脾臟비장
脾形象비형상
胃, 脾비위
脾形象馬蹄, 內包胃脘, 象土形也. 經絡之氣, 交歸于中, 以營運眞靈之氣, 意之舍也. 《內經註》
비의 형상은 말발굽과 같고 안쪽으로 위완을 감싸고 있다. 토를 본뜬 형상이다. 경락의 기가 교대로 안으로 돌아와서 신령한 기운을 영위한다. 의가 머무는 곳이다.(내경주)
脾形扁似馬蹄, 又如刀鎌. 《入門》
비의 형상은 납작하여 말발굽과 비슷하고 또 낫과도 유사하다.(입문)
脾重二斤三兩, 扁廣三寸, 長五寸, 有散膏半斤, 主裹血, 溫五藏, 主藏意. 《難經》
비의 무게는 2근 3냥이고 너비가 3치고 길이는 5치고 산고 반 근이 있다. 혈을 감싸고 오장을 따뜻하게 하며 의를 갈무리하는 일을 주관한다.(난경)
脾者, 俾也. 在胃下, 俾助胃氣, 主化水穀也. 胃主受納, 脾主消磨. 《綱目》
비란 돕는다는 뜻이다. 위의 아래서 위기를 도와 수곡을 소화하는 일을 주관한다. 위는 받아들이는 일을 주로하고 비는 소화시키는 일을 주로 한다.(강목)
脾部位비부위
脾長一尺, 掩太倉, 太倉者, 胃之上口, 卽中脘穴也. 《東垣》
비의 길이는 1자고 태창을 덮고 있다. 태창이란 위의 위쪽 입구며 중완의 혈이 있는 곳이다.(동원)
脾居中脘一寸二分, 上去心三寸六分, 下去腎三寸六分. 中間一寸二分, 名曰黃庭, 在天爲太陽, 在地爲太陰, 在人爲中黃祖氣. 道家以脾爲黃庭, 黃者中央之色, 庭者四方之中也. 脾居一身之中央, 故曰黃庭. 《入門》
비는 중완의 1치2푼 부위에 자리잡고 위로는 심장으로부터 3치6푼 떨어져 있고, 아래는 신장으로부터 3치6푼 떨어져 있으며 중간의 1치2푼 되는 곳을 황정이라고 한다. 이것은 하늘에서는 태양이 되고 땅에서는 태음이 되고 사람에게서는 중앙 황색의 조기가 된다. 도가에서는 비를 황정이라고 한다. 황은 중앙의 색이고 정은 사방의 중앙이다. 비는 몸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어서 황정이라고 한다.(입문)
脾與胃以膜相連耳. 《內經》
비와 위는 막으로 서로 이어져 있다.(내경)
章門穴, 乃脾之募也. 直臍傍季肋端, 在背則脾兪在十一顀下, 是脾之部位也. 《銅人》
장문혈은 비의 모혈이다. 바로 배꼽 옆 계륵이 있는 곳에 있다. 등에는 비수가 11번째 척추 아래 있다. 이는 비에 해당하는 부위다.(동인)
脾主時日비주시일
脾主長夏, 足太陰陽明主治, 其日戊己.
비는 장하를 주관하고 족태음과 족양명을 다스리며 무기일을 주관한다.
中央生濕, 濕生土, 土生甘, 甘生脾.
중앙은 습을 낳고 습은 토를 낳고 토는 감을 낳고 감은 비를 낳는다.
脾屬土, 主長夏及四季. 《內經》
비는 토에 속하므로 주로 장하와 사계를 주관한다.(내경)
脾屬物類비속물류
在天爲濕, 在地爲土, 在卦爲坤, 在體爲肉, 在藏爲脾, 在色爲黃, 在音爲宮, 在聲爲歌, 在變動爲噦, 在竅爲口, 在味爲甘, 在志爲思, 其液爲涎, 其榮爲脣, 其臭爲香, 其數爲五, 其穀爲稷, 其畜爲牛, 其蟲爲倮, 其果爲棗, 其菜爲葵. 《內經》 其脉爲足太陰. 《內經》
하늘에서는 습이 되고 땅에서는 토가 되며, 괘에서는 곤괘가 되고 오체에서는 육이 되며, 오장에서는 비가 되고 오색에서는 황색이 되며, 오성에서는 노랫가락이 되고 오변에서는 딸꾹질이 되고, 오규에서는 입이 된다. 오미에서는 단맛이 되고 오지에서는 생각이 되며, 액에서는 침이 되고 영양 상태는 입술에 나타난다. 냄새는 향기로운 냄새고, 숫자는 5다. 곡식으로는 기장이 되고 가축으로는 소다. 동물로는 벌거벗은 동물이 되고 과일로는 대추가 되고 채소로는 아욱이 된다.(내경) 그 경맥은 족태음이다.(내경)
脾臟大小비장대소
脾者, 主爲衛, 使之迎糧. 視脣舌好惡, 以知吉凶.
비는 주로 위기를 주재하며 음식물을 받아들인다. 입술과 혀의 좋고 나쁜 상태를 보고 길흉을 알 수 있다.
黃色小理者脾小, 麄理者脾大. 揭脣者脾高, 脣下縱者脾下. 脣堅者脾堅, 脣大而不堅者脾脆. 脣上下好者脾端正, 脣偏擧者脾偏傾也.
누렇고 주리가 소심한 이는 비가 작고, 주리가 크면 비도 크다. 압술이 쳐들린 이는 비가 높고 입술이 아래로 늘어진 이는 비가 낮다. 입술이 튼튼한 이는 비도 튼튼하고 입술이 크고 튼튼하지 못한 이는 비가 약하며 입술 위아래가 좋은 이는 비도 단정하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들린 이는 비도 한쪽으로 기우러져 있다.
脾小則藏安難傷于邪, 脾大則苦湊䏚而痛, 不能疾行. 脾高則䏚引季脇而痛, 脾下則下加于大腸, 藏苦受邪. 脾堅則藏安難傷, 脾脆則善病消癉. 脾端正則和利難傷, 脾偏傾則善滿善脹也. 《靈樞》
비가 작으면 장이 안정되어 사기에 잘 상하지 않고 비가 크면 허구리를 눌려서 아프기 때문에 빨리 걸을 수가 없다. 비가 높으면 허구리에서 옆구리 쪽으로 당기면서 아프고 비가 낮으면 아래로 대장을 누르고 장이 사기를 받아 고생한다. 비가 견실하면 장도 안정되어 잘 상하지 않고 비가 약하면 소단이 잘 생기고 상하기 쉽다. 비가 단정하면 조화로워 잘 상하지 않고 비가 기울어져 있으면 쉽게 더부룩해져서 배가 불러온다.(영추)
脾傷證비상증
有所擊仆, 若醉飽入房, 汗出當風則傷脾. 《靈樞》
부딪쳐서 넘어지거나 술에 취해서 배부른 채 성교를 하거나 땀이 나고서 바람을 쏘이면 비장이 상한다.(영추)
飮食勞倦則傷脾. 《難經》
음식을 먹고 피로하면 비를 상한다.(난경)
脾爲諫議大夫. 盖飮食, 人之大慾, 心所欲食, 而脾不能化, 則不敢食, 故名爲諫議也. 《入門》
비는 간의대부다. 음식은 사람들이 크게 욕심을 내는 것이다. 마음으로는 먹고 싶으나 비가 제대로 소화를 시키지 못하면 감히 먹을 수 없어서 간의대부라고 하는 것이다.(입문)
脾病證비병증
邪在脾胃, 則病肌肉痛. 陽氣有餘陰氣不足, 則熱中善飢, 陽氣不足陰氣有餘, 則寒中腸鳴腹痛. 《靈樞》
사기가 비위에 있으면 병이 들어 기육이 아프다. 양기는 남아나는데 음기가 부족하면 속에서 열이 나고 곧잘 배가 고프다. 양기가 부족하고 음기가 남아돌면 속이 차고 뱃속에서 소리가 나며 배가 아프다.(영추)
外證, 面黃, 善噫, 善思, 善味, 內證, 當臍有動氣, 按之牢若痛, 其病腹脹滿, 食不消, 體重節痛, 怠惰嗜臥, 四肢不收, 有是者脾也, 無是者非也. 《難經》
외증은 얼굴이 누렇고 트림을 자주 하며 생각이 많고 맛을 잘 본다. 내증은 배꼽에 동기가 있고 누르면 단단하고 아프다. 비에 병이 들면 매가 부풀어오르고 소화가 안 되면 몸이 무겁고 관절이 아프며 나른해져서 눕기를 즐겨하고 사지를 움직이지 못하는데 이러한 증상은 비병이고 이런 증상이 없으면 비병이 아니다.(난경)
大骨枯槁, 大肉陷下, 胸中氣滿, 喘息不便, 內痛引肩項, 身熱, 脫肉破䐃, 眞藏見, 十月之內死. 註曰, 此脾之藏也. 期後三百日內死.
대골이 마르고 대육이 꺼지며 가슴속에 기가 가득차고 숨이 차서 불편하며 가슴속이 아프면서 어깨와 목덜미까지 당기고 몸에 열이 나고 군육이 빠지며 진장맥이 나타나면 열 달 안에 죽는다. 주에, 이것은 비장을 말하는 것으로 300일 안에 죽는다 했다.
肝傳之脾, 病名曰脾風, 發癉, 腹中熱, 煩心, 出黃.
간의 병이 비로 전해진 것을 비풍이라고 하는데 황달이 생기고 뱃속에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고 소변이 누렇게 나온다.
脾熱者, 色黃而肉蠕動. 《內經》
비에 열이 있으면 안색이 누렇고 살이 꿈틀거린다.(내경)
脾病虛實비병허실
脾藏營, 營舍意. 脾氣虛, 則四肢不用, 五藏不安, 實則, 腹脹涇溲不利. 註曰, 涇, 大便也, 溲, 小便也. 《靈樞》
비는 영을 갈무리하고 영은 의가 깃드는 곳이다. 비기가 허하면 사지를 쓰지 못하고 오장이 불안하며, 실하면 부풀고 경수가 잘 나오지 않는다. 주에, 경은 대변이고 수는 소변이라 했다.(영추)
脾實, 則身重, 善肌, 肉痿, 足不收, 行善瘛, 脚下痛, 虛則腹滿, 腸鳴, 飱泄, 食不化.
비가 실하면 몸이 무겁고 배가 자주 고프며 살이 위축되고 다리를 쓰지 못하며 걷다가 자주 오그라들고 발바닥이 아프다. 허하면 배가 부풀고 뱃속에서 소리가 나고 먹은 대로 설사하고 소화를 시키지 못한다.
脾有餘則腹脹涇溲不利, 不足則四肢不用. 《內經》
비기가 남아돌면 배가 부풀고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부족하면 사지를 잘 쓰지 못한다.(내경)
脾病間甚비병간심
病在脾, 愈在秋, 秋不愈, 甚於春, 春不死, 持於夏, 起於長夏.
병이 비에 있으면 가을에 낫는데 가을에 낫지 않으면 봄에 심해지고 봄에 죽지 않으면 여름을 견디어내고 여름에 일어난다.
脾病者, 愈在庚辛, 庚辛不愈, 加於甲乙, 甲乙不死, 持於丙丁, 起於戊己.
비병은 경신일에 낫는데 경신일에 낫지 않으면 갑을일에 심해지고 갑을일에 죽지 않으면 병정일을 견디어내고 무기일에 일어난다.
脾病者, 日昳慧, 日出甚, 下晡靜. 《內經》
비병은 해가 기울 때 호전되고 해가 뜰 때 심해지고 해질녘에 안정된다.(내경)
脾病治法 비병치법
脾苦濕, 急食苦以燥之. 脾欲緩, 急食甘以緩之. 《內經》
비는 습한 것을 괴로워하니 빨리 쓴 것을 먹어서 말려 준다. 비가 느슨해지려고 하면 빨리 단 것을 먹어 이를 느슨하게 해야 한다.(내경)
脾苦濕, 是有餘, 宜白朮, 脾欲緩, 是不足, 宜甘草. 以甘補之, 人參, 以苦瀉之, 黃連.
비가 습을 괴로워하는 것은 비기가 남아나서다. 백출을 써야 한다. 비가 느슨해지려고 하는 것은 비기가 모자라기 때문이니 감초를 써서 이를 보해야 한다. 인삼을 써서 쓴맛을 사하니 황련을 쓴다.
脾虛以甘草ㆍ大棗之類補之, 脾實, 以枳實瀉之.
비가 허하면 감초 대추 등으로 이를 보하고 비가 실하면 지실로 이를 사한다.
脾虛, 宜用益黃散ㆍ補脾湯, 脾實, 宜用瀉黃散ㆍ調胃承氣湯方見傷寒. 《東垣》
비허에는 익황산 보비탕을 써야 하고, 비실에는 사황산 조위승기탕처방은 상한을 보라을 써야 한다.(동원)
脾病, 宜食醎, 大豆ㆍ豕肉ㆍ栗ㆍ藿, 皆醎. 取其所勝之味也《內經》
비병에는 짠 것을 먹어야 한다. 콩 돼지고기 밤 콩잎이 모두 짜다.비가 이기는 맛을 취한 것이다.(내경)
脾病, 宜食粳米ㆍ牛肉ㆍ棗ㆍ葵. 取本味也《甲乙經》
비병에는 멥쌀 소고기 대추 아욱을 먹어야 한다.본맛을 취한 것이다.(갑을경)
脾病, 禁溫食, 飽食, 濕地, 濡衣. 《內經》
비병에는 따뜻한 음식, 배불리 먹는 것, 습도가 높은 곳, 젖은 옷을 피해야 한다.(내경)
益黃散익황산
治脾藏虛冷, 腹痛泄利. 陳皮 一兩, 靑皮ㆍ訶子肉ㆍ甘草(灸) 各五錢, 丁香 二錢. 右爲末, 每二錢或三錢, 水煎服. 或剉, 五錢作一貼, 亦可. 一名補脾散. 《海藏》
비장이 허하고 차서 배가 아프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진피1냥 청피 아자육 감초구운 것 각 5돈, 정향2돈을 가루내어 매번 두세 돈을 물에 달여 먹거나, 썰어서 5돈으로 1첩을 지어도 된다. 보비산이라고도 한다.(해장)
補脾湯보비탕
治脾藏虛冷, 嘔吐泄瀉, 飮食不消. 麥芽(炒)ㆍ甘草(灸) 各一兩半, 人參ㆍ白茯苓ㆍ草果ㆍ乾薑(炮) 各一兩, 厚朴ㆍ陳皮ㆍ白朮 各七錢半. 右剉, 五錢, 水煎服. 《三因方》
비장이 허하고 차서 토하거나 설사를 하고 음식을 소화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맥아볶은 것 감초구운 것 각 1.5냥, 인삼 백복령 초과 건강습지에 싸서 구운 것 각 1냥, 수박 진피 백출 각 7.5돈을 썰어서 5돈씩 물에 달여 먹는다.(삼인방)
瀉黃散사황산
一名瀉脾散. 治脾熱, 口瘡, 口臭. 梔子 一錢半, 藿香ㆍ甘草 各一錢, 石膏(末) 八分, 防風 六分. 右剉, 作一貼, 蜜酒拌, 微炒, 水煎服. 《海藏》
사비산이라고도 하며 비열로 인한 구창 구취를 치료한다. 치자 1.5돈 곽향 감초 각 1돈, 석고가루낸 것8푼 방풍6푼을 썰어서 1첩을 만들어 꿀과 술에 섞어 약간 볶은 후에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脾絶候비절후
足太陰氣絶, 則脉不榮肌肉. 脣舌者, 肌肉之本也. 脉不榮則肌肉軟, 肌肉軟則舌痿人中滿, 人中滿則脣反, 脣反者, 肉先死. 甲日篤, 乙日死.
족태음의 기가 끊어지면 맥이 기육의 영향을 공급하지 못한다. 입술과 혀는 기육의 근본이다. 맥이 영양을 받지 못하면 기육은 약해진다. 기육이 약해지면 혀가 위축되고 인중이 붓는다. 인중이 부으면 입술이 뒤집어진다. 입술이 뒤집어지면 기육이 먼저 죽는다. 갑일에 위독해지고 을일에 죽는다.
太陰終者, 腹脹閉, 不得息, 善噫善嘔, 嘔則逆, 逆則面赤. 不逆則上下不通, 上下不通則面黑皮毛焦而終矣. 《靈樞》
태음맥의 기가 끊어지면 배가 불러오고 막히며 숨을 쉴 수 없고 트림과 구역질을 자주 한다. 구역질을 하면 궐역이 되고 궐역이 되면 얼굴이 붉어진다. 궐역이 되지 않으면 상하가 통하지 못한다. 상하가 통하지 못하면 얼굴이 검어지고 살갗과 털이 말라서 끝내 죽는다. (영추)
脾絶十二日死一云五日, 何以知之. 口冷足腫, 腹熱臚脹, 泄利不覺出時無度. 《脉經》
비가 끊어지면 12일혹은 5일 후에 죽는다.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입이 차갑고 다리가 붓고 배에 열이 나고 불러오며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수도 없이 설사를 하는 것으로 안다.(맥경)
環口黧黑, 柔汗發黃者, 此爲脾絶. 《仲景》
입 주위가 까맣고 식은땀이 나면서 황달이 있으면 이는 비가 끊어진 것이다.(중경)
脾臟修養法비장수양법
常以季夏之月朔旦, 幷四季之末十八日旭旦, 正坐中宮, 禁氣五息, 鳴天鼓十二通, 吸坤宮之黃氣入口十二嚥之, 閉氣五十息. 《養性書》
늘 6월 초하루 아침과 사계절의 끝 18일 해뜰녘에 중궁에서 바로앉아 5번 숨쉴 동안 숨을 참고 천고를 12번 울리고 곤궁의 누런 기운을 12번 들이마셔 삼키고 50번 숨쉴 동안 숨을 참는다(양성서).
脾臟導引法비장도인법
可大坐伸一脚屈一脚, 以兩手向後反掣各三五度. 亦可跪坐, 以兩手拒地, 回顧用力虎視各三五度, 能去脾藏積聚風邪喜食. 《臞仙》
다리를 펴고 앉아 한쪽 다리는 펴고 한쪽 다리는 굽히고 두 손을 뒤로 향한 후 15번 끌어당긴다. 또 꿇어앉아서 두 손으로 땅을 짚고 힘써 호랑이처럼 돌아보기를 15번 한다. 이는 비장의 적취와 풍사를 없앨 수 있고 잘 먹을 수도 있다(구선).
單方단방
凡二十四種.
모두 24 가지다.
雄黃웅황
益脾.
비를 도운다.
雄黃法土, 故色黃而入脾. 水飛用. 《本草》
웅황은 토를 본받아 색이 누렇고 비로 들어간다. 수비해서 쓴다(본초).
蒼朮창출
健脾燥濕. 米泔浸一宿, 剉乾. 末服, 煎服皆佳. 《本草》
비를 튼튼하게 하고 습을 말린다. 딸뜨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썰어서 말린 다음 가루내거나 달여서 먹어도 다 좋다(본초).
山精丸, 蒼朮泔浸爲末, 神麴糊和丸服. 《丹心》
산정환은 창출을 쌀뜨물에 담갔다 가루내어 신국으로 쑨 죽과 반죽해서 환을 지어 먹는다(단심).
白朮백출
補脾. 服法同蒼朮. 《丹心》
비를 보한다. 먹는 방법은 창출과 같다(단심).
升麻승마
脾痺, 非此不除. 剉水煎服之. 《丹心》
비비는 승마가 아니면 없앨 수 없다. 썰어서 물에 끓여 먹는다(단심).
縮砂축사
溫脾胃. 末服, 煎服幷佳. 《本草》
비와 위를 따뜻하게 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 먹는 것 다 좋다(본초).
藿香곽향
助脾溫脾. 煎服, 末服皆佳. 《本草》
비를 돕고 비를 따뜻하게 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 것 다 좋다(본초).
丁香정향
溫脾, 治脾冷氣不和. 煎服, 末服幷佳. 《本草》
비를 따뜻하게 하며 비의 냉기로 조화롭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 것 다 좋다(본초).
通草통초
療脾疸, 常欲眠. 水煎服. 《本草》
비달로 늘 졸린 것을 치료한다. 물에 끓여 먹는다(본초).
厚朴후박
溫脾, 行脾氣. 水煎服之.
비를 따뜻하게 하며 비기를 잘 돌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다.
橘皮귤피
主脾不能消穀. 煎服, 末服幷佳. 《本草》
비가 곡식을 소화시키지 못하는 데 주로 쓴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 것 다 좋다(본초).
大棗대추
養脾, 安中. 煮湯飮之. 又煮棗, 取肉, 和脾胃. 丸藥尤佳. 《湯液》
비를 기르고 속을 편안하게 한다. 달인 물을 마신다. 또 대추를 삶아서 살만 발라낸 것은 비위를 조화롭게 한다. 환약으로 하면 더욱 좋다(탕액).
乾柿건시
健脾氣. 和酥蜜煎食, 主脾虛薄食不消化. 《本草》
비기를 튼튼하게 한다. 연유와 꿀을 함께 넣어 달여서 먹는다, 비허로 잘 먹지 못하고 소화가 되지 않는 데 주로 쓴다(본초).
飴糖이당 검은 엿
健脾. 卽黑糖也. 可常食之. 《本草》
비를 튼튼하게 한다. 검은 엿이며 늘 먹어도 좋다(본초).
稷米직미 찰지지 않은 기장쌀
脾之穀也. 可常食. 《本草》
비의 곡식이다. 늘 먹어도 좋다(본초).
粟米속미 좁쌀
益脾. 作粥飯, 常食佳. 諸粱亦同. 《本草》
비를 보한다. 죽을 쑤어 늘 먹어도 좋다. 기장 종류가 다 그렇다(본초).
陳倉米진창미 창고에 두어 묵은 쌀
煖脾. 宜作湯飮之. 《本草》
비를 데워 주는데 끓여서 탕으로 마셔야 한다(본초).
糯米나미 찹쌀
味甘, 脾之穀. 脾病宜食. 作湯飮之. 《本草》
단맛으로 비의 곡식이다. 비병에는 먹어야 하며 끓여서 마신다(본초).
大麥芽대맥아
補脾消食. 煮服, 末服皆佳. 《本草》
비를 보하며 음식을 소화시킨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 것 다 좋다(본초).
神麴신국 약에 쓰는 누룩
健脾消食. 末服, 煮服皆佳. 《本草》
비를 튼튼하게 해서 음식을 소화시킨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 먹는 것 다 좋다(본초).
蜜꿀
養脾氣. 和脾藥最佳. 和粥飮, 可常服之. 《本草》
비기를 기르는데 비를 조화롭게 하는 약 중에서 가장 좋다. 미음과 함께 먹는데 늘 먹어도 좋다(본초).
牛肉우육
養脾氣. 牛肚尤佳. 煮爛宜常食之. 《本草》
비기를 기른다. 소의 밥통이 더욱 좋다. 푹 삶아서 늘 먹는 것이 좋다(본초).
鯽魚즉어 붕어
補脾. 此魚食泥, 故有補脾養胃之功. 作羹, 作蒸, 作膾皆佳. 《本草》
비를 보한다. 이 고기는 진훍을 먹기 때문에 비를 보하고 위를 기르는 효능이 있다. 국을 끓이거나 삶거나 회를 쳐서 먹는 데 다 좋다(본초).
鯔魚치어 숭어
補脾. 此魚亦食泥, 故與鯽魚同功. 《本草》
비를 보한다. 이 고기 역시 진흙을 먹기 때문에 붕어와 같은 효능이 있다(본초).
葵규 아욱
能充脾氣. 作羹, 作葅食之佳. 《本草》
비기를 충실하게 한다. 국을 끓이거나 절여서 먹는 것 다 좋다(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