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내옷염색 (0) | 2009.09.16 |
---|---|
[스크랩] 며느리밑씻개 (0) | 2009.09.15 |
[스크랩] 독말풀2 (0) | 2009.09.10 |
[스크랩] 감물들이기 (0) | 2009.09.09 |
[스크랩] 9.20 가회다례 茶道에관한 요약문 (예술감감상코너에 중복계제) (0) | 2009.09.08 |
[스크랩] 내옷염색 (0) | 2009.09.16 |
---|---|
[스크랩] 며느리밑씻개 (0) | 2009.09.15 |
[스크랩] 독말풀2 (0) | 2009.09.10 |
[스크랩] 감물들이기 (0) | 2009.09.09 |
[스크랩] 9.20 가회다례 茶道에관한 요약문 (예술감감상코너에 중복계제) (0) | 2009.09.08 |
[스크랩] 며느리밑씻개 (0) | 2009.09.15 |
---|---|
[스크랩] 감물들이기2 (0) | 2009.09.10 |
[스크랩] 감물들이기 (0) | 2009.09.09 |
[스크랩] 9.20 가회다례 茶道에관한 요약문 (예술감감상코너에 중복계제) (0) | 2009.09.08 |
[스크랩] 햇밤많이들드세요 (0) | 2009.09.08 |
물들이기 소정의 광목옷
준비한 땡감
이거는 야생 고염감
다져놓은 땡감
땡감이 절구통에서 갈린 모양
1차물들인 바지
두 번째 다져놓은 땡감
감물에 치댄 광목옷
가까이서 찰칵
말라가는 감물염색옷 하의가 좀 짙다. 두 번 염색했으니까.
그래서 상의만 다시 두번 째 물들여서 널었다. 이제 가까와질 모양이다.
내일 한 번 더 감물들이기를 해서 널어야겠다. 그럼 더 색깔이 짙어지겠지.
처음이라서 무척 서툴다.
[스크랩] 감물들이기2 (0) | 2009.09.10 |
---|---|
[스크랩] 독말풀2 (0) | 2009.09.10 |
[스크랩] 9.20 가회다례 茶道에관한 요약문 (예술감감상코너에 중복계제) (0) | 2009.09.08 |
[스크랩] 햇밤많이들드세요 (0) | 2009.09.08 |
[스크랩] 0907그산탐사 (0) | 2009.09.07 |
가회다례의 유래
가회(佳會)란 차를 즐기는 사람들의 멋진 모임이란 뜻이다.
이는「초의 선집」에 추사를 포함한 다섯 사람이
학과 대나무와 향기로운 난초가 있는 별장에서 글을 짓고 휘호를 쓴
茶會(다회)를 초의스님이 佳會(가회)라고 지칭한 데서 연유 되었다.
고려때 문인 이숭인이 "좋은차는 아름다운사람과도같다" 佳茗似佳人(가명사가인)고 한 데서도 차는 차원이 높은 아름다운과 연관됨을 알수있다.
고려때 문신들의"차마시는자리"인 茗席(명석)이나 茶山이 대나무 숲에서 베푼 다회도 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 가회다례는 좋은 잎차나 말차를 준비해 놓고 차를 즐기는 사람을 미리 초청하여 다실이나 혹은 뜰에서 茶談(다담)을 나누고 茶 생활의 멋을 즐기며 예의를 갖추어 茶 의 風味를 감상하는 것을 말 한다.
때로는 훌륭한 작품을 감상하며 간단한 식사도 한다.
石泉煎茶 草衣스님 茶詩
天光如水水如煙(천광여수수여연) 하늘빛은 물과 같고 물은 이내 같도다
此地來遊已半年(차지래유이바년) 이곳에 와서 논지 이미 반년
良夜幾同明月臥(양야기동명월와) 명원과 함께 누워 지내던 좋은 밤이 몇 번 이던고
淸江今對白鷗眠(청간금대백구면) 맑은 강에서 지금 백구를 마주하고 조네
嫌猜元不留心內(협시원불유심내) 남을 시기하는 것은 본래 마음에 없으니
毁藝何會到耳邊(훼예하회도이변) 좋다 궂다 하는말이 어찌 귀에 들어오리
神裏尙餘驚雷笑(신리사여경뢰소) 소매 속에는 아직도 경뢰소차가 남아 있으니
倚雲更試杜陵泉(의운경히두능천) 구름에 의지하여 두릉천으로 또 차를 끓이네
茶道(다도)
茶
○ 茶字를 破字(파자)=解字(해자)하면 108數가 된다.
艹=20數 八=8數 木=(十+八)80數 合 108
○ 불교에서의 108數의 의미.
百八煩惱(백팔번뇌)또는 百八結(백팔결)이라고도 함.
중생들 번뇌의 수가 108가지란 의미.
육근(六根=眼,耳,鼻,舌,身,意)이 육진(六塵=色,聲,香,味,觸,法)을 대할 때
저마다 好, 惡, 平等이 相異하여 18번뇌를 이루고 또, 苦, 樂, 捨,의 三受가 있어 18번뇌를 내니 모두 합하여 36이 되고 또, 이를 三世, 즉 과거,현재,미래에 倍하여 108煩惱가 된다.
○ 氣候(기후)에 따른 의미
1年=12개월(個月)
1년=24절기(節氣)
1년=72후(候)
合 108
5일은 1候, 陰으로 1년은 360일 (360÷5=72)
陽으로 1년은 365일
○ 茶壽(다수) 장수의 의미
飮茶安樂 年逾茶壽 (음다안락 연유다수) 차를 마시면 몸과 마음이 안락하고 수명은 108년(세)을 살도록 강안하다.
▢ 茶神傳(다신전) - 초의 의순이 萬寶全書(만보전서)에서 가려냄
1. 採茶(채다) 차를 따는 것.
2. 造茶(조다) 차를 만드는 것.
3. 辨茶(변다) 차를 가리는 것.
4. 藏茶(장다) 차를 저장하는 것.
5. 火候(화후) 불을 다루는 것.=불기운이 약하면 文, 불기운이강하면 武
6. 湯辨(탕변) 탕을 식별하는 것.=湯에는 세 가지의 大辨과 열다섯 가지의 小辨이 있다, 첫째는 形辯(형변=형태로 가리는 것) 즉, 內辨(내변)이고,
둘째는 聲辨(성변=소리로 가리는 것) 즉, 外辨(외변)이고,
셋째는 氣辨(기변=기운으로 가리는 것) 즉, 捷辨(첩변)이다.
물 끓는 모양이 게눈, 새우눈, 고기눈, 구슬, 은 다 萌1)湯(맹탕)이고, 파도처럼 너무 끓어 水氣(수기)가 없어지는 것이 純熟(순숙)이다.
또, 初聲(초성), 轉聲(전성), 振聲(진성), 驟聲(취성=달릴 취)이다 萌湯이고, 다음 소리가 없어지면 結熟(결숙)이다. 다시 氣가 떠서 1縷2)(누), 2縷, 3縷, 4縷까지 왕성한 기운을 분별하기 어렵게 한 것이 萌湯 이고 곧 기운이 충만하게 된 것을 經熟이라 한다.
7. 湯用老嫩3)(탕용로눈-늙은 눈과 어린 눈)
8. 泡法(포법-차 끓이는 법)
9. 投茶 (투다-차를 넣는 것)
下投=차를 먼저 넣고 탕을 뒤에 넣는 것.
中投=탕을 반쯤 넣고 차를 넣고 다음에 탕을 더하는 것.
上投=탕을 먼저 넣고 다음에 탕을 넣는 것.
10. 飮茶(음다-차를 마시는 것) 혼자마시면 신기롭고, 둘이서 마시면 勝하고, 3~4인이면 아취가 있으며, 5~6인이면 泛4)(범)이라 하고 7~8인이면 施(시)라 한다.
11. 香(향)
12. 色(색)-청취색, 비취색=최근 선암사주변에서 다갈색이라는 주장이 제기됨,
13. 味(미)
14. 點染失眞(점염실진) 잡것이 섞이면 眞을 잃는다-차를 가지고 음식냄새 나는 곳에 가지 말 것.
15. 茶變不可用(다변불가용) 변한 차는 쓰지 않는다
16. 品泉(품천) 물의 성품-茶는 물의 神이요 물은 茶의 體다
다른 견해= 물은 차의 體이고 차는 물의 用이다 (그러면 茶는 相이다)
17. 井水不宜茶(정수불의다) 우물물은 차에 적당치 않다
18. 貯水(저수) 물 저장
19. 茶具(다구) 차 도구
20. 茶盞(다전) 찻잔
21. 拭5)盞布(식잔포) 찻잔행주
22. 茶衛(다위) 지켜야할 것
茶道眞衛(다도진위- 精, 燥, 潔) 즉, 造時-精, 藏時-燥, 泡時-潔
※ 굽이없는것-차판, 굽이있는것-차상
▢ 차의 다섯 가지 맛 (茶之五味)
苦(고)=쓴맛, 澁(삽)=떫은맛, 酸(산)=신맛, 鹽(염)=짠맛, 甘(감)=단맛,
辛(신), 鹹(함), 醫學.
▢ 차의 효과
수면(睡眠), 권태(倦怠), 해갈(解渴), 제독(除毒), 익지(益志), 경신환골(輕身換骨)
▢ 차의 효능
눈과귀를 밝게하고, 갈증을해소하고, 피로를 풀어주며, 몸을따뜻하게하며, 더위를 물리치고, 입맛을 돋운다.
▢ 차의 삼덕(三德)
좌선시제야(坐禪時除夜) 좌선을 해도 잠이 오지 않고,
만복(滿腹)때에도 소화(消化)가 잘 되어 신기(神氣)를 가볍게 하며,
성욕(性慾)을 억제하는 효능.
▢ 차의 팔덕(八德)
① 명이(明耳) ② 명안(明眼) ③ 구미조장(口味助長) ④ 성주(醒酒) ⑤ 소면(少眠) ⑥ 지갈(止渴) ⑦ 해로(解勞) ⑧ 방한,방서(防寒,防暑=척서(斥暑))
▢ 차의십덕(十德)
① 제신가호(諸神加護) ② 오장조화(五臟調和) ③ 수면소제(睡眠消除)
④ 번뇌자멸(煩惱自滅) ⑤ 효양부모(孝養父母) ⑥ 식재안온(息災安穩)
⑦ 수명장원(壽命長遠) ⑧ 제인애경(諸人愛敬) ⑨ 천마원리(天魔遠離)
⑩ 임종불란(臨終不亂)
▢ 차 효능의 극치
칠완다가(七碗茶歌)=唐 시인 노동(盧同)지음(唐末 甘露 亂 때 타살됨)
一碗喉吻6)潤(일완후문윤) 처음 한잔은 목과 입술을 부드럽게 하고
二碗破孤悶(이완파고민) 둘째 잔은 외로운 번민을 낫게 하며
三碗枯腸披7)惟有文字五千卷(삼완고장피유유문자오천권) 셋째 잔은 마른 창자가 흩어지며 5천권의 문자가 있을 뿐
四碗發輕汗 平生不平事 盡向毛孔散(사완발경한 평생불평사 진향모공산)넷째 잔은 가벼운 땀을 내 평생에 불평스러웠던 일을 다 털구멍으로 내 보낸다
五碗肌8)骨淸(오완기골청) 다섯째 잔은 근육과 뼈를 맑게 하고
六碗通仙靈(육완통선령) 여섯째 잔은 선령(仙靈)에 통하며
七碗吃9)不得也(칠완흘부득야) 일곱째 잔은 마셔도 얻지 못 한다...
唯覺兩腋10)習習11)淸風生(유각양액습습청풍생) 오직 양 겨드랑이에서 시원한 맑은 바람이 나옴을 깨달을 뿐 이다
蓬萊山12)在何處(봉래산재하처) 봉래산이 어데 있는가
玉川子13)乘此淸風欲歸去(옥천자승차청풍욕귀거) 옥천자(玉川子=盧同자신)가
이 맑은 바람타고 돌아가려 한다.
▢ 물의 세종류
① 달천수=충주의 달래강 ② 삼타수=속리산 ③ 오종수=한강
푸른 이끼가 낀 물은 마시지 말라=속리산 법주사 상고암에 새겨져있음.
▢ 팔공덕수(八功德水)또는 진수팔덕(眞水八德)
① 경(輕)=가볍고 ②청(淸)=맑고 ③ 연(軟)=부드럽고 ④ 냉(冷)=차고
⑤ 미(美)=아름답고 ⑥ 무취(無臭)=냄새가 없고 ⑦ 음후무탈(飮後無頉)=마신뒤 탈이없고 ⑧ 비위합당(脾胃合當)=비위에 합당하여야함
재산천수청(在山泉水淸) = 산에있는 샘물은 맑고
출산천수탁(出山泉水濁) = 산밖에 있는 샘물은 탁하다.
다주청향(茶酒淸香)-좋은차와 좋은술이 (있는집은)
유광문호(有光門戶)-집안에 빛이있다 /門戶=집안의뜻
▢ 행다시 꺼리는것 11가지
① 폐기(敝器) 깨진그릇 ② 악수(惡手) 나쁜물 ③ 동시(銅匙) 구리수저
④ 동요(銅銚) 구리솥 =징깨비.냄비-요 ⑤ 목통(木桶) 나무물통
⑥ 부탄(麩炭) 약한숯 =밀기울-부 ⑦ 시신(柴薪) 섶나무//장작
⑧ 조동(粗童) 거친아이//불손한머슴
⑨ 악비(惡婢) 나쁜계집종//성급한여종(성질이날카로운여자)
⑩ 불결건세(不潔巾帨) 불결한수건 =수건-세
⑪ 각색과실향약(各色果實香藥) 여러 가지 과실과 향약
孝臺詩碑
寂滅堂前多勝景(적멸당전다승경) 적멸당 앞에는 훌륭한 경치도 많고
吉祥峰上絶纖埃(길상봉상절섬애) 길상봉 위에는 가는 티끌조차 끊겼네
彷徨盡日思前事(방황진일사전사) 하루 종일 거닐면서 과거사를 생각하니
薄暮悲風起孝臺(박모비풍기효대) 날 저문 효대에 슬픈 바람 이는구나.
池邊洗硯魚呑墨(지변세연어탄묵) 못가에서 벼루를 씻으니 고기가 먹물을 머금고,
松下烹茶鶴避烟(송하팽다학피연) 소나무아래서 차를 끓이니 학이 연기를 피하네
松風檜雨到來初(송풍회우도래초) 소나무에 바람 불듯 전나무에 비 내리듯 끓기 시작하거든
急引銅甁移竹爐(급인동병이죽로) 지체 없이 동병을 죽로에 옮겨와야 한다.
待得聲聞俱寂後(대득성문구적후) 물 끓는 소리와 그 소리를 듣는 내 마음마저 다 같이 고요해진 뒤
一甌春雪勝醍醐(일구춘설승제호) 한잔의 춘설차 맛은 제호보다 수승하다.
<청허휴정(淸虛休靜)>
[스크랩] 독말풀2 (0) | 2009.09.10 |
---|---|
[스크랩] 감물들이기 (0) | 2009.09.09 |
[스크랩] 햇밤많이들드세요 (0) | 2009.09.08 |
[스크랩] 0907그산탐사 (0) | 2009.09.07 |
[스크랩] 누리장나무 (0) | 2009.09.05 |
[스크랩] 감물들이기 (0) | 2009.09.09 |
---|---|
[스크랩] 9.20 가회다례 茶道에관한 요약문 (예술감감상코너에 중복계제) (0) | 2009.09.08 |
[스크랩] 0907그산탐사 (0) | 2009.09.07 |
[스크랩] 누리장나무 (0) | 2009.09.05 |
[스크랩] 동충하초 (0) | 2009.09.05 |
이건 덤이다. 잠자리가 연못에서 알을 낳는 장면.
관찰한 결과 위에 한마리 밑에 한마리
위에서는 꼬리로 아래 잠자리의 머리를 누르고, 아래서는 꼬리쪽을 물에 넣고 알을 낳고 있었다.
<정읍조각공원연못에서>
[스크랩] 9.20 가회다례 茶道에관한 요약문 (예술감감상코너에 중복계제) (0) | 2009.09.08 |
---|---|
[스크랩] 햇밤많이들드세요 (0) | 2009.09.08 |
[스크랩] 누리장나무 (0) | 2009.09.05 |
[스크랩] 동충하초 (0) | 2009.09.05 |
[스크랩] 마을정자옆에서 (0) | 2009.08.27 |
[스크랩] 햇밤많이들드세요 (0) | 2009.09.08 |
---|---|
[스크랩] 0907그산탐사 (0) | 2009.09.07 |
[스크랩] 동충하초 (0) | 2009.09.05 |
[스크랩] 마을정자옆에서 (0) | 2009.08.27 |
[스크랩] 나들이온꿩모녀 (0) | 2009.08.26 |