言語
肺主聲爲言 폐는 소리를 주관하며 말이 되게 한다.
○ 難經曰 肺主聲 入肝爲呼 入心爲言 入脾爲歌 入腎爲呻 自入爲哭.
○ 난경왈, 폐는 주로 소리를 주관하며 간에 들어가 내보내고 심에 들어가 말이 되게 하고 비에 들어가 노래가 되게 하고 신에 들어가 신음소리를 내게 하고 스스로 들어가 울음소리를 내게 한다.
○ 又曰 肺邪入心 爲譫言妄語
○ 우왈, 폐의 사기가 심에 들어가면 헛소리와 허튼 말을 하게 된다.
言語譫妄
○ 自言曰言答人曰語(得效)
○ 자기가 하는 말을 언이라 하고 대답하는 말을 어라고 한다.(득효)
○ 內經註曰 譫 亂語也 譫者 妄也 或自言平生常事 或開目言人所未見事 或獨語 或睡中呢喃 或呻吟不已 甚則 狂言罵詈 俱謂之譫語 皆因胃熱乘心故也詳見寒門
○ 내경주왈, 섬이란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이고, 헛소리란 망녕된 것이거나 스스로 평상시 일을 평생 하는 말이거나, 눈을 뜨고 남이 보지 못하는 일을 말하거나, 혼잣말을 하거나 잠꼬대를 하거나 신음소리를 그치지 않거나 심하면 미친 소리를 하며 욕을 퍼붓는 것을 모두 헛소리라고 한다. 모두 위의 열이 심을 억눌러서 생긴 것이다.(자세한 것은 한문을 보라)
○ 問曰 邪入陽明 爲譫言妄語 此果陽明乎 答曰 傷寒始自皮毛入 是從肺中來 肺主聲 入于心則爲言也 又曰合目自言 言所日用 常見常行之事 卽譫語也 大開目與人語 語所未嘗見之事 卽爲狂言也(東垣)
○ 문왈, 사기가 양명에 들어가면 헛소리나 허튼 말을 하게 되는데 이는 과연 양명 때문인가? 답왈, 상한은 처음에는 피모에 들어왔다가 이것이 폐를 따라 들어온다. 페는 소리를 주관하는데 심에 들어가면 말이 된다. 또왈, 눈을 감고 스스로 말하는데 날마다 늘 행하거나 보는 일을 말하면 헛소리고, 눈을 크게 뜨고 사람과 말하듯 일찍이 보지 못한 일을 말하면 미친소리가 되는 것이다.(동원)
○ 譫語者 口出無倫 邪氣勝也(回春)
○ 헛소리라는 것은 순서가 없이 입에서 나오는 것인데 사기가 승해서다.(회춘)
○ 衣被不歛 言語善惡 不避親疎者 此神明之亂也 乃狂疾也(內經)
○ 옷을 거두지 못하며 선한 말과 악한 말, 친소를 가리지 못하는 것 이는 신명이 어지러워서인데 곧 미친병이다.(내경)
○ 悲泣呻吟 言語譫妄 此乃邪祟也(綱目).
○ 슬프게 울기도 하고 신음소리를 내며 말을 허투루 하는 것 이것이 곧 헛것의 빌미이다.(강목)
瘖不得語
○ 內經曰 邪入於陰搏則爲瘖 有舌瘖 喉瘖之異詳見O音
○ 내경왈, 사기가 음에 들어가 부딪치면 벙어리가 되는데, 혀벙어리와 목벙어리는 다르다.(자세한 것은 O음을 보라)
○ 不得語 非止一端 有舌强不語 神昏不語 口噤不語 舌縱語澁 舌麻語澁 其間治痰 治風安神 養氣血 各種活法 治之(醫鑑)
○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은 한 가지 이유에 그치지 않는다. 혀가 굳어서 말을 못하는 것, 정신이 혼미해서 말을 못하는 것, 입을 다물어서 말을 못하는 것, 혀가 늘어져서 말이 되지 않는 것, 혀가 마비되어 말이 되지 않는 것이 있는데 그 사이에 담을 치료할 것, 풍을 치료할 것, 정신을 안정시킬 것, 기혈을 보양해야 할 것 등 각각의 좋은 방법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의감)
○ 有氣血虛損者 有腎虛 及老人 忽言不出者 宜於十全大補湯方見虛勞 去桂 加菖蒲 遠志(入門)
○ 혈기가 허손되었거나 신이 허하거나 노인이 갑자기 말을 못하는 것은 마땅히 십전대보탕(처방은 허로를 보라)에서 육계를 제거하고 창포와 원지를 더해서 쓴다.(입문)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言語 - 脈法 鄭聲 (0) | 2012.11.13 |
---|---|
內景篇券之二 - 聲音 - 痰塞亡血亦爲瘖 (0) | 2012.11.12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聲音 - 單方(凡20種) 鍼灸法 (0) | 2012.10.12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聲音 - 通治聲音藥 (0) | 2012.10.11 |
[스크랩] 內景卷之二 - 聲音 - 厥氣爲瘖 瘖瘂有二 聲嘶 腎怯與失音相似 息有音 不治證 (0) | 2012.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