鼻코
鼻曰神廬비왈신로
黃庭經曰, 神廬之中當修治, 呼吸廬間入丹田. 神廬者, 鼻也. 乃神氣出入之門也. 《類聚》
황정경에, 콧속은 잘 닦아야 하는데, 호흡이 코에서 단전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라 했다. 신려는 코며 곧 신기가 나드는 문이다.유취
鼻爲玄牝之門戶
코는 현빈의 문이다.
老子曰, 谷神不死, 是謂玄牝. 玄牝之門, 爲天地根. 綿綿若存, 用之不勤. 何謂玄牝之門. 答曰, 鼻通天氣曰玄門, 口通地氣曰牝戶, 口鼻, 乃玄牝之門戶也. 《正理》
노자에, 곡신은 죽지 않는데 이를 현빈이라 한다. 현빈의 문은 천지의 근본으로 끊이지 않고 이어서 존재하며 아무리 써도 다하지 않는다. 무엇을 현빈의 문이라 하는가? 하고 물으니, 코는 천기와 통하니 현문이라 하고, 입은 지기와 통하니 빈호라 한다. 입과 코는 곧 현빈의 문호다라 답했다.
鼻爲肺之竅
코는 폐의 구멍이다.
內經曰, 西方白色, 入通於肺, 開竅於鼻.
내경에, 서방의 흰색이 들어와 폐와 통해 코에서 그 구멍을 연다고 했다.
肺在竅爲鼻. 《正理》
폐에는 구멍이 있는데 코다.정리
五氣入鼻, 藏于心肺, 心肺有病, 而鼻爲之不利也. 《正理》
오기는 코로 들어와서 심폐에 갈무리되니, 심폐에 병이 있으면 코가 잘 통하지 못하게 된다.정리
難經曰, 肺氣通於鼻, 肺和則鼻能知香臭矣.
난경에, 폐기는 코로 통하니 폐가 조화로우면 코가 향기와 냄새를 밭을 수 있다고 했다.
脉法맥법
左寸脉浮緩, 爲傷風, 鼻塞流涕, 右寸脉浮洪而數, 爲鼻衄, 鼻齄. 《正傳》
좌촌맥이 부완한 것은 상풍이어서 코가 막히고 콧물이 흐르며, 우촌맥이 자주 부홍하고 삭하면 코피가 나고 비사가 된다.정전
鼻淵비연
內經曰, 膽移熱於腦, 則辛頞鼻淵, 鼻淵者, 濁涕下不止也. 傳爲衄衊瞑目. 註曰, 膽液下注, 爲濁涕下不已如水泉, 故曰鼻淵也. 久而不已, 必成衄血, 失血多, 故目視瞑暗也.
내경에, 담에서 뇌에 열이 옮겨지면 콧대가 시큰거리고 비연이 되는데, 비연이란 탁한 콧물이 흘러내려 멎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변하여 코피가 되고 눈이 어두워진다고 했다. 주에, 담액이 흘러내리고 탁한 콧물이 샘물처럼 멎지 않고 흘러내려서 비연이라고 한다고 했다. 오래 그치지 않으면 반드시 코피가 나오고 피를 많이 흘리면 눈으로 보는 것이 어두워진다.
鼻淵者, 外寒束內熱之證也. 《正傳》
비연은 외한이 내열을 가두는 증상이다.정전
鼻流濁涕者, 屬風熱也. 《回春》
탁한 콧물을 흘리는 것은 풍열에 속한다.회춘
鼻淵, 宜黃連通聖散ㆍ防風湯ㆍ蒼耳散ㆍ荊芥連翹湯.
비연에는 황련통성산 방풍탕 창이산 형개연교탕을 써야 한다.
一人鼻流濁涕, 有穢氣, 脉弦小, 右寸滑, 左寸澁. 先灸上星ㆍ三里ㆍ合谷, 次以酒芩 二兩, 蒼朮ㆍ半夏 各一兩, 辛夷ㆍ細辛ㆍ川芎ㆍ白芷ㆍ石膏ㆍ人參ㆍ葛根 各五錢, 右剉分七貼, 服之全愈. 《丹溪》
어떤 이가 코에서 탁한 콧물이 흐르고 더러운 냄새가 났다. 맥은 현소한데 우촌맥은 활하고 좌촌맥은 삽하였다. 먼저 상성 삼리 합곡에 뜸을 뜬 뒤 다음에 술로 법제한 황금2냥 창출 반하 각 1냥, 신이 세신 천궁 백지 석고 인삼 갈근 각 5돈을 썰어서 7첩으로 나누어 먹였더니 완전히 나았다.단계
鼻中常流臭黃水, 甚者腦亦痛, 俗名控腦砂, 有蟲蝕腦中. 用絲瓜藤近根三五尺許, 燒存性爲末, 酒調服卽愈. 《正傳》
콧속에서 늘 냄새나는 누런 물이 흐르고 심하면 뇌까지 아픈 것을 민간에서는 공뇌사라 한다. 뇌 속에 충이 있어 파먹는 것이다. 사과등의 뿌리쪽 3-5자쯤을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가루내어 술에 타서 먹으면 낫는다.정전
黃連通聖散황련통성산
治鼻淵證, 卽風門防風通聖散, 加(酒炒)黃連ㆍ薄荷葉, 煎服. 《醫鑑》
비연증을 치료한다. 풍문의 방풍통성산에 술에 적셔 볶은 황련 박하잎을 넣어 달여 먹는다.의감
防風湯방풍탕
治鼻淵, 濁涕下不止. 防風 二兩, (酒炒)片芩ㆍ人參ㆍ川芎ㆍ麥門冬ㆍ甘草(灸) 各一兩. 右細末, 每二錢, 沸湯點服, 食後, 日三. 或剉, 取七錢, 水煎服亦可. 《河間》
비연으로 탁한 콧물이 흘러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방풍2냥 술에적셔볶은황금 인삼 천궁 맥문동 감초구운것 각 1냥을 곱게 가루내어 2돈씩 끓는 물에 타서 식후에 하루 3번 먹거나, 썰어서 7돈을 취해서 물에 달여 먹어도 좋다.하간
蒼耳散창의산
治鼻淵. 白芷 一兩, 辛夷 五錢, 蒼耳子(炒) 二錢半, 薄荷 一錢. 右末, 每二錢, 葱茶淸調下, 食後. 《三因》
비연을 치료한다. 백지1냥 신이5돈 창이자볶은것2.5돈 박하1돈을 가루내어 2돈씩 파와 차를 우린 맑은 물에 타서 식후에 먹는다.삼인
荊芥連翹湯형개연교탕
治鼻淵. 荊芥ㆍ柴胡ㆍ川芎ㆍ當歸ㆍ生地黃ㆍ赤芍藥ㆍ白芷ㆍ防風ㆍ薄荷ㆍ梔子ㆍ黃芩ㆍ䓀莄ㆍ連翹 各五分, 甘草 三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回春》
비연을 치료한다. 형개 시호 천궁 당귀 생지황 적작약 백지 방풍 박하 치자 황금 길경 연교 각 5푼, 감초3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鼻鼽비구
鼽者, 鼻流淸涕也. 《入門》
구란 코에서 맑은 물이 나오는 것이다.입문
鼻中水出曰鼽. 《內經》
코에서 물이 나오는 것을 구하고 한다.내경
傷風, 則決然鼻流淸涕. 《綱目》
상풍이면 반드시 코에서 맑은 물이 흐른다.강목
鼻流淸涕者, 屬肺寒也. 《回春》
코에서 맑은 물이 흐르는 것은 폐한에 속한다.회춘
鼻流淸涕, 宜川椒散.
코에서 맑은 물이 흐르면 천초산을 써야 한다.
鼻鼽, 二陳湯方見痰飮, 加川芎ㆍ當歸ㆍ細辛ㆍ白芷ㆍ防風ㆍ羌活ㆍ䓀莄ㆍ薄荷ㆍ生薑, 煎服, 外以細辛膏, 塞鼻中. 《入門》
비구면 이진탕처방은담음을보라에 천궁 당귀 세신 백지 방풍 강활 길경 박하 생강을 넣고 달여서 먹고, 밖으로는 세신고로 콧속을 막는다.입문
老人鼻鼽不止, 用獨頭蒜四五箇, 擣爛, 貼脚底心, 用紙貼之, 鼽自止. 《種杏》
노인이 비구가 멎지 않으면 외톨마늘4-5개를 짓찧어서 발바닥 가운데 바르고 종이를 붙여놓으면 구가 저절로 멎는다.종행
川椒散천초산
治鼻鼽. 紅椒(炒)ㆍ訶子肉ㆍ白薑(生)ㆍ桂心ㆍ川芎ㆍ細辛ㆍ白朮 各等分. 右爲末, 每二錢, 溫酒調下. 《得效》
비구를 치료한다. 천초볶은것 가자육 백강생것 계심 천궁 세신 백출 같은 양을 가루내어 2돈씩 따뜻한 술에 타서 먹는다.득효
細辛膏세신고
治鼻塞, 腦冷淸涕不止. 細辛ㆍ川椒ㆍ乾薑ㆍ川芎ㆍ吳茱萸ㆍ附子 各七錢半, 皂角(屑) 五錢, 桂心 一兩, 猪油 六兩. 右煎猪油成膏, 先一宿以苦酒浸前藥, 取入油煎, 附子黃色止, 以綿裹, 塞鼻孔中. 《入門》
코가 막히고 뇌가 차서 맑은 콧물이 흘러서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세신 천초 건강 천궁 오수유 부자 각 7.5돈, 조각깎아서가루낸것5돈 계심1냥 저유6냥을 돼지기름에 달여서 고약을 만들고, 먼저 앞의 약들을 식초에 하룻밤 담갔다가 돼지기름에 넣고 부자가 누렇게 될 때까지 달여서 솜에 싸 콧구멍을 막는다.입문
鼻衄코피
詳見血門.
자세한 것은 혈문을 보라.
鼻塞비색 코막힘
鼻塞, 皆屬肺. 《綱目》
코가 막히는 것은 모두 폐에 속한다.강목
寒傷皮毛, 則鼻塞不利, 火鬱淸道, 則香臭不知. 新者, 偶感風寒, 鼻塞聲重, 流涕噴嚏, 宜羌活冲和湯ㆍ參蘇飮幷見寒門, 久則略感風寒, 鼻塞便發, 宜淸金降火, 凉膈散方見火門, 加川芎ㆍ荊芥ㆍ白芷. 《入門》
추위가 피모를 상하면 코가 막혀 잘 통하지 않고, 화가 청도에 뭉치면 냄새를 맡지 못한다. 처음에는 어쩌다 풍한이 들어오면 코가 막히고 목소리가 가라앉으며 콧물이 흐르고 재채기를 하게 된다. 강활충화탕 삼소음모두한문을보라을 써야 한다. 오래되면 조금만 풍한이 들어와도 코가 곧 막힌다. 청금강화나 양격산처방은화문을보라에 천궁 형개 백지를 넣어 써야 한다.입문
鼻塞甚者, 禦寒湯ㆍ蓽澄茄丸, 不知香臭者, 麗澤通氣湯. 內有硬物者, 宜南星飮, 外用蓽撥餠, 貼顖門, 且以菖蒲ㆍ皂角末, 綿裹塞鼻. 《入門》
코막힘이 심하면 어한탕 필징가환을 쓰고, 냄새를 맡지 못하면 여택통기탕을 쓰고, 안에 단단한 것이 있으면 남성음을 쓰고, 밖으로는 필발병을 콧구멍에 붙이고 또 창포 조각 가루를 솜에 싸서 코를 막는다.입문
鼻齆者, 肺爲風冷所傷, 津液冷滯, 鼻氣不宣, 香臭不知, 宜芎藭散. 《直指》
코가 막히는 것은 폐가 풍랭에 상해서 진액이 차가워져 막혀 코의 기가 퍼지지 않은 것인데, 냄새를 맡지 못하게 된다. 궁궁산을 써야 한다.식지
鼻塞不聞香臭, 宜溫肺湯ㆍ溫衛湯ㆍ通竅湯ㆍ菖蒲散, 又一方.
코가 막혀서 냄새를 맡지 못하면 온폐탕 온위탕 통규탕 창포산을 써야 한다. 또 다른 처방도 있다.
禦寒湯어한탕
治感寒鼻塞. 黃芪 一錢, 蒼朮 七分, 陳皮ㆍ人參ㆍ升麻 各五分, 防風ㆍ白芷ㆍ佛耳草ㆍ款冬花ㆍ甘草 各三分, 黃連ㆍ黃柏ㆍ羌活 各二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東垣》
추위 때문에 코가 막힌 것을 치료한다. 황기1돈 창출7푼 진피 인삼 승마 각 5푼, 방풍 백지 불이초 관동화 감초 각 3푼, 황련 황백 강활 각 2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蓽澄茄丸필징가환
治鼻塞不通. 薄荷葉 三錢, 荊芥穗 一錢半, 蓽澄茄 五分. 右末, 蜜丸櫻桃大, 常含化. 《綱目》
코가 막혀 통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박하잎3돈 형개수1.5돈 필징가5푼을 가루내어 꿀로 앵두 크기로 환을 지어 늘 입에서 녹여 먹는다.강목
麗澤通氣湯여택통기탕
治鼻不聞香臭, 此肺經有風熱也. 黃芪 一錢, 蒼朮ㆍ羌活ㆍ獨活ㆍ防風ㆍ升麻ㆍ葛根 各七分, 甘草(灸) 五分, 麻黃ㆍ川椒ㆍ白芷 各三分. 右剉, 作一貼, 入薑 三片, 棗 二枚, 葱白 三寸, 水煎服. 《河間》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는 폐경에 풍열이 있어서다. 황기1돈 창출 강활 독활 방풍 승마 갈근 각 7푼, 감초구운것5푼 마황 천초 백지 각 3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대추2개 총백3촌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하간
南星飮남성음
治風邪入腦, 宿冷不消, 鼻內結硬物窒塞, 腦氣不宣, 遂流髓涕. 大白天南星切片, 沸湯泡兩次焙乾, 每服二錢, 入大棗七枚, 甘草少許同煎, 食後服, 三四服後, 其硬物自出, 腦氣流轉, 髓涕自收. 仍以蓽撥餠, 貼顖門, 熨斗火熨之, 令熱透. 《得效》
풍사가 뇌로 들어가 오래되어도 냉기가 사라지지 않고 콧속에 단단하게 뭉친 것이 코를 막아서 뇌에 기가 잘 통하지 않아 마침내 콧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크고 흰 남성 절편을 끓는 물에 2번 우려서 불에 말린 것 2돈에 대추7개 감초 약간을 넣고 함께 달여 식후에 먹는다. 서너 번 먹으면 그 단단한 것이 저절로 나오고 뇌에 기가 흘러들어서 흐르던 콧물이 저절로 멎는다. 필발병을 숫구멍에 붙이고 인두로 찜질하여 열기가 들어가게 해야 한다.득효
蓽撥餠필발병
治鼻塞流濁涕. 蓽撥ㆍ香附子ㆍ大蒜, 同擣作餠, 紗襯貼顖門上, 以熨斗火熨之. 《入門》
코가 막히고 탁한 콧물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필발 향부자 대산을 함께 찧어 떡을 만들어 천에 발라 숫구멍에 붙이고 인두로 찜질한다.입문
芎藭散궁궁산
治鼻塞爲齆. 芎藭ㆍ檳榔ㆍ麻黃ㆍ肉桂ㆍ防己ㆍ木通ㆍ細辛ㆍ白芷ㆍ菖蒲 各七分, 木香ㆍ川椒ㆍ甘草 各三分半. 右剉, 作一貼, 入薑 三片, 紫蘇葉五片, 水煎服. 《直指》
코가 막혀 코맹맹이가 되는 것을 치료한다. 궁궁 빈랑 마황 육계 방기 목통 세신 백지 창포 각 7푼, 목향 천초 감초 각 3.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자소엽5장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溫肺湯온폐탕
治鼻不聞香臭. 麻黃 二錢, 黃芪ㆍ升麻 各一錢半, 防風ㆍ葛根ㆍ羌活ㆍ甘草(灸) 各一錢, 丁香 二分. 右麄末, 水二盞, 葱白三根, 同煎至一盞, 食後, 溫服. 《東垣》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2돈 황기 승마 각 1.5돈, 방풍 갈근 강활 감초구운것 각 1돈, 정향2푼을 거칠게 가루내어 물2잔에 총백3뿌리와 함께 1잔이 되게 달여서 식후에 따뜻하게 먹는다.동원
溫衛湯온위탕
治鼻不聞香臭, 目中溜火, 陰冷足痿. 當歸身 一錢半, 黃芪ㆍ蒼朮ㆍ升麻ㆍ知母ㆍ柴胡ㆍ羌活 各一錢, 人參ㆍ防風ㆍ白芷ㆍ黃柏ㆍ澤瀉ㆍ甘草 各五分, 陳皮ㆍ靑皮ㆍ黃連ㆍ木香 各三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東垣》
코로 냄새를 맡지 못하고 눈 속에 불이 번쩍하고 음낭이 차고 발이 무력한 것을 치료한다. 당귀몸통1.5돈 황기 창출 승마 지모 시호 강활 각 1돈, 인삼 방풍 백지 황백 택사 감초 각 5푼, 진피 황련 목향 각 3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通竅湯통규탕
治感風寒, 鼻塞聲重流涕, 不聞香臭. 防風ㆍ羌活ㆍ藁本ㆍ升麻ㆍ乾葛ㆍ川芎ㆍ蒼朮 各一錢, 白芷 五分, 麻黃ㆍ川椒ㆍ細辛ㆍ甘草 各三分. 右剉, 作一貼, 薑 三片, 葱白 二莖, 水煎服. 《醫鑑》
풍한으로 코가 막히고 목소리가 가라앉으며 콧물이 나고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방풍 강활 고본 승마 건갈 천궁 창출 각 1돈, 백지5푼 마황 천초 세신 감초 각 3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총백2줄기를 넣고 물에 달여서 먹는다.의감
菖蒲散창포산
治鼻塞不通, 不得息. 菖蒲ㆍ皂角 等分, 擣爲末, 每用一錢, 綿裹塞鼻, 仰臥少時. 《綱目》
코가 막혀 통하지 않아서 숨을 쉴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창포 조각 같은 양을 찧어서 가루내어 1돈씩 솜에 싸서 코를 막고 잠시 바로 눕는다.강목
鼻不聞香臭方냄새를 못맡는 다른 처방
薄荷 三錢, 細辛ㆍ白芷ㆍ防風ㆍ羌活ㆍ當歸ㆍ川芎ㆍ半夏ㆍ䓀莄ㆍ陳皮ㆍ赤茯苓 各一錢. 右剉, 作一貼, 水煎服. 《回春》
박하3돈 세신 백지 방풍 강활 당귀 천궁 반하 길경 진피 적복령 각 1돈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鼻痔비치 코의 군살
輕爲鼻瘡, 重爲鼻痔, 皆肺熱也. 《入門》
가벼우면 비창이 되고 무거우면 비치가 되는데 모두 폐열이다.입문
鼻痔者, 肺氣熱極, 日久凝濁, 結成瘜肉如棗大, 滯塞鼻竅, 甚者, 亦名鼻齆. 防風通聖散方見風門, 加三稜ㆍ海藻末, 調服, 外用辛夷膏, 塞鼻卽愈. 《入門》
비치는 폐기의 심한 열이 오래되어 탁한 것이 엉겨 대추 만한 군살이 생겨서 콧구멍을 막은 것이다. 심하면 비옹이라고도 한다. 방풍통성산처방은풍문을보라에 삼릉 해조가루를 타서 먹고 밖으로는 신이고로 코를 박으면 낫는다.입문
瘜肉, 因胃中有食積, 熱痰流注. 宜以南星ㆍ半夏ㆍ蒼朮ㆍ神麴ㆍ細辛ㆍ白芷ㆍ甘草ㆍ(酒炒)芩連, 煎服, 外用瓜礬散, 自愈. 《綱目》
군살은 위 속에 식적이 있어서 열담이 흘러다녀서 생긴다. 남성 반하 창출 신국 세신 백지 감초 금련술에적셔구운것을 달여 먹고 밖에는 과반산을 바르면 저절로 낫는다.강목
鼻中贅肉, 臭不可近, 痛不可搖, 以白礬末, 加䃃砂少許, 吹其上, 頃之化水而消. 與勝濕湯方見濕門, 瀉白散方見五藏. 此厚味壅滯, 濕熱蒸於肺門, 如雨霽之地, 突生芝菌也. 《醫鑑》
콧속의 군살에서 냄새가 나서 가까이할 수도 없고 아파서 건드리지도 못할 때는 백반가루에 망사를 약간 넣어 그 위에 불어넣으면 잠시 후에는 물이 되어 없어진다. 승습탕처방은습문을보라 사백산처방은오장을보라을 투여한다. 이것은 기름진 음식이 쌓여서 생긴 습열이 폐문을 훈증해서다. 비갠 땅에 버섯이 올라오는 것과 같은 것이다.의감
鼻痔, 宜瓜丁散ㆍ白黃散ㆍ羊肺散.
비치에는 과정산 백황산 양폐산을 써야 한다.
辛夷膏신이고
治鼻中瘜肉, 窒塞疼痛. 辛夷 二兩, 細辛ㆍ木通ㆍ木香ㆍ白芷ㆍ杏仁 各五錢. 右以羊髓, 猪脂二兩和藥, 于石器內, 慢火熬成膏, 取赤黃色, 放冷, 入龍腦ㆍ麝香 各一錢, 爲丸, 綿裹塞鼻中, 數日脫落卽愈. 《御院》
콧속에 군살이 생겨 코가 막히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신이2냥 세신 목통 목향 백지 행인 각 5돈을 양의 골수와 돼지기름 2냥을 섞어서 돌그릇에 약한 불로 졸여 적황색의 고약을 만들어 식게 두었다가 용뇌 사향 각 1돈을 넣어 환을 지어 솜으로 싸서 콧속을 막고 며칠이 지나면 군살이 떨어지고 낫는다.어원
小兒鼻流淸涕, 取此, 貼顖門上, 又塗鼻中. 《丹心》
어린이가 코에서 맑은 콧물이 나오면 이 약을 숫구멍에 붙이고 또 콧속에 바른다.단심
瓜礬散과반산
去鼻痔. 瓜蔕 四錢, 甘遂 一錢, (枯)白礬ㆍ螺殼(灰)ㆍ草烏(尖) 各五分. 右爲末, 麻油調作丸如鼻孔大, 每日一次, 以藥納鼻內, 令達痔肉上, 其痔化爲水, 肉皆爛下卽愈. 《入門》
비치를 없앤다. 과체4돈 감수1돈 구운백반 우렁이껍질불에태운것 초오뽀족한부분 각 5푼을 가루내어 참기름에 타서 콧구멍 크기로 환을 지어 하루 1번씩 콧속에 약을 넣어 군살에 닿게 하면 군살이 녹아서 물이 되고 군살이 다 문드러져 내려 낫는다.입문
瓜丁散과정산
治齆臭有瘜肉, 不聞香臭, 鼻中瘜肉, 俗謂之鼻痔. 瓜蔕ㆍ細辛 等分, 爲末, 綿裹如豆許, 塞鼻中, 卽化黃水, 點滴至盡, 不三四日, 遂愈. 一名細辛散. 《得效》
군살로 코가 막혀서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콧속에 군살이 있는 것을 민간에서는 비치라고 한다. 과체 세신 같은 양을 가루내어 솜에 콩 만하게 솜에 싸서 콧속을 막으면 누런 물이 되어 방울져 나오다 사나흘이 안 되어 낫는다. 세신산이라고도 한다.득효
白黃散백황산
治鼻齆, 瘜肉, 鼻痔. 白礬ㆍ雄黃ㆍ細辛ㆍ瓜蔕 等分, 爲末, 以雄犬膽汁和丸, 綿裹塞鼻中. 《丹心》
코가 막히고 군살이 생겨 비치가 된 것을 치료한다. 백반 웅황 세신 과체 같은 양을 가루내어 수캐담즙에 반죽해서 환을 지어 솜에 싸 콧속을 막는다.단심
羊肺散양폐산
治肺壅生瘜肉, 不聞香臭. 羊肺 一具, 白朮 四兩, 肉蓯蓉ㆍ木通ㆍ乾薑ㆍ川芎 各一兩. 右五味爲細末, 以水量打稀糊, 灌肺中煮熟, 焙乾爲細末. 食後, 米飮下二錢. 《三因》
폐가 막혀 군살이 생겨서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양폐1개 백출4냥 육종용 목통 건강 천궁 각 1냥씩 다섯 가지 약을 곱게 가루내어 적당량의 물로 묽게 풀을 쑤어서 양의 허파 속에 넣고 푹 삶아 불기운에 말려 곱게 가루내어 식후에 미음으로 2돈씩 먹는다.삼인
鼻瘡비창
鼻中生瘡, 乃肺熱也. 宜黃芩湯ㆍ洗肺散. 《回春》
콧속에 창이 생기는 것은 폐열 때문이다. 황금탕 세폐산을 써야 한다.회춘
鼻瘡, 宜瀉白散, 加(酒炒)片芩ㆍ梔子ㆍ䓀莄ㆍ薄荷. 方見五藏
비창에는 사백산에 편금굵고속이부서지는것을술에적셔볶은것 길경 박하처방은오장을보라를 더해서 써야 한다.
鼻瘡, 杏仁油, 和鹽塗之. 《入門》
비창에는 살구씨기름에 소금을 섞어 바른다.입문
鼻瘡, 黃柏ㆍ苦參ㆍ檳榔 等分, 爲末, 猪脂調和, 或靑黛ㆍ槐花ㆍ杏仁, 硏付鼻中. 《得效》
비창에는 황백 고삼 빈랑 같은 양을 가루내어 돼지기름에 섞어 버무린 것이나, 청대 괴화 행인을 갈아서 콧속에 붙인다.득효
大風瘡, 天疱瘡, 皆鼻中生瘡, 鼻梁塌壞. 幷見本門
대풍창 천포창은 모두 콧속에 창이 생기고 콧마루가 무너진다.다본문을보라
黃芩湯황금탕
治肺火盛, 鼻孔乾燥, 或生瘡腫痛. 片芩(酒炒)ㆍ梔子(連皮酒炒)ㆍ䓀莄ㆍ赤芍藥ㆍ桑白皮ㆍ麥門冬ㆍ荊芥穗ㆍ薄荷ㆍ連翹 各一錢, 甘草 三分. 右剉, 作一貼, 水煎, 食後服. 《回春》
폐화가 성해서 콧구멍이 건조해지거나, 창이 생겨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편금굵고속이부서지는것을술에적셔볶은것 치자껍질째술에적셔볶은것 길경 적작약 상백피 맥문동 형개수 박하 연교 각 1돈, 감초3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회춘
洗肺散세폐산
治鼻中生瘡. 片芩(酒炒) 二錢, 五味子ㆍ天門冬ㆍ麥門冬ㆍ半夏ㆍ杏仁 各一錢, 甘草 五分. 右剉, 作一貼, 入薑 五片, 水煎, 食後服. 《回春》
콧속에 생긴 창을 치료한다. 편금굵고속이부서지는것을술에적셔볶은것2냥 오미자 천문동 백문동 반하 행인 각 1돈, 감초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5쪽을 넣고 물에 달여서 식후에 먹는다.회춘
鼻痛비통
鼻痛者, 因風邪與正氣相搏, 鼻道不通, 故爲痛. 宜人參順氣散ㆍ通氣驅風湯幷見風門. 如痰火衝肺, 鼻膈隱痛, 二陳湯方見痰飮, 加片芩ㆍ梔子ㆍ䓀莄ㆍ麥門冬, 煎服. 《入門》
코가 아픈 것은 풍사와 정기가 서로 부딪쳐 비도가 통하지 않기 때문에 아픈 것이다. 인삼순기산 통기구풍탕모두풍문을보라을 서야 한다. 담화가 폐로 치올라와서 비격이 은은히 아프면 이진탕처방은담음을보라에 편금 치자 길경 맥문동을 넣어 달여 먹는다.입문
鼻齄비사
鼻齄者, 鼻之準頭紅也. 甚則紫黑, 酒客多有之. 因血熱入肺, 鬱久則血凝濁而色赤. 或有不飮酒而紅者, 名曰肺風瘡, 亦是血熱入肺. 俱宜淸血四物湯, 兼服梔子仁丸, 外用硫黃散. 《入門》
비사란 코끝이 붉은 것이다. 심하면 자흑색이고 주객에게 많이 있다. 혈열이 폐로 들어가 오래 울체되어 혈이 엉기고 탁해지면서 색이 붉어진 것이다. 술을 마시지 않았는데도 혹 붉어진 경우는 폐풍창이라고 하는데 역시 이것도 혈열이 폐로 들어간 것이다. 모두 쳥혈사물탕과 함께 치자인환을 먹고 유황산을 외용한다.입문
肺之爲藏, 其位高, 其體脆, 性惡寒, 又惡熱. 是故好飮熱酒者, 始則傷于肺藏, 鬱熱久則見於外, 而爲鼻齄準赤之候, 得熱則紅, 得寒則黑. 《正傳》
폐장은 그 위치가 높으나 본체는 약하고 성질은 한기를 싫어하고 열도 싫어한다. 이 때문에 독한 술을 자주 마시면 처음에는 폐장을 상하고 열이 오랫동안 쌓이면 밖으로 드러나서 비사 코끝이 붉은 징후가 된다. 열을 만나면 빨갛게 되고 한기를 만나면 검어진다.정전
酒齄鼻, 乃熱血入肺. 《正傳》
주사비는 열이 폐로 들어간 것이다.정전
酒齄鼻, 及肺風瘡, 以白龍丸, 逐日洗面, 常服龍虎丹, 半月瑩潔. 《直指》
주사비와 폐풍창에는 백룡환으로 날마다 얼굴을 씻고 늘 용호단을 먹으면 보름만에 깨끗해진다.직지
酒齄, 宜凌霄花散ㆍ參歸丸.
주사에는능소화산 삼귀환을 써야 한다.
肺風瘡, 宜肺風丸ㆍ升麻湯ㆍ淸肺飮子, 一方.
폐풍청에는 폐풍환 승마탕 청폐음자를 써야 한다. 다른 처방도 있다.
淸血四物湯청혈사물탕
治酒齄. 川芎ㆍ當歸ㆍ赤芍藥ㆍ生地黃ㆍ片芩(酒炒)ㆍ紅花(酒焙)ㆍ赤茯苓ㆍ陳皮 各一錢, (生)甘草 五分. 右剉, 作一貼, 入薑 二片, 煎水, 調五靈脂末一錢. 食後服. 《回春》
주사를 치료한다. 천궁 당귀 적작약 생지황 편금굵고속이부서지는것을술에적셔볶은것 홍화술에적셔불기운으로말린것 적복령 진피 각 1돈, 생감초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2쪽을 넣고 물에 달여 오령지가루1돈을 타서 식후에 먹는다.회춘
梔子仁丸치자인환
治酒齄. 老山梔子仁(爲末)ㆍ黃蠟 等分, 熔化, 和丸彈子大, 茶淸嚼下, 忌熱物半月, 效. 《得效》
주사를 치료한다. 오래된 치자인을 가루내고 황렵 같은 양으로 녹인 것에 반죽해서 탄자크기로 환을 지어 찻물로 씹어 먹는다. 열이 있는 음식을 보름 동안 피하면 효과가 있다.6
硫黃散유황산
治鼻齄. 生硫黃 五錢, 杏仁 二錢半, 輕粉 一錢. 右爲末, 酒調, 臨臥塗之, 明早洗去. 《回春》
비사를 치료한다. 생유황5돈 행인2.5돈 경분1돈을 가루내어 술에 타서 잠자리에 들 때 바르고 다음날 일찍 씻어낸다.회춘
白龍丸백룡환
治酒齄, 滿面紫黑. 川芎ㆍ蒿本ㆍ細辛ㆍ白芷ㆍ甘草 各等分. 右末四兩, 入煅石膏末一斤, 水丸彈子大, 逐日, 用此藥洗面, 如澡豆法. 或夕塗, 晨洗之. 《丹心》
주사로 온 얼굴이 자흑색인 것을 치료한다. 천궁 고본 세신 백지 감초 같은 양을 가루낸 것 4냥에 단석고가루1근을 넣고 물로 탄자크기로 환을 지어 날마다 이 약으로 가루비누를 쓰는 것처럼 얼굴을 씻거나, 저녁에 바르고 새벽에 씻어낸다.단심
凌霄花散능소화산
治酒齄鼻. 不三次, 可去根. 凌霄花ㆍ山梔子 等分, 爲末, 每二錢, 食後, 茶淸調下. 《得效》
주사비를 치료한다. 3번이 안 되어 뿌리까지 없앤다. 능소화 산치자 같은 양을 가루내어 2돈씩 식후에 찻물로 먹는다.득효
參歸丸삼귀환
治酒齄, 乃血熱入肺. 苦參 四兩, 當歸 二兩. 右末, 酒糊和丸梧子大, 熱茶淸下七八十丸. 《醫鑑》
열혈이 폐로 들어가서 생긴 주사를 치료한다. 고삼4냥 당귀2냥을 가루내어 술을 넣어 쑨 풀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따뜻한 찻물로 70-80알씩 먹는다.의감
肺風丸폐풍환
治面鼻風㾴, 及齄䶌. 細辛ㆍ旋覆花ㆍ羌活 各二兩, 晩蚕蛾(灸)ㆍ苦參 各一錢. 右末, 軟飯和丸梧子大, 食後, 茶淸下五七十丸. 《東垣》
얼굴이나 코에 생긴 풍사나 사포를 치료한다. 세신 선복화 강활 각 2냥, 만잠아구운것 고삼 각 1돈을 가루내어 무른 밥으로 반죽해서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식후에 찻물로 50-70알씩 먹는다.동원
升麻湯승마탕
治肺風瘡. 陳皮ㆍ甘草 各一錢, 蒼朮ㆍ乾葛ㆍ䓀莄ㆍ升麻 各七分, 赤芍藥ㆍ大黃(酒蒸) 各五分, 半夏ㆍ赤茯苓ㆍ白芷ㆍ當歸 各三分, 枳殼ㆍ乾薑 各二分. 右剉, 作一貼, 入薑 三片, 燈心一撮, 同煎服. 《丹心》
폐풍창을 치료한다. 진피 감초 각 1돈, 창출 건갈 길경 승마 각 7푼, 적작약 대황술에찐것 각 5푼, 반하 적복령 백지 당귀 각 3푼, 지각 건강 각 2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강3쪽 등심1자밤을 넣고 함께 달여 먹는다.단심
淸肺飮子청폐음자
治鼻紅, 肺風瘡. 薄荷 一兩, 山茶花ㆍ胡麻仁ㆍ片芩(酒炒)ㆍ梔子ㆍ葛花ㆍ苦參ㆍ甘草 各七錢, 連翹ㆍ荊芥ㆍ芍藥ㆍ防風 各三錢. 右爲末, 每二錢, 茶淸調服, 後用搽藥. 《醫鑑》
폐풍창으로 코가 붉은 것을 치료한다. 박하1냥 산다화 호마인 편금굵고속이부서지는것을술에적셔볶은것 치자 갈화 고삼 감초 각 7푼, 연교 형개 작약 방풍 각 3돈을 가루내어 2돈씩 찻물에 타서 먹은 후에 바르는 약을 사용한다.의감
搽鼻去紅方
코에 발라서 붉은 것을 없애는 처방
白礬ㆍ水銀ㆍ京墨 各一錢, 杏仁 四十九箇, 輕粉 七分, 白楊葉 七箇, 大風子 四十九箇, 五味子 四十九粒, 核桃 七箇. 右爲末, 雞子淸調搽患處. 《醫鑑》
백반 수은 경묵 각 1돈, 행인49개 경분7푼 백양잎7개 대풍자49개 오미자49알 호두7개를 가루내어 달걀 흰자위에 개서 아픈 곳에 바른다.의감
面鼻紫黑면비자흑
面爲陽中之陽, 鼻居面之中, 一身之血, 運到面鼻, 皆爲至淸至精之血. 多酒之人, 酒氣熏蒸, 面鼻得酒, 血爲極熱, 熱血得寒, 汚濁凝澁而不行, 故色爲紫黑. 治宜化滯血, 生新血, 服淸血四物湯方見上, 氣弱者, 加酒黃芪. 《正傳》
얼굴은 양중의 양이고 코는 얼굴의 가운데 있으니 몸속의 혈이 얼굴과 코에 운행하는 것은 모두 지극히 맑고 순수한 혈이다. 술을 많이 마시는 이는 술기운이 훈증되어 멀굴과 코가 술기운을 받으면 혈이 아주 뜨거워지고 추위를 만나면 더럽고 탁한 것이 엉기고 막혀서 운행하지 못해 자흑색이 된다. 막힌 피를 삭이고 새 피를 만들어야 하니 청혈사물탕처방은위를보라을 먹어야 한다. 기가 약하면 술로 법제한 황기를 더한다.정전
鼻涕비체
詳見津液門.
자세한 것은 진액문을 보라.
鼻嚏비체
詳見言語門.
자세한 것은 언어문을 보라.
鼻色占病 비색점병
靈樞曰, 鼻頭色靑爲痛, 色黑爲勞, 色赤爲風, 色黃者便難也. 色鮮明者, 有留飮也.
영추에, 코끝이 푸르면 아픈 것이고, 검으면 피로한 것이다. 붉으면 풍증이고, 누러면 소변을 보기가 어렵다. 선명하면 유음이 있는 것이라 했다.
鼻色靑, 腹中痛, 苦冷者死. 《正傳》
코가 푸르고 배가 아프며 심하게 차가우면 죽는다.정전
鼻頭微白者, 亡血也. 赤者, 血熱也. 酒客多有之. 《三因》
코끝이 약간 흰 것은 망혈증이고, 붉은 것은 열혈인데 술을 많이 마시는 이에게 있다.삼인
修養法수양법
常以手中指, 於鼻梁兩邊, 揩二三十遍, 令表裏俱熱, 所謂灌漑中岳, 以潤於肺也. 《養性》
늘 가운뎃손가락으로 콧마루 양쪽을 이삼십 번 문질러 겉과 속이 다 열이 나게 한다. 이것을 이른바 중악에 물을 댄다고 하는데 폐를 윤택하게 하는 것이다.양성
常去鼻中毛, 謂神氣出入之門戶也. 《養性》
늘 콧속의 털을 제거해야 하니 신기가 나드는 문이기 때문이다.양성
單方단방
凡十五種.
모두 15가지다.
白鹽백염
治酒齄. 和津唾, 常擦之爲妙. 《得效》
주사비를 치료한다. 침에 개어 늘 문질러주면 신묘하다.득효
白礬백반
治鼻中瘜肉. 取枯礬末, 和猪脂, 綿裹塞鼻中, 甚妙. 《本草》
콧속의 군살을 치료한다. 구운백반가루를 돼지기름과 섞어 솜으로 싸서 콧속을 막으면 내우 묘한 효과가 있다.본초
硫黃유황
治鼻紅如神. 硫黃化開, 入燒酒內淬三次爲末, 茄汁調敷, 三次卽效. 《種杏》
붉은 코를 귀신같이 치료한다. 유황을 녹여서 소주에 넣고 3번 담금질한 뒤에 가루내어 가지즙에 타서 바른다. 3번이면 효과가 있다.종행
雄黃웅황
療鼻中瘜肉. 取棗核大, 塞鼻中, 瘜肉自落. 《本草》
콧속의 군살을 치료한다. 대추씨 만한 것으로 콧속을 막으면 군살이 저절로 떨어진다.본초
輕粉경분
治酒齄. 輕粉ㆍ硫黃, 爲末, 和津唾擦之. 又輕粉ㆍ硫黃ㆍ乳香ㆍ細辛, 爲末, 唾調付之. 《綱目》
주사비를 치료한다. 경분 유황을 가루내어 침에 개어 문지른다. 또 경분 유황 유향 세신을 가루내어 침에 개어 붙인다.강목
細辛세신
除齆臭, 瘜肉. 與瓜蔕同用, 爲瓜丁散. 有人患瘜肉垂出外, 用此卽消盡. 《綱目》
코가 막히고 냄새나는 것과 군살을 없앤다. 과체와 함께 쓰는데 과정산이라고 한다. 어떤 이가 군살이 밖으로 나와서 이것을 썼더니 바로 없어졌다.강목
芎藭궁궁
治鼻多涕. 或煎, 或末服幷佳. 《本草》
콧물이 많은 것을 치료한다. 달이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乾薑건강
治鼻塞. 爲末蜜和丸, 塞鼻中. 《本草》
코가 막힌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꿀로 환을 지어 콧속을 막는다.본초
辛夷신이
通鼻塞. 爲末, 葱茶淸點服一錢. 又綿裹塞鼻中. 《本草》
막힌 코를 뚫어준다. 가루내어 파와 차를 달인 물로 1돈씩 먹고 또 솜에 싸서 콧속을 막는다.본초
皂角조각
治鼻塞. 灸爲末, 取少許, 吹入鼻中. 又食物入鼻不出, 以末吹鼻, 取嚏卽出. 《本草》
막힌 코를 치료한다. 구워서 가루내어 약간을 콧속에 불어넣는다. 또 음식물이 코에 들어가 나오지 않으면 가루를 코에 불어넣고 재채기를 하면 곧 나온다.본초
百草霜백초상 오래된 부엌어귀의 검댕이
治久患鼻瘡膿, 極臭. 細硏爲末, 以冷水調下二錢. 《綱目》
오래 앓아서 코가 헐어서 고름이 있어 냄새가 심한 것을 치료한다. 곱게 가루내어 냉수에 타서 2돈씩 먹는다.강목
瓜蔕고체
去鼻中瘜肉. 爲末, 綿裹塞之, 或和羊脂, 或和細辛皆佳. 《本草》
콧속의 군살을 없앤다. 가루내어 솜에 싸서 코를 막거나, 양기름에 섞거나 세신과 섞어 쓰는데 다 좋다.본초
胡荽호유 고수
治瘜肉. 擣爛塞鼻, 瘜肉自落. 《丹心》
군살을 치료한다. 짓찧어서 코를 막아놓으면 군살이 저절로 떨어진다.단심
犬膽견담
主鼻齆, 及鼻中瘜肉. 取瓜蔕ㆍ細辛末, 和膽汁, 塞鼻卽效. 《本草》
코가 막힌 것이나 콧속 군살에 주로 쓴다. 과체 세신가루를 담즙과 섞어서 코를 막으면 즉시 효과가 있다.본초
狗頭骨灰구두골회
和䃃砂少許, 搐鼻中, 瘜肉自化. 《丹心》
망사 약간과 섞어서 콧속에 넣으면 군살이 저절로 사라진다.단심
歌曰, 狗頭灰一錢, 丁香半錢上, 細硏吹鼻中, 瘜肉化爲水. 《類聚》
가에, 개머리재1돈 정향1.5돈을 곱게 갈아 콧속에 불어넣으면 군살이 물이 된다고 했다.
鍼灸法침구법
鼻流淸涕濁涕, 灸上星二七壯. 又取人中ㆍ風府ㆍ不愈, 又取百會ㆍ風池ㆍ風門ㆍ大顀《綱目》
코에서 맑은 물과 탁한 물이 나오면 삼성에 뜸을 14장 뜬다. 또 인중 풍부 불유를 취하고 백회 풍지 풍문 대추를 취한다.강목
鼻塞不聞香臭, 取迎香ㆍ上星ㆍ合谷. 不愈, 灸人中ㆍ風府ㆍ百勞ㆍ前谷. 《綱目》
코가 막혀 냄새를 맡지 못하면, 영향 상성 합곡 불유를 취하고 인중 풍부 백로 전곡에 뜸을 뜬다.강목
鼻流臭穢, 取上星ㆍ曲差ㆍ合谷ㆍ人中ㆍ迎香. 《綱目》
코에서 더러운 냄새가 나면 상성 곡차 합곡 인중 영향을 취한다.강목
鼻中瘜肉, 取風池ㆍ風門ㆍ風府ㆍ人中ㆍ和髎. 《東垣》
콧속에 군살이 있으면 풍지 풍문 풍부 인중 화료를 취한다.동원
鼻涕多, 宜灸顖會ㆍ前頂ㆍ迎香. 《資生》
콧물이 많이 나오면 신회 전항 영향에 뜸을 떠야 햔다.자생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外形篇卷之二 - 牙齒아치 (2) | 2022.09.14 |
---|---|
外形篇卷之二-口舌구설 (1) | 2022.09.06 |
外形篇卷之一眼안 (0) | 2022.08.08 |
內景篇卷之四 - 面면 얼굴 (0) | 2022.06.08 |
外形篇卷之一頭머리 (0) | 2022.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