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塞亡血亦爲瘖
○ 足少陰之脈挾舌本 足太陰之脈連舌本 手少陰之別脈繫舌本 故此三脈 虛則痰涎乘虛閉塞其脈道而舌不能轉運言語也 若此三脈亡血 則舌無血營養而瘖(丹溪)
○ 족소음맥은 혀뿌리를 끼고 지나가며, 족태음맥은 혀뿌리와 연결되었고, 수소음별맥은 혀뿌리에 얽혀 있기 때문에 이 삼맥이 하하면 담연이 그 틈을 타서 경맥의 길을 막게 되어 혀가 잘 돌아가지 않아 말을 할 수 없게 된다. 만약 이 3맥에 망혈이 되어도 혀가 피의 영양을 받지 못하여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단계)
○ 內經曰 刺足少陰脈 重虛出血 爲舌難以言 又云 刺舌下中脈太過血出不止爲瘖 治當補血 又此三脈 風熱中之 則舌脈弛縱而瘖 風寒客之 則舌脈縮急而瘖 隨證治之(丹溪)
○ 내경에 왈, 족소음맥에 침을 놓아 더 허하게 하거나 피를 빼내면 말을 할 때 혀를 움직이기 어렵다. 또 왈, 혀 밑에 침을 놓을 때 중맥을 지나치게 찔러서 피가 나와 그치지 않으면 말을 못하게 된다. 치료는 응당 혈을 보해야 한다. 또 이 삼맥에 풍열이 들어가면 혀의 경맥이 늘어져서 말을 못하게 된다. 풍한이 침범하면 혀의 경맥이 줄어들면서 켕기기 때문에 말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증상에 따라 치료를 해야 한다.(단계)
○ 痰塞不語 宜導痰湯方見痰飮 加菖蒲 竹茹 人蔘 或芩蓮 亡血不語 宜四物湯方見血門 加人蔘 白朮 陳皮 甘草 菖蒲 遠志(入門)
○ 담이 막혀서 말을 못하면 응당 도담탕(처방은 담음을 보라)에 창포 죽여 인삼이나 금연을 넣어서 쓴다. 피를 흘려서 말을 못하면 응당 사물탕(처방은 혈문을 보라)에 인삼 백출 진피 감초 창포 원지를 넣어서 쓴다.(입문)
【治瘖一方】 一男子 因傷寒發熱 忽神昏而瘖 作體虛有痰 治之以人蔘12g 黃芪 白朮 當歸 陳皮各4g 煎湯 入竹瀝童便薑汁飮之 13日始能言一字 半月舌轉運 能言語 熱除而愈(此痰塞也)(丹溪)
【치음일방】어떤 남자가 상한으로 열이 나고 갑자기 정신의 흐려져서 말을 하지 못하고 몸이 허해지면서 담이 생겼다. 치료하는 데 인삼 12g 황기 백출 당귀 진피 각 4g을 끓여 죽력과 아이 오줌과 생강즙을 넣어서 마시게 했다. 13일만에 비로소 한 마디 말을 할 수 있었다. 반달이 지나자 혀가 제대로 돌아가 말을 할 수 있었다. 열이 내리고 완전히 나았다. 이는 담이 막힌 것이다.(단계)
【治瘖二方】 一男子 嗜酒多吐血後 不能語但渴飮水 脈略數 與當歸 川芎 白芍藥 熟地黃各4g 人蔘 白朮各8g 陳皮6g 甘草2g 水煎 入竹瀝 童便薑汁服之 至20餘貼 能言(此亡血瘖也)(丹溪).
【치음이방】어떤 남자가 즐겨 술을 마시다가 피를 많이 토한 후에는 말을 하지 못하고 목이 말라서 물을 마시는데 맥은 약간 삭하였다.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각 4g 인삼 백출 각 8g 진피 6g 감초 2g을 물에 끓여 죽력과 아이 오줌과 생강즙을 넣어서 먹였다. 20여 첩을 먹이니 말을 할 수 있었다. 이는 피를 많이 흘려서 말을 못한 것이다.(단계)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言語 - 言微 呼 笑 (0) | 2012.11.15 |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言語 - 脈法 鄭聲 (0) | 2012.11.13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聲音 - 肺主聲爲言 言語譫妄 瘖不得語 (0) | 2012.10.28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聲音 - 單方(凡20種) 鍼灸法 (0) | 2012.10.12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聲音 - 通治聲音藥 (0) | 201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