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乙未丙申年間天將劉提督 綎 領兵往來湖嶺間幕下帶一書生往往賦詩人或傳誦其佳句而不見其面不知其名時我國與倭賊相持成敗未決厥書生以蚌鷸之喩作長律曰老蚌當陽爲怕寒野禽何事苦相干身離窟穴珠胎損力盡沙灘翠羽殘閉口豈知開口禍入頭誰料出頭難早知俱落漁人手雲水飛潛各自安蓋書生見時事搶攘之勢誤擧漁人之說畢竟國家重恢以有今日者無非上國終始恤小宣廟跋履戡難之力書生豈知言者哉

 

을미 병신 연간에 명의 제독 유정이 병사를 거느리고 영호남간을 오간 적이 있었는데 그 막하의 한 서생이 가끔 시를 지었다. 사람들이 혹간 그의 좋은 시구를 외우곤 했으나, 그의 얼굴도 보지 못하였고 그 이름도 아지 못하였다. 그때는 우리나라와 왜적이 서로 싸우고 있어서 성패가 미결이었다. 그 서생이 방휼의 비유를 써서 긴 율시를 지었다.

 

오래 된 조개는 양달에 있으면서도 추위를 걱정하는데

들새는 무엇을 어렵게 서로 구하는가.

몸이 굴혈을 떠나니 주옥을 자못 잃고

모래펄에서 진력해도 푸른 날개 힘이 없네.

입 다물었을 때 어찌 입을 열 때의 화를 알며

머리를 디밀었을 때 누가 머리를 빼기 어려움을 헤아렸으리.

어부 손에 함께 잡힐 줄 일찍 알았더라면

구름 속을 날고 물속에 잠겨 각자 편안했을 것을.

 

서생이 그때의 일의 할퀴고 뜯는 형세를 보고는 어부지리의 이야기를 잘못 열거한 것이다. 나라가 거듭된 화를 겪으면서도 끝내 오늘이 있는 것은 명이 우리나라를 불쌍히 여기고 선조가 어려움을 버텨낸 힘 때문이다. 서생이 어찌 말을 할 줄 아는 이겠는가?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霽湖詩話 3  (0) 2019.03.29
霽湖詩話 2  (0) 2019.03.28
惺叟詩話 84  (0) 2019.03.24
惺叟詩話 83  (0) 2019.03.23
惺叟詩話 82  (0) 2019.03.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