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李唐諸子作詩 用盡一生心力 故能名世傳後 如吟安數箇字 撚斷幾莖髭 吟成五字句 用破一生心 兩句三年得 一吟雙淚流 欲識吟詩苦 秋霜若在心 又夜吟曉不休 苦吟鬼神愁 如何不自閑 心與身為仇之類 是也 余亦有此癖 欲捨未能 戲吟一絕曰 為人性癖最耽詩 詩到吟時下字疑 終至不疑方快意 一生辛苦有誰知 噫 唯知者 可與話此境 今人以淺學率爾成章 便欲作驚人語 不亦踈哉

 

이씨의 당나라 여러 시인들은 시를 짓는데 일생 마음과 힘을 다 쏟아부었다. 그래서 이름을 날려 후세에 전할 수 있었다.

 

두어 자 읊고 즐기느라

몇 가닥 수염 꼬아 다 빠졌네.

 

다섯 자 시구 이뤄 읊느라

한평생 마을 다 써 버렸네.

 

삼 년만에 시구 둘 얻고서는

한 번 읊조리니 두 눈에 눈물 주르르.

 

시 읊조리기 괴롬 알고프면

가을 서리가 가슴 속에 있는 것 같다네.

 

,

 

밤새 읊조리느라 새벽에도 쉬지 못하고

괴로이 읊조리니 귀신도 걱정하네.

어찌해서 스스로 한가롭지 못하나

마음과 몸이 원수가 되었네.

 

라는 부류의 시구가 이것이다. 나 역시 이런 버릇이 있어 버리고 싶어도 그러지 못하고 장난삼아 절구 한 수를 읊조렸다.

 

내 시를 탐하는 버릇이 첫째인데도

시 읊조릴 때 글자 쓰기를 주저했다네.

끝내 주저하지 않아야만 마음속이 시원했는데

한평생의 이 괴롬을 누가 알아나 줄까.

 

, 오직 아는 이만이 이런 경지를 말할 수 있는데, 이제 사람들은 얕은 학문으로 마구 문장을 지어 사람들을 놀라게 할 만한 시를 짓고자 하니 이 또한 엉성하지 않은가.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1  (0) 2019.08.24
終南叢志 48  (0) 2019.08.23
終南叢志 46  (0) 2019.08.21
終南叢志 45  (0) 2019.08.20
終南叢志 44  (0) 2019.08.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