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病不卒死담병부졸사
○ 大凡 病久淹延卒不死者 多因食積痰飮所致 何以然者 蓋胃氣亦賴 痰積所養 飮食雖少 胃氣卒不便 虛故也(丹心).
대개 병이 오래되었으나 갑자기 죽지는 않는 것은 대부분 식적이나 담음 때문이다. 왜그러냐 하면 대개 위기 역시 담적에 의해서도 길러지므로 음식을 비록 적게 먹더라도 위기가 갑자기 허해지는 않아서다단심.
痰病難治證담병난치증
○ 氣實熱痰 吐難得出 或成塊 吐喀不出 氣鬱滯者難治 又曰 氣實痰熱結者難治(丹心)
기가 실하여 열담이 생겨 토하려 해도 나오지 않거나 덩어리가 되어 뱉어도 나오지 않는 것은 기가 출체된 것으로 치료하기 어렵다. 또 기가 실하여 담열이 뭉친 것도 치료하기 어렵다단심.
○ 喉中 漉漉有聲 喘急 喀痰不出者 難治 又曰 服藥後 喀吐痰出爲效. 若喀痰不出者 難治(回春)
목구멍에서 쇄쇄 소리가 나고 숨이 차며 담을 뱉으려 해도 나오지 않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또 약을 먹은 후는 담을 토해내야 약효가 있다. 만약 가래가 나오지 않으면 치료하기 어렵다회춘.
○ 痰涎等病 不一而足 惟癆癠 有痰爲難治 最宜早灸膏肓四花穴詳見針灸(資生經)
담연의 여러 병들은 한 가지일 수는 없지만 오직 노체로 담이 있을 때만은 치료가 어렵다. 고황 사회혈자세한 것은 침구를 보라에 침을 뜨는 것이 가장 좋다자생경.
○ 肺胃經虛則生粘痰 痰者肺胃所生也 痰涎凝滯 在於咽喉 如牽鋸之聲 時復瘈瘲 或因吐瀉所致 脾虛肺亦虛 痰涎流溢 變成癲癎 尤爲難治(全嬰方)
폐경과 위경이 허하면 끈적끈적한 담이 생겨 폐위에서 나오는 것이다. 담연이 엉겨서 목구멍에 있어, 톱질하는 소리처럼 나고 때때로 경련이 이는 경우는 혹 토하고 설사하게 되어 비가 허해지고 폐도 허해져 담연이 흘러넘쳐서 전간으로 변하면 더 치료하기 어렵다전영방.
痰飮吐法담음토법
○ 痰在膈上 必用吐法 瀉亦不能去
담이 흉격에 있을 때는 반드시 토법을 써야 한다. 사법으로는 없앨 수 없다.
○ 脈浮者 宜吐 膠固稠濁者 必用吐
맥이 뜨면 토하게 해야 한다. 담이 단단하게 붙어서 끈끈하고 탁하면 반드시 토하게 해야 한다.
○ 痰在經絡中非吐不可 吐中就有發散之意 不必在出痰也
담이 경락에 있을 때는 토하게 해야 한다. 토법에는 발산의 뜻이 있으니 반드시 담을 토해내는 데만 있는 것은 아니다.
○ 凡用吐藥 宜升提其氣 便吐也. 防風 梔子 川芎 桔梗 芽茶 生薑 虀汁之類 或以二陳湯探吐 或用瓜蒂散二方並見上(丹心).
토하게 하는 약을 쓸 때는 기를 끌어올려 주면 곧 토하게 된다. 방풍 치자 천궁 길경 아다 생강 김치국물 같은 것을 쓴다. 혹 이진탕으로 깊이 토하게 하거나 과체산두 처방은 위를 보라을 쓰기도 한다단심.
痰飮治法담음치법
○ 實脾土 燥脾濕 是治基本(丹心)
비토를 튼튼히 하고 비습을 말리는 것이 그 근본을 치료하는 것이다단심.
○ 虛人 中焦有痰 胃氣亦賴所養 卒不可便攻 攻盡則愈虛(丹心)
허한 이가 중초에 담이 있을 때는 위기도 영양을 받기 때문에 갑자기 담을 공격해서는 안 된다. 공격을 다 하고 나면 더욱 허해진다단심.
○ 凡治痰 用利藥過多 致脾氣下虛 則痰反易生而多 當補脾胃 淸中氣 則痰自然運下 乃治本之法也(丹心)
담을 치료하는 데 이약을 지나치게 많이 쓰면 비기가 쳐져 허해져서 도리어 담이 쉽게 생겨 더욱 많아진다. 비위를 보하고 중기를 맑게 해야 담이 저절로 내려가게 된다. 곧 근본을 치료하는 방법이다단심.
○ 治痰 順氣爲先 分導次之 然氣升屬火 因氣動者 曰痰氣 宜順氣導痰湯 因火動者 曰痰火 宜淸熱導痰湯方見上, 因濕動者 曰濕痰 導痰湯 通用二陳湯(入門)
담을 치료할 때는 우선 기를 순조롭게 하고서 나누어 보내야 한다. 그러나 기가 올라가는 것은 화에 속한다. 기로 인해 움직이는 것을 담기라 하는데 순기도담탕을 쓴다. 화로 인해 움직인 것을 담화라 하는데 청열도담탕처방은 위를 보라을 쓴다. 습으로 인해 움직이는 것을 습담이라고 하는데 도담탕 이진탕을 두루 쓴다입문.
○ 陽虛腎寒 冷痰溢上 或昏暈 夜喘 上氣者 八味丸方見虛勞 黑錫丹方見入門 鎭墜之(入門)
양허로 신이 차가와 냉담이 넘쳐오르거나 혼미하고 어지럽고 밤에 숨이 차오르고 상기가 있을 때는 팔미환처방은 허로를 보라 흑석단처방은 입문을 보라으로 눌러서 내려야 한다입문.
○ 脾虛 不能運化者 六君子湯 加竹瀝 薑汁 或補中益氣湯 加半夏 竹瀝 薑汁(入門)
비가 허해서 운화할 수 없을 때는 육군자탕에 죽력 생강즙을 더하거나, 보중익기탕에 반하 죽력 생강즙을 넣는다입문.
○ 張子和曰 飮無補法 必當去水 故用汗吐下三法 治人常愈 然亦有挾寒 挾虛之證 又有血氣虧乏之人 理宜導去痰滯 又當補接兼行 又難拘於子和之三法也(丹心)
장자화가, 음병에는 보법을 쓰지 말고 반드시 수기를 없애야만 한다. 그러므로 한법 토법 하법의 삼법을 써서 치료하면 늘 낫는다라 했다. 그러나 한을 겸하거나 허를 겸하는 증상일 때도 있고, 또 혈기가 부족한 사람도 있으므로 이치상 담으로 막힌 것을 뚫어 주면서 보법을 겸해서 해야 한다. 그러나 자화의 삼법에 억맬 필요는 없다단심.
○ 痰生於脾胃 治法宜實脾燥濕 又隨氣而升 宜順氣爲先 分導次之, 又氣升屬火 順氣 在於降火(醫鑒)
담은 비위에서 생기므로 치료할 때는 비를 실하게 하고 습을 말려야 한다. 또 기를 따라 올라올 때는 먼저 기를 순조롭게 한 후에 나누어 보내야 한다. 또 기가 올라오는 것은 화에 속하므로 기를 순조롭게 한다는 것은 화를 내린다는 것이다의감.
○ 難經曰 腎主五液 化爲五濕 濕能生痰 痰者因咳而動 脾之濕也 半夏 能泄痰之標 不能泄痰之本 泄本者 泄腎也 十棗湯 三花神佑丸方幷見下門 是也 熱痰則淸之 用石膏 靑黛 梔子 黃芩 黃連 寒痰則溫之 用半夏 乾薑 附子 肉桂 燥痰則潤之 用瓜蔞仁 杏仁 五味子 天花粉 濕痰則燥之 用蒼朮 白朮 厚朴 茯苓 風痰則散之 用南星 皂角 白附子 竹瀝 老痰則軟之 用海石 芒硝 瓜蔞仁 枳殼 便香附子 食積痰則消之 用山査子 神曲 麥芽 大要 人蔘 甘草以補脾 白朮 半夏 以燥濕 陳皮 靑皮 以利氣 茯苓 澤瀉 以滲水(丹心)
난경에, 신이 오액을 주관한다고 했다. 변화해서 오습이 되고 습은 담을 생성하는데 담은 기침 때문에 비의 습이 움직인 것이다. 반하는 밖으로 드러난 담의 표징만을 빼낼 뿐 담의 뿌리는 빼내지 못한다. 뿌리를 뽑는 것은 신을 빼내는 것이다. 십조탕 삼화신우환처방은 하문을 함께 보라이 좋다. 열담은 식혀 주어야 하므로 석고 청대 치자 황금 황련을 쓴다. 한담은 따뜻하게 해야 하므로 반하 건강 부자 유계를 쓴다. 조담은 적셔 주어야 하므로 과루인 행인 오미자 천화분을 쓰고, 습담은 말려 주어야 하므로 창출 백출 후박 복령을 쓰고, 풍담은 흩어 주어야 하므로 남성 조각 백부자 죽력을 쓰고, 노담은 부드럽게 해 주어야 하므로 해석 망초 과루인 지각 변향부자를 쓰고, 식적담은 삭혀야 하므로 산사자 신곡 맥아를 쓴다. 요지는 인감 감초로 비를 보하고, 백출 반하로 습을 말리며, 진피 청피로 기를 순조롭게 하고 복령 택사로 물이 스미게 한다는 것이다단심.
【導痰湯】治風痰
半夏薑製8g 南星炮 橘紅 枳殼 赤茯苓各4g 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得效).
【八味丸】治命門火不足 陽虛
熟地黃300g 山藥 山茱萸 各150g 牧丹皮 白茯苓 澤瀉 各112.5g 肉桂 附子炮 各37.5g.
爲末 蜜丸梧子大 空心 溫酒 或塩湯下 五七十丸. 若加五味子 名曰【腎氣丸】(仲景).
【八味丸加減】專補腎水 兼補命門火.
熟地黃75g 山藥微炒 山茱萸各37.5g 澤瀉酒蒸 牧丹皮 白茯苓各30g 五味子略炒56.5g 肉桂18.75g.
爲末 蜜丸梧子大 五更初 未言語時 塩湯 或溫酒下五七十丸.
<又>晩間空腹再服. 或以此材 細剉煎服.名曰【加減八味湯】(得效).
【黑石丹】治脾腎俱虛 冷氣刺痛 止汗墜痰 除濕破癖.
黑石熔去渣 硫黃熔化水浸各75g 卻將錫 再熔化 漸入硫黃 候結成1片 傾地上 去火毒 硏至無聲 爲度
此爲丹頭 入附子 破古紙 肉荳蔲 小茴香 川練子 陽起石 木香 沈香 葫蘆巴各37.5g 肉桂18.75g
爲末和勻 酒糊丸梧子大 陰乾 入布袋內 擦令光熱 每30~50丸 空心薑鹽湯 或棗湯下.
婦人艾醋湯下. 一切冷痰 塩酒下 年高有客熱者 服之.
或 加肉蓯蓉 牛膝 白朮 丁香 名【接氣丹】. 治眞元虛憊. ∴ 入門轉載
【補中益氣湯】治勞倦虛損 身熱而煩
.內傷虛證一切治勞役太甚 或飮食失節 身熱而煩 自汗倦怠.
黃耆8g 人蔘 白朮 當歸各6g甘草4g 陳皮 柴胡 升麻各2g(東垣).
【十棗湯】治傷寒 有懸飮 伏飮 脇下引痛
芫花微炒 甘遂 大戟炒等分爲末 別取大棗10枚 水一盞 煎至半盞 去棗調藥末
强人4g 弱人2g服 大便利下 水以粥補之(入門).
【三花神佑丸】治一切 水濕腫滿
黑丑頭末75g 大黃37.5g 芫花 甘遂 大戟各20g 輕粉3.75g
爲末水丸 小豆大 初服5丸 每服 加 五丸 以溫水下(宣明).
【順氣導痰湯순기도담탕】
半夏 南星 茯苓 枳實 陳皮 香附子 烏藥各4g 木香 沈香 甘草各2g 爲剉作一貼 薑五片 煎服(入門)
반하 남성 복령 지실 진피 향부자 오약각4그램 목향 감초각2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다섯 쪽과 끓여서 복용한다입문.
【六君子湯육군자탕】
治氣虛痰盛 기가 허하여 담이 성한 것을 치료한다.
半夏 白朮各6g 陳皮 白茯苓 人蔘各4g 甘草灸2g 爲剉作一貼 薑三片棗二枚 煎服(正傳) 一方 六味 各4g等分
반하 백출각6그램 진피 백복령 인삼각4그램 감초구운 것 2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 대추 두 알과 끓여서 복용한다정전. 어떤 방문에는 여섯 가지 약을 각4그램씩 쓴 곳도 있다.
'漢文學 > 東醫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內景篇卷之二 - 單方 (0) | 2020.07.02 |
---|---|
內景篇卷之二 - 痰飮通治藥 (0) | 2020.07.01 |
內景篇卷之二 - 喜唾痰희타담 (0) | 2020.06.29 |
內景篇卷之二 - 痰塊 (0) | 2020.06.28 |
內景篇卷之二 - 痰飮 (0) | 2020.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