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焦腑삼초부
三焦形象삼초형상
上焦如霧, 中焦如漚, 下焦如瀆. 《靈樞》
상초는 안개 같고 중초는 거품 같고 하초는 도랑 같다.(영추)
上焦主出陽氣, 溫於皮膚分肉之間, 若霧露之漑焉, 故曰上焦如霧.
상초는 양기를 주로 내보내어 살갗과 분육 사이를 따뜻하게 한다. 안개와 이슬이 적셔 주는 것과 같아서 상초를 안개 같다고 한 것이다.
中焦主變化水穀之味, 其精微上注於肺, 化而爲血, 行於經隧, 以榮五藏周身, 故曰中焦如漚.
중초는 수곡의 맛을 주로 변화시켜 정미한 것을 폐로 올려보내고 혈로 바꾸어 경수로 보내어 오장과 두루 몸에 영양을 공급하므로 중초를 거품과 같다고 한 것이다.
下焦主通利溲便, 以時傳下, 出而不納, 開通秘塞, 故曰下焦如瀆. 《入門》
하초는 소변을 소통시켜 때에 맞춰 내려보낸다. 나가기만 하고 받아들이지 않으며 막힌 것을 열어 주어서 하초를 도랑과 같다고 한 것이다.(입문)
三焦指腔子而言. 包含乎腸胃之總司也. 胸中肓膜之上, 曰上焦, 盲膜之下臍之上, 曰中焦, 臍之下, 曰下焦, 總名曰三焦. 《正傳》
삼초는 몸통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이는 장위를 포함하여 총괄하여 맡아본다. 가슴속의 황막 위를 상초라 하고, 황막 아래부터 배꼽 위를 중초라 하고, 배꼽 아래를 하초라 한다. 총괄하여 삼초라 한다.(정전)
三焦部位삼초부위
上焦者, 在心下, 下膈, 在胃上口. 主內而不出. 其治在膻中, 玉堂穴名下一寸六分, 直兩乳間陷者是.
상초는 명치 아래, 격막 아래, 위의 위쪽 입구에 있다. 주로 안에 있고 내보내지 않는다. 그 치료는 전중에 있는데 이 혈은 옥당혈명 1치6푼 아래에 있으니 곧 양 젖꼭지 사이의 움푹 들어간 곳이다.
中焦者, 在胃中脘穴名, 不上不下. 主腐熟水穀, 其治在臍傍.
중초는 위중완혈명에 있어서 위도 아래도 아니다. 수곡을 삭히는 일을 주로 하는데 그 치료법은 배꼽 옆에 있다.
下焦者, 在臍下, 當膀胱上口. 主分別淸濁, 主出而不納, 以傳導也. 其治在臍下一寸. 《難經》
하초는 배꼽 아래 방광의 위쪽 입구에 해당하는 부위다. 주로 청탁을 분별하는데 주로 내보기만 하고 받아들이지는 않아서 전해 주기만 한다. 그 치료처는 배꼽 아래 1치 되는 곳이다.(난경)
頭至心爲上焦, 心至臍爲中焦, 臍至足爲下焦. 《海藏》
머리에서 가슴까지는 상초고, 가슴에서 배꼽까지는 중초고, 배꼽에서 발까지는 하초다.(해장)
三焦之府, 在氣衝穴名, 氣衝乃陰陽道路, 足陽明之所發, 主腐熟水穀之氣. 三焦發用, 貫通十二經絡往來上下, 營運氣血, 是知氣衝爲三焦行氣之府也. 《入門》
삼초의 부는 기충혈명에 있다. 기충은 곧 음양의 길이고 족양명의 기가 퍼지는 곳으로 주로 수곡의 기를 삭힌다. 삼초의 기가 퍼지면 12경락을 관통하여 오르내리며 위아래로 기혈을 돌려주게 되니 기충이 삼초를 위하여 기를 돌려주는 부임을 알 수 있다.(입문)
上中下三焦通爲一氣, 衛於身也. 三焦非正府也, 無形而有用. 《東垣》
상중하 삼초는 하나의 기로 관통하여 몸을 지킨다. 삼초는 진정한 의미의 장부가 아니어서 형태는 없고 작용만 있다.(동원)
三焦傳受삼초전수
上焦出於胃上口, 幷咽以上, 貫膈而布胸中, 走腋, 循太陰之分而行, 還至陽明, 上至舌, 下足陽明, 常與榮俱行於陽二十五度, 行於陰亦二十五度, 爲一周, 而復大會於手太陰, 命曰衛氣也.
상초의 기는 위의 위쪽 입구에서 나와 목구멍을 따라 위로 올라가 격막을 뚫고 가슴속에 퍼지며, 겨드랑이로 가서 순태음을 나누어 운행한 후 다시 양명에 이른다. 위로 혀에 이르렀다가 아래로 족양명에 내려가 늘 영기와 함께 양분에서 25번 운행하고 음분에서도 25번 운행하여 일주를 하고서 다시 수태음에서 크게 모인다. 그래서 이것을 위기라 한다.
中焦亦幷胃中, 出上焦之後. 此所受氣者, 泌糟粕, 蒸津液, 化其精微, 上注於肺脉, 乃化而爲血, 以奉生身, 莫貴於此. 故獨得行於經隧, 命曰榮氣.
중초의 기 역시 위 속에서 함께 상초의 뒤로 나온다. 이는 받은 기의 찌꺼기를 걸러내고 진액을 쪄서 정미한 기로 변화시켜 위로 폐맥에 들여보내 변화시켜서 혈이 되게 한다. 그래서 몸을 봉양하니 이보다 귀중한 것이 없다. 그러므로 유독 중초만 경수로 다닐 수 있을 뿐이어서 영기라고 한다.
下焦者, 別迴腸, 注於膀胱而滲入焉. 故水穀者, 常幷居於胃中, 成糟粕而俱下於大腸, 而成下焦, 滲而俱下, 濟泌別汁, 循下焦而滲入膀胱焉. 《靈樞》
하초의 기는 장에서 별도로 갈라져서 방광에 주입되어 스며든다. 그래서 수곡은 늘 위 속에 함께 있어서 찌꺼기를 이루어 함께 대장으로 내려가 하초가 되어 스며들어 내려가는데 여과하여 즙을 분별해서 하초를 돌아 방광으로 스며든다.(영추)
上焦如霧者氣, 下焦如瀆者血也, 中焦者, 氣血之分也. 《東垣》
상초는 안개와 같아서 기고 하초는 도랑과 같아서 혈이다. 중초는 기와 혈이 나뉘는 곳이다.(동원)
心肺若無上焦, 何以宗主榮衛, 脾胃若無中焦, 何以腐熟水穀, 肝腎若無下焦, 何以疏決津液. 無形而有用, 主持諸氣, 三焦者, 水穀之道路, 氣之所終始也. 《入門》
만약 상초가 없다면 심폐가 어떻게 영위를 주관할 수 있고, 중초가 없다면 비위가 어떻게 수곡을 삭힐 수 있고, 하초가 없다면 간신이 어떻게 진액을 내려보낼 수 있겠는가? 형태는 없어도 작용은 있어서 모든 기를 주관하니 삼초는 수곡의 통로이고 기가 시작되고 마치는 곳이다.(입문)
三焦外候삼초외후
鼻柱中央起, 三焦乃約. 《靈樞》
코의 중앙이 솟아 있으면 삼초가 잘 통하지 않는다.(영추)
三焦外候, 詳見膀胱府.
삼초의 외후는 방광부에 상세히 보였다.
三焦病證삼초병증
三焦病者, 腹氣滿, 小腹尤堅, 不得小便, 窘急, 溢則水, 留卽爲脹.
삼초에 병이 들면 배가 더부룩하고 아랫배가 더욱 단단해지며 오줌을 눌 수 없어 답답하게 된다. 넘치면 수종이 되고 머무르면 곧 수창이 된다.
小腹痛腫, 不得小便, 邪在三焦約也. 《靈樞》
아랫배가 붓고 아프며 오줌을 눌 수 없는 것은 사기가 삼초에 있어 잘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영추)
上焦如霧, 霧不散則爲喘滿, 此出而不納也. 中焦如漚, 漚不利則爲留飮, 留飮不散, 久爲中滿, 此上不能納, 下不能出也. 下焦如瀆, 瀆不利則爲腫滿. 此上納而下不出也. 《海藏》
상초는 안개 같아서 흩어지지 않으면 숨이 가득 차오르게 되는데 내보기만 하고 받아들이지 않어서다. 중초는 거품과 같아서 잘 흐르지 못하면 유음이 되고 흩어지지 않고 오래되면 속이 답답하게 되는데 위에서는 받아들이지 않고 아래서는 내보낼 수 없기 때문이다. 하초는 도랑과 같아서 잘 통하지 못하면 많이 붓는데 위에서는 받아들이지만 아래서는 내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해장)
下焦溢爲水. 《內經》
하초에서 넘쳐흐르면 수종이 된다.(내경)
三焦爲丙火之府, 故其發也, 爲無根之相火. 《入門》
삼초는 병화의 부여서 발동되면 뿌리가 없는 상화가 된다.(입문)
三焦病治法삼초병치법
內經曰, 三焦者, 決瀆之官, 水道出焉. 盖三焦爲上中下水穀之道路, 其病宜通利大小便.
내경에, 삼초는 도랑을 터주는 기관이어서 여기에서 수도가 나온다라 했다. 삼초는 상중하에 있는 수곡의 길이기 때문에 그 병은 대소변을 소통시켜야 한다.
宜用枳殼丸ㆍ木香檳榔丸ㆍ三和散.方見氣門
지각환 목향빈랑환 삼화산을 써야 한다.처방은 기문을 보라
枳殼丸지각환
治三焦約, 大小便不通. 枳殼 二兩, 陳皮 一兩, 檳榔 五錢, 木香 二錢半, 黑牽牛子 四兩(一半生用, 一半炒熟, 擣取頭末一兩半, 餘不用). 右爲末, 蜜丸梧子大, 薑湯下三五十丸. 《河間》
삼초가 막혀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지각2냥 진피1냥 빈랑5돈 목향2.5돈 흑견우자4냥반은 생것으로 쓰고 반은 볶은 것을 빻아서 가루내어 처음 것 1.5냥을 쓰고 나머지는 버림 이들을 가루내어 꿀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생강탕으로 3-50알씩 먹는다.(하간)
木香檳榔丸목향빈랑환
疏導三焦, 快氣潤腸. 半夏麴ㆍ皂角(酥灸去皮弦子)ㆍ郁李仁(去殼另末) 各二兩, 木香ㆍ檳榔ㆍ枳殼ㆍ杏仁ㆍ靑皮 各一兩. 右爲末, 別以皂角四兩浸漿水, 搓揉, 熬膏, 去滓, 入蜜少許和丸梧子大, 空心, 薑湯下五七十丸. 《局方》
삼초를 소통시켜 기를 잘 통하게 하고 장을 윤택하게 한다. 반하국 조각연유를 발라 구운 후 껍질과 시울을 벗기고 씨를 뺀 것 욱리인껍질을 벗기고 가루낸 것을 각기 2냥, 목향 빈랑 지각 행인 청피를 각각 1냥씩, 이것들은 가루내고, 따로 조각4냥을 좁쌀죽 윗물에 담갔다가 비비고 주무른 후 졸여서 고약을 만들고 찌꺼기를 버린다. 여기에 꿀을 조금 넣고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빈속에 생강탕으로 5-70알씩 먹는다.(국방)
單方단방
凡十三種.
모두 13종이다.
黃芪황기
補三焦, 實衛氣, 是上中下內外三焦之藥也. 水煎服之. 《湯液》
삼초를 보하고 위기를 튼튼하게 한다. 상중하와 내외 삼초의 약이다. 물에 달여서 먹는다.(탕액)
燕覆子연복자 으름덩굴의 열매
除三焦客熱. 取熟者食之. 《本草》
삼초에 들어온 열을 없앤다. 익은 것을 취해서 먹는다.(본초)
牛髓우수
平三焦. 以酒和服. 《本草》
삼초를 고르게 한다. 술에 타서 먹는다.(본초)
益智仁익지인
安三焦. 末服, 丸服幷佳. 《本草》
삼초를 안정시킨다.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脂麻油지마유
下三焦熱毒氣. 單取飮之. 《本草》
삼초의 열과 독기를 내린다. 단독으로 취하여 마신다.(본초)
甛瓜첨과 참외
通三焦間壅塞氣. 熟者食之. 《本草》
삼초 사이의 막힌 기를 통하게 한다. 익은 것을 먹는다.(본초)
人參인삼
補上焦元氣. 煎服, 末服, 丸服幷佳. 《湯液》
상초의 원기를 보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지어 먹는데 다 좋다.(탕액)
黃狗肉황구육
實下焦. 煮爛, 和五味食之. 《本草》
하초를 실하게 한다. 푹 삶은 후 양념을 해서 먹는다.(본초)
鶉肉순육 메추라기 고기
同酥煎食, 偏令人下焦肥. 《本草》
연유와 함께 달여 먹으면 사람의 하초만 살찌게 한다.(본초)
靑橘청귤
治下焦冷氣. 煎服, 末服幷佳. 《本草》
하초의 냉기를 치료한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藕우 연근
蓮根也. 蒸食, 實下焦. 《本草》
연뿌리다. 쪄서 먹으면 하초를 실하게 한다.(본초)
猪腸저장
補下焦虛竭. 煮爛食, 或作羹食之. 《本草》
하초의 기가 고갈된 것을 보한다. 푹 삶아서 먹거나 국을 끓여 먹는다.(본초)
絲蓴사순 순채
安下焦. 作羹食之. 《本草》
하초를 안정시킨다. 국을 끓여 먹는다.(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