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塊담괴

人身 上中下 有塊如腫毒 多在皮裏膜外 此因濕痰流注 作核不散 問其平日 好食何物 用藥吐下後 方用消痰 散核之藥 二陳湯 加大黃 連翹 柴胡 桔梗 白芥子 黃連薑汁炒煎水 入竹瀝 多服自消(丹心)

사람 몸의 상초 중초 하초에 종독 같은 덩어리가 생기는 경우 대부분 피부 속과 막 바깥에 생기는데 이는 습담이 돌아다니다가 멍울을 만들어 흩어지기 때문이다. 평소에 무엇을 잘 먹는지 물어서 토법이나 하법을 쓴 후에 담을 삭이고 멍울을 흩어지게 하는 약을 쓴다. 이진탕에 대황 연교 시호 길경 백개자 황련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을 넣어 물에 달인 후에 죽력을 넣어 많이 먹으면 저절로 없어진다단심.

痰飮流注於胸背頭項腋胯 腰腿手足 聚結腫硬, 或痛或不痛 按之無血潮 雖或有微紅亦淡薄 不熱堅如石 破之無膿 或有薄血 或淸水 或如紫汁 又有壞肉如敗絮 或如瘰癧 在皮肉之間 如鷄卵 可移動軟活不硬 惟覺咽喉痰結 作寒作熱 宜返魂湯方見癰疽. 加南星 半夏(醫鑑)

담음이 가슴과 등 머리와 목덜미 사타구니 허리와 넓적다리 손과 다리에 돌아다니다가 뭉쳐서 단단하게 붓는다. 간혹 통증이 있을 때도 있고 없을 때도 있다. 살펴봐도 핏기가 없는데 비록 있더라도 약간 붉을 정도로 색깔이 옅다. 열은 나지 않으나 돌처럼 단단한데 터뜨려도 고름은 없고 멀건 피가 있거나 맑은 물이나 자주빛 즙이 있다. 또 낡은 솜 같은 짓무른 살이 있거나 나력 같은 것이 피부와 살 사이에 있다. 계란처럼 생긴 것이 단단하지 않아서 부드럽게 움직이기도 한다. 목구멍에 담이 맺힌 것 같기도 하고 춥기도 하고 덥기도 한다. 반혼탕처방은 옹저를 보라에 남성 반하를 더해서 쓴다의감.

偏身有塊, 多是痰注 宜加味小胃丹 竹瀝達痰丸(入門)

온몸에 멍울이 있는 것은 대부분 담이 흘러서 생긴 것이다. 가미소위단 죽력달담환을 쓴다입문.

痰塊 宜開氣消痰湯 又天南星 草烏等分 爲末薑汁調如膏 敷核上 立消(醫鑑)

담덩어리는 개기소담탕을 써야 하고 또 천남성 초오 같은 양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고약처럼 개어서 멍울에 붙이면 곧 없어진다의감.

痰核 商陸根 生南星合擣 令爛 塗付 立消(種杏)

담핵을 치료할 때는 상륙근 생남성을 함께 짓찧어 붙이면 곧 없어진다종행.

渾身有腫塊 或骨體串痛 都是濕痰 流注經絡也 通用二陳湯加減(回春)

온몸에 종괴가 있거나 뼈에 구멍이 뚫리는 것처럼 아픈 것은 다 이 습담이 경락으로 돌아다녀서다. 통상 이진탕을 가감해서 쓴다회춘.

加味小胃丹가미소위단

治風痰痞積眩暈喉痺 癱瘓不語 腹中痞塊 等證 神效

풍담으로 명치가 막히고 뭉치며 어지럽고 목구멍이 아프며 반신불수에 말을 하지 못하고 뱃속에 덩어리가 생기는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데 신효하다.

小胃丹一劑方見下 加南星 半夏幷用白礬皂角薑汁水煮十五次各100g 蒼朮用米泔白礬皂角水浸一宿炒80g 桃仁 杏仁幷以白礬 皂角水泡去尖紅花酒蒸 陳皮 枳實竝用白礬水泡半日炒 白朮 白芥子炒各40g 爲末薑汁竹瀝煮 神麴爲糊和丸 綠豆大 每服2030, 薑湯下(入門).

소위단 한 제처방은 아래를 보라에 남성 반하백반 조각을 생강즙과 함께 물에 15번 달인 것을 함께 씀 각100그램 창출쌀뜨물과 백반 조각을 우린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볶은 것 80그램 도인 행인함께 백반 조각을 우린 물에 담갔다 뽀족한 끝을 제거한 것 홍화주증한 것 진피 지실백반을 물에 한나절 담갔다가 볶은 것 백출 백개자볶은 것 각40그램을 가루내어 생강즙과 죽력 신국을 넣고 달여서 풀을 쑤어 반죽해 녹두 크기로 환을 지어 20-30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醫鑑一名導痰小胃丹 回春一名竹瀝化痰丸

의감에는 일명 도담소위단이라 했고 회춘에는 일명 죽력화담환이라 했다.

小胃丹取膈上濕痰熱積 上可取胸膈之痰 下可利腸胃之痰 惟胃虛少食者忌用<>云 治風痰 熱痰 濕痰 食積痰

芫花醋浸一宿炒黑 甘遂麵裹煨熟水浸半日晒乾 大戟長流水煮晒乾各20g 大黃濕紙裹煨再用酒浸炒熟40g 黃柏80g. 爲末 粥丸麻子大 每10丸 臨臥 津嚥下(丹心). 痰飮通治藥轉載

ː <一方> 白朮膏 和丸蘿葍子大 臨臥 津液嚥下 2030丸 白湯 送下.

竹瀝達痰丸죽력달담환

能運痰從大便出 不損元氣妙, 丹溪曰 痰在四肢 非竹瀝不開 是也

담이 대변을 따라 나오게 하는데 원기를 줄이지 않아 신묘하다. 단계에 담이 팔다리에 있을 때는 죽력이 아니면 열 수 없다고 한 것이 이것이다.

半夏薑製 陳皮去白 白朮微炒 白茯 大黃酒浸蒸晒乾 黃芩酒炒各80g 人蔘 甘草炙各60g 靑蒙石80g 焰硝40g同火煆如金色 沈香20g, 爲末 以竹瀝一大椀半 薑汁三匙 拌勻晒乾 如此五六度 因以竹瀝薑汁化丸 小豆大 每100丸 臨臥時 以米飮 或薑湯呑下(入門) 一名竹瀝運痰丸

반하생강으로 법제한 것 진피흰 속껍질을 벗긴 것 백출약간 볶은 것 백복 대황술에 적셨다가 쪄서 볕에 말린 것 황금술에 적셨다가 볶은 것80그램 인삼 감초구운 것각60그램 청몽석부순 것 염초40그램과 함께 금색이 되도록 불에 달군 것 침향20그램을 가루내어 죽력 큰 사발로 한 사발 반과 생강즙 세 숟갈에 고르게 섞어서 햇볕에 말리기를 대여섯 번 한다. 이것을 죽력 생강즙으로 반죽하여 팥알 만하게 환을 지어 100알씩 잘 때 미음이나 생강 달인 물로 삼킨다입문. 일명 죽력운담환이라고도 한다.

開氣消痰湯개기소담탕

治胸中胃脘 至咽門挾窄 如線疼痛 及手足 俱有核如胡桃者

가슴 속이나 위완에서 목구멍 문까지가 실처럼 좁아서 통증이 있고 수족이 모두 호두 같은 멍울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桔梗 香附 薑蠶炒各4g 陳皮 片芩 枳殼3g 前胡 半夏 枳實 羌活 荊芥 檳郞 射干 威靈仙2g 木香 甘草1g 爲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醫鑒)

길경 향부 강잠볶은 것 각4그램 진피 편금 지각3그램 전호 지실 강활 형개 빈랑 사간 위령선2그램 목향 감초1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고 생강 세 쪽을 넣어 물에 끓여 복용한다의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