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涕
○ 內經曰 泣涕者 腦也 腦者 陰也 腦滲爲涕
내경에, 눈물과 콧물은 뇌에서 나오는데, 뇌는 음이고 뇌가 스며나와 콧물이 된다라고 했다.
○ 難經曰 腎主液 入肺爲涕 涕者肺之液也
난경에, 신이 액을 주관하는데, 액이 폐에 들어가면 콧물이 되며 콧물은 폐의 액이라고 했다.
○ 膽移熱於腦則辛頞鼻淵 鼻淵者 濁涕 下不止也.詳見鼻門 ∴頞(알 : 콧마루)
담에서 열이 뇌로 옮아가면 콧날이 시큰거리고 비연이 생기는데, 비연이라는 것은 탁한 콧물이 그치지 않고 나오는 것이다.자세한 것은 비문을 보라.
○ 肺熱則涕出黃 濁如膿狀 大如彈丸 從鼻中出 不出傷肺 傷肺則死也.詳見鼻門.
폐에 열이 있으면 누런 콧물이 나오는데, 탁하기가 고름 같고 크기는 탄환만한 것이 콧속에서 나오는데, 나오지 않으면 페를 상하게 하고 폐가 상하면 죽는다. 자세한 것은 비문을 보라.
○ 傷風則決然 鼻流淸涕(綱目)
풍에 상하면 반드시 코에서 맑은 콧물이 흘러나온다.(강목)
○ 鼻流濁涕者 屬風熱也. 鼻流淸涕者 屬肺冷也(回春)
코에서 탁한 콧물이 흘러나오는 것은 풍열에 속하고, 코에서 맑은 콧물이 흘러나오는 것은 폐가 차가운 것이다.(회춘)
鼻淵
○ <內經>(氣厥論篇 第三十七)曰 膽移熱於腦 則辛頞鼻淵 鼻淵者 濁涕下不止也 傳爲衄衊瞑目,
<註>曰 “膽液下注 爲濁涕下不已如水泉 故曰 鼻淵也 久而不已 必成衄血 失血多 故目視瞑暗也”
내경(기궐론편 제37)에, 담에서 열이 뇌로 옮아가면 콧날이 시큰거리고 비연이 생기는데, 비연이라는 것은 탁한 콧물이 그치지 않고 나오는 것이다. 전하여 코에서 더러운 피가 흘러나와 죽게 된다고 했다. 주에, 진액이 흘러내려서 탁한 콧물이 되어 샘물처럼 그치지 않고 흘러내리므로 비연이라고 하는 것이며 오래도록 그치지 않으면 결국 코피가 되어 피를 많이 읽게 되므로 눈으로 어두운 것을 보지 못하게 된다고 했다.
○ 鼻淵者 外寒束內熱之證也(正傳).
비연이라는 것은 밖은 추운데 안으로 열이 모이는 증상이다.(정전)
○ 鼻流濁涕者 屬風熱也(回春).
코에서 탁한 콧물이 흐르는 것은 풍열에 속한다.(회춘)
○ 鼻淵 宜 黃連通聖散 防風湯 蒼耳散 荊芥連翹湯.
비연에는 응당 황련통성산, 방풍탄, 차이산, 형분연교탕을 써야 한다.
○ 一人 鼻流濁涕 有穢氣 脈弦小 右寸滑 左寸澁 先灸上星 三里 合谷 次以酒芩80g 蒼朮 半夏各40g 辛夷 細辛 川芎 白芷 石膏 人參 葛根各20g 爲剉分7貼 服之 全愈(丹溪) .
어떤 이가 탁한 콧물이 흐르고 냄새가 나고 맥박이 가늘면
○ 鼻中常流臭黃水 甚者 腦亦痛 俗名控腦砂 有虫蝕腦中 用絲瓜藤近根3~5尺許 燒存性爲末 酒調服 卽愈(正傳).
【黃連通聖散】治鼻淵證
卽防風通聖散 加酒炒黃連 薄荷葉 煎服(醫鑒).
【防風通聖散】 治諸風熱(宣明).
滑石7g 甘草5g 石膏 黃芩 桔梗各3g 防風 川芎 當歸 赤芍藥 大黃 麻黃 薄荷 連翹 芒硝各2g 荊芥 白朮 梔子,各1.g,爲剉作一貼,入薑五片,水煎服(入門).
【防風湯】治鼻淵 濁涕下不止
防風80g 酒炒片芩 人參 川芎 麥門冬 甘草灸各40g
細末 每8g沸湯點服 食後日三 或剉取28g 水煎服亦可(河間).
【蒼耳散】治鼻淵
白芷40g 辛夷20g 蒼耳子炒10g 薄荷4g, 爲末 每8g 葱茶淸調下 食後(三因).
【荊芥連翹湯】
治鼻淵
荊芥 柴胡 川芎 當歸 生地黃 赤芍藥 白芷 防風 薄荷 梔子 黃芩 桔梗 連翹各2g 甘草1g,水煎服(回春).
∴【治鼻淵方】先灸上星 三里 合谷,
次以酒芩80g 蒼朮 半夏各40g 辛夷 細辛 川芎 白芷 石膏 人參 葛根各20g 剉分7貼服之 全愈(丹溪).
※涎
○ 口角流出而不禁者 涎也(直指)
입가로 줄줄 흘러서 멈추지 않는 것이 침이다.(직지)
○ 涎者 脾之液也 脾熱 則涎出(內經註)
침은 비의 액으로 비에 열이 있으면 나온다.(내경주)
○ <黃帝>曰 人之涎下者 何氣使然 岐伯曰 飮食者 皆入於胃 胃中有熱 則蟲動 蟲動 則胃緩 胃緩 則廉泉開 故涎下(靈樞)
황제가, 사람이 침을 흘리는 것은 어떤 기가 그렇게 하는가 물으니, 기백이, 음식은 모두 위로 들어갑니다. 위 속에 열이 있으면 기생충이 움직이고 기생충이 움직이면 위가 늘어지고 위가 늘어지면 염천이 열리게 되어 침을 흘립니다라 했다.(영추)
○ 一人 口流涎不止 喜笑舌瘖 脈洪大 用芩蓮 梔栢 蒼白朮 半夏 竹瀝薑汁服之 五日涎止 笑息(綱目)
어떤 이가 침을 흘리고 그치지 않고 잘 웃고 말을 못하며 맥이 크게 뛰었다. 금련 치백 창백출 반하 죽력강즙을 복용하고 오일만에 침이 그침고 웃음도 그쳤다.(강목)
○ 口角流涎不止 口眼喎斜 以通天愈風湯煎水呑下 淸心導痰丸50粒而愈(綱目)
구안와사로 입가에 침이 흘러 그치지 않을 때는 통천유풍탕을 끓여서 그 물로 청심도담환 50알을 삼키면 낫는다.(강목)
○ 時常吐淸水 冷涎自下 涌上者 脾熱所致 二陳湯方見痰飮加白朮 白芍藥 升麻土炒 芩蓮 梔子 神麴 麥芽 乾生薑 或丸或煎服(入門)
늘 맑은 물을 토하고 냉연이 밑에서 위로 올라오는 것은 비열이 이르러서다. 이진탕처방은 담음을 보라에다 백출 백작약 승마토초 잠연 치자 신국 맥아 건생강을 넣어서 환을 짓거나 끓여서 먹어라.(입문)
【通天愈風湯】
口角流涎不止 口眼喎斜 桔梗12g 白朮6g 人參 南星炮 貝母炒各4g 威靈仙 連翹 防風 荊芥穗 甘草各2g 瓜蔞仁15粒 剉作一貼 入薑三 水煎 調荊瀝一呷 薑汁少許 溫服(綱目)
구안와사로 입가에 침이 줄줄 흐를 때는, 길경 12그램, 백출 6그램 임삼 남성포 배모 초 각4그램 위령선 연교 방풍 형개수 감초 각2그램 과루인15알 좌작 한첩에 생강 세 조각을 넣고 물에 끓여서 가시나무 가지와 생강즙 조금을 따뜻하게 복용한다.(강목)
【淸心導痰丸】
口角流涎不止 口眼喎斜 以通天愈風湯煎水呑下 淸心導痰丸50粒而愈 天南星 半夏並薑汁製各8g白附子 天花粉各40g 黃連炒 鬱金各30g 白殭蠶炒 天麻 羗活各20g 川烏塩製8g 爲末 薑汁糊丸 梧子大(綱目)
구안와사로 입가에 침이 줄줄 흐를 때는 통천유풍탕을 끓여서 마시고 청심도담환 50알을 먹으면 낫는다. 천남성 반하 생강즙과 함께 각8그램 백부자 천화분 각40그램 황연초 울금 각30그램 천마 강활 각 20그램 천오염제8그램을 가루로 내서 생강풀로 환을 오동나무 씨앗크기로 만들어 먹는다.(강목)
【加味二陳湯】
治一切痰飮 時常吐淸水 冷涎自下 涌上者 脾熱所致 二陳湯(半夏8g 陳皮 赤茯苓 各6g 甘草4g 生薑10g 大棗6g.水煎服) 加白朮 白芍藥 升麻土炒 芩蓮 梔子 神麴 麥芽 乾生薑 或丸 或煎服(入門)
모든 담음을 지료한다. 늘 맑은 물을 토하고 냉연이 아래로부터 위로 솟구치는 것은 비열이 이르러서다. 이진탕(반하8그램 진피 적령 각6그램 감초 4그램 생강 10그램 대추 6그램을 물에 끓여 복용.) 백출 백작약 승마토초 잠연 치자 신국 맥아 건생강을 환을 짓거나 끓여서 복용(입문)
※唾
○ 唾者 腎之液也. <內經>曰 腎爲唾(宣明五氣篇 第二十三) 唾生於牙齒
침은 신의 액이다. 내경에, 신이 침을 만든다(선명오기편 제23). 침을 치아에서 생긴다.
○ 腎冷多唾 腎熱則無唾
신이 차면 침이 많고 신에 열이 있으면 침이 없다.
○ 水之在口曰華池 亦曰玉泉 黃庭經曰 玉泉淸水灌靈根 審能修之可長存 靈根者 舌也(活人心)
입에 있는 물을 화지라 하고 또 옥천이라고도 한다. 황정경에, 옥천의 맑은 물로 영근을 적신다. 살펴서 수련하면 오래 살 수 있다고 했다. 영근은 혀다.(활인심)
○ 大病差後 喜唾者 胃上有寒 宜理中丸 溫之(仲景)
큰 병이 나은 후에 침이 가득한 것은 위에 한이 있어서니 이중환으로 따뜻하게 해야 한다.(중경)
○ 大病 新愈 喜唾不休 或唾白沫者 胃口上 停寒也 理中丸方見寒門加益智仁(東垣)
큰 병이 막 나은 후 침이 입에 가득해서 그치지 않거나 흰 거품이 있는 것은 위의 입구에 한이 머물러 있어서니 이중환처방은 한문을 보라에 익지인을 넣어서 쓴다.(동원)
○ 蟲證 多涎唾(詳見蟲門) 蟲證164 蟲證轉載
충증도 침을 흘리는 경우가 많다.(자세한 것은 충문을 보라)
○ 凡 蟲痛之證 腹中有塊起 以手按之不見 鐘聚往來 痛無休止 五更心嘈 牙關强硬 嘔吐涎沫 或吐淸水 夢中嚙齒 面色靑黃 飮食雖多不生肌膚(得效).
○ 凡蟲證 眼眶鼻下靑黑 面色萎黃 臉上有幾條血絲 如蟹爪分明.
○ 面上 白斑唇紅 能食心嘈 顔色不常 臉上有蟹爪路者 便有蟲也(入門).
○ 蟲痛之證 時作時止 痛則咬心 口吐淸水 人中鼻唇 一時靑黑者 是也.
○ 腹痛 肚大靑筋者 蟲痛也(醫鑒).
○ 小兒腹痛 口中出淸水者 蟲痛也(回春).
○ 三蟲之證 皆口流涎也(綱目). ∴已上蟲門 轉載
【理中丸】治太陰腹痛自利 不渴.
人蔘 白朮 乾薑炮各8g 甘草灸4g 爲末 蜜丸 彈子大 每一丸 溫水 化下(入門) 寒門轉載
※廻津法
○ 眞人曰 常習不唾地 盖口中津液 是金漿玉醴 能終日不唾 常含而嚥之 令人精氣常留 面目有光. 盖人身 以津液爲本 在皮爲汗 在肉爲血 在腎爲精 在口爲津 伏脾爲痰 在眼爲淚 曰汗 曰血 曰淚 曰精 已出則不可廻 惟津唾則獨可廻 廻則生 生之意又續矣 有人喜唾 液乾而體枯 遇至人敎 以廻津之術 久而體復潤矣(延壽書)
진인이, 늘 침을 뱉지 않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했다. 입안의 진액은 금장과 옥례다. 하루 종일 침을 뱉지 않고 늘 머금고 있다가 삼키면 사람의 정기가 항상 머물러 있어서 얼굴과 눈에서 빛이 난다. 사람의 몸은 진액을 진액을 근본으로 삼기 때문에, 피부에서는 땅이 되고, 살에서는 피가 되며, 신에서는 정이 되고, 입에서는 침이 되며 비에 잠복하면 담이 되고,눈에서는 눈물이 된다. 땀, 피, 눈물, 정이라고 하는 것은 일단 나오면 되돌릴 수가 없지만 오직 침만은 되돌릴 수가 있다. 되돌리면 생겨나고 생겨난 뜻을 이러갈 수가 있다. 어떤 사람이 침이 가득하고 액이 말라서 몸이 말라갔는데, 지인을 만나 회진법을 배운 후 오래 되니 몸이 다시 윤택해졌다.(연수서)
通治藥
○ 自汗 盜汗 諸汗 通用黃芪湯 牡蠣散方見上 補中益氣湯方見內傷 雙和湯方見虛勞
자한 도한 등 여러 땀이 나는 증상에 통용된다. 황기탕, 모려탕처방은 위를 보라,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을 보라, 쌍화탕처방은 허로를 보라.
【黃芪湯】治陰陽偏虛 自汗或盜汗
음양이 두루 허한 것을 치료하고 자한과 도한을 치료한다.
黃芪蜜炒9g 生乾地黃 天門冬 白茯苓 麻黃根各6g 當歸5g 麥門冬4g 五味子 浮小麥 甘草各3g 防風2g
剉作一貼 水煎服(醫鑒). ː嚴氏黃芪湯同. 但無 龍骨一味 地黃去熟用生耳.
【牡蠣散】治盜汗 及自汗
牡蠣煆 黃芪 麻黃根各等分爲剉每20g 浮小麥100粒 同煎服(三因).
【牡蠣散】治盜汗
牡蠣粉 白朮 防風各等分爲末 酒調服8g 汗卽止(類聚).
【補中益氣湯】治勞倦虛損 身熱而煩.內傷虛證一切.&.治勞役太甚 或飮食失節 身熱而煩 自汗倦怠
黃耆8g 人蔘 白朮 當歸各6g 甘草4g陳皮 柴胡 升麻各2g(東垣) 內傷轉載.
【雙和湯】治 心力俱勞 氣血皆傷 或房室後勞役 或勞役後犯房 及大病後虛勞 氣乏自汗等證.
白芍藥10g 熟地黃 黃芪 當歸 川芎各4g 桂皮 甘草各3g.剉作一貼薑三棗二水煎服(局方) 虛勞轉載.
單方(凡25種)
石膏 解肌出毒汗 宜細碎水煎服(本草)
석고 : 자연스럽게 땀을 흘려 땀으로 독을 빼내고 곱게 갈아서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葛根 解肌發表出汗 開腠理水煎服之(本草)
갈근(칡뿌리) : 자연스레 땀을 내어 겉으로 발산하여 주리를 열어주고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麻黃 去節則發表出汗 根與節 能實表止汗 水煎服之(本草)
마황 : 마디를 제거한 것은 발산하여 땀을ㄹ 내고 뿌리와 마디는 겉을 실하게 하여 땀을 멎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生薑及乾薑 皆發表 開腠理出汗 水煎服(本草)
생강과 마른 생강 : 모두 발표하는데 주리를 열어 땀을 빼내며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浮萍 發汗最捷詳見風門 去風丹下
부평 : 땀을 가장 빠르다. 상세한 것은 풍문 거풍 단하를 보라
荊芥 發表出汗 水煎服(本草)
형개 : 발표하여 땀을 낸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薄荷 發毒汗 解勞乏 淸頭目 水煎服(本草)
박하 : 독하를 내보내며 피로를 풀어주며 머리와 눈을 시원하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蔥白 連鬚用 解表出汗 散風邪 水煎服(本草)
총백 : 뿌리채 쓰며 해표하여 땀을 내며 풍사를 흩어지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紫蘇葉 散表氣出汗(本草). 久汗不出 同靑皮煮服之卽出(丹溪)
자소엽 : 표기를 흩어지게 하고 땀을 낸다.(본초) 오랫동안 땀이 나오지 않을 때는 청피와 함께 달여 먹는다.(단계)
忍冬藤 散久積陳鬱之氣 能出汗 煮飮良(丹溪)
인동덩굴 : 오래된 적과 울체된 기를 흩어 주며 땀을 낸다. 달여 마시는 것이 좋다.(단계)
細辛 散風出汗 水煎飮之 不可爲末服 令人氣塞(本草)
세신(족도리풀) : 풍을 흩어지게 하여 땀을 낸다. 물에 달여 마신다. 기를 막히게 하기 때문에 가루내서 먹어서는 안 된다.(본초)
杏仁 解肌發汗 水煎服(本草)
행인 : 자연스레 땀을 낸다. 물에 달여 먹는다.(본초)
豆豉 發汗. 久盜汗 豉一升微炒漬酒三升滿三日 冷煖任服 不差更作(本草)
두시 : 땀을 낸다. 오래 된 도한에 두시 한 되를 술 석 되에 사흘 동안 담근 후 먹거나 차게 해서 먹는다. 차도가 없으면 다시 만든다.(본초)
白朮 止汗 治盜汗 極險 白朮不拘多少 剉成小塊 浮麥一升 水一斗 同煮乾 取出切片焙乾去麥不用 硏爲細末 每服7.5g 別煎浮麥湯 調服(得效)
백출 : 땀을 멎게 한다. 도한 치료에 대단한 효험이 있다. 백출많고 적든 간에을 썰어서 만든 작은 덩어리를 부소맥 1되, 같은 양의 물에 마를 때까지 달여서 절편을 취해서 불에 쬐어 말리는데 부소맥은 버리고 곱게 갈아 매번 7.5그램을 별도로 끓인 부소맥탕에 타서 먹는다.(득효)
桂枝 止汗 表虛自汗 秋與冬 則用桂枝 煎服(東垣)
계피나무 가지 : 땀을 멎게 한다. 표허로 자한이 있을 때 가을과 겨울에는 계지를 쓰되 달여서 먹는다.(동원)
酸棗仁 : 止汗 治睡中汗出 酸棗仁炒 人參 白茯苓 爲細末每7.5g 米飮調下(得效)
산조인(멧대추씨) : 땀을 멎게 한다. 잠 잘 때 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볶은 산조인, 인삼, 백복령을 가루내어 7.5그램씩 매번 미음에 타서 먹는다.(득효)
桑葉 : 最止盜汗 靑桑第二番葉 帶露採陰乾焙爲末 米飮調服(入門)
뽕나무잎 : 도한을 가장 잘 멎게 한다. 푸른 뽕나무의 두 번째 잎을 이슬을 맞혀 따서 그늘에 말렸다가 가루내어 미음에 타서 복용한다.(입문)
牡蠣紛 : 止汗 和杜冲 服止盜汗 又和麻黃根爲末粉身止盜汗(本草)
모려분(굴껍질을 가루낸 것) : 땀을 멎게 한다. 두충과 함께 복용하면 도한을 멎게 한다. 또 마황뿌리와 함께 가루내서 몸에 바르면 도한이 멎는다.(본초)
浮小麥 : 實表 止自汗(本草). 水煎作飮常服之. 凡自汗多喫麪食則安(得效)
부소맥 표를 튼실하게 하며 자한을 멎게 한다.(본초) 물에 달여서 늘 먹어야 한다. 대개 자한은 밀가루 음식을 많이 먹으면 편안하다.(득효)
防風 : 止汗 又止盜汗 水煎服之 葉尤佳(本草)
방풍 땀을 멎게 하고 또 도한을 멎게 한다. 물에 달여서 먹는데 잎은 더욱 좋다.(도한)
黃芪 : 實表虛 止自汗 蜜水炒黃芪 入灸甘草少許 水煎常服. ː凡自汗 春夏用黃芪(東垣)
황기 표허를 튼실하게 하며 자한을 멎게 한다. 꿀물에 볶은 것을 덖은 감초에 조금 넣어 물에 달여 늘 먹는다. 대개 자한에는 봄 여름 내내 황기를 쓴다.(동원)
麻黃根 : 止自汗及盜汗 水煎服之 又和牡蠣粉 粉身止汗(本草)
마황근 자한과 도한을 멎게 한다. 물에 달여서 먹으며 모려분과 섞어서 몸에 발라도 땀이 멎는다.(본초)
椒目 : 止盜汗最妙 微炒爲極細末 取1.875g 以生猪上脣煎湯一合 調臨臥服之 無不效(本草)
초목 도한을 멎게 하는 데 가장 잘 듣는다. 약간 볶아서 곱게 가루내어 1.875그램을 돼지주둥이의 윗턱을 끓인 물 한 홉에 타서 자기 전에 먹으면 효험이 없는 것이 없다.(본초)
烏梅 : 止好唾作茶飮之(本草)
오매 침을 많이 뱉는 것을 멎게 하는데 차를 만들어 먹는다.(본초)
白茯苓 : 止自汗盜汗 取爲末 以烏梅陳艾煎湯調下7.5g(得效)
백복령 자한과 도한을 멎게 한다. 가루내어 약쑥을 달인 물에 타서 7.5그램씩 먹는다.(득효)
鍼灸法
○ 盜汗不止 取陰郄 瀉之(綱目)
○ 도한이 멎지 않으면 음극을 취하여 사해야 한다.(강목)
○ 汗不出 取曲差盜汗 取陰都 五里 間使 中極 氣海虛損盜汗 取百勞 肺兪(甲乙)
○ 땀이 나지 않는 데는 곡차혈을, 도한에는 오리 간사 중극 기해혈을 취한다. 허손되어 식은땀이 나면 백로 폐유혈을 취한다.(갑을)
○ 傷寒汗不出 取合谷 復溜 俱瀉之大妙(綱目)
○ 상한에 땀이 나지 않으면 합곡 복류혈을 취하고 모두 사해야 아주 좋다.(강목)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內景篇卷之二 - 痰塊 (0) | 2020.06.28 |
---|---|
內景篇卷之二 - 痰飮 (0) | 2020.06.27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積氣生液 泣 (0) | 2014.03.11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止汗法 無汗 絶汗 柔汗 汗出兇證 禁忌 (0) | 2014.02.18 |
[스크랩] 內景篇券之二 - 大蒜元 血汗 漏風證 亡陽證 (0) | 2013.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