心臟심장
心形象심형상
○ 心形如未敷蓮花 中有九孔 以導引天眞之氣 神之宇也(內經註)
심장의 모양은 아직 피지 않은 연꽃과 같고 가운데 9개의 구멍이 있어서 천진의 기를 끌어들이며 신의 집이다(내경주).
○ 心重12兩 中有七孔三毛 盛精汁三合 主藏神(難經)
심장의 무게는 12냥으로, 가운데 7개의 구멍과 3개의 털이 있고, 정즙 3홉을 담고 있으며 신의 갈무리를 주관한다(난경) .
○ 上智人 心有七竅三毛 中智人 心有五竅二毛 下智人 心有三竅一毛 常人心 有二竅無毛 愚人心有一竅 下愚人 心有一竅甚小 無竅則神無出入之門
매우 지혜로운 이는 심장에 7개의 구멍과 3개의 털이 있고, 지혜로운 이는 심장에 5개의 구멍과 2개의 털이 있으며, 약간 지혜로운 이는 심장에 3개의 구멍과 1개의 털이 있고, 보통 사람은 2개의 구멍은 있으나 털은 없고, 어리석은 이는 심장에 1개의 구멍이 있으며, 아주 어리석은 이는 1개의 구멍이 있으나 아주 작고, 구멍이 없으면 신이 출입하는 문이 없는 것이다.
○ 心有七孔三毛 七孔以應北斗七星 三毛以應三台 故心至誠 則天無不應也(入門)
심장에는 7개의 구멍과 3개의 털이 있어서 7개의 구멍은 북두칠성에 대응되고 3개의 털은 삼태성에 대응된다. 그러므로 마음이 지성이면 하늘이 응하지 않을 리가 없다(입문).
○ 心包絡實 乃裹心之膜 包于心外 故曰 心包絡也(正傳)
심포락은 실제로 심을 싸고 있는 막이다. 그러므로 심포락이라 한다(정전).
○ 心形如未開蓮花 上大下銳 倒縣着肺(類聚)
심장의 모양은 아직 피지 않은 연꽃 같아서 위는 크고 아래는 뽀족하며 폐에 거꾸로 매달려 있다(유취).
心部位심부위
○ 心居肺下肝上(入門)
심장은 패 아래 간 위에 있다(입문).
○ 五藏系通於心 心通五藏系 心之系與五藏之系相連 故五藏有病 先干於心 其系上系於肺 其別者 自肺兩葉之中 向後通脊者腎 自腎而之於膀胱 與膀胱膜絡竝行而之溲屎處 乃下極部分也(入門)
오장계는 심에 통하고 심은 오장계에 통한다. 심계와 오장계는 서로 이어져 있어서 오장에 병이 들면 먼저 심을 침범한다. 심계는 위로 폐에 이어지고 다른 가지는 폐의 양쪽 잎의 가운데서 뒤로 척추를 통하여 신으로 가고 신에서 방광으로 가서 방광막의 낙맥과 함께 소변이 나오는 곳으로 간다. 여기가 가장 아랫부분니다(입문).
○ 巨闕穴乃心之募也 在背則心兪 在脊五椎下 是心之部位也(銅人)
거궐혈은 심의 모혈이다. 등에는 5번째 척추 아래에 심수가 있다(동인).
心主時日심주시일
○ 心主夏 手少陰太陽主治 其日丙丁
심은 수소음과 수태양을 주로 다스리고 병정일을 주관한다.
○ 南方生熱 熱生火 火生苦 苦生心
남방은 열을 낳고 열은 화를 낳으며 화는 쓴 맛을 낳고 쓴 맛은 심을 낳는다.
○ 心者 生之本也 神之變也 爲陽中之太陽 通於夏氣(內經)
심은 생면의 근본이며 신이 변화하는 것이다. 양중의 태양이 되고 여름 기운과 통한다(내경).
心屬物類심속물류
○ 在天爲熱 在地爲火 在卦爲离 在體爲脈 在藏爲心 在色爲赤 在音爲徵 在聲爲笑 在變動爲憂 在竅爲舌 在味爲苦 在志爲喜 其液爲汗 其榮爲色 其臭爲焦 其數爲七 其穀爲麥(一作黍) 其畜爲羊(一作馬) 其蟲爲羽 其果爲杏 其菜爲薤(《內經》其脉爲手少陰 《內經》)
하늘에서는 열이 되고 땅에서는 불이 되고 괘에서는 이괘가 되고 몸에서는 맥이 되고 장에서는 심이 되고 색에서는 붉은색이 되고 소리에서는 치음이 되고 성에서는 웃음소리가 된다. 변동에서는 걱정이 되고 규에서는 혀가 되고 미에서는 쓴맛이 되고 지에서는 기쁨이 된다. 그 액은 땀이 되고 그 상태는 색이 되고 그 냄새는 탄 내가 되고 그 수는 일곱이 된다. 그 곡식은 보리(기장이라 한 곳도 있다)가 되고 그 가축은 양(말이라고 한 곳도 있다)이 되고 그 동물은 조류가 되고 그 과일은 살구가 되고 그 채소는 염교가 된다(내경 그 맥은 소수음이 된다《內經》).
心臟大小심장대소
○ 五藏六府 心爲之主 缺盆爲之道 䯏骨有餘 以候?骬(上音曷 下音于 卽心蔽骨也)
오장육부는 심이 주인이 되며 결분은 도로가 된다. 괄골의 넉넉함은 갈우의 징후로 알 수 있다(위음은 갈, 아래음은 우 즉 심폐골이다).
○ 赤色小理者 心小 麄理者 心大 無?骬者 心高, ?骬小短擧者 心下 ?骬長者 心堅 ?骬弱小以薄者 心脆 ?骬直下不擧者 心端正 ?骬倚一方者 心偏傾也
살결이 붉은 이는 심이 작고, 거친 이는 심이 크다. 갈우가 없는 이는 심이 높고, 갈우가 작고 짧으며 들려있는 이는 심이 낮다. 갈우가 긴 이는 심이 든든하고 갈우가 약하고 작고 얇은 이는 심이 약하다. 갈우가 바로내려와 들리지 않은 이는 심이 단정하고 갈우가 한쪽으로 치우친 이는 심이 기울어져 있다.
○ 心小則易傷以憂 心大則憂不能傷 心高則滿於肺中 悗而善忘(悗與悶同)難開以言 心下則易傷於寒 易恐以言 心堅則藏安守固 心脆則善病消癉熱中 心端正則和利難傷 心偏傾則操持不一 無守司也(靈樞)
심이 작으면 근심으로 상하기 쉽고, 심이 크면 근심으로 잘 상하지 않는다. 심이 높으면 폐 속이 가득차서 고민하고 잘 잊어버려서 말을 시작하기가 어렵다. 심이 낮으면 추위에 쉽게 상하고 말을 꺼내면 쉽게 두려워한다. 심이 견고하면 안정되어 굳게 지켜내고 심이 약하면 소단 열중의 병을 잘 앓는다. 심이 단정하면 조화로워 잘 상하지 않고 심이 기울어지면 일 처리가 한결같지 않아 일을 잘 수행하지 못한다(영추).
心傷證심상증
○ 憂愁思慮則傷心(難經)
금심 걱정과 생각이 많으면 마음을 상하게 된다(난경).
○ 邪客使魂魄不安者 血氣少也 血氣少者 屬於心 心氣虛者 其人多畏 合目欲眠 夢遠行而 精神離散 魂魄妄行 陰氣衰者爲癲 陽氣衰者爲狂
사기로 혼백이 불안한 이는 혈기가 적어서이고, 혈기가 적은 이는 심병에 속한다. 심기가 허한 이는 두려움이 많고 눈을 감고 자려 한다. 멀리 가는 꿈을 꾸어 정신이 흩어지고 훈백이 지멋대로 쏘다니게 된다. 음기가 쇠하면 전질이 되고 양기가 쇠하면 미치게 된다.
○ 心傷者 其人勞倦 則頭面赤而下重 心中痛 而自煩發熱 臍上跳 其脈弦 此爲心藏傷 所致也(仲景)
심이 상한 사람은 피로하면 머리와 얼굴이 붉어지고 하체가 무거우며 가슴 속이 아프고 답답하며 열이 나고 배꼽 위가 뛴다. 그 맥은 현인데 심장이 상해서 그렇게 된 것이다(중경).
心病證심병증
○ 邪在心 則病心痛 喜悲 時眩仆(靈樞)
사기가 심에 있으면 명치가 아프며기뻐했다가 슬퍼하며 때로는 현기증이 나서 쓰러진다(영추).
○ 腎傳之心病 筋脈相引而急 病名曰瘛
신병이 심에 전해져서 생긴 벙이 근맥을 서로 끌어당겨 급해진 병명을 계라 한다.
○ 心熱者 色赤而絡脈溢也(內經)
심열이 있으면 안색이 붉고 낙맥으로 넘쳐난다(내경).
○ 外證 面赤 口乾 善笑. 內證 臍上有動氣 按之牢若痛 其病 煩心 心痛 掌中熱而啘 有是者 心也 無是者 非也(難經)
외증은 얼굴이 붉고 입이 마르며 잘 웃는다. 내증은 배꼽 위에 움직이는 기가 있고 누르면 단단하거나 통증이 있다. 이 병은 가슴이 답답하고 아프며 손바닥에 열이 나고 헛구역질을 한다. 이러한 증상이 심병이다. 이러한 증상이 없으면 심병은 아니다(난경).
○大骨枯槁 大肉陷下 胸中氣滿 喘息不便 內痛 引肩項 期一月死 眞藏見 乃與之期日. <註>曰 此心之藏也(內經).
대골이 마르고 대육이 꺼지며 가슴 속에 기가 가득하고 숨이 차서 불편하며, 속이 아프고 어깨와 목까지 당기면 한 달만에 죽는다. 진장맥이 보이면 죽는 날이 머지 않은 것이다. (주)에 이것이 심장이라 했다(내경).
○ 健忘失記 驚悸不安 心內懊惱不樂 皆心血少也(入門).
건망증이 있어 기억을 못하며 놀라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하며 사금이 답답하여 즐겁지 않은 것은 모두 심혈이 적어서다(입문).
心病虛實심병허실
○ 心藏脈 脈舍腎 心氣虛則悲 實則笑不休 心實則胸中痛 脇支滿 脇下痛 膺背肩胛間痛 兩臂內痛 心虛 則胸腹大 脇下與腰背相引而痛(靈樞)
심은 맥을 간직하고 맥에 신이 자리잡는다. 심기가 허하면 슬퍼하고 실하면 웃음을 그치지 않는다. 심이 실하면 가슴속이 아프고 옆구리가 갑갑하고 아래가 아프며 가슴 등 견갑골 사이가 아프고 양팔뚝 안쪽이 아프다. 심이 허하면 가슴과 배가 커지고 옆구리 아래와 허리 등이 당기면서 아프다(영추).
○ 心藏神 神有餘 則笑不休 神不足 則悲(內經)
심은 신을 갈무리한다. 신이 남아돌면 웃음을 멈추지 못하여 신이 부족하면 슬퍼한다(내경).
心病間甚심병간심
○ 病在心 愈在長夏 長夏不愈 甚於冬 冬不死持於春 起於夏
병이 심에 있으면 장하에 낫고, 장하에 낫지 않으면 겨울에 심해진다. 겨울에 죽지 않으면 봄을 지탱해내고 여름에 일어난다.
○ 心病者 愈在戊己 戊己不愈 加於壬癸 壬癸不死 持於甲乙 起於丙丁
심병은 무기일에 낫는다. 무기일에 낫지 않으면 임계일에 심해진다. 임계일에 죽지 않으면 갑을일을 지탱해내고 병정일에 일어난다.
○ 心病者 日中慧 夜半甚 平旦靜(內經)
심병은 한낮에 호전되고 밤중에는 심해지며 새벽에는 안정된다(내경).
手少陰無輸수소음무수
○ <黃帝>曰 手少陰之脈 獨無輸何也 <岐伯>曰 少陰者 心脈也 心者 五藏六府之大主也 爲帝王 精神之所舍 其藏堅固 邪不能容 容之 則傷心 心傷 則神去 神去 則死矣 故諸邪在於心者 皆在心之包絡 包絡者 心主之脈也 故少陰無輸也 <帝>曰 少陰無輸 心不病乎 <岐伯>曰 其外經病 而藏不病 故獨取其經 於掌後銳骨之端(卽神門穴也)(靈樞)
황제가, 수소음맥에만 유독 수혈이 없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하고 물으니, 기백이, 소음은 심맥입니다. 심은 오장육부의 큰 주인이자 제왕이며, 정신이 머무는 곳입니다. 그 장기는 든든하여 사기를 용납하지 않습니다. 용납하면 심이 상하고 심이 상하면 신이 제거되고 신이 제거되면 죽습니다. 그래서 여러 사기가 심에 있다는 것은 모두 심의 포락에 있는 것입니다. 포락은 심을 주관하는 맥이기 때문에 소음에는 수가 없는 것입니다라 했다. 황제가, 소음경에 수혈이 없으면 심에는 병이 들지 않는 것인가 하니, 기백이, 그 밖의 경에는 병이 생기나 장기에는 병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래서 유독 손바닥 뒤 예골의 끝에서 그 경맥을 취하는 것입니다라 했다 곧 신문혈이다(영추).
心病治法심병치법
○ 心苦緩 急食酸以收之 <註>曰 心苦緩 是心氣虛也 心欲耎(與軟同) 急食鹹以耎之 用鹹補之 甘瀉之(內經)
심의 이완을 괴로워하니 신맛을 급히 수렴해야 한다. 주에, 심의 이완으로 괴로워하는 것은 심기가 허해서다라 하였다. 심은 부드러워지려 하고(연과 같다) 빨리 짠맛으로 부드럽게 해야 한다. 짠맛으로 이를 보하고 단맛으로 이를 사한다(내경).
○ 心故緩 宜五味子 又心虛以炒塩補之 心欲耎 宜芒硝補之 甘草瀉之 是心氣實也(東垣)
심의 이완을 괴로워하면 오미자를 써야 한다. 또 심허에는 볶은 소금으로 보해야 한다. 심을 부드럽게 하려면 망초로 보하고 감초로 사해야 한다. 이는 심기가 실해서다(동원).
○ 心病 宜食酸 小豆犬肉李韭皆酸 取氣能收也(內經)
심병에는 신맛을 먹여야 하므로 팥 개고기 오얏 부추가 다 신 것으로 모두 기가 수렴하는 것을 취한 것이다(내경).
○ 心病 宜食 麥 羊肉 杏 薤 取本味也(甲乙經)
심병에는 보리 양고기 살구 염교를 먹어야 한다. 본미를 취한 것이다(갑을경).
○ 心虛 宜錢氏安神丸 朱砂安神丸(方見神門) 醒心散 心實 宜瀉心湯 導赤散 十味導赤散(綱目)
심허에는 전씨안신환 주사안신환(처방은 중문을 보라) 성심산을 써야 하고 심실에는 사심탕 도적산 십미도적산을 써야 한다(강목).
○ 心病 禁溫食 熱衣(內經)
심병에는 따뜻한 것을 먹거나 덥게 옷을 입지 말아야 한다(내경).
【全氏安神丸】전씨안신환
補心虛 朱砂水飛一兩 麥門冬 馬牙硝 白茯苓 山藥 寒水石 甘草各五錢 龍腦二分半
爲末 蜜和一兩 作30丸 每一丸 砂糖水 化下(錢乙)
심허를 보한다. 주사(수비한 것) 1냥 맥문동 마아초 백복령 산약 한수석 감초 각 5돈 용돈 2.5푼을 가루내어 꿀과 섞어 1냥에 30환씩 환을 지어, 1알씩 설탕물에 녹여 먹는다(전을).
【醒心散】성심산
治心虛熱 人蔘 麥門冬 五味子 遠志 茯神 生地黃 石菖蒲各等分 上剉 水煎服
심의 허열을 다스린다. 인삼 맥문동 오미자 원지 볼신 생지황 석갈포를 각등분하여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
【瀉心湯】사심탕
治心熱 <一名> 黃蓮瀉心湯 黃蓮不拘多少爲極細末 每服二分半 或 五分 或 一錢 溫水調下(錢乙)
심열을 치료한다. 일명 황련사심탕이라도 한다. 황련(적당량을 아주 곱게 갈아낸 것)을 매번 2.5푼 혹은 5푼 혹은 1돈을 따뜻한 물에 타서 먹는다(전을).
【導赤散】도적산
雖治心熱 實小腸之藥也 方見下
비록 심혈을 치료하나 실은 소장의 약이다. 처방을 뒤에 나온다.
.治小腸熱 小便不利 生地黃 木通 甘草各4g 上剉入靑竹葉 七片 同煎服(錢乙)
소장열을 치료하나 소변에는 이롭지 못하다. 생지황 목통 감초1돈을 .
【十味導赤散】십미도적산
治心藏實熱 口舌生瘡 驚悸 煩渴 黃蓮 黃芩 麥門冬 半夏 地骨皮 茯神 赤芍藥 木通 生地黃 甘草各五分 上剉作一貼 薑5片 水煎服(活人書)
심장의 실열로 입과 혀가 헐고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리며 번갈이 하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활금 백문동 반하 지골피 복신 적작약 목통 생지황 감초 각각 5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생각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활인서).
一方 일방
黃蓮生用爲君 佐官桂少許 煎百沸湯入蜜空心服 能使心腎交於頃刻(丹心)
황련을 생것으로 써서 군약으로 삼고 약간의 육계를 좌약으로 삼아서 끓인 물에 달여서 꿀을 넣어 빈 속에 먹는다. 바로 심신이 통하도록 한다(단심).
心絶候심절후
○ 手少陰氣絶則脈不通 脈不通則血不流 血不流則色不澤 故 其面黑如漆柴者血先死 壬日篤 癸日死(靈樞)
수소음의 기가 끊어지면 맥이 통하지 않고, 맥이 통하지 않으면 피가 흐르지 않으며, 피가 흐르지 않으면 안색이 윤택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안색이 옷칠한 것처럼 검게 된 사람은 혈이 먼저 죽는 것이다. 임일에 위독해지고 계일에 죽는다(영추).
○ 形體如烟煤 直視搖頭者此爲心絶(仲景)
형체가 석탄처럼 까맣고 눈을 곧추뜨고 머리를 흔드는 것은 심기가 끊어져서다(중경).
○ 心絶一日死 何以知之 肩息 回視立死 一云二日死(脈經)
심기가 끊어지면 하루만에 죽는다.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어깨숨을 쉬고눈이 돌아가면 그 자리에서 죽기 때문이다. 혹은 이틀 안에 죽는다고 한다(맥경).
心臟修養法142
○ 常以四月五月朔望 淸旦 面南端坐 叩金梁九 潄玄泉三靜 思注想 吸离宮赤色氣入口三呑之 閉氣三十息(養生書)
늘 4,5월의 초하루와 보름의 맑은 새벽에 남쪽을 향해 바르게 앉아서 이를 9번 맞부딪치고 침으로 3번 양치하고 고요하게 생각을 집중한 후에 이궁의 붉은 기운을 3번 들이마셔 삼키고 30번 숨쉴 동안 숨을 참는다(양생서).
心臟導引法심장도인법
○ 可正坐以兩手作擧 用力左右 相築各六度 又可正坐 以一手 按腕上 一手向下 拓恐如重石 又而兩手相叉 以脚踏手中 各五六度 能去心胸間風邪諸疾 閉氣爲之 良久閉目 三嚥津 三叩齒而已(臞仙)
바로앉아서 양손으로 주먹을 쥔 후, 힘을 주어 6번 좌우로 부딪친다. 또 바로앉아서 한 손으로 다른 손목을 누르되 한 손은 아래로 향한 채 무거운 돌이 있는 것처럼 공중으로 밀친다. 또 양손을 깎지낀 채 발로 그 손을 대여섯 번 밟으면 가슴에 있는 풍사 등 여러 질병을 없앨 수 있다. 숨을 참고 이처럼 한 후 오랫동안 눈을 감고 3번 침을 삼키고 이를 3번 맞부딪치고서 마친다(구선).
單方(凡二十二種)단방 범22종
朱砂 法火 故色赤而入心 能鎭養心神(本草) 心熱 非此不除 水飛入藥 或點服(湯液)
주사 화를 본받아서 색이 붉고 심으로 들어간다. 심신을 진정시키고 길러준다(본초) 심열은 주사가 아니면 없애지 못한다. 수비하여 약에 넣거나 조금씩 타 먹는다(탕액).
赤石脂 養心氣 火煆 水飛 入藥 或末服之(本草)
적석지 심기를 기른다. 불에 달구어 수비해서 약에 넣거나 혹은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金箔銀箔 皆鎭心 入藥服之(本草)
금박은박 모두 심을 진정시킨다. 약에 넣어 먹는다(본초).
黃丹 鎭心 安神 水飛入藥用之(本草)
황단 심을 진정시키고 신을 편안하게 한다. 수비하여 약에 넣어 쓴다(본초).
石菖蒲 開心孔 益心智 令聰明 或末服 或煮服皆佳(本草)
석창포 심공을 열고 지혜를 더해주어 총명하게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거나 다 좋다(본초).
麥門冬 淸心熱 補心氣不足 去心煎服 最佳(本草)
맥문동 심열을 맑게 하고 심기의 부족을 보한다. 심을 빼고 달여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遠志 定心氣 去心 或末服 或煎服 並佳(本草)
원지 심기를 안정시킨다. 심을 제거한다. 가루내거나 달여서 먹는데 다 좋다(본초).
生地黃 補心血 又治心熱 取汁服 或煎服(本草)
생지황 심혈을 보하고 또 심열을 다스린다. 즙을 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는다(본초).
黃蓮 瀉心熱 能去心中惡血 或煎服 或作末點服亦可(本草)
황련심열을 사하고 가슴 속의 나쁜 피를 없앤다.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타서 먹어도 된다(본초).
茯神 開心 末服 煎服 皆佳(本草)
복신 심을 열어준다. 가루내거나 달여 먹는데 다 좋다(본초).
龜甲 補心 龜靈物 故補心甚驗 作末點服良(丹心)
구갑 심을 보한다. 거북은 영물이라서 심을 보하는 데 효험이 좋다. 가루내어 조금씩 먹으면 좋다(단심).
蓮子 助心安心 能通心氣 末服 煎服皆佳 一方 蓮子一斤帶黑皮炒 極爛擣爲細末 其黑皮不可擣則去之 甘草微炒一兩 爲末 每取二錢 沸鹽湯點服之 大能補心心虛益氣(居家必用)
심을 도와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심기를 통하게 한다. 가루내거나 달여서 먹거나 다 좋다. 또는 연자 한 근(검은 껍질째로 완전히 볶은 뒤 아주 곱게 가루내어 찧을 수 없는 껍질은 제거한 것)과 감초(약간 볶아서 가루낸 것) 1냥을 가루내어 매번 2돈씩 소금물에 타서 먹으면 심허를 크게 보하고 기를 돋운다(거가필용).
杏 心病宜食(本草)
살구 심병에 먹어야 한다(본초).
小麥 養心氣 心病宜食(本草)
소맥 심기를 기른다. 심병에 먹어야 한다(본초).
犀角 鎭心神 作末入藥 或水磨取汁服
서각 심신을 진정시킨다. 가루내어 약에 넣거나 물에 갈아서 즙을 내어 먹는다.
雞子 鎭心 又白除心下伏熱 生呑一枚(本草)
계자 심을 진정시킨다. 또 흰자는 명치에 잠복한 열을 없앤다. 날 것 1개를 삼킨다(본초).
苦菜 安心神 可常食之(本草)
고채 씀바귀 심신을 안정시킨다. 늘 먹어도 좋다(본초).
赤小豆 開心孔 煮粥服 或煮汁飮之(本草)
팥 심공을 열어준다. 죽을 쑤어 먹거나 달인 즙을 마시기도 한다(본초).
竹葉 凉心除心煩 煎湯飮之(湯液)
죽엽 심을 시원하게 해서 심번을 없앤다. 달여서 마신다(탕액).
薄荷汁 去心熱 飮之(本草)
박하즙 심열을 없앤다. 그대로 마신다(본초).
連翹 除心家客熱 煮湯飮之(本草)
연교 당개나리 심병이 있는 사람에게 침입한 열을 없앤다. 달인 물을 마신다(본초).
梔子 去心中客熱 又去心中懊惱煩躁 可煮湯飮之(本草)
치자 가슴속에 들어온 열을 없앤다. 또 가슴속이 답답한 것과 번조를 없앤다. 달인 물을 마신다(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