肺臟폐장
肺形象폐형상
肺之形似人肩, 二布葉, 數小葉, 中有二十四孔行列, 以分布諸藏淸濁之氣, 主藏魄. 《內經註》
폐의 모양은 사람의 어깨와 비슷하다. 2개의 퍼진 잎과 여러 개의 작은 잎이 있고 가운데에는 24개의 구멍이 늘어서서 여러 장기에 청탁의 기를 나누어 퍼뜨린다. 주로 혼백을 갈무리한다.(내경주)
肺重三斤三兩, 六葉兩耳, 共八葉. 《難經》
폐의 무게는 3근 3냥이고 6개의 잎과 2개의 귀가 있어 합해서 8개의 잎이다(난경).
肺形似人肩, 又如磬懸於五藏之上而爲華蓋. 《入門》
폐 모양은 사람의 어깨 같고 또 오장 위로 경쇠처럼 매달려 있어서 덮개 역할을 한다.(입문)
肺部位폐부위
肺藏於右. 《內經》
폐는 오른쪽에 갈무리한다.(내경)
肺系有二, 一系上通喉嚨, 其中與心系相通, 一系自心入於肺兩大葉之間, 曲折向後. 《入門》
中府二穴, 肺之募也. 在乳直上三肋間, 在背則肺兪, 在第三顀下, 是肺之部位也. 《銅人》
폐계는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위로 후롱과 통하고 그것은 가운데서 심계와 서로 통한다. 하나는 심장에서 폐의 양쪽 대옆 사이로 들어가서 구부러져 뒤로 향해 있다.(입문)
肺主時日폐주시일
肺主秋, 手太陰陽明主治, 其日庚辛.
폐는 가을을 주관하고 수태음과 수양명을 다스리며 경신일을 주관한다.
西方生燥, 燥生金, 金生辛, 辛生肺.
서방은 조를 낳고 조는 금을 낳고 금은 매운맛을 낳고 매운맛은 폐를 낳는다.
肺爲陽中之太陰, 通於秋氣. 《內經》
폐는 양중의 태음이고 가을 기운과 통한다.(내경)
肺屬物類폐속물류
肺在天爲燥, 在地爲金, 在卦爲兌, 在體爲皮毛, 在藏爲肺, 在色爲白, 在音爲商, 在聲爲哭, 在變動爲咳, 在竅爲鼻, 在味爲辛, 在志爲憂, 其脉爲手太陰, 其液爲涕, 其榮爲毛, 其臭爲腥, 其數爲九, 其穀爲稻, 其畜爲雞一作馬, 其蟲爲介, 其果爲李, 其菜爲韭. 《內經》 其經爲手太陰. 《內經》
폐는 하늘에서는 조가 되고 땅에서는 금이 되고 괘에서는 태괘가 된다. 오체에서는 피모가 되고 오장에서는 폐가 되며 오색에서는 흰색이 되고 오음에서는 상이 되고 오성에서는 곡이 되고 오변에서는 기침이 되고 오규에서는 코가 된다. 오미에서는 매운맛이 되고 오지에서는 걱정이 된다. 오맥에서는 수태음이 되고 그 액은 콧물이 되고 그 영양은 털이 된다. 그 냄새는 비린내가 되고 그 수는 9가 된다. 그 곡식은 벼가 되고 그 가축은 닭어떤 곳은 말이 되고 그 동물른 껍질이 있는 동물이 되고 그 과일은 오얏이 되고 그 채소는 파가 된다.(내경) 그 경맥은 수태음이 된다.(내경)
肺臟大小패장대소
五藏六府, 肺爲之盖.
폐는 오장육부의 덮개다.
白色小理者肺小, 麄理者肺大. 巨肩反膺陷喉者肺高, 合腋張脇者肺下. 好肩背厚者肺堅, 肩背薄者肺脆. 背膺厚者肺端正, 脇偏疏者肺偏傾也.
색이 희고 주리가 치밀한 이는 폐가 작고, 주리가 거친 이는 폐가 크다. 어깨가 벌어지고 가슴이 나오며 인후가 함몰한 이는 폐가 높고, 겨드랑이 사이가 좁고 옆구리 사이가 벌어진 이는 폐가 낮다. 어깨가 좋고 등이 두터운 이는 폐가 튼튼하고 어깨와 등이 얇은 이는 폐가 약하고 등과 가슴이 두터운 이는 폐가 단정하고 옆구리가 한쪽이 느슨한 이는 폐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肺小則少飮不病喘喝, 肺大則多飮善病胸痺喉痺逆氣. 肺高則上氣肩息咳, 肺下則氣賁迫肺善脇下痛. 肺堅則不病咳上氣, 肺脆則苦病消癉易傷. 肺端正則和利難傷, 肺偏傾則胸偏痛也. 《靈樞》
폐가 작으면 물을 적게 마시고 숨이 차지 않으며 더위를 먹지 않으며, 폐가 크면 물을 많이 마시고 흉비 후비가 잘 생기고 기가 잘 치밀어 오른다. 폐가 높으면 기가 올라와 어깨를 들썩이며 가슴을 쥐고 기침을 하며, 폐가 낮으면 기가 폐로 치밀어 올라 옆구리 아래가 자주 아프다. 폐가 튼튼하면 가침을 하지 않고 기도 올라오지 않으며 폐가 약하면 소단으로 고생하며 상하기 쉽다. 폐가 단정하며 조화로와야 잘 상하지 않고 폐가 기울어지면 한쪽 가슴이 아프다(영추).
肺傷證폐상증
形寒飮冷則傷肺. 《靈樞》
몸이 차가운데 찬 것을 마시면 폐가 상한다(영추).
肺傷者, 其人勞倦則咳唾血, 其脉細緊浮數, 皆吐血, 此爲躁擾嗔怒, 得之肺傷氣壅所致. 《脉經》
폐를 상한 이가 피로하면 기침을 하고 피를 뱉는다. 맥이 세긴부삭하면 모두 피를 토한다. 이는 성질이 급하고 자주 화를 내서 폐를 상해 기가 막혔기 때문이다(맥경).
熱在上焦, 因咳爲肺痿. 其人咳, 口中反有濁唾涎沫, 寸口脉數, 此爲肺痿也. 若口中辟辟燥咳, 咳則胸中隱隱痛, 脉反滑數, 此爲肺癰也. 《仲景》
상초에 열이 있으면 기침을 하며 폐위가 된다. 기침을 할 때 입안에 탁한 거품이 생기고 촌구맥이 삭하면 폐위다. 만약 입안이 마르면서 기침을 하고 기침을 하면 가슴속이 은은하게 아프며 맥이 오히려 활삭하면 폐옹이다(중경).
肺病證폐병증
邪在肺則病皮膚痛, 寒熱, 上氣喘, 汗出, 咳動肩背. 《靈樞》
폐에 사기가 있으면 살갗이 아프고 한열이 있으면 상기로 기침을 하며 땀이 나고, 기침할 때 어깨와 등을 들썩인다.(영추)
風寒入舍於肺, 名曰肺痺, 發咳上氣.
풍한이 폐에 들어와 머무는 것을 폐비라고 하는데 기침을 하고 상기가 있다.
肺病者, 喘咳逆氣, 肩背痛, 汗出, 尻陰股膝髀腨胻足皆痛. 虛則少氣不能報息, 耳聾嗌乾.
폐병이 들면 기침하며 기가 치밀어오르고 어깨와 등이 아프며 땀이 나고 꽁무니 허벅지 무릎 넓적다리 장딴지 정강이 발이 다 아프다. 허하면 기운이 없어 호흡을 잇기가 어려우면 귀가 먹고 목구멍이 마른다.
肺熱者, 色白而毛敗. 《內經》
폐열이 있으면 얼굴이 희고 모발이 마른다.(내경)
外證, 面白, 善嚏, 悲愁不樂欲哭, 內證, 臍右有動氣, 按之牢若痛, 其病喘咳, 洒浙寒熱. 《難經》
大骨枯槁, 大肉陷下, 胸中氣滿, 喘息不便, 其氣動形, 期六月死, 眞藏脉見, 乃予之期日. 此肺之藏也. 一百八十日內死. 《內經》
외증은 얼굴색이 희고 재채기를 자주 하며 슬퍼하고 근심하며 즐겁지 않아 울고 싶어 한다. 내증은 배꼽 오른쪽에 동기가 있고 누르면 단단하거나 통증이 있다. 이 병이 들면 숨이 차고 기침을 하며 오싹하는 한열이 있다.
大骨枯槁 大肉陷下 胸中氣滿 喘息不便 其氣動形 其六月死 眞藏脈見 乃予之期日 此肺之臟也 一百八十日內死(內徑)
대골이 마르고 대육이 꺼지며 가슴속에 기가 그득하고 기침으로 불편하면 그 기가 움직이는 형상이니 6개월 내에 죽는다. 진장맥이 나타나면 죽는 날이 머지않으니 이는 폐장이다. 180일 안에 죽는다.(내경)
肺病虛實폐병허실
肺氣虛, 則鼻息不利少氣, 實則喘喝胸憑仰息. 《靈樞》
폐기가 허하면 코로 쉬는 숨이 잘 통하지 않으며 기운이 없고 실하면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해서 뒤로 젖혀 숨을 쉰다.(영추)
肺藏氣. 氣有餘則喘咳上氣, 氣不足則息利少氣.
폐의 기를 갈무리한다. 기가 남아돌면 숨이 차고 기침을 하며 기가 올라오고 기가 부족하면 호흡은 순조로우나 기운이 없다.
肺實, 則令人逆氣而背痛, 慍慍然, 虛則令人喘, 呼吸少氣而咳, 上氣見血, 下聞病音. 《內經》
폐가 실하면 기가 치밀어오르고 등이 아프고 답답하다. 허하면 숨이 차고 호흡할 때 기운이 없으면서 기침을 한다. 기가 오르고 피를 토하며 밑에서 병음이 들린다.(내경)
肺病間甚폐병간심
病在肺, 愈在冬, 冬不愈, 甚於夏, 夏不死, 持於長夏, 起於秋.
병이 폐에 있으면 겨울에 낫고 겨울에 낫지 않으면 여름에 심해져서 여름에 죽는다. 여름을 견뎌내면 가을에 일어난다.
肺病者, 愈在壬癸, 壬癸不愈, 加於丙丁, 丙丁不死, 持於戊己, 起於庚辛.
폐에 병이 든 이는 임계일에 낫고 임계일에 낫지 않으면 병정일에 심해지고 병정일에 죽지 않으면 무기일을 견뎌내고 경신일에 일어난다.
肺病者, 下晡慧, 日中甚, 夜半靜. 《內經》
폐에 병이 든 이는 석양에 호전되고 낮에 심해지고 밤중에 안정된다.(내경)
肺病治法폐병치법
肺苦氣上逆, 急食苦以泄之. 註曰, 肺氣上逆, 是其氣有餘也. 肺欲收, 急食酸以收之, 用酸補之, 辛瀉之. 《內經》
폐는 기가 치밀어오르는 것을 괴로워하니 급히 쓴 것을 먹여 내려보내야 한다. 주에, 폐기가 치밀어오르면 이는 기가 남아돌아서다라 했다. 폐는 수렴하려고 하니 급히 신 것을 먹여 수렴시키고 신맛으로 보하고 매운맛으로 사한다.(내경)
肺苦氣上逆, 宜訶子皮一作黃芩 肺欲收, 宜白芍藥. 以酸補, 宜五味子, 以辛瀉, 宜桑白皮. 《東垣》
폐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괴로워하면 가자피혹황금이라고도 함를 써야 하고 폐가 수렴하려고 하면 백작약을 써야 한다. 신맛으로 보해야 하니 오미자를 써야 하고 매운 것을 사해야 하니 상백피를 써야 한다.(동원)
肺病, 宜食黍ㆍ雞肉ㆍ桃ㆍ葱, 取本味也. 《甲乙經》
폐병에는 기장 닭고기 복숭아 파를 먹어야 하는데 본미를 취한 것이다.(갑을경)
肺病, 宜食麥ㆍ羊肉ㆍ杏ㆍ薤, 取苦能下氣. 《內經》
폐병에는 보리 양고기 살구 엄교를 먹어야 한다. 쓴맛으로 기를 내리는 것이다.(내경)
肺病, 禁寒飮食寒衣. 《內經》
폐병은 찬 음식과 찬 옷을 금한다.
肺虛, 宜補肺散ㆍ獨參湯方見氣門, 肺實, 宜瀉白散ㆍ人參瀉肺湯.
폐허에는 보폐산 독삼탕처방은 기문을 보라을 먹어야 하고, 폐실에는 사백산 인삼사폐탕을 먹어야 한다.
補肺散보패산
一名阿膠散. 治肺虛. 阿膠珠 二錢, 鼠粘子ㆍ糯米(炒) 各一錢二分, 馬兜鈴(炒) 七分, 甘草(炒) 五分, 杏仁(麩炒) 九箇. 右剉, 作一貼, 水煎服. 一作秫米《錢乙》
아교산이라고도 하는데 폐허를 치료한다. 아교주2돈 서점자우엉우방자 나미볶은 것 각 1.2돈 마두령볶은 것7푼 감초볶은 것5푼 행인밀기울을 넣고 볶은 것5개를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찹
쌀을 기장쌀이라고 한 곳도 있다.(전음)
瀉白散사백산
一名瀉肺散. 治肺實. 桑白皮ㆍ地骨皮 各二錢, 甘草 一錢. 右剉, 作一貼, 水煎服. 或加知母ㆍ貝母ㆍ䓀莄ㆍ梔子ㆍ麥門冬ㆍ生地黃, 亦可. 《入門》
산폐산이라고도 하는데 폐실을 치료한다. 상백피 지골피 각 2돈, 감초1돈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거나 지모 패모 길경 치자 맥문동 생지황을 넣어도 좋다.(입문)
人參瀉肺湯인사사폐탕
治肺實熱. 黃芩ㆍ梔子ㆍ枳殼ㆍ薄荷ㆍ連翹ㆍ杏仁ㆍ桑白皮ㆍ大黃(酒蒸)ㆍ䓀莄ㆍ甘草
各七分. 右剉, 作一貼, 水煎服. 《丹心》
패실열을 치료한다. 황금 치자 지각 박하 연교 행인 상백피 대황술에 찐 것 길경 감초 각 7푼을 썰어서 1첩을 지어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肺絶候폐절후
手太陰氣絶, 則皮毛焦. 太陰者, 行氣, 溫于皮毛者也. 故氣不榮則皮毛焦, 皮毛焦則津液去皮節傷, 皮節傷則爪枯毛折, 毛折者則毛先死, 丙日篤, 丁日死.
수태음의 기가 끊어지면 피부의 털이 마른다. 태음은 기를 운행시켜 피모를 따뜻하게 해준다. 그러므로 기가 잘 돌지 않으면 피부의 털이 마르고 피모가 마르면 진액이 없어져서 피부와 관절이 상하며 피부와 관절이 상하면 손발톱이 마르고 털이 끊어지는데, 털이 끊어지면 털이 먼저 죽는다. 병일에 위독해지고 정일에 죽는다.
肺絶三日死, 何以知之. 口張一云口鼻虛張短氣, 但氣出而不返. 《脉經》
폐가 끊어지면 3일 만에 죽는다.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입을 벌리고입과 코가 맥없이 벌어지고 숨이 짧다고 함 숨을 내쉬기만 하고 들이쉬지 못하기 때문이다.(맥경)
汗出髮潤, 喘不休者, 此爲肺絶. 《仲景》
땀이 나서 머리털이 반질거리고 헐떡임을 멈추지 않는 것은 폐가 끊어져서다.(중경)
肺臟修養法폐장수양법
常以七月八月九月朔望旭旦, 西面坐鳴天鼓七, 飮玉漿三, 然後瞑目正心思, 兌宮白氣入口七呑之, 閉氣七十息. 《養性書》
늘 7,8,9월 초하루와 보름 아침 해뜰녘에 서쪽을 향해 앉아서 명천고를 7번 하고 짐을 3번 삼킨다. 그런 후 눈을 감고 심사를 바르게 하고 태궁의 흰 기운을 7번 들이마셔 삼키고 70번 숨쉴 동안 숨을 참는다.(양생서)
肺臟導引法폐장도인법
可正坐, 以兩手據地, 縮身曲脊向上五擧, 去肺家風邪積勞. 亦可反拳搥脊上左右各三五度, 此法去胸臆間風毒. 閉氣爲之良久, 閉目嚥液, 三叩齒爲止. 《臞仙》
바로앉아서 양손으로 땅을 짚고 몸을 움츠려서 척추를 구부려 위로 5번 들면 폐병인의 풍사 적취 허로를 없앨 수 있다. 또 주먹을 쥐고 척추의 좌우를 3=5번 때린다. 이 방법은 가슴속의 풍독을 없앤다. 숨을 참고 한참 있다 눈을 감고 침을 삼키며 이를 3번 맞부딪친 후 마친다.(구선)
單方단방
凡二十二種.
모두 22가지다.
雲母운모
補肺.
폐를 보한다.
雲母法金, 故色白而入肺. 水飛爲粉服之. 《本草》
운모는 금을 본받아서 색이 희고 폐로 들어간다. 수비하여 가루내서 먹는다.(본초)
人參인삼
補肺中陽氣.
폐 속의 양기를 보한다.
卒上氣, 喘鳴, 肩息, 氣欲絶, 此將肺絶之候. 人參膏, 獨參湯, 或作末, 日五六服. 《本草》
갑자기 기가 오르고 가래 끓는 소리를 내며 어깨숨을 쉬고 기가 끊어지려 하는 것은 폐기가 끊어지려는 것이다. 인삼고 독삼탕이나 인삼가루를 하루 5-6번씩 먹는다.(본초)
天門冬천문동
保定肺氣. 煮服, 或作末服, 酒浸服皆佳. 《本草》
폐기를 안정시킨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술에 담가 먹는데 다 좋다.(본초)
麥門冬맥문동
治肺熱.
폐열을 치료한다.
麥門冬ㆍ人參ㆍ五味子, 爲生脉散, 治肺中伏火, 氣欲絶. 《湯液》
맥문동 인삼 오미자를 합하면 생맥산이 되는데, 폐 속에 잠복한 화로 기가 끊어지려는 것을 치료한다.(탕액)
五味子오미자
收肺氣. 作茶, 作丸常服. 《本草》
폐기를 수렴한다. 차를 만들거나 환을 지어 늘 먹는다.(본초)
沙參사삼 잔대의 뿌리
益肺氣. 能補肺中陰氣. 煮服, 作虀, 常服佳. 《本草》
폐기를 보하며 폐 속의 음기를 보할 수 있다. 달여 먹거나 절여서 늘 먹는 것이 좋다.(본초)
片黃芩편황금
治肺熱. 丸服, 煮服, 末服皆佳. 《本草》
폐열을 치료한다. 환으로 먹거나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데 다 좋다.(본초)
紫菀자완 개미취뿌리
益肺, 淸肺. 煮服之佳. 《本草》
폐를 보하고 폐를 서늘하게 한다. 달여서 먹으면 좋다.(본초)
貝母폐모
潤肺. 作末, 和砂糖作丸含化, 或煮服之幷佳. 《本草》
폐를 적신다. 가루내어 설탕과 섞어서 환을 지어 녹여 먹거나 달여서 먹는데 다 좋다.(본초)
䓀莄길경 도라지뿌리
理肺氣. 又治肺熱, 氣促. 末服, 煮服幷佳. 《本草》
폐기를 다스리고 폐열로 숨이 가쁜 것을 치료한다. 가루내어 먹거나 달여서 먹는데 다 좋다.(본초)
馬兜鈴마두령 쥐방울덩굴 열매
補肺去熱, 治喘急. 煮服之. 《本草》
폐를 보하고 열을 없애서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달여서 먹는다.(본초)
桑白皮상백피 뽕나무 뿌리 속껍질
瀉肺, 去肺中水氣. 煮服之. 《本草》
폐를 사하고 폐 속의 수기를 없앤다. 달여서 먹는다.(본초)
葶藶子절력자 다닥냉이 씨
治肺壅喘急. 取子炒五錢, 大棗五枚, 同煎服.
폐가 막혀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씨볶은 것 돈을 대추5개와 함께 달여 먹는다.
橘皮귤피
利肺氣, 治氣逆上. 或煮服, 或末服. 《本草》
폐기를 잘 통하게 하고 기가 치밀어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枳殼지각 익은 탱자나무 열매
泄肺氣. 或煮, 或末服. 《本草》
폐기를 내보낸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본초)
胡桃호도
斂肺止喘. 常服之. 《湯液》
폐기를 수렴하여 숨이 찬 것을 멎게 한다. 늘 먹는다.(탕액)
烏梅오매 덜 익은 매실을 짚불에 그을려 말린 것
收肺氣. 作茶飮之. 《湯液》
폐기를 수렴한다. 차를 만들어 마신다.(탕액)
杏仁행인 살구씨
治肺, 潤燥散結. 作粥服甚佳. 《本草》
폐를 치료한다. 마른 것을 적시고 뭉친 것을 흩어지게 한다. 죽을 쑤어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桃복숭아
肺病宜食. 《本草》
폐병에는 반드시 먹어야 한다.(본초)
黍米서미 기장쌀
肺病宜食, 作飯食. 《本草》
폐병에는 반드시 먹어야 한다. 밥을 지어 먹는다.(본초)
牛乳우유
潤肺養肺. 作酪粥, 常食之佳. 《本草》
폐를 적셔서 길러준다. 유락죽을 만들어 늘 먹으면 좋다.(본초)
雞子白계자백
潤肺淸熱. 生呑之. 《本草》
폐를 적시고 열을 내린다. 날것으로 삼킨다.(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