 2돈씩 아이 오줌에 타서 먹는다.(양방)
蜀葵花촉규화 접시꽃
赤花治赤帶, 白花治白帶. 爲末, 溫酒下二錢.
붉은 꽃은 적대화를, 흰 꽃은 백대하를 치료한다. 가루내어 따뜻한 술로 2돈씩 먹는다.
單葉紅蜀葵根, 治帶下, 排膿血, 極驗. 《本草》
단엽의 붉은 접시꽃 뿌리는 대하를 치료하고 피고름을 빼는 데 효과가 아주 좋다.(본초)
水芹수근 미나리
療崩漏帶下. 作虀葅, 或煮, 或生食, 幷佳. 《本草》
붕루와 대하를 치료한다. 절여서 먹거나 달여 먹거나 날것으로 먹는데 다 좋다.(본초)
鹿角膠녹각교
主崩漏, 赤白帶下. 炒爲末, 酒下二錢, 或丸服, 或煮服良. 《本草》
붕루와 적백대하에 주로 쓴다. 볶아서 가루내어 2돈씩 술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거나 달여 먹어도 좋다.(본초)
鹿茸녹용
治崩漏, 赤白帶下. 灸爲末, 酒服一錢, 或丸服之. 《本草》
붕루와 적백대하를 치료한다. 구워서 가루내어 1돈씩 술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鹿角, 燒灰服亦佳.
녹각 태운 재를 먹어도 좋다.
雀肉작육 참새고기
治血崩帶下. 或燒食, 或作煎食之. 《本草》
혈붕 대하를 치료한다. 구워서 먹거나 달여 먹는다.(본초)
牛角䚡우각새 소뿔 가운데의 육질 부분
止血崩不止, 及赤白帶下. 燒灰, 酒下二錢, 或作丸服. 《本草》
혈붕이 멎지 않는 것과 적백대하를 멎게 한다. 태운 재를 2돈씩 술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黃狗頭骨황구두골
主崩漏, 及赤白帶下. 燒爲末, 酒下一錢, 或作丸服之.
붕루와 적백대하에 주로 쓴다. 태워서 가루내어 1돈씩 술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
陰莖及陰卵, 主帶下十二疾. 燒作末, 酒服一錢, 或丸服之. 《本草》
음경과 고환은 대하 12가지 병에 주로 쓴다. 태워서 가루내어 1돈씩 술로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본초)
鍼灸法침구법
月經不調, 取陰獨ㆍ中極ㆍ三陰交ㆍ腎兪ㆍ氣海. 《綱目》
달거리가 순조롭지 않으면 음독 중극 삼음교 신수 기해를 취한다.(강목)
月經斷絶, 取中極ㆍ三陰交ㆍ腎兪ㆍ合谷ㆍ四滿ㆍ三里. 《綱目》
달거리가 끊어지면 중추 삼음교 신수 합곡 사만 삼리를 취한다.(강목)
崩漏不止, 取血海ㆍ陰谷ㆍ三陰交ㆍ行間ㆍ大衝ㆍ中極. 《綱目》
붕루가 멎지 않으면 혈해 음곡 삼음교 행간 대충 중극을 취한다.(강목)
赤白帶, 取中極ㆍ腎兪ㆍ氣海ㆍ三陰交ㆍ章門, 行間.
적대하에는 중극 신수 기해 삼음교 장문 행간을 취한다.
赤白帶, 帶脉穴灸之最奇. 一女患此, 灸此穴, 鬼附身云, 灸着我, 我卽去, 俄而卽差. 《資生》
적대하에는 대맥혈에 뜸을 뜨는 것이 가장 좋다. 어떤 여자가 이 병을 앓아서 이 혈에 뜸을 떴더니 몸에 붙어 있던 귀신이, 뜸이 나에게 붙으니 나는 즉시 떠나야겠다고 했다. 잠시 후 곧 병이 나았다.(자생)
崔氏四花穴, 治帶下如神. 《綱目》
최씨사화혈이 대하를 치료하는 데 신효하다.(강목)
赤帶, 取中極ㆍ氣海ㆍ委中.
적대하에는 중극 기해 위증을 취한다.
白帶, 取曲骨ㆍ承陰ㆍ中極. 《綱目》
백대하에는 곡골 승음 중극을 취한다.(강목)
經斷久, 忽大崩下, 取豊隆ㆍ石門ㆍ天樞ㆍ中脘ㆍ氣海. 《綱目》
달거리가 오랫동안 끊어졌다가 갑자기 하혈을 많이 하면 풍륭 석문 천추 중완 기해를 취한다.(강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