痰 飮담음

痰涎飮三者不同담연음삼자부동

염 연 음의 셋이 다른 경우

痰者 津液之異名 人之所恃 以潤養肢體也 曰痰 曰飮 曰涎.

담은 진액의 다른 이름이니, 사람이 의지해서 지체를 윤택하게 기르는 것이다.

又 有理一分殊之別 伏於包絡 隨氣上浮 客肺癰嗽而發動者 . 聚於脾元 隨氣上溢 口角流出 而不禁者 . 惟飮生於胃腑 爲嘔 爲吐 此則胃家之病 不可不知(直指).

또 이치는 하나나 여러 가지 모습으로 구별이 되니 포락에 잠복하였다가 기를 따라 위로 떠서 폐에 들어가 막혀 있다가 기침하면 발동하는 것이 담이다. 비원에 모여 있다가 기를 따라 위로 넘쳐서 입가로 흘러나오는 것을 막을 수 없는 것이 연이다. 오직 음만 위부에 생겨나서 구역질이 나고 토하게 되는데 이는 곧 위의 질병인 것을 알아야 한다.(직지)

痰飮分淸濁담음분청탁

者 津液因熱而成 熱則津液薰蒸 而稠濁故 名爲(丹心).

담이란 진액이 열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열이 진액을 훈증하여 끈끈하고 탁하게 되기 때문에 이름을 담이라고 한다.(단심)

水之與飮 同出而異名也. 人有脾土有虧故 所飮水漿 不能傳化 或停於心下 或聚於脇間 或注於經絡 或溢於膀胱 往往因此而致病矣(直指).

수와 음은 출처는 같으나 이름이 다르다. 사람이 비토에 흠결이 있으면 마신 수장이 전화할 수가 없어서 혹 명치에 정체되거나 옆구리에 모이거나 경락에 들어가서 방광으로 넘쳐흘러 이로 인해 자주 병에 이른다.(직지)

者 因飮水不散而爲病 者 因火熱薰灼而成痰故 痰形稠濁 飮色淸痰 <古方>謂之飮 今人謂之痰 其實一也.

음이란 마신 물이 흩어지지 않아서 병이 된 것이고, 담이란 화열이 훈작하여 담이 된 것이다. 담은 모양이 끈끈하고 탁하며 음은 색이 맑다. <고방>에 이르기를, 음을 지금 사람들은 담이라고 하는데 실은 한가지다.

王隱君痰論왕은군담론

痰證 古今未詳 方書雖有懸飮 留飮 支飮 痰飮 諸飮之異 而莫知其爲病之源. 或頭風 眩暈 目昏 耳鳴 或口眼蠕動 眉陵耳輪瘙痒 或四肢遊風腫硬 似痛非痛 或爲齒頰痒痛 牙上浮腫 而痛痒不一 或噯氣 呑酸 嘈雜 嘔噦 或咽嗌不利 咯之不出 嚥之不下. 色如煤炱 形如敗絮 桃膠 蜆肉之類 或心下如停氷雪 心頭冷痛時作 或夢寐奇怪鬼魅之狀 或足腕痠軟 腰背卒痛 或四肢骨節煩疼 倂無常所 乃至手麻臂痛 狀若挫閃 或脊中每有一掌 如氷凍之寒痛者 或渾身 習習如蟲行者 或眼眶澁痒 口靡舌爛 甚爲喉閉等證 又或腰項結核 似癧非癧 或胸腹間 如有二氣 交紐噎塞煩悶 有如烟氣上衝 頭面烘熱 或爲失志癲狂 或爲中風癱瘓 或爲勞瘵 荏苒之疾 或爲風痺 及脚氣之疾 或心下怔忡 驚悸如畏人將捕 或喘嗽嘔吐 嘔冷涎綠水黑汁 甚爲肺癰 腸毒便膿攣跛 其爲內外疾病 非止百端 皆痰之所致也. 蓋津液 旣凝爲痰 爲飮 而洶涌上焦 故口燥咽乾 流而之下 則大小便閉塞 面如枯骨 毛髮焦乾 婦人則經閉不通 小兒則驚癎搐搦 治法宜先逐去敗痰 然後 看虛實調理 故製沈香滾痰丸方見下 爲通治三焦 痰飮之劑也

담증은 예나 이제나 상론한 데가 없다. 의서에 비록 현음, 유음, 지음, 담음 등 여러 가지 음으로 구분했지만, 그 병의 근원을 아지 못하였다. 혹 두풍증이 있거나, 어지럽거나, 눈이 어둡거나 이명이 있다. 혹 입과 눈이 떨리고 눈썹과 귀바퀴가 가렵기도 한다. 혹은 사지로 풍이 옮겨다니며 단단해져 아픈 것도 같고 아프지 않은 것 같기도 하다. 혹은 이나 뺨이 가렵고 아프기도 하고 잇몸이 부어올라 아프고 가려운 것이 일정치가 않다. 혹은 트림을 하거나 산을 머금어서 조잡하여 구역질과 딸꾹질을 한다. 혹은 목구멍이 시원치 않아 뱉으려 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내려가지 않는다. 빛깔은 그을음 같고 모양은 낡은 솜이나 복숭아나무 진이나 가막조개의 살 등과 같다. 혹은 명치에 얼음이 멈춰 있는 것 같아 때때로 가슴이 차갑고 아프기도 한다. 혹은 꿈속에 기괴한 귀신의 모습이 나타나기도 하고, 혹은 발목이 시리고 힘이 없으며 허리와 등이 갑자기 아프기도 한다. 혹은 사지 관절에 열이 나고 아프기는 한데 일정한 곳이 없으며 심지어 손까지도 마비되어 마치 접질린 것 같기도 한다. 혹은 척추에 늘 손바닥 크기의 얼음이 있는 것처럼 차고 아픈 곳이 있다. 혹은 온몸에 벌레가 스멀스멀 기어다니는 것 같기도 한다. 혹은 눈자위가 껄끄럽고 가려우며 입과 혀가 짓무르며 심하면 목구멍이 막히는 등의 증상이 생긴다. 또 목덜미 주위로 멍울이 생긴 것이 나력 같으나 나력은 아니다. 혹은 가슴과 배 사이에 두 가지 기운이 만나 얽히는 것 같아 목이 메고 답답하기도 하고 연기가 위로 뻗치는 것처럼 머리와 얼굴이 달아오른다. 혹은 정신이 나가거나 전광이 되기도 한다. 혹은 중풍이 들어 반신불수가 되기도 한다. 혹은 폐결핵으로 오래 끄는 질병이 되기도 한다. 혹은 풍비와 각기의 질병이 되기도 하고 혹은 명치가 두근거리거나 다른 사람이 잡으러 올 것처럼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린다. 혹은 숨이 차고 기침을 하며 토하기도 한다. 냉연 녹수 흑즙을 토하기도 하며 심하면 폐옹이 되거나 장독으로 고름똥을 싸거나 경련으로 다리를 절기도 한다. 이처럼 내외질병이 되는 것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지만 모두가 담 때문이다. 진액이 뭉치면 담이 되고 음이 되어서 상초로 솟아오르므로 입도 마르고 목구멍도 마르고, 아래로 흘러내려오면 대소변이 막히며, 얼굴이 마른 뼈와 같고 모발이 건조해진다. 부인이면 월경이 막혀 통하지 않으며 어린아이면 경간과 축닉(몸이 틀어지는 병)이 된다. 치료법은 마땅히 먼저 썩은 담을 제거한 뒤 허실을 살펴 조리해야 한다. 그러므로 침향곤담환을 만들어 삼초의 담음을 치료하는 약으로 삼는다.

 

<劉宗厚>曰 痰之爲病 仲景論四飮六證 無擇敍三因內外 俱爲切當 惟王隱君論 人之諸疾 悉出於痰 此發前人所未發 可爲深識 痰之情狀 而得其奧者矣. 製滾痰丸一方 總治斯疾 固爲簡便. 較之 <仲景><三因>有表裏內外 而分汗下溫利之法 則踈濶矣 況又有虛實寒熱之不同者哉.

유종후가, 담이 질병이 되는 것을 중경은 사음 육증으로 논했고, 무택은 삼인 내외로 서술했는데 모두 지극히 타당하다. 오직 왕은군은 사람의 모든 질병이 담에서 생긴다고 하여 이로 전인들이 밝히지 못한 것을 밝혀 놓았으며, 담의 실상을 깊이 알게 되어 그 오묘함을 얻었다고 할 수 있다. 곤담환이란 처방을 만들어 이 질병을 두루 치료한 것은 진실로 간편하기는 하나, 중경이나 삼인의 표리 내외를 한법 하법 온법 이법으로 나누어 치료한 것과 비교하면 소홀한 면이 있다. 하물며 또 허실과 한열이 같지 않음이 있음에랴!라 했다.

 

飮病有八음병유팔

有留飮 癖飮 痰飮 溢飮 流飮 懸飮 支飮 伏飮等證 皆人飮酒 冒寒 或飮水過多所致(仲景).

留飮

유음 벽음 담음 일음 유음 현음 지음 복음 등의 증상이 있다. 모두 술을 마시고 찬기운을 맞거나 물을 지나치게 많이 마셔 생긴다.(중경)

胸中有留飮 其人短氣而渴 四肢歷節痛 脈沈細(仲景).

가슴 속에 유음이 있으면 숨이 짧고 갈증이 나며, 팔다리의 오든 관절이 아프고 맥은 잠겨 가늘다.(중경)

留飮者 水停心下 背冷如手掌大 或短氣而渴 四肢歷節疼痛 脇痛引缺盆 咳嗽轉甚(入門).

유음은 수기가 명치에 머물어 등이 찬 곳이 손바닥처럼 크고 혹은 숨이 짧고 갈증이 나며, 팔다리의 모든 관절이 아프고 옆구리가 아파서 결분까지 당기며, 기침이 더욱 심해지는 것이다.(입문)

留飮之證 四肢歷節痛 氣短脈沈 久則令人骨節蹉跌 恐爲癲癎 宜導痰湯加減 通用芎夏湯二方見下(入門).

유음의 증상은 팔다리의 모든 관절이 아프며 숨이 짧고 맥이 잠긴 것이다. 오래 되면 관적이 어긋나고 지랄병이 되기도 한다. 도담탕을 가감해서 쓰거나 궁하탕을 두루 쓴다. 처방은 아래를 보라(입문)

導痰湯治風痰

半夏薑製8g 南星橘紅 枳殼 赤茯苓4g 右剉作一貼薑五片水煎服(得效). 風痰轉載

芎夏湯逐水利飮通用

川芎 半夏 赤茯苓4g 陳皮 靑皮 枳殼2g 白朮 甘草灸各1g 爲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直指). 痰飮通治藥轉載

 

癖飮벽음

水癖 在兩脇下 動搖有聲 宜十棗湯方見寒門 三花神佑丸方見下

물덩어리가 양옆구리에 있는 것으로 움직이면 소리가 난다. 십조탕처방은한문을보라 삼화신우환처방은 아래를 보라.

十棗湯治傷寒 有懸飮 伏飮 脇下引痛

芫花微炒 甘遂 大戟等分 爲末 別取 大棗10, 水一盞, 煎至半盞, 去棗 調藥末,

强人4g 弱人2g服 大便利下水以粥補之(入門).痰飮治法轉載

三花神佑丸治一切 水濕腫滿

黑丑頭末75g 大黃37.5g 芫花 甘遂 大戟20g 輕粉3.75g 爲末水丸 小豆大 初服5丸 每服加5丸以溫水下(宣明).痰飮治法轉載.

痰飮담음

其人素盛今瘦 水走腸間 瀝瀝有聲 謂之痰飮 宜苓桂朮甘湯 又曰心下有痰飮 胸脇支滿目眩(仲景).

평소의 살이 빠지고 수기가 장 사이로 흘러 소리가 나는 것을 담음이라 한다. 영계출감탕을 써야 한다. 또 명치에 담음이 있으면 가슴과 옆구리가 결리고 더부룩하며 눈이 어지럽다.(중경)

痰飮者 水停腸胃 漉漉有聲 令人暴肥暴瘦 宜神朮丸(入門).

담음은 수기가

苓桂朮甘湯

治痰飮 담음을 치료한다.

赤茯苓8g 桂枝 白朮6g 甘草4g 右剉作一貼水煎服(仲景).

적복령 계지 감초를 썰어 한 첩을 지어 물에 끓여 먹는다.(중경)

神朮丸

治痰飮成窠囊 漉漉有聲 或嘔吐酸水 담음으로 낭종이 생기고 꼬르륵 소리가 나거나 신물을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蒼朮泔浸去皮焙乾600g爲細末 白脂麻20g水二盞硏濾取汁 大棗三十枚爛煮硏去皮核取肉 以麻汁調和成稀膏 搜和朮末 熟杵 丸如桐子大 每日空心溫水下百丸至二百丸 初服時必膈微燥 進山梔子散一服不燥(本事).

창출(쌀뜨물에 담갔다가 껍질을 벗기고 불에 쬐어 말린 것)가루 600그램을 곱게 가루내어, 백지마(2잔에 갈아 걸러 즙을 낸 것)20그램, 대추(푹 삶아 갈아서 껍질과 씨를 제거하고 살만 발라낸 것)를 참깨즙과 고루 섞어서 멀건 고약을 만든 뒤 창출가루와 반죽하여 방아로 충분히 찧어서 오동나무씨앗 크기로 환을 지어 매일 따뜻한 물로 100-200알을 먹는다. 처음에는 틀림없이 흉격이 약간 답답해지는데 산치자산을 한 번 먹으면 답답한 것이 없어진다.(본사)

山梔子散

梔子一味 乾之爲末 沸湯 點4g

치자 한 가지를 말려 가루내어 4그램을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

 

溢飮일음

飮水流行 歸於四肢 當汗出而不汗出 身體重痛 謂之溢飮 小靑龍湯方見寒門 主之(仲景).

마신 물이 사지에 흘러들어가서 땀이 나야 하는데, 땀이 나지 않고 몸이 무겁고 아픈 것을 일음이라 한다. 소청룡탕처방은 한문을 보라을 주로 쓴다.(중경)

溢飮者 水在四肢 身體重痛(入門).

일음이란 수기가 팔다리에 있어서 몸이 무겁고 아픈 것이다.(입문)

小靑龍湯傷寒表證不解 因心下有水氣 乾嘔 氣逆 發熱 咳喘

麻黃 芍藥 五味子 半夏製各6g 細辛 乾薑 桂枝 甘草灸各4g 剉作一貼, 水煎服, 服此渴者 裏氣溫, 水欲散也(正傳). ː加杏仁 通治 咳嗽(易老).

 

懸飮현음

飮後水流在脇下 咳唾引痛 謂之懸飮 十棗湯方見寒門 主之(仲景).

물을 마신 후에 수기가 옆구리 아래로 흘러들어 기침을 하거나 침을 뱉을 때 아픈 것을 현음이라 한다. 십조탕처방은 한문을 보라을 주로 쓴다.(중경)

懸飮亦謂流飮 水在脇間動搖 漉漉有聲(局方).

현음은 유음이라고도 한다. 수기가 옆구리에 머물러 움직이면 꼬르륵 소리가 난다.(국방)

懸飮者 水流在脇下 咳唾引痛 懸懸思水 三花神佑丸方見癖飮 主之(入門).

현음은 수기가 옆구리 아래에 있어서 기침을 하거나 침을 뱉을 때 당기고 아프며 간절하게 물을 생각하는 것이다. 삼화신우환처방은 벽음을 보라을 주로 쓴다.(입문)

十棗湯십조탕三花神佑丸삼화신우탕方 並 上見 癖飮두 처방은 모두 위의 벽음을 보라.

 

支飮지음

咳逆倚息 短氣不得臥 其形如腫 謂之支飮 小靑龍湯 方見寒門(上見溢飮) 主之.

딸꾹질을 하고 기대서 숨을 쉬며, 숨이 짧아 누울 수도 없고 몸이 부은 듯한 형상을 지음이라 한다. 소청룡탕처방은한문(일음을보라)을 보라을 주로 쓴다.

<>曰 其脈數必苦冒眩 其人本有支飮 在胸中故也 茯苓五味子湯 亦主之 (仲景).

또 맥이 삭하면 반드시 현훈으로 고생하게 된다. 이는 본래 사람의 가슴 속에 지음이 있어서다. 복령오미자탕으로 역시 치료한다.(중경)

支飮 亦喘而不能臥 加短氣 其脈平也(仲景).

지음은 역시숨이 차서 누워 있을 수 없으며 숨이 짧지만 그 맥은 고르다.(중경)

支飮 水停膈上 咳逆 倚息短氣(入門).

지음은 수기가 흉격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딸꾹질을 하고 기대어 숨을 쉬며 숨이 짧다.(입문)

茯苓五味子湯복령오미자탕

治支飮手足冷痺 多唾 小腹氣上衝胸咽 面熱如醉 時復眩冒

지음으로 손발이 차서 저리며, 침이 많고 아랫배의 기가 가슴과 목구멍으로 치오르며 얼굴이 취한 것처럼 뜨겁고, 때때로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赤茯苓8g 桂心 甘草6g 五味子4g.剉作一貼 水煎服. 支飮 法當冒, 冒者必嘔, 嘔者 腹滿 加半夏 以去其飮 飮去嘔則止[仲景).

적복령8그램 계심 감초 각 6그램 오미자4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지어 물에 끓여 복용한다. 지음은 당연히 어지럽고 어지러우면 꼭 구역질이 난다. 구역질로 다시 배가 그득할 때는 반하를 더하여 담음을 없앤다. 담음을 없애면 구역질이 멎는다.(중경)

 

伏飮복음

膈上痰滿 喘咳 或吐發則寒熱 背痛腰痛 目淚自出 其人振振 身瞤劇 必有伏飮(仲景).

흉격에 담이 가득차서 숨이 차고 기침을 하거나 혹은 토하기도 하고한열이 있으며 등과 허리가 아프고 눈물이 절로 나며, 부들부들 몸이 심하게 떨리는 것은 틀림없이 복음이 있어서다.(중경)

伏飮者 水停膈滿 嘔吐喘咳 發熱惡寒 腰背痛 目淚出 或身惕瞤 宜三花神佑丸上見癖飮條 控涎丹二方並見下(入門).

복음은 수기가 흉격에 가득차 있어서 토하고 숨이 차며 기침을 하고 열이 나고 오한이 있으며 등과 허리가 아프고 눈물이 나오며 혹 몸이 떨리는 것이다. 삼화신우환위벽음조를 보라 공연단두 처방은 아래를 보라을 쓴다.(입문)

控涎丹<一名> : 妙應丹(入門) 驚痰轉載

治一身牽引 隱痛不可忍 走易不定 或凝風毒 或爲癱瘓 或謂癰疽 皆非也, 乃痰涎 伏在心膈 變爲此疾 但服 此藥 其疾如失, 甘遂 紫大戟 白芥子各等分 爲末 糊丸 梧子大 晒乾 臨臥 薑湯 或溫水下 7

 

痰病有十담병유십

有風痰 寒痰 濕痰 熱痰 鬱痰 氣痰 食痰 酒痰 驚痰 痰之源不一 有因熱而生者, 有因氣而生者, 有因風而生者, 有因驚而生者, 有因痰而生者, 有因飮而生者, 有因食而生者, 有因暑而生者, 有傷冷而成者, 有脾虛而生者, 有因酒而成者, 有腎虛而生者(丹溪).

풍담 한담 습담 열담 울담 기담 식담 주담 경담이 있는데, 담의 원인은 같지가 않다. 열 때문에 생기는 것, 기 때문에 생기는 것, 풍 때문에 생기는 것, 놀라서 생기는 것, 담 때문에 생기는 것, 마셔서 생기는 것, 먹어서 생기는 것, 더위 때문에 생기는 것, 찬 것에 상해서 생기는 것, 비가 허해서 생기는 것, 술 때문에 생기는 것, 신이 허해서 생기는 것.(단계)

 

風痰풍담

多癱瘓奇證 頭風眩暈 暗風悶亂 或搐搦瞤動 宜靑州白圓子 導痰湯(丹心).

반신불수 같은 기이한 증상이나, 두풍으로 인한 어지러움증이나, 암풍으로 답답하고 어지럽거나, 혹 축닉으로 몸이 떨리는 증상 등이 있다. 청주백원자 도담탕을 쓴다.(단심)

靑州白圓子청주백원자

治風痰壅盛 嘔吐眩暈 及癱瘓風

풍담이 심하게 막혀서 생긴 구토 현훈과 반신불수풍을 치료한다.

半夏28g 天南星120g 白附子80g 川烏20g, 爲細末 淸水浸(春五 夏三 秋七 冬十日) 朝夕換水 候日數足 乃取 納生絹袋中 濾過其滓, 再硏濾過 以盡爲度, 澄淸 去水晒乾, 又 爲末 以糯米粥 淸和 丸綠豆大 薑湯呑下 3050(局方).

반하28그램 천남성120그램 백부자80그램 천오20그램날것 몽글게 갈아서 맑은 물에 담가(봄에는 5, 여름에는 3, 가을에는 7, 겨울에는 10) 아침저녁으로 물을 갈아 주고 날수가 차면 꺼내서 생사주머니에 넣어 찌꺼기를 걸러낸다. 다시 갈아서 거르기를 찌꺼기가 없어질 때까지 한 후 가라앉혀서 물을 버리고 볕에 말린다. 또 가루내어 찹쌀죽의 윗물로 반죽하여 녹두 크기로 환을 지어서 생강 달인 물로 30-50알씩 삼킨다.(국방)

導痰湯도담탕

治風痰 풍담을 치료한다.

半夏薑製8g 南星 橘紅 枳殼 赤茯苓4g 右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得效).

반하법제한 생강8그램 남성습지에 싸서 구운 것 귤홍 지각 적복령 4그램을 갈아 한 첩을 지어 생강 다섯쪽과 물로 끓여서 복용한다.(득효)

 

寒痰한담

寒痰 卽冷痰也. 骨痺 四肢不擧 氣刺痛 無煩熱 凝結淸冷 宜溫中化痰丸 溫胃化痰丸 新法半夏湯(丹心).

한담은 곧 냉담이다. 골비로 사지를 움직일 수 없고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으며 번열은 없고 찬 기운이 뭉친다. 온중화담환과 온위화담환 신법반하탕을 쓴다.(단심)

溫中化痰丸온중화담환

治冷痰 久嗽惡心

냉담으로 구역질 딸꾹질을 하고 속이 메슥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靑皮 陳皮 良薑 乾薑各等分, 爲末 醋糊化丸 梧子大 米飮下 50(局方).

청피 진피 양강 건강 각기 같은 분량을 가루를 만들어 식초를 넣어 환을 짓는데,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만들어 미음으로 50알씩 먹는다.(국방)

溫胃化痰丸

治膈間有寒飮 冷痰

흉격 사이에 있는 한음이나 냉담을 치료한다.

半夏120g 乾薑 白朮 陳皮80g 爲末 薑汁糊化 丸梧子大 薑湯 呑下2030(綱目).

반하법제한 것 120그램 건강습지에 싸서 구운 것 백출불에 쪼여 말 진피80그램 가루지어 생강즙을 넣어 쑨 풀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생강 달인 물로 20-30알을 삼킨다.(강목)

新法半夏湯신법반하탕

治脾胃有冷痰 嘔逆 惡心 不思飮食

비위에 냉담이 있어 구역질을 하고 속이 메슥거리며 음식 생각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大半夏160g 切片 以白礬末40g 和湯浸一日漉出, 再用薑汁浸一日 煮令汁 盡焙 爲末用 甘草80g 橘紅 縮砂 神麯 草果40g 丁香 白豆蔲20g, 爲細末 每4以薑鹽湯 點服(局方).

대반하(썰어서 백반가루40그램과 함께 끓인 물에 하루 담갔다가 걸러내고 다시 생강즙에 하루 담갔다가 즙이 없어질 정도로 졸여 불에 말려서 가루낸 것을 씀), 감초구운 것80그램 귤홍 축사 신국(볶은 것) 초과40그램 정향 백두구20그램를 곱게 가루내어 4그램씩 생강과 소금에 넣고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국방)

 

濕痰습담

身重而軟 倦怠困弱 宜神朮丸方見上 山精丸 三仙丸 或二陳湯 加蒼朮 白朮(局方).

몸이 무겁고 연약하며 권태롭고 노곤할 때는 신출환처방은 위를 보라 산정환 삼선화 혹은 이진탕에 창출 백출을 넣어 쓴다.(국방)

山精丸산정환

健脾淸火 燥濕痰

비를 튼튼히 하고 화를 내리며 습담을 말린다.

蒼朮泔浸三日竹刀却去皮陰乾1.2kg 黑桑椹20L取汁去渣 將蒼朮浸汁晒乾 如此九次擣爲細末 枸杞子 地骨皮600g,

爲末 蜜丸 梧子大 每100丸 溫湯呑下(必用方).

창출(쌀뜨물에 사흘 동안 담갔다가 내나무칼로 껍질을 벗겨 그즐에서 말린 것 1.2키로그램) 검게 익은 오디(한 말 즙을 내어 찌꺼기는 말린 것) 창출(오디즙에 담갔다가 볕에 말리기를 9번 한 후 빻아서 곱게 가루낸 것) 구기자 지골피600그램 이들을 가루내어 꿀로 만족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100알씩 따뜻한 물로 삼킨다.(필용방)

三仙丸삼선환

治濕痰

습담을 치료한다.

半夏 南星600g 爲末 薑汁調作片 置篩中以楮葉 或艾葉覆之 令發黃色晒乾 收之 須五六月間 做麴 每麴150g 入香附末75g 薑汁和丸 梧子大 薑湯下 50(入門).

반하 남성600그램을 가루내어 생강즙과 섞어 절편을 만들어 체에 담아 닥나무잎이나 애엽으로 덮어 누렇게 변하면 볕에 말려 거두어 두었다가 오뉴월 사이에 누룩을 만든다. 이 누룩150그램에 향부자 가루75그램를 넣고 생강즙을 섞어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생강 달인 물로 50알씩 먹는다.(입문)

熱痰열담

熱痰 卽火痰也, 多煩熱燥結, 頭面烘熱 或爲眼爛 喉閉 癲狂 嘈雜 懊憹 怔忡 宜淸氣化痰丸 加味潤下丸 小調中湯 大調中湯 黃芩利膈丸 理中割痰湯 淸熱導痰湯(丹心).

열담은 곧 화담인데, 번열이 있고 가래가 뭉치며 머리와 얼굴이 달아오를 때가 많다. 혹 눈시울이 짓무르고 목구멍이 막히며 미친 듯하고 속이 쓰리면서 답답하고 가슴이 두근거린다. 청기화담환 가미윤하환 소조중탕 대조중탕 황금이격환 이중황담탕 청열도담탕을 쓴다.(단심)

熱痰 黃色者 是也(得效).

열담은 황색인 것이다.(득효)

淸氣化痰丸청기화담환

治熱痰 열담을 치료한다.

半夏80g 陳皮 赤茯苓60g 黃芩 連翹 梔子 桔梗 甘草40g 薄荷 荊芥20g 爲末 薑汁糊和 丸梧子大 薑湯下 50, 此方乃二陳湯合凉膈散(丹心).

반하법제한 것 80그램 진피 적복령60그램을 황금 연교 치자 길경 감초40그램, 박하 형개20그램을 가루내어 생강즙을 넣어 쑨 풀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생강 달인 물로 50알씩 먹는다. 이 처방은 이진탕과 양격산을 함한 것이다.(단심)

加味潤下丸가미윤하환

善降痰火 담화를 잘 내리게 한다.

橘紅320g 半夏80g 以鹽20g化水拌勻, 二味煮乾烘燥, 南星 黃芩 黃連 甘草40g 爲末 薑汁浸 蒸餠和 丸綠豆大 白湯下5070(丹心).

귤홍320그램, 반하(썬 것) 80그램, 소금 20그램을 물에 녹여 귤홍과 반하를 고루 섞고 삶아서 불에 졸여 말린다. 남성 황금 황련 감초40그램을 넣어 가루내어 생강즙에 담갔던 증편으로 반죽하여 녹두 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50-70알씩 먹는다.(단심)

小調中湯소조중탕

治一切痰火 及百般怪病 善調脾胃 神效

모든 담화와 여러 가지 괴이한 병을 치료한다. 비위를 잘 조리하는 데 신효하다.

黃連煎水浸甘草 甘草煎水浸黃連 瓜蔞仁煎水浸半夏 半夏煎水浸瓜蔞仁 各炒水乾爲度 各等分, 爲剉 20g 入薑三片 煎服.

황련달인 물에 담근 감초 감초달인 물에 담근 황련 과루인달인 물에 담근 반하 반하달인 물에 담근 과루인을 각각 물이 마를 때까지 볶아서 물이 마를 때가 되었을 때 각각 같은 양으로 나눈다. 썰어서 20그램을 생강 세쪽을 넣어 끓여서 복용한다.

又四味 爲末 煮良薑取汁 作糊和 丸梧子大 白湯下50丸尤妙(入門).

또는 네 가지 약을 가루내어 양강 달인 물로 풀을 쑤어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50알씩 먹으면 더욱 신묘하다.(입문)

大調中湯대조중탕

治虛而有痰火 最佳

허하고 담화가 있는 것을 치료하는 데 가장 좋다.

前方小調中湯(黃連 瓜蔞仁煎水浸甘草 甘草煎水浸黃連 瓜蔞仁煎水浸半夏 半夏煎水浸瓜蔞仁各炒水乾爲度 各等分爲剉 20g 入薑三片 水煎服(入門).) 加人蔘 白朮 白茯笭 川芎 當歸 生地黃 白芍藥也.

곧 앞의 처방 소조중탕(황련달인 물에 담근 감초 감초달인 물에 담근 황련 과루인달인 물에 담근 반하 반하달인 물에 담근 과루인을 각각 물이 마를 때까지 볶아서 물이 마를 때가 되었을 때 각각 같은 양으로 나눈다. 썰어서 20그램을 생강 세쪽을 넣어 끓여서 복용한다.)에 인삼 백출 백복령 천궁 당귀 생지황 백작약을 더한 것이다.(입문)

黃芩利膈丸황금이격환

除胸中熱 利隔上痰

가슴 속의 열을 없애고 흉격의 담을 소통시킨다.

生黃芩 黃芩40g 半夏 黃連 澤瀉20g 南星 枳殼 陳皮12g 白朮8g 白礬4g 今加 蘿菔子20g 皂角4g, 爲末 蒸餠和 丸梧子大 白湯下50(正傳).

생황금볶은 것 황금 각 40그램 반하법제한 것 황련 택사 각 20그램 남성습지에 싸서 구운 것 지각 진피 각 12그램 백출 8그램 백반 4그램에 나복자 20그램 조각 4그램을 더해서 가루내어 증편으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50알씩 먹는다.(정전)

理中豁痰湯이중활담탕

治膈上胃中熱痰最妙

흉격이나 위 속에 있는 열담을 치료한 데 아주 신묘하다.

白朮 白芍藥4g 人蔘 白茯苓 半夏 瓜蔞仁 陳皮 天門冬 麥芽炒各3g 黃芩酒炒 香附子鹽水炒 黃連薑汁炒 桔梗2g 枳實 甘草1g 爲剉作一貼 水煎 去滓 入薑汁二匙, 竹瀝六匙 調服(必用).

백출 백작약 각 4그램 인삼 백복령 반하법제한 것 과루인 진피 천문동 맥아볶은 것 각 3그램 황금주초한 것 향부자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황련생강즙에 적셔 볶은 것 길경 각 2그램 지실 감초 각 1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물에 끓인 다음 찌꺼기를 제거하고 생강즙 두 숟갈과 죽력 여섯 숟갈을 타서 먹는다.(필용방)

淸熱導痰湯청렬도담탕

治憎寒壯熱 頭目昏沈 氣上喘急 口出痰涎 此因內傷七情 以致痰迷心竅 神不守舍 神出則舍空 舍空則痰自生也.

오한과 열이 심하고 머리와 눈이 어지럽고 잠기며 기가 치받아 숨이 차고, 입에서 거품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이는 안으로 칠정이 상하여 담이 심의 구멍을 막아 신이 제 자리를 지키지 못하여 생긴 병이다. 신이 나가면 제 자리가 비고, 제 자리가 비면 저절로 담이 생긴다.

黃連 黃芩 瓜蔞仁 南星 半夏 陳皮 赤茯苓 桔梗 白朮 人蔘3g 枳實 甘草2g 爲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同煎 和竹瀝薑汁服(醫鑑).

황련 황금 과루인 남성습지에 싸서 구운 것 반하법제한 것 진피 적복령 길경 백출 인삼 각 3그램 지실 감초 각 2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조각 대추 두 개를 넣고 함께 끓여서 죽력과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의감)

 

鬱痰울담

老痰 燥痰同, 卽火痰 鬱於心肺之間 久則凝滯胸膈 稠粘難喀多毛焦 而色白如枯骨 咽乾口燥 咳嗽喘促 宜節齊化痰丸 抑痰丸 霞天膏 淸火豁痰丸 加減二陳湯 瓜蔞枳實湯(丹心).

노담과 조담과 같다. 화담이 심폐 사이에 쌓여 오래되면 흉격에 엉겨붙어 끈적끈적하여 뱉어내기 어렵고 대부분 머리털이 마르고 안색은 마른 뼈처럼 희게 되며, 입과 목구멍이 마르고 기침하며 숨이 차다. 절재화담환 억담환 하천고 청화활담환 가감이진탕 과루지실탕을 쓴다.(단심)

節齊化痰丸절제화담환

專治 鬱痰 老痰 膠固稠粘 難於喀唾

울담 노담이 엉겨붙어 끈적끈적해서 뱉어내기 어려운 것을 주로 치료한다.

天門冬 片芩酒炒 瓜蔞仁 橘紅 海粉40g 芒硝 香附子鹽水炒 桔梗 連翹20g 靑黛8g 爲末 煉蜜入薑汁少許和 丸櫻桃大 細嚼一丸 淸湯送下 或如黍米大 淡薑湯下 5070(雜著).

천문동 편금술에 적셔 볶은 것 과루인 귤홍 해분 각40그램 망초 향부자소금물에 적셔 볶은 것 길경 연교 각20그램 청대 8그램을 가루내어 졸인 꿀에 생강즙을 약간 넣은 것으로 반죽하여 앵두 크기로 환을 지어 한 알씩 꼭꼭 씹어서 끓인 물로 삼킨다. 혹은 기장쌀 크기로 해서 묽은 생강 물로 50-70알씩 먹는다.(잡저)

抑痰丸억담환

治燥痰 鬱痰 乾嗽

조담과 울담으로 생긴 마른 기침을 치료한다.

瓜蔞仁40g 貝母20g 半夏8g, 右爲末 蒸餠和丸 綠豆大 薑湯下百丸(丹心).

과루인40그램 패모볶은 것20그램 반하법제한 것 8그램을 가루로 만들어 증편으로 반죽하여 녹두 만하게 환을 지어 생강탕으로 100알씩 먹는다.(단심)

霞天膏하천고

治虛痰老痰 稠粘膠固於胸臆 依附盤 泊於腸胃 當用此膏 吐瀉不致虛損 如癆瘵鼓噎 於補虛藥中加之 以去痰積 可收萬全 服此 比之倒倉更穩 凡治實痰新痰 用南星半夏燥之 橘紅枳殼散之 猪苓茯苓滲之 黃芩黃連降之 巴豆附子流通之 竹瀝瓜蔞潤下之 詳見吐門

허담과 노담이 가슴에 끈적끈적하게 엉겨붙고 장위에 붙어 있는 것을 치료할 때는 응당 이 고약을 써서 토하게 하거나 설사하게 해야 허손에 이르지 않는다. 가령 나병 노채 고창 열격을 치료할 때는 허를 보하는 약에 이것을 더해 담적을 제거함으로써 만전을 거둘 수 있으니, 이를 복용하는 것이 도창법에 비해 알맞다. 실담이나 새로 생긴 담을 치료하려면 남성과 반하를 말리고, 귤홍과 지각으로 흩으며 저령과 복령으로 빼주고 황금과 황련으로 내리며 파두와 부자로 통하게 하며 죽력과 과두로 적셔서 내린다. 자세한 것을 토문을 보라.

霞天膏355 吐門轉載 此方 卽倒倉古法 傳自西域異人

黃牯牛一具 選純黃肥澤無病 纔二三歲者 宰取四腿項脊 去筋膜 將精肉切成塊 如栗子大 秤4050斤 於靜室大鍋中 以長流水 不時攪動水耗 則旋添熟湯 常使水淹肉至五六寸 掠去浮沫直至六爛如泥 濾去滓將汁 再入小銅鍋 用桑柴文武火煮 不住手攪 不添熱湯 只用汁煮 漸如稀餳 滴水中不散 色如琥珀 其膏成矣 火候最要 用心否則壞矣. 大叚每肉12斤 煉膏1斤爲度 磁器盛之 是名霞天膏也 用調藥劑 初少漸多沸 熱自然熔化 用和丸 諸則每三分 攙白 麪一分同煮成糊 用煉蜜寒天 久收若生鰴 用重湯煮過熱 天則冷水窨之 可留三日(飛霞).

治痰之藥 南星 半夏所以燥之 橘紅 枳殼所以散之 茯苓 猪苓所以滲之 黃連 黃芩所以降之 巴豆 附子流通之義 竹瀝 瓜婁潤下之義 夫老痰稠粘膠固於 胸臆之間 依附盤泊於腸胃之外 苟非霞天膏之浸潤 流動而能從上從下以出之乎. 夫用此膏 吐瀉以去痰積 則不致虛損元氣 所以爲美也. 前倒倉法 能治癱勞鼓噎之證 乃虛氣有痰積也 愚意 治此四證 於補虛藥中加霞天膏 以去痰 積必然安愈 無人知此之妙訣也(丹心).

淸火豁痰丸

治上焦鬱火 痰涎壅盛 胸膈不利 咽喉煩燥 噎塞如有所硬 吐不出 嚥不下

상초의 울화로 담연이 심하게 맺혀서 흉격이 원활하지 않고 목구멍에 열이나고 마르며, 단단한 것이 있는 것처럼 목이 막혀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大黃酒拌九蒸九晒80g 白朮 枳實麩炒 陳皮塩水炒各80g 黃芩酒炒 黃連酒炒 梔子 南星 半夏二味以白礬皂角生薑各一兩浸七日各60g 貝母52g 連翹 天花粉 白茯苓 神麴 白芥子炒各40g 玄明粉28g 靑礞石以焰硝一兩同煆如金色 靑黛 甘草20g 沉香8g, 爲末 竹瀝和丸 梧子大 茶淸下 6070(醫鑑).

대황술에 버무려서 99포한 것 80그램 백출볶은 것 지실밀기울로 볶은 것 진피소금물에 축여 볶은 것 각 80그램 황금술에 적셔 볶은 것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치자볶은 것 남성 반하 백반 조각 생강각 한 양과 함께 7일 동안 물에 담근 것 각60그램 패모볶은 것 52그램 연교 천화분 백복령 신국볶은 것 백개자볶은 것 각 40그램 현명분 28그램 청몽석염초 1냥과 함께 금색이 되도록 불에 달군 것 청대 감초20그램 침향8그램을 가루내어 죽력으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찻물에 60-70알을 먹는다.(의감)

加減二陳湯가감이진탕

治老痰 燥痰 熱痰

노담 조담 열담을 치료한다.

橘紅以塩水浸焙一錢二分 枳實 黃芩 白朮 貝母 便香附4g 白茯苓 天花粉塩水炒各3g 防風 連翹2g 甘草1g. 爲作一貼 水煎服(必用方).

귤홍소금물에 담갔다가 불에 쪼여 말린 것 지실 황금볶은 것 백출 패모볶은 것 편향부4그램 백복령 천화분소금물에 적셔 볶은 것 각 3그램 방풍 연교2그램 감초1그램 한 첩을 만들어 물을 끓여 복용한다.(필용방)

瓜蔞枳實湯과루지실탕

治痰結 喀吐不出 胸膈作痛 不能轉側 或痰結胸滿 氣急 或痰迷心竅不能言

담결로 뱉어도 나오지 않고 흉격이 아파서 몸을 돌리지 못하거나 담결로 가슴이 그득하고 숨이 가쁘거나 담이 심의 구멍을 막아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瓜蔞仁 枳實 桔梗 赤茯苓 貝母 陳皮 片芩 梔子4g 當歸3g 縮砂 木香2g 甘草1g 爲剉作一貼 水煎入竹瀝五匙 薑汁半匙 和服(回春).

과루인 지실 길경 적복령 패모볶은 것 진피 편금 치자4그램 당귀3그램 축사 목향2그램 감초1그램을 썰어 한 첩을 만들어서 물에 끓여 죽력 다섯 숟갈, 생강즙 반 숟갈을 넣고 섞어서 복용한다.(회춘(

 

氣痰기담

七情鬱結 痰滯咽喉 形如敗絮 或如梅核 喀不出嚥不下 胸膈痞悶

칠정이 쌓여 마치 낡은 솜이나 매화씨앗 같은 담이 목구멍에 맺혀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아서 가슴이 막히고 답답한 것.

淸火豁痰丸 玉粉丸 加味四七湯 潤下丸 二賢散 前胡半夏湯 加味二陳湯(入門).

청화활담환 옥분환 가미사칠탕 윤하환 이현산 전호반하탕 가미이진탕을 쓴다.(입문)

玉粉丸옥분환

治氣痰 以三仙丸一劑 去香附 加橘紅75g入門

기담을 치료하는데 삼선환 한 제에서 향주자를 빼고 귤홍가루75그램을 넣은 것이다.入門

加味四七湯가미사칠탕

治痰氣鬱結 窒碍於咽喉之間 喀之不出嚥之不下 謂之梅核氣者

담기가 뭉쳐서 목구멍 새를 막아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는 것 즉 매핵기라고 하는 것을 치료한다.

半夏 陳皮 赤茯苓4g 神麴 枳實 南星炮各3g 靑皮 厚朴 紫蘇葉 檳榔 縮砂2g 白豆蔲 益智仁1g 爲剉作一貼入薑五片 水煎服醫鑑.

반하 진피 적복령4그램 신국볶은 것 지실 남성습지에 싸서 구운 것 각3그램 청피 후박 자소엽 빈랑 축사2그램 백두구 직지인1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고 생강 다섯 쪽을 넣어 물에 끓여 복용한다.의감

潤下丸윤하환

治痰積氣滯及痰嗽 降痰甚妙

담이 쌓이거나 기가 막힌 것과 담수를 치료한다. 담을 내리는 것이 아주 신묘하다.

陳皮600g去白75g以水化同煮爛焙燥 甘草75g, 爲末 湯浸蒸餠和丸 梧子大 白湯下3050必用.

진피600그램을 흰 부분을 제거하고 소금 75그램을 물에 녹인 것에 풀 닳여서 불에 쬐어 말린 것 감초75그램구운 것를 가루내어 끓인 물에 담갔던 증편과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30-50알을 먹는다.필용

二賢散이현산

淸肺消痰 下氣 解酒毒

폐를 맑게 하며 담을 삭이고 기를 내리며 술독을 푼다.

橘紅600g 甘草150g 20g 水浸過一指許 鍋內煮乾焙 爲末 每日早晩各二匙 淡薑湯 或白湯 調下綱目.

귤홍600그램 감초150그램 소금20그램에 물을 한 손가락 정도 올라오게 부은 후 솥에서 졸인 뒤 불에 쪼여 말린다.을 가루내서 매일 아침 저녁으로 두 숟갈씩 생강을 멀겋게 달인 물이나 꿇인 물에 타서 먹는다.강목

回春 一名滌痰散

회춘에서는 이것을 척담산이라 한다.

一名二賢湯得效

일명 이현탕이다.得效

前胡半夏湯전호반하탕

治氣痰壅盛 기가 심하게 맺힌 것을 치료한다.

前胡 半夏 赤茯苓4g 陳皮 紫蘇葉 枳殼3g 木香 甘草2g 作一貼 薑五片 烏梅一箇 水煎服直指

전호 반하 적복령4그램 진피 자소엽 지각3그램 목향 감초2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각 다섯 쪽과 오매 한 개를 물로 끓여서 복용한다.直指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治氣痰窒碍咽喉 成梅核氣

기담이 목구멍을 막아 생긴 매핵기를 치료한다.

半夏 陳皮 赤茯苓 枳殼 桔梗4g 片芩 梔子炒各3g 紫蘇子 白豆蔲仁 甘草2g 剉作一貼 薑三片 同煎服醫鑒.

반하 진피 적복령 지각 길경4그램 편금 치자볶은 것 각 3그램 자소자 배구구인 감초2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고 생각 세 쪽을 함께 끓여 복용한다.의감

 

食痰식담

食積痰也 因飮食不消 或挾瘀血 遂成窠囊 多爲癖塊痞滿 宜靑蒙石丸 黃瓜蔞丸 正傳加味二陳湯(醫鑑)

곧 식적담이다. 음식을 소화하지 못하거나 어혈이 끼어 마침내 과낭이 끼어 대부분 벽괴 비만이 된다. 청몽석환 황과루환 정전가미이진탕을 쓴다.의감

靑礞石丸청몽석환

治濕熱痰 去食積痰 습열담을 치료하고 식적담을 없앤다.

靑礞石75g同焰硝75g入罐內 益泥固濟 晒乾 火煆紅 候冷取出 天南星75g 白礬20g和水浸二日 半夏皂角水浸二日 片芩薑汁炒 赤茯苓 枳實麩炒各120g 風化硝用蘿葍同煮硝化去蘿葍濾淨入牛膽內 風乾取18.75g, 爲末 薑汁煮 神麴爲糊 和丸 梧子大 白湯下 3050丸 此藥重在風化硝(入門).

청몽석75그램 염초75그램과 함께 단지에 넣고 진흙으로 단단히 발라서 볕에 말린 후 불에 벌겋게 달구었다 식혀서 꺼낸 것 천남성75그램 백반가루20그램을 물에 녹여 이틀 동안 담금 반하조각 우린 물에 이틀 동안 담근 것 편금생강즙에 적혀 볶은 것 백복령 지실밀기울로 볶은 것 각 120그램 풍화초무와 함께 달여 풍화초를 녹인 후 무를 버리고 깨끗하게 걸러 소 쓸개에 넣어 바람에 말린 것 18.75그램를 가루내어 생강즙과 끓여 신국을 넣고 쑨 풀로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끓인 물로 30-50알를 먹는다. 이 약에서 중효한 것은 풍화초다.입문

黃瓜蔞丸황가루환

治食積痰 식적담을 치료한다.

瓜蔞仁 半夏 山査肉 神麴炒各等分, 爲末, 瓜蔞汁和丸, 梧子大, 以薑湯竹瀝下3050(入門).

고루인 반하누룩 산사육 신국볶은 것 각기 같은 양을 가루내어 과루인즙과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생강 달인 물과 죽력에 30-50알씩 먹는다.입문

正傳加味二陳湯정전가미이진탕

治食積痰 導痰補脾 消食行氣 식적담을 치료한다.

山査肉6g 香附子 半夏4g 川芎 白朮 蒼朮 橘紅 茯苓 神麴炒各3g 縮砂 麥芽炒各2g 甘草1g, 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 水煎服(正傳).

산사육6그램 향부자 반하4그램 천궁 백출 창출 귤홍 복령 신국볶은 것 각3그램 축사간 것 맥아볶은 것 각2그램 감초구운 것1그램을 썰어서 한 첩을 만들어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를 넣어 물로 끓여 복용한다.정전

 

酒痰주담

因飮酒不消 或酒後多飮茶水 但得酒次日 又吐飮食不美 嘔吐酸水 宜瑞竹堂化痰丸 香附瓜蔞靑黛丸 小調中湯方見熱痰 滌痰散 又對金飮子方見內傷加半夏 乾葛各4g(正傳).

마신 술이 소화되지 않거나 술을 마신 후 차를 너무 많이 마셔서 생긴다. 술을 마신 다음 날 또 다시 토하고 음식 맛을 모르며 신물을 토한다. 서죽당화담환 향부과루청대환 소조중탕 척담산을 쓴다. 또 대금음자처방은 내상을 보라에 반하 건갈4그램을 끓여 먹는다.정전

瑞竹堂化痰丸서죽당화담환

治酒痰 消食 快脾 順氣 주담을 치료한다. 음식을 소화시키고 비를 시원하게 하며 시를 순조롭게 한다.

半夏 南星 生薑 白礬 皂角150g 同入砂鍋內 水煮 以南星無白點爲度, 去皂角不用 入靑皮 陳皮 乾葛 蘇子 神麴 麥芽 山査肉 蘿葍子 香附子 杏仁40g爲末, 薑汁浸, 蒸餠和丸, 梧子大, 5070, 食後.臨臥, 茶酒任意下入門.

반하 남성 생강 백반 조각150그램을 함께 사기그릇에 넣고 남성의 흰 점이 없어질 때까지 물에 달인 후 조각을 빼고 쓰지 않는다.에 청피 진피 건갈 소자 신국 맥아 산사육 나부자 향주자 행인40그램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담갔던 증편과 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을 지어 매번 50-70알씩 식후와 잘 때 차나 술에 임의로 먹는다.입문

香附瓜蔞靑黛丸향부과루청대환

治燥痰 鬱痰 酒痰 조담 울담 주담을 치료한다.

上三味(香附子 瓜婁仁 靑黛) 爲末蜜丸 芡實大 每一丸 食後 及臨臥時 禽化嚥下. 凡積痰 非靑黛 瓜蔞 不除入門.

위의 세 가지 약(향부자 과루인 청대)를 가루내어 검실 크기로 환을 지어 식후와 잘 때 한 알씩 입에 머금어 녹인 후 삼킨다. 적담은 청대화 과루인이 아니면 없애지 못한다.입문

 

驚痰경담

因驚痰結成塊在胸腹 發則跳動 痛不可忍 或成癲癎 婦入多有之 宜妙應丹 滾痰丸

놀라서 담이 뭉쳐 가슴과 배에 덩어리가 생긴 것이다. 발작하면 팔짝팔짝 뛰고 참을 수 없을 만큼 아픈데 간혹 전간이 되기도 한다. 부인에게 많이 생긴다. 묘응단 곤담환을 쓴다.

妙應丹

治一身牽引隱痛 不可忍 走易不定 或疑風毒 或爲癱瘓 或謂癰疽 皆非也 皆痰涎伏在心膈 變爲此疾 但服此藥 其疾如失方見下 一名控涎丹河間

온몸아 당기고 은근히 아파서 참을 수가 없어 여기저기 돌아다니면 풍독이라 의심하고 반신불수가 된다고 하고 혹 옹저라고 하기도 하는데 모두 아니다. 모두 담연이 흉격에 잠복해 있다가 변하여 된 것으로 이 약만 먹으면 이 병은 씻은 듯이 낫는다.일명 공연단이라고 한다.하간

 

脈法맥법

脈雙弦者 寒飮也 偏弦者飮也 肺飮不弦 但苦喘短氣 脈沈而弦者 懸飮內痛

양쪽 맥이 자주 뛰는 것은 한음이고 한쪽만 자주 뛰는 것은 음이다. 폐에 음이 있으면 자주 뛰지 않고 다만 숨이 차오르고 숨이 짧아서 고생한다. 맥이 가라앉아 자주 뛰면 현음으로 속이 아프다.

脈浮而細滑者 傷飮仲景

맥이 가늘고 어지러운 것은 음에 상한 것이다.중경

偏弦爲飮 或沈弦滑 或結或伏 痰飮中節脈訣

맥이 한쪽만 자주 뛰면 음이고, 잠기고 자주 뛰며 어지럽거나 맺히거나 엎드리면 담음이 관절에 침범한 것이다.맥결

脈理提綱曰 痰脈弦滑

맥리제강에 담맥이 현활하다 했다.

三因曰 飮脈皆弦微沈滑

삼인에 음맥은 모두 현 미 침 활하다 했다.

脈沈弦 細滑 大小不勻 皆痰飮 爲病也醫鑑

맥이 침 현 세 활하고 대소가 고르지 않은 것은 모두 담음으로 병이다.의감

久得濇脈 必費調理 盖痰膠固 脈道阻澁也丹心

오래 되어 색맥이 되면 반드시 몸조리를 해야 한다. 담이 엉겨 굳어맥도가 막힌 것이다.단심

 

痰飮外證담음외증

靈樞曰 尺膚粗如枯魚之鱗者 水溢飮也

영추에, 척부가 마른 고기 비늘처럼 거친 것은 수기가 넘쳐 흐른 것이다라 했다.

色鮮明者 留飮 又曰脈大 心下有留飮 其人背寒冷如水

안색이 선명한 것은 유음이고, 맥이 크고 명치에 유음이 있으면 그 사람은 등에 얼음이 있는 것처럼 차다고 했다.

水在心 心下堅築 短氣惡水不欲飮

수기가 심에 있으면 명치가 단단하고 숨이 짧으며 물을 싫어하여 마시려 하지 않는다.

水在肺 吐涎沫 欲飮水 水在脾 少氣身重

수기가 폐에 있으면 거품이 있는 침을 토하고물을 마시려 한다. 수기가 비에 있으면 기운이 없고 몸이 무겁다.

水在肝 脇下支滿 嚔而痛 水在腎心下悸仲景

수기가 간에 있으면 옆구리 아래가 결리고 더부룩하며 재채기를 하며 아프고, 수기가 신에 있으면 명치가 두근거린다.중경

凡有痰者 眼皮及眼下必有烟灰黑色丹心

담이 있으면 눈꺼거풀이나 눈 아래에 재나 그으름 같은 흑색을 띤다.단심

眼胞 及眼下如灰烟熏黑者 痰也醫鑑

눈꺼풀과 눈 아래에 재나 그을음 같은 흑색을 띠는 것은 담이다.의감

凡病百藥不效 關上脈伏而大者 痰也 用控涎丹見上 丹心

온갖 약에도 효과가 없고 관절에 맥이 잠복된 것이 크면 담이다. 공연단을 쓴다. 위를 보라 단심

一切痰證 食少肌色如故 一切水證 脇硬 心下怔忡入門

모든 담증에는 적게 먹어도 살빛이 전과 같고, 모둔 수증에는 옆구리가 단단하고 명치가 두근거린다.입문

 

痰飮諸病담음제병

痰之爲患新而輕者 形色淸白稀薄 氣味亦淡 久而重者 黃濁稠粘凝結 咯之難出 漸成惡味 酸辣腥臊 鹹苦 甚至滯血而出 但痰證 初起頭痛發熱 類外感表證 久則 潮咳夜重 類內傷陰火

又痰飮流注 肢節疼痛 類風證 但痰證 胸滿 食減 肌色如故 脈滑不勻 不定爲異耳入門

담이 새로 생겨 가벼우면 안색이 맑고 희고 묽고 얇으며, 기미도 담담하다. 오래 되어 무거워지면 누렇고 탁하며 끈끈하고 뭉쳐서 뱉어내기가 어렵다. 점차 나쁜 기미로 변하여 시고 맵고 비리거나 노린내가 나거나 짜거나 쓰며 심지어는 피와 함께 나온다. 다만 담증 처음에는 두통과 발열이 일어나 외감의 표증과 유사하며 오래되면 기침이 밤에 심해서 내상의 음화와 유사하다. 또 담음이 흘러다니면 사지관절이 아파서 풍증과 유사하다. 다만 담증은 가슴이 그득하고 적게 먹어도 살빛은 여전하며 맥이 어지러워고르지 않은 것이다르다.입문

痰之作恙 爲喘 爲嗽 爲吐 爲嘔 爲眩暈 爲風癎 爲狂迷 爲忪悸 或呑酸 或短氣 或痞膈 或腫脹 或寒熱 或疼痛 或痰實主之(直指)

담으로 병이 들면 숨이 차거나 기침을 하거나 토하거나 구역질이 난다. 어지럽거나 풍간이 있거나 미쳐 정신이 혼미하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기도 한다. 혹 산을 삼키거나 기가 짧아지기도 한다. 흉격이 막히거나 붓거나 오한 발열이 있거나욱신거리면서 아프기도 한다. 담이 실제로 주제하는 병이다직지.

俗云 十病九痰 誠哉斯言(入門)

속설에 열 가지 병 중에는 아홉이 담병이라는 말이 참으로 맞는 말이다입문.

凡人手臂 或動不得 或骨節偏身痛 坐臥不寧 此痰入骨也

사람이 손과 팔을 움직일 수 없거나 온몸의 관절이 아프고 앉으나 누우나 편하지 않은 것은 담이 뼈에까지 들어간 것이다.

又曰 眼黑而行步呻吟 擧動艱難者 入骨痰也 其證 偏身骨節疼痛

또 누자위가 거멓고 걸을 때 끙끙앓으며 거동하기 어려운 것은 담이 뼈에 들어간 것이다. 그 증상은 온몸의 뼈와 관절이 아프다.

眼黑而面帶土色 四肢痿痺 屈身不便者 風濕痰也 眼黑而氣短促者 驚風痰也 眼黑而頰赤 或面黃色者 熱痰也(丹心)

눈자위가 거멓고 얼굴이 흙빛을 띠며 사지가 힘이 없고 저리며 굴신이 불편하면 풍습담이다. 눈자위가 거멓고 숨이 짧고 급한 것은 경습담이다. 눈자위가 거멓고 뺨이 붉거나 ᄋᆞᆫ색이 누러면 열담이다단심.

喀痰不出者 是痰結也 又曰脇下痛 作寒熱 咳嗽 氣急 亦痰結也(回春)

뱉어도 담이 나오지 않는 것은 결담이다. 또 옆구리 아래가 아프고 오한과 열이 나며 김침이 나고 숨이 급한 것도 담경이다회춘.

 

辨痰色변담색

寒痰 , 濕痰 , 火痰 , 熱痰 , 老痰 (入門).

한담은 맑고 습담은 희고 화담은 검고 열담은 누렇고 노담은 끈끈하다입문.

 

痰飮流注證담음유주증

凡人忽胸背 手脚 腰胯隱痛 不可忍 連筋骨牽引釣痛 坐臥不寧 時時走易不定 俗醫不曉 謂之走注便用風藥 及針灸 皆無益 又疑風毒結聚 欲爲癰疽 亂以藥貼亦非也, 此乃痰涎 伏在心膈上下 變爲此疾 或令人 頭痛不可擧 或神意昏倦多睡 或飮食無味 痰唾稠粘 夜間喉中如拽鋸聲 多流睡涎 手脚冷痺 氣脈不通 誤認爲癱瘓亦非也. 凡有此疾 只服控涎丹 其疾如失(得效).

갑자기 가슴 등 손발 허리 사타구니가 은은히 아파서 참을 수 없고, 근육과 뼈까지 당기고 아프며 앉으나 누우나 편치 않고, 수시로 옮겨다니며 아픈 곳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평범한 의원들은 잘 알지 못하여 이를 주주라 하고 풍약과 침구를 쓰지만 다 효과가 없다. 또 풍독이 뭉쳐서 옹저가 되려니 의심하고는 멋대로 약첩을 쓰나 역시 잘못이다. 이는 담연이 가슴이나 격막 주위에 숨어 있다가 변하여 이런 병이 된 것이다. 혹 아파서 머리를 들 수 없거나 정신이 혼미하고 피곤하여 잠이 많거나 음식 맛이 없고 가래침이 끈끈하며 밤에 목구멍에서 톱질 같은 소리가 나고 잠자면서 침을 많이 흘리며 손발이 차고 저리며 기맥이 잘 통하지 않을 때는 반신불수로 오인하나 이 또한 잘못이다. 이러한 질병은 단지 공연단만 먹어도 씻은 듯이 낫는다득효.

濕痰流注 上行攻臂 臂不能擧, 或左右轉移 消痰茯苓丸方見手部主之

습담이 돌아다니면서 위로 팔을 공격하면 팔을 들 수 없게 되고, 혹 좌우로 옮겨다니기도 한다. 소담복령환처방은수부를 보라을 주로 쓴다.

控涎丹공연단一名妙應丹 治痰飮流注作痛 甘遂 紫大戟 白芥子 各等分 右爲末 糊丸梧子大 曬乾 臨臥 薑湯 或溫水下七丸至十丸 神效 驚痰 加朱砂爲衣 痛甚 加全蝎 酒痰 加雄黃 臂痛 加木鱉子 桂心 驚痰成塊 加穿山甲 鱉甲 玄胡索 蓬朮河間

일명 묘응단이라고 하며 담음이 여기저기 돌아다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감수 대극 백개자 각기 같은 양을 가루내어 풀반죽하여 오동열매 크기로 환지어 볕에 말린다. 잘 때 생강탕이나 따뜻한 물로 7-10알을 먹으면 신효하다. 경담에는 주사로 겉을 입히고 통증이 심하면 전갈을 더한다. 주담에는 웅황을 더하고 팔이 아프면 목별자 계심을 더한다. 경담이 뭉친 곳에는 천산갑 별갑 현호색 봉출을 더한다하간.

 

痰病有似邪祟담병유사사숭

血氣者 人之神也 神氣虛乏 邪因而入 理或有之若 夫血氣兩虛 痰客中焦 妨碍升降 不得運用 以致十二官 各失其職 視 聽 言 動 皆有虛妄 以邪治之 其人必死(東垣)

혈기는 사람의 신기다. 신기가 허해서 모자라서 사기가 그 틈을 타 들어오는 것은 이치가 간혹 있을 것 같다. 만약 혈과 기 둘 다 허해서 담기 중초를 침범하면 혈기의 오르내림을 방해하여 운용할 수 없기에 열두 개의 장기가 각기 그 기능을 잃게 되어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것 모두 제대로 되지 않는다. 이것을 사수로서 치료하면 그 사람은 반드시 죽는다동원.

先宜多飮 薑鹽湯 探吐之 或竹瀝 香油 多灌之 次服陶氏導痰湯

먼저 생강과 소금 달인 물을 많이 마시게 하고서 토하게 해야 한다. 혹 죽력이나 참기름을 많이 먹인 후에 도씨도담탕을 복용하게 한다.

陶氏導痰湯도씨도담탕

治痰迷心竅或似鬼祟 담이 심의 구멍을 막아 귀수와 비슷한 것을 치료한다.

半夏4g 赤茯苓 天南星 枳實3g 陳皮 黃芩 黃連 白朮 瓜蔞仁2g 桔梗 人蔘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片 棗二枚, 水煎, 臨臥, 入竹瀝薑汁調服, 先吐去痰, 次服此藥入門

반하4그램 적복령 천남성 지실 각3그램 진피 황금 황련 백출 과루인 각2그램 길경 인삼 감초 각2그램을 썰어 한 첩을 만들고 생강 세 쪽 대추 두 개를 넣고 물로 다려 잠 잘 때 죽력과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 먼저 토하여 탐을 없앤 뒤 이 약을 먹는다입문.

 

痰厥담궐

痰厥者 皆因內虛受寒 痰氣沮塞 手足厥冷麻痺暈倒 脈沈細 宜服加味二陳湯 淸火化痰湯 鶴頂丹 小兒方奪命散 亦可(入門).

담궐은 모두 속이 허한데 추워서 담기가 막힌 것이다. 손발이 싸늘해지고 마비되어 어지러워 넘어진다. 맥은 가라앉고 가늘다. 가미이진탕 청화화담탕 학정단 소아방탈명산을 써도 된다입문.

加味二陳湯가미이진탕

治痰厥 담궐을 치료한다.

半夏 陳皮 白茯笭 當歸 枳實 桔梗 杏仁4g 良薑 縮砂2g 木香 桂皮 甘草1g 剉作一貼, 入薑五片.水煎服(回春)

반하법제한 것 진피 백복령 당귀 지실 길경 행인4그램 양강 축사2그램 목향 계피 감초1그램을 썰어 한 첩을 만들어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끓여 복용한다회춘.

淸火化痰湯청화화담탕

治熱痰結在胸膈, 喀吐不出 滿悶作痛 名痰結 半夏陳皮 赤茯苓4g 桔梗 枳殼 瓜蔞仁3g 黃連 黃芩 梔子 貝母 蘇子 桑白皮 杏仁 芒硝2g 木香 甘草1g, 爲剉作一貼, 入薑三片, 同煎至半, 納芒硝熔化去滓, 又入竹瀝薑汁調服(回春).

열담이 흉격에 뭉쳐 있어 뱉어도 나오지 않고 그득하고 답답하여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이름 담결이라 한다. 반하법제한 것 진피 적복령4그램 길경 지각 과루인3그램 황련 황금 치자 패모 소자 상백피 행인 망초2그램 목향 감초1그램을 썰어 한 첩을 만들고 생강 세 쪽을 넣어 물이 반이 될 때까지 달여 망초를 넣고 녹여 찌꺼기를 없앤 후 죽력과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鶴頂丹학정단

治痰熱 塞咽喉 聲如拽鋸 及痰結胸膈滿痛 明白礬40g 心紅20g 代黃丹亦好 爲末每取一匙, 入磁器內, 熔化乘熱撚作丸, 櫻桃大, 每一丸, 以薄荷湯 化下(入門).

담열이 목구멍을 막아 톱질 소리가 나는 것과 담이 흉격에 뭉쳐서 그득하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명백반40그램 심홍20그램 황단으로 대신해도 좋다을 가루내어 한 숟갈씩 사기그릇에 넣고 녹여서 뜨거울 때 비벼 앵두 크기로 환을 짓는다. 하루 한 알씩 박하탕에 녹여 먹는다입문.

直指方 控痰良方 白礬 黃丹40g火煆 爲末 麵糊和 丸麻子大 治諸頑痰迷塞 關竅不通 聲音不出 取30丸 硏末入全蝎少許 薑湯調 灌之 吐痰立愈

직지방의 담을 끌어내리는 좋은 처방은 백반 황단40그램불에달구어 가루내고 밀가루 풀로 반죽하여 삼씨만하게 환을 만드는 것이다. 완담을 막아 관규가 통하지 않고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30알씩 갈아서 전갈을 조금씩 넣고 생강탕에 타서 먹이면 담을 토하면서 곧 낫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