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權石洲為詩家正宗 而其遊戲之語 亦皆出人 嘗遊一寺 適有盲客至 石洲以詩贈之曰 遠客來山寺 秋風一杖輕 直人沙門去 丹淸四壁明 盖方言以盲為遠 又稱 盲者之一杖 又有盲人直人門之語 又有盲人玩丹靑之語 故云 又贈盲人詩一句曰 百中經事業 三尺杖生涯 又有鄉客,能作行詩 而不能於律 能飲濁醪 而不能淸酒 石洲嘲之日 律詩如鼠本 淸酒作猫頭 雖以俗語俳皆 而無不佳妙

 

권석주는 시인 중에서도 으뜸인데, 그가 장난으로 지은 시 역시 모두 남보다 출충했다. 일찍이 어떤 절에 유람을 갔는데 마침 어떤 눈이 먼 나그네가 이르렀다. 석주가 그에게 시를 써 주었는데,

 

먼 나그네 절간에 오니

가을 바람에 지팡이도 가볍네.

바로 절문으로 가버리니

단청한 네 벽은 밝기도 하네.

 

대개는 우리나라 말에 맹인을 멀었다고 한다. 또 맹인을 한 지팡이라 했고 또 맹인이 곧바로 문으로 들어간다는 말도 있고, 또 맹인이 단청을 구경한다는 말도 있어 그렇게 말한 것이다. 또 맹인에게 주는 시의 한 구절에,

 

백중경의 사업이요

석 자의 지팡이에 의지해 사는 인생이로다.

 

라 했고, 또 어떤 시골 나그네가 시를 지을 줄은 아나 율시는 지을 줄 모르며, 탁주를 마실 줄은 아나 청주를 마실 줄은 몰랐다. 석주가 그를 조롱하여,

 

율시라는 것은 쥐의 몸과 같고

청주는 고양이 머리와 같네.

 

라 했으니, 비록 속된 말들로 모두를 엮었으나 기막히게 묘한 것이 아닐 수 없다.


'漢文學 > 詩話叢林'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壺谷詩話 24  (0) 2019.10.05
壺谷詩話 23  (0) 2019.10.04
壺谷詩話 21  (0) 2019.09.26
壺谷詩話 20  (0) 2019.09.24
壺谷詩話 19  (0) 2019.09.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