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목민들이 벌이는 전쟁의 목적은 약탈이다. 그래야 그들은 생존에 필요한 것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전쟁에 참여한 병사들은 누구보다 더 먼저 더 많이 약탈하기 위해 혈안이 되기 마련이다. 그래야 병사들이 물불을 가리지 않기에 약탈을 방조 아니 촉구하는 장군도 있었던 것이다. 그것이 동족간의 전쟁이 아니고 이민족간의 전쟁이면 더욱 참혹하다. 몽골족은 여러 부족들의 연합으로 이루어진 나라로 그 우두머리를 單于라 했다.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족과 흉노는 쉴새없이 침략과 방어를 거듭해 왔다. 그래서 한 원제는 침략해온 선우를 달래기 위해 양녀로 삼은 궁녀 왕소군을 선우의 왕비로 주어 화친을 맺었고, 볼모로 잡혀가 왕비가 된 왕소군을 두고 당나라 동방규가 지은 한 시 <소군원>. 그 한시 중 "春來不似春 (춘래불사춘)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네"가 가장 많이 인구에 膾炙되어온 구절이다. 우리가 가서 본 대로 봄이 다 가는데도 그곳은 봄이 아니었지 않은가. 예나 이제나 전쟁의 가장 큰 피해자는 곧 여자였다. 힘없는 백성이었고.
東方虬의 昭君怨
漢道方全盛 (한도방전성) 한나라는 막 융성한 때여서
朝廷足武臣 (조정족무신) 조정에는 무신들도 많은데
何須薄命妾 (하수박명첩) 어찌하여 박명한 여인에게
辛苦事和親 (신고사화친) 슬프고 괴로운 화친을 시키나
昭君拂玉鞍 (소군불옥안) 소군이 구슬 안장 추어올려
上馬涕紅頰 (상마체홍협) 말에 오르니 홍안에는 눈물 흐르네
今日漢宮人 (금일한궁인) 오늘은 한나라 궁궐의 사람인데
明朝胡地妾 (명조호지첩) 내일 아침에는 오랑캐 땅의 첩이로세
掩淚辭丹鳳 (엄루사단봉) 눈물을 가리고 궁궐을 떠나
含悲向白龍 (함비향백룡) 슬픔을 머금고 백용구로 향하네
禪于浪驚喜 (선우랑경희) 선우는 놀라고 기뻐하지만
無復舊時容 (무복구시용) 다시 옛 모습은 돌아오지 않으리
胡地無花草 (호지무화초) 오랑캐 땅에는 화초도 없어
春來不似春 (춘래불사춘)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네
自然衣帶緩 (자연의대완) 저절로 허리띠가 느슨해짐은
非是爲腰身 (비시위요신) 몸매를 다듬어서가 아니라네
萬里邊城遠 (만리변성원) 만 리 밖 멀고 먼 변방의 성에
千山行路難 (천산행로난) 산첩첩 가는 길 험난하네
擧頭惟見日 (거두유견일) 머리 들어 해를 바라볼 뿐이니
何處是長安 (하처시장안) 어느 곳이 장안이런가
역사상 가장 위대한(?)한 정복자 징기스칸의 동상아니 銀像이 거대하게 자리잡고 있었다. 한 군데만 있는 것도 아니고 여러 군데 많이 있단다. 그들은 기마민족이어서 이동성이 탁월했다. 더구나 건량을 가지고 다녔으므로 마상에서 건량을 먹어가면서 진격을 하는 까닭에 상대의 예상을 뒤엎고 벼락같이 들이닥쳐 공격을 해대니 당할 자가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역사상 가장 광대한 칸제국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오직 고려만은 여러 차례 침략을 하면서도 병탄을 하지 못하고 사위나라로 부르며 고려왕의 시호에 忠자를 얹어 놓게 하고는 자치를 허용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탐라까지 물러나면서 저항을 한 그 유명한 삼별초의 항쟁이 아마도 큰 역할을 했으리라. 역사의 기록은 이긴 자의 것이다. 그래서 지금도 우리는 '삼별초의 난'이라고 부르고, '삼일운동'이라고 부르지 않은가? 겨우 동학란이라 부르다가 이제 겨우 동학혁명이라 고치고 있지 않은가?
우리의 의식 속에는 알게 모르게 事大가 자리잡고 있다. 그 예로 지금도 우리는 이런 말을 스스럼없이 쓴다..
"미국에 내일 들어간다." 주체가 누구란 말인가? 미국에 내일 나간다고 왜 아니하는가? 미국이 고국인가? 신종 아니 이제는 백년이나 된 사대의식이다. 이를 누구는 살아남기 위한 방편(?)이라 했다.
독수리를 잡아 매놓고 구경거리로 삼는다. 손가락을 돌리면 독수리가 그 손가락을 따라 고개를 휘휘돌린다. 이 독수리는 얼마 동안 그렇게 묶여 방문객의 놀이개감이 되었다가 또 방생되고 다른 독수리가 잡혀온단다. 그래도 죽을 때까지 두지 않는 것이라 다행이라 할까?
칸의 동상 아니 은상 옆에는 게르가 있고 그 앞에 기마병사들이 도열해 있다. 그 옛날 저 병사들이 나타나면 백성들은 얼마나 무서웠을까?
은상 앞에서 180도 눈을 돌리니 저 멀리 산야에 게르들이 즐비하다. 저 산야가 모두 파랗게 물들면 얼마나 장관일까? 7,8,9월이 그렇단다. 그때는 관광비용도 3배로 뛴단다.
하얀 눈 같아 보이는 것은 강이다. 밤새 기온차로 얼었던 얼음이다. 4월 중순인데 말이다. 春來不似春이 실감나지 않은가?
은상 앞 독수리 곁에 거만하게(?) 버티고 있는 이가 우리의 기사 가나다. 옛날 인간들의 공포의 대상이었던 저 기마병과 거인처럼 독수리 앞에 버티고 있는 몽골인 가나가 겹쳐지는 것은 지나친 상상일까?
독수리 嘆
어쩌다가 저 독수리 순한 양되어
이 사람 저 인간 지문을 봐주느라
오늘도 분주하지만 얻은 것이 없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