脈法
○ 寸口脈微而澁 微則衛氣不足 澁則榮氣無餘 衛不足其息短其形燥 血不足其形逆 榮衛俱虛 言語錯誤(脈經)
○ 촌구맥이 미하고 삽하다면, 미하면 위기가 부족한 것이고 삽하면 영기가 넉넉하지 못한 것이다. 위기가 부족하면 숨결이 밭고 형체가 마른다. 혈이 부족하면 형체가 거꾸로 된다. 영위가 다 허하면 말이 헛갈린다.(경맥)
○ 心脈搏堅而長當病 舌卷不能言(內經)
○ 심맥이 뜬뜬하고 길어서 병이 된 것은 혀가 말려서 말을 할 수 없는 것이다.(내경)
○ 心脈澁甚爲瘖(靈樞) 又曰 手少陰之別脈 名曰 通里 別而上行 入於心中繫舌本 虛則不能言(靈樞)
○ 심맥이 몹시 색한 것은 벙어리가 되려는 것이다(영추) 또 수소음의 별맥(일명 통리라고 한다)은 갈라져 위로 올라가서 심에 들어가 혀뿌리와 연결되었는데 허하면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영추)
鄭聲
○ 鄭者 重也 言語重復不已 聲音糢糊 有如鄭衛 不正之音也 詳見寒門(入門)
○ 정이라는 것은 거듭한다는 것인데 한 말을 거듭하면서 낫지 않고 소리가 모호해서 마치 정나라 위나라와 같아서 바른 소리가 아니다.(상세한 것은 한문을 보라)(입문)
○ 鄭聲者 語不接續 精氣奪也(回春)
○ 정성이라는 것은 말이 이어지지 않는 것인데 정기를 빼앗긴 것이다.(회춘)
○ 鄭聲者 聲戰無力 不相接續 造字出于喉中 卽鄭聲也 皆大病後有之(東垣)
○ 정성이라는 것은 소리가 떨리고 힘이 없어 서로 이어지지 않는 것인데 말을 더듬고 목안에서 나오는 것이니 모두 중병 후에 오는 것이다.(동원)
출처 : 문례헌서울사대국어과22
글쓴이 : 진우김홍식 원글보기
메모 :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言語 - 歌 哭 呻 欠 嚔 噫 (0) | 2012.11.18 |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言語 - 言微 呼 笑 (0) | 2012.11.15 |
內景篇券之二 - 聲音 - 痰塞亡血亦爲瘖 (0) | 2012.11.12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聲音 - 肺主聲爲言 言語譫妄 瘖不得語 (0) | 2012.10.28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聲音 - 單方(凡20種) 鍼灸法 (0) | 201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