便血

<內經>曰 結陰者便血一升 再結二升 三結三升 釋曰 結陰之病 陰氣內結 不得外行 血無所稟 滲入腸間 故便血也 其脈虛澁者是也 因血結不行 故下也 平胃地楡湯 結陰丹主之(綱目)

<내경>, 음이 몰리면 대변에 피가 한 되 나오는데, 두 번 몰리면 두 되, 세 번 몰리면 세 되가 나온다. 주석에는, 음이 몰려서 생긴 병은 음기가 안으로 몰려서 겉으로 나갈 수가 없기 때문에 피가 갈 곳이 없어 장 사이로 스며들기 때문에 피똥이 나온다. 그 맥이 허삽하다. 피가 몰려서 돌아가지 못하기 때문에 나오는 것이다. 평위지유탕 결음단으로 주로 치료한다.(강목)

<靈樞>曰 邪在五臟 則陰脈不和 陰脈不和 則血留之 盖邪犯五臟 則三陰脈絡不和而結聚 血 因停留 溢則滲入腸間而爲便血(入門)

<영추>, 사기가 오장에 있으면 음맥이 고르지 못한데 음맥이 고르지 못하면 피가 머무른다. 대개 사기가 오장을 범하면 삼음맥락이 고르지 못해서 몰리고 뭉친다. 피가 정류되어 넘치면 장 사이로 스며들기 때문에 피똥을 누는 것이다.(입문)

<仲景>曰 先便後血者 遠血也 黃土湯主之 先血後便者 近血也 赤小豆當歸散主之.

<중경>, 먼저 대변이 나오고 뒤에 피가 나오는 것은 먼 데서 오는 피이므로 황토탕을 주로 쓴다. 먼저 피가 나오고 뒤에 변이 나오면 적소두당귀산을 주로 쓴다.

便血宜胃風湯方見大便 淸藏湯 楡砂湯 地楡散 蓮殼丸 加減四物湯 槐花散 有實熱者 當歸承氣湯 日久便血元氣下陷者 厚朴煎 補中益氣湯 內傷飮食者 平胃散方見內傷 加枳殼 槐花 當歸 烏梅 酒毒便血 酒蒸黃連丸(寶鑑)

변혈에는 응당 위풍탕(처방은 대변을 보라) 청장탕 유사탕 지유탕 연곡환 가감사물탕 괴화산을 쓰며 실열이 있으면 당귀승기탕을 쓰고, 변혈이 오래되어 원기가 떨어지면 후박전 보중익기탕을 쓰고, 안으로 음식에 상하면 평위산(처방은 내상을 보라)에 지각 괴화 당귀 오매을 더해서 쓰고, 술독으로 피똥을 누면 주증화연환을 쓴다.(보감)

平胃地楡湯

治結陰便血 蒼朮 升麻 附子炮各4g 地楡2.8g 葛根 厚朴 白朮 陳皮 赤茯笭2g 乾薑 當歸 神麴白芍藥 益智仁 人參 甘草灸各1.2g剉作一貼 薑32 水煎服(寶鑑)

평위지유탕

음이 몰려서 생긴 피똥을 치료한다. 창출 승마 부자포각4g 지유2.8g 갈근 후박 백출 진피 적복령2g 건강 당귀 신국백작약 익지인 인삼 감초구각1.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끓여서 먹는다.(보감)

結陰丹

治結陰便血 枳殼 威靈仙 黃耆 陳皮 樗根白皮 何首烏 荊芥穗各20g爲末 酒糊 和丸 梧子大 每服5070丸 陳米飮 入醋 呑下(寶鑑)

결음단

음이 몰려서 생긴 피똥을 치료한다. 지각 위령선 黃芪 진피 저근백피 하수오 형개수각20g을 가루내어 술로 풀을 쑤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50-70알을 묵은 쌀로 쑨 미음에 식초를 넣어서 먹는다.(보감)

黃土湯

治先大便後下血 竈中黃土12g 熟地黃 白朮 附子 阿膠珠 黃芩 甘草灸各4g爲剉 作一貼 水煎服(仲景)

황토탕

먼저 대변이 나오고 뒤에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조중황토12g 숙지황 백출 부자 아교주 황금 감초구각4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중경)

赤小豆當歸散

治先下血後大便 赤小豆200g 浸令芽出 曝乾 當歸40g爲擣爲末 漿水調服8g 3(仲景)

적소두당귀산

먼저 피가 하혈을 하고 뒤에 대변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적소두200g 물에 담가 싹을 내어 햇변에 말린 것 당귀40g을 빻아 가루내어 간장물에 타서 복용한다.(중경)

淸臟湯

治大便下血 生地黃4g 當歸酒洗 地楡3.2g 黃芩 梔子炒黑 黃栢炒各2.8g 白芍藥 黃連 側柏葉 阿膠珠2.4g 川芎 槐角炒各2g 剉作一貼 水煎服(回春)

청장탕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4g 당귀주세 지유3.2g 황금 치자초흑 황백초각2.8g 백작약 황연 측백엽 아교주2.4g 천궁 괴각초각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회춘)

楡砂湯

治結陰便血 地楡160g 縮砂7枚 硏 生甘草6g 灸甘草4g爲剉 水煎服(入門)

유사탕

음이 몰려서 생긴 피똥을 치료한다. 지유160g 축사7 생감초6g 구감초4g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입문)

地楡散

治遠年下血 地楡 卷柏20g爲剉 砂餠 煮10餘沸 溫服(丹心)

지유산

오래 된 하혈을 치료한다. 지유 권백20g을 썰어서 사기탕관에 넣고 열 번 정도 끓어오르게 달여서 따뜻하게 마신다.(단심)

連殼丸

治內傷下血 用此 以解絡脈之結 黃連 枳殼80g 剉以槐花160g同炒揀 去槐花 爲末 蒸餠 和丸梧子大 白湯下5070(入門) (正傳)枳殼湯 同 但剉20g 水煎服

연각환

속이 상해서 하는 하혈을 치료하는데 이 약을 쓰면 낙맥이 맺힌 것도 풀어준다. 황연 지각80g을 썰어서 회나무 160g과 함께 덖은 다음 회나무는 제거하고 가루내어 쪄서 떡을 만들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서 끓인 물에 50-70알을 먹는다.(입문) 정전지각탕도 이와 같으나 다만 썰어서 20g을 물에 끓여서 먹는다.

加減四物湯

治便血 亦治腸風 側柏葉 生地黃 當歸 川芎4g 枳殼 荊芥 槐花炒 甘草灸各3g爲剉 作一貼 薑3片 烏梅1箇 煎服(得效)

가감사물탕

피똥과 장풍을 치료한다. 측백엽 생지황 당귀 천궁4g 지각 형개 괴화초 감초구각3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과 오매 한 개를 넣어서 끓여 먹는다.(득효)

槐花散

治腸胃有濕 脹滿下血 槐花8g 蒼朮 厚朴 陳皮 當歸 枳殼4g 烏梅肉 甘草灸各2g 爲剉 作一貼 水煎服(丹心)

괴화산

장위에 습이 있어서 배가 부풀어오르로 하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괴화8g 창출 후박 진피 당귀 지각4g 오매육 감초구각2g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여 먹는다.(단심)

當歸承氣湯

治實熱便血 當歸8g 厚朴 枳實 大黃3.2g 芒硝2.8g 爲剉 水煎服(丹心)

當歸承氣湯

실열로 피똥을 싸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8g 후박 지실 대황3.2g 망초2.8g을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단심)

厚朴煎

治便血 及諸下血 厚朴 生薑200g同搗爛炒黃 白朮 神麴 麥芽 五味子40g同炒黃 爲末 水糊 和丸 梧子大 米飮 下100(入門)

후박전

피똥을 싸는 것과 여러 하혈을 치료한다. 후박 생강200g함께짓찧어서 누렇게 볶는다 백출 신국 맥아 오미자40g동초황을 가루내어 물로 풀을 쑤어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미음으로 100알씩 먹는다.(입문)

酒蒸黃連丸

治酒毒積熱 便血 肛門作熱 黃連160g 剉酒淹一宿 日乾 爲末 粟米糊 和丸 梧子大 熟水下3050(得效)

주증황연환

주독으로 열이 모여서 생긴 피똥으로 항문에 열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황연160g을 썰어서 술에 하룻밤을 재워두었다가 햇빛에 말려서, 가루내어 좁쌀풀에 반죽하여 오자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30-50알씩 먹는다.(득효)

腸澼證 자세한 것은 후음을 보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