齒衄
○ <入門>曰 血從齒齦出血 謂之齒衄 又曰 牙床屬胃 牙齒屬腎 如陽明傳入少陰 二經相幷 血出於牙縫 如吐者 人多不覺 其爲牙血 以凉水漱口則血止 少頃 又來者 是外用綠袍散 內服解毒湯方見上合犀角地黃湯 或生地芩連湯方見下
○ <입문>왈,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치육이라 한다. 또 왈, 잇몸은 위에 속하고 이는 신에 속한다. 만약 양명경에서 소음경으로 전해 들어가서 두 개의 경맥이 서로 어울리게 되면 잇몸에서 피가 토하는 것처럼 나는 것을 사람들은 흔히 그것이 잇몸에서 나는 것을 알지 못하고 찬물로 입을 가셔서 피를 멎게 하고자 한다. 조금 있으면 또 나오는데 이것은 녹포산을 겉에 바르고 해독탕(처방은 위를 보라) 서각지황탕이나 생지금련탕(처방은 아래를 보라)을 복용한다.
○ 齒衄 宜荊槐散 鬱金散 小薊散
○ 잇몸에서 피가 나는 데는 응당 형괴산 울금산 소계산을 쓴다.
【綠袍散】
治齒縫出血不止 黃栢 薄荷 芒硝 靑黛各等分 爲末 入龍腦 少許 糝牙床 卽止(入門)
【녹포산】
잇몸에서 피가 나와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황백 박하 망초 청대각등분하여 가루를 내서 용뇌를 조금 넣고 잇몸에 바르면 곧 그친다.(입문)
【荊槐散】
治牙宣出血 荊芥穗 槐花炒各等分 爲末 常擦牙 或點服(得效)
【형괴산】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형개수 괴화초각등분하여 가루내서 늘 이를 문지르거나 조금씩 먹는다.(득효)
【鬱金散】
治齒齦出血 鬱金 白芷 細辛各等分 爲末 常擦牙 仍以竹葉 竹茹 入鹽 煎水 含漱(得效)
【울금산】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울금 백지 세신각등분하여 가루내어 늘 이를 문지르고 곧 죽엽과 죽여로 소금과 함께 물에 끓여서 입에 머금고 있어야 한다.(득효)
【小薊散】
治牙宣出血 百草霜 小薊 香附子 蒲黃炒各20g爲末 常揩牙齒上 立止(得效)
【소계산】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백초상 소계 향부자 포황초각20g을 가루내어 늘 잇몸을 문지르면 멎는다.(득효)
【우방】
齒縫多出血 以鹽湯 常常漱口 仍以鹽末塗之
잇몸에서 피가 많이 나오면 소금탕으로 늘 입을 헹구고 곧 소금 가루를 발라야 한다.
○ 靑竹茹 醋浸1宿 含漱 又 竹葉濃煎 入鹽 含漱 又濃煎 茗湯含漱 皆妙(本草)
○ 청죽여를 식초에 하룻밤 담갔다가 양치질을 하고 또 진하게 달인 죽엽물에 소금을 넣어서 양치질을 하고 또 진하게 달인 찻물로 양지질을 해도 좋다.(본초)
○ 治牙疼 牙宣出血 香附子末 薑汁浸1宿 漱口 後揩齒(得效)
○ 이가 아프고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를 가루내어 생강즙에 하룻밤을 재워서 입을 헹군 후에 이를 문지른다.(득효)
○ 滿口齒出血 地骨皮 煎湯 先漱 後喫(綱目)
○ 잇몸에서 입안 가득 피가 나오면 지골피를 끓여서 물로 먼저 양치질을 한 다음에 그 물을 먹는다.(강목)
舌衄
○<入門>曰 血從舌出謂之舌衄 宜蚊蛤散
○ <입문>왈, 혀에서 피가 나오는 것을 혈육이라 하는데 응당 문합산을 쓴다.
○<又方> 蒲黃炒 爲末 糝之卽止 又槐花炒爲末糝之.又 赤小豆一升 搗碎和水取汁服之(本草)
○<우방> 포황을 초하여 가루내어 바르면 곧 그친다. 또 회화를 초하여 가루내어 바르기도 하고 또 붉은 콩 한 되를 짓빻아서 물에 넣고 즙을 내어 먹는다.(본초)
○<又方> 髮灰8g 醋2合調服 且糝之(綱目)
○<우방> 나발재 4전과 식초 두 홉을 타서 먹고 바른다.(강목)
【蚊蛤散】
治 舌上出血如泉 五倍子 白膠香 牡蠣粉等分 爲末 糝患處(得效)
【문합산】
혀에서 피가 샘물처럼 솟아나는 것을 치료한다. 오배자 백교향 모려분등분하여 가루를 내서 아픈 곳에 바른다.(득효)
血汗
○ <內經>曰 少陰所至爲衄衊釋曰衊血汗也
○ <내경>왈, 소음이 지극하면 육멸이 된다. 주석에는 멸을 혈한이라 했다.
○ <河間>曰 膽受熱 血妄行爲衄衊 幷血汗 宜定命散
○ <하간>왈, 담이 열을 받으면 피가 허투루 돌아서 육멸이 되거나 혈한이 생기는데 응당 정명산을 쓴다.
○ <三因>曰 無病者 汗出汚衣 甚如胚染 名曰血汗 亦曰紅汗 由大喜傷心 喜則氣散 血隨氣行也 宜黃芪建中湯方見虛勞 兼服 妙香散方見神門 以金銀器入小麥 麥門冬煎湯 調下 産婦血汗 宜葎草汁方
○ <삼인>왈, 병이 없으면서 땀이 나서 옷을 더럽히고 심하면 더럽게 물든 것처럼 되는데 혈한이라고 하고 홍한이라고도 한다. 지나치게 기뻐하여 심장이 상했을 때 기뻐하면 기가 흩어지고 피도 기를 따라간다. 응당 황기건중탕(처방은 허로를 보라)과 묘향산(처방은 신문을 보라)을 함께 복용한다. 금은 그릇에 밀을 넣고 맥문동과 함께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산모의 혈한에는 응당 진초즙을 처방하는 것이 좋다.
【定命散】
治 衄衊血汗 朱砂 寒水石 麝香 等分爲末 每2g 新水 調下(河間)
【정명산】
코피가 나는 것과 혈한을 치료한다. 주사 한수석 사향을 등분하여 가루내고 매번 1전을 새로 길러온 물에 타서 먹는다.(하간)
【葎草汁方】
治 産婦 因大喜 汗出汚衣 赤色 葎草擣取汁2升入醋2合 和之 空腹 飮1盞 或濃煮服 亦可(三因)
【율초즙방】
산부가 지나치게 기뻐하여 땀을 흘려 옷을 빨갛게 더럽힌 것을 치료한다. 율초도취즙2승에 식초 두 홉을 타서 빈속에 한 잔을 먹거나 진하게 끓여서 먹어도 좋다.(삼인)
○ 蝟皮肉 主血汗 皮燒灰 米飮 調服 肉煮食之(本草)
○ 고습도치의 가죽과 고기는 주로 혈한을 치료한다. 가죽을 태운 재를 미음에 타서 먹고 고기는 삶아서 먹는다.(본초)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內景卷之二 - 血 - 黑藥止血 禁忌 (0) | 2012.08.24 |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血 - 血汗 九竅出血 傷損失血 失血眩暈 (0) | 2012.08.11 |
內景卷之二 - 血 便血 (0) | 2012.08.09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血 - 尿血 (0) | 2012.08.06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血 - 咳血 嗽血 唾血 咯血 (0) | 2012.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